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분노반추가 분노에 미치는 영향: 작업기억용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민희진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분노경험과 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변인으로 분노반추를 상정하고, 분노반추와 분노와의 관계를 조절하는 변인으로 작업 기억용량의 역할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작업기억용량 실험을 실시하였다. 분노관련 측정도구로는 한국판 분노반추척도(K-ARS),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 표현척도(STAXI-K)를 사용하였고, 작업기억용량은 조작폭(operation span)과 읽기폭(reading span) 과제를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은 실험 참가자에게 연구에 대해 설명한 뒤 자기보고 검사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실험과제가 끝난 뒤 시행 종료 표시가 나타났을 때 실험 참가자가 외운 단어 및 어미의 개수를 검사자가 채점지에 기입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노반추의 세 하위요인은 모두 특성분노와 정적 상관을 보였고, 분노표현의 세 하위요인들 중 분노통제를 제외하고 분노억제, 분노표출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분노반추의 하위요인과 작업기억용량은 분노경험 및 표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분노반추와 특성분노의 관계에서 작업기억용량이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내어, 이 관계에서 작업기억용량이 분노 경험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노반추의 내용과 결과를 확인하였고, 반추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제 3 변인을 탐색하였다. 둘째, 분노를 조절하는 인지적 요인으로, 지금까지 우울과 스트레스와 주로 연구되어온 작업 기억용량을 인간의 또 다른 핵심 정서인 분노의 영역으로 확장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셋째, 작업기억용량의 조절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분노와 관련된 인지행동적 치료적 접근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준 것에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추후연구에 대한 제언 등을 논의하였다.

      • 성인 중기의 기독교적 삶을 위한 이야기 방법 연구

        민희진 서울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성인중기의 기독교적 삶을 위한 이야기 방법 연구 Research on the narrative method for the life of Christian in middle-age Min Hee-Jin Master of Arts in Theology Graduate School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The church community is the educational community which could share the teaching and learning with the entire ages. The church community can figure out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life-long education, because it executes the systematic education which considers the members’ gender and age. Churches in Korea have been executed several educations for the adults since mid-70’s. In early days, these educations were focusing on the calling which could preach the gospel, but later on they try to focus on developing and training the missional ability and behaviour. Such these types of education affect the growth of church effectively. However, as the society has been changed, the future education for the adults should not focus on only the growth of church and the preaching the gospel. Because of these reasons, the church education for the adults requires the development for the next level. Especially, educational needs for the adults in middle-age is highly recommended, because they play a pivotal role in every area such as the church, the family and the society. Middle-age is the period which experiences the double sides in several aspects. By that reason, the church community should not treat them only as human resources, but they should care them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ir situation. Then what types of education do the middle-aged adults need? The adults in middle-age have their own stored experience which insist to examine their identity and their own value. It means that they need no more education on christian faith, but they need executional application of what they already knew on their own life as well as examining their experience. n this aspect, they might learn the various educational methods, but this thesis especially gives the narrative method. The method is appropriated to adults in middle-age rather than teaching new contents to them, because it extracts their thoughts from their stored experiences. The thesis handles the characteristic and definition of the middle-age and summarize the research on narrative method and christian educational approach on the method. In addition, it gives the example of the narrative method as a christian educational method on middle-aged adults.

      • 초등미술교육에서 광주.전남지역 문화재를 활용한 미술 감상용 워크시트(Work sheet) 개발

        민희진 광주교육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7차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사항에서는 국제화 시대에 대비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기 위해서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가 그 바탕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화적 정체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기 위해서는 우리 교육이 ‘교과서 중심의 교육체계’에서 벗어나 교육목표와 내용, 지도방법, 평가에서 구체적인 사항들을 지역사회 실정에 맞게 재구성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지역 문화재를 활용한 현장학습이나 감상학습은 생활 주변에 있는 우리 문화를 익히고 문화적 정체성의 기틀을 세운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활동이라 하겠다. 그러나 이러한 지역문화재 감상활동이 올바른 감상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지도나 학습 방안의 부재로 어떤 문화재를 감상해야 하는지, 어떻게 감상해야 하는지, 작품이 지니고 있는 조형적인 아름다움이나 정신적인 가치는 무엇인지 잘 알지 못한 채 형식적인 체험학습으로 그치고 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문화재 감상의 구체적 방법을 제시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보다 쉽게 문화재를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문화재 감상 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써 광주·전남지역 문화재를 활용한 미술 감상용 워크시트(Work sheet)를 제안하였다. 학생들의 생활공간인 지역사회의 문화재를 활용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친근감과 흥미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워크시트를 통한 구체적 문화재 감상 기법은 문화재에 담긴 조형미와 전통미, 역사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지역 문화재를 감상하고 문화재 속에 담긴 조형미, 전통미, 역사성을 보다 쉽게, 자기 주도적으로 찾아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통 이미지와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광주·전남지역 문화재를 활용한 워크시트 개발의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물을 통하여 지역 문화재 감상의 교육적 가치와 워크시트를 통한 문화재 감상의 유용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문헌연구 및 현장답사를 통하여 광주·전남지역의 문화재 현황을 파악하고 조형미와 특징을 살펴 워크시트 개발에 필요한 자료를 추출하였다. 박물관·미술관 워크시트 사례연구를 통한 다양한 워크시트 제작기법에 따라 광주·전남지역 문화재 감상에 효과적인 워크시트 예시안과 활용 방안을 마련해 보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첫째, 광주·전남지역 문화재에 대한 가치와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다. 교실에서 피상적으로만 느끼던 감상활동과 달리 학생들의 생활주변에서 쉽게 접하던 지역 문화재를 직접 체험함으로써 문화재 감상에 대한 흥미가 높아졌다. 또한 광주·전남지역 문화재의 조형적인 아름다움, 역사적 의의를 발견하고 이해함으로 지역 문화재의 의미와 가치를 새롭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워크시트를 통하여 문화재 감상의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올바른 문화재 감상 능력을 기르도록 하였다. 다양한 방법으로 제시되는 감상관점은 학생들이 지역 문화재를 즐겁게 견학하고 조사·관찰할 수 있도록 하였고 조형미와 역사적 의의를 스스로 발견하고 감상하는 방법과 태도를 익히는데 도움이 되었다. 셋째, 이러한 광주·전남지역의 문화적 특징을 찾고 이해하는 과정 속에서 학생들은 스스로 지역 문화의 주체가 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우리 문화재를 애호하고 전통미에 대한 가치와 긍지를 내면화하여 우리 문화의 세계화를 위한 문화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시한 광주·전남지역 문화재를 활용한 미술 감상용 워크시트의 개발은 미술교육에서 그동안 연구가 미흡하였던 광주·전남지역 문화재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 지에 대한 하나의 예를 제시하였으며, 다양한 방법을 통한 워크시트의 활용은 학생들의 문화재 감상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 본다. 본 연구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수준별 감상법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하며, 보다 다양하고 체계적인 감상학습이 이루어지도록 박물관·미술관 등 지역사회 유관기관과 연계한 지역 문화재 감상에 관한 워크시트 개발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다각적인 분야에서 접근 가능한 광주·전남지역 문화재 감상교육에 대한 후속 연구들이 계속되리라 기대한다. The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s place stress on understanding our culture as one of primary prerequisites for creating new values in today's global village. The curriculums defy existing textbook-centered education and require a region-specific reconstruction of educational objectives,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 to build cultural identity and create new values(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1999). On-the-spot study and appreciation learning that capitalize on local cultural assets are very worth doing in that the approaches make it possible for learners to get accustomed to our culture and build their cultural identity. In fact, however, appreciation activities for local cultural assets are often conducted just for form's sake due to a lack of systematic teaching-learning methods. There is little authentic information available on what and how to appreciate, and students ordinarily fail to realize the formative beauty and value of cultural assets. How to appreciate cultural assets should be suggested in detail, and students should be educated to foster their appreciation sk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evelopment of worksheet for art appreciation, especially for cultural assets in Gwangju and Jeollanam-do, in an effort to improve the appreciation skills of learners for cultural assets. Local cultural assets that exist in the living spaces of students could ignite their interest, and the utilization of worksheet could allow them to learn about the formative and traditional beauty and history of local cultural assets in diverse ways. This approach makes it possible for them to wake up to the formative and traditional beauty and history of local cultural assets in a self-directed manner to build their cultural identity. This study was implemented in the following procedure to develop worksheet by making the use of local cultural assets in Gwangju and Jeollanam-do: First, relevant literature and earlier studies were reviewed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cultural assets appreciation, and the meaning and educational value of local cultural assets appreciation were discussed. Second, as a result of checking into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worksheet for cultural assets appreciation education, the usefulness of worksheet as a way to appreciate cultural assets was justified.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on museums and galleries to explore the forms of worksheet and production techniques to find out how to produce worksheet for local cultural assets appreciation. Third, the state of local cultural assets in Gwangju and Jeollanam-do was checked by analyzing relevant literature and making an on-the-spot investigation to identify their formative beauty and characteristics to select cultural material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worksheet. Fourth, worksheet for art appreciation was developed by utilizing the selected cultural materials, and how to apply the worksheet was mapped out. The efforts of this study to develop worksheet for art appreciation served to let learners see the value and importance of local cultural assets in Gwangju and Jeollanam-do in a new light. Local cultural assets that show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community are major learning materials in formative, traditional and historical perspectives. The students were able to spot the cultural features of their regions and learn to appreciate cultural assets in the course of investigating and observing local cultural assets by using the worksheet. And they realized that they should take the initiative in creating a new local culture, and they got to love cultural assets and take pride in our traditional beauty, which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and globalization of our culture. This study that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worksheet for art appreciation by selecting cultural assets in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gave an example about how to take advantage of local cultural assets in art education, and learners will be stimulated to find traditional aesthetic consciousness in cultural assets and pay more attention to their formative beauty and aesthetic consciousnes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catalyst in spawning diverse research efforts on appreciation education for local cultural assets in the reg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