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격유형에 따른 전업주부의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민정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전업주부의 성격유형에 따른 여가활동에 대해 선호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첫째, 성격지표에 따른 여가활동 유형의 선택, 둘째, 성격기질, 성격기능, 대인행동유형에 따른 여가활동 유형의 선택과 여가활동 동반자의 선호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MBTI Workshop에 참석한 전업주부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MBTI성격유형 검사지와 선행연구의 여가활동참여 설문지에서 이용된 설문 문항을 기초로 수정 작성하여 연구목적에 따른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성격유형에 따라서 여가활동 참여 경향간에 선호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6가지 성격유형 모두 여가활동 중 가정지향활동에 많은 선호를 나타냈고 그중 ISFJ, ISTP형이 가정지향활동을, ESTP, ESTJ형은 신체활동과 연관성을 맺고 있으며, 자기개발활동 그리고 사교활동 부문에 비교적 고르게 선호를 보였다. 1. 성격지표의 선호 유형의 경향간에는 내향형(I ; Introversion)이 자기개발활동, 외향형(E ; Extroversion)이 신체활동과 사교활동을 비교적 더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감각형(S ; Sensing)은 가정지향활동, 신체활동, 사교활동을, 직관형(N ; Intuition)은 자기개발을, 사고형(T ; thinking)이 자기개발활동을 우선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감정형(F ; Feeling)은 사교활동 면에서, 인식형(P ; perception)이 판단형(J ; Judging)에 비해 신체활동면에서 상대적으로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2. 기질별 유형은 가정지향활동에서 감각적판단형(SJ)과 감각적 인식형(SP) 그리고 직관적감정형(NF), 신체활동에서 감각적판단형(SJ)과 감각적 인식형(SP)이, 자기개발활동에서 직관적사고형(NT)이, 사교활동에서 감각적판단형(SJ)과 감각적 인식형(SP) 그리고 직관적사고형(NT)의 순으로 선호가 나타났다. 여가활동 동반자에 있어 감각적판단형(SJ)은 자녀와 함께, 직관적사고형(NT)은 혼자, 감각적 인식형(SP)과 직관적감정형(NF)은 남편과 함께를 우선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3. 기능별 유형은 가정지향활동은 감각과 사고형(ST), 감각과 감정형(SF), 직관과 감정형(NF)이, 신체활동은 감각과 사고형(ST), 감각과 감정형(SF), 직관과 사고형(NT), 자기개발활동은 감각과 사고형(ST)과 직관과 사고형(NT)이 선호를 보이고 있다. 여가활동 동반자 선호경향에 있어서 감각과 판단형(ST)은 남편과, 감각과 감정형(SF), 자녀와 함께 하는 것을 우선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4. 대인행동유형에 대해서는 자기개발활동부분은 내향사고형(IT), 신체활동은 외향감정형(EF) 사교활동은 외향감정형(EF), 시간소일활동은 내향감정형(IF)과 외향감정형(EF)이 선호 경향을 보였다. 여가활동 동반자 관계에서는 전반적으로 여가활동을 혼자 하거나 자녀와 함께 하는 것은 내향사고형(IT)이 선호하고, 남편과 함께 하거나 이웃이나 친구와 함께 하는 것은 외향감정형(EF)이 선호하는 경향과 남편이나 자녀와 함께는 내향감정형(IF)과 외향사고형(ET)이 선호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성격유형에 따른 전업주부의 여가활동의 선택과 여가활동 동반자의 선호에 있어 차이가 있었으며, 전업주부의 가정생활과 사회참여의 징검다리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여가활동을 위한 여가선택 및 여가교육 등을 위한 상담 및 정책적 지원등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국면보기를 통한 상상력 조명

        민정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통적인 철학에서는 의미의 담지자로 어떤 실체-플라톤의 이데아처럼 초월적이거나 흄의 감각 인상처럼 심성적인-를 요구한다. 예컨대 단어의 의미를 감각 인상으로부터 나온 관념이라고 생각하는 흄은 "관념은 실체의 심성 표상이며 관념을 가진 것이 곧 의미를 아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이 주장의 배후에는 의미가 대상과는 독립하여 우리에게 파악될 수 있다는 전제가 깔려있다. 이러한 실체론적 사고는 여전히 우리에게 영향을 끼쳐서 우리가 어떠한 문제를 탐구하기 시작할 때 "그것이 무엇인가?"라는 질문부터 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국면보기나 상상에 관한 탐구를 할 때에도 우선은 "국면보기란 무엇인가?", " 상상은 무엇인가?" 또는 "이미지란 무엇인가?"라는 질문부터 하지만 이런 질문은 자칫 과도한 단순화와 신비화로 나아가게 하며 결국 탐구의 출발선에서부터 헤매게 한다. 이렇게 탐구의 시작부터 당황하게 되는 이유는 국면보기와 상상이 단순 명료한 지시적 정의에 의해 가려질 수 있을 만큼 간단한 현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두 경우 모두 감각과 사고가 교차하는 지점에 놓이고 다른 개념들과 공유하는 특징을 가지므로 환원적 분석에 견딜 수 없다. 이러한 난국을 타개하기 위한 방편으로 본고는 언어의 의미를 사용에서 찾는 후기 비트겐슈타인적 방법론을 채택하여 위의 개념들에 접근하려고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종전과 다른 방식의 질문이 던져져야 한다. 이제 "국면보기란 무엇인가?", "상상할 때 무엇이 발생하는가?"라고 묻는 것이 아니라 국면보기가 여러 예들에서 어떻게 실현되는지, '상상'이라는 말이 어떻게 쓰이는지를 물어야 한다. 이렇게 물어진 이상 국면보기를 개인의 사적인 시각경험으로 간주하거나 심성 이미지를 개인만이 접근 가능한 심성 그림으로 생각하는 것은 정당성을 결여하게 된다. 예컨대, 아버지와 아들의 얼굴이 닮았음을 보거나, 오리 머리도 되고 토끼 머리도 되는 알쏭달쏭한 그림을 보거나, 삼각형을 평행 사변형의 반쪽으로 보는 시각 경험이 어째서 사적이지 않은가? 그것은 단순한 대상적 보기가 아니라 개념 하에서 이루어지는 시각 경험이기 때문이다. 이 때 시각과 결합하는 개념은 공공적인 사용을 통해 획득되므로 오리-토끼 그림을 오리로 보지 못한다거나 삼각형을 평행사변형의 반쪽으로 보지 못할 때 그것은 개인의 시각 능력에 이상이 있음을 뜻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오리를 평생 한 번도 본적이 없는 산촌 사람이 오리-토끼 그림을 토끼로만 보고 '평행사변형'을 아직 배우지 않은 학생이 삼각형을 평행사변형의 반쪽으로 보지 못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상도 이와 마찬가지여서, 그것을 개인의 내적인 심성 상태로 간주하고 관찰을 통해서 그것의 이해에 도달할 수 있다는 생각은 상상 탐구에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한다. 무엇을 상상하는지, 무엇에 대한 이미지인지는 애초에 개인의 내면에서 확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행하는 과정을 통해서 상상의 내용이 결정된다. 국면보기와 상상은 모두 주체의 능동적인 개입을 필요로 하는 활동이다. 그리고 이 둘은 많은 다른 개념들이 교차하는데 위치하며 이 둘 자체가 여러 가지 특징을 공유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런 몇몇 공유점들에 관심을 두는 것보다는 후기 비트겐슈타인적 탐구 방법에 초점을 맞추어 실체론적 편견에 이끌리지 않고 문법적 탐구를 해나가도록 자신을 각성하는 것이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In the traditional philosophy, it has been demanded an entity which is transcendent as Plato's Idea or mental like Hume's sense impression for the meaning. For example, Hume who thought that the meaning of a word is the idea which is derived from sense impressions, said that the idea is a mental representation of an entity and having an idea is knowing the meaning. Behind this thesis, it is presupposed the meaning is independent of an object therefore we can grasp the meaning regardless of an object. The tendency to the substantialism still affects us, when we begin to investigate a material, this tendency drives us to raise such a question "What is it?". Similarly, at the beginning of an investigation into aspect seeing and imagination, we might ask the question "What is the aspect seeing?", "What is the imagination?" or "What is an image?". But these questions invite over- simplification and mystification and lead us astray from the very start. The reason that we should be perplexed is the aspect seeing and imagination materials are not so simple that they could not be elucidated by an ostensive definition. Because of the fact that both of them are located in the intersecting point of sensations and thoughts and the feature that they share their concepts with others, they could not bear up against the reductive analysis. To save the situation, I try to approach these materials according to the later Wittgenstein's work seeking the meanings in the usage of wards. For this, questions should be asked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s. That is, one ought to ask how an aspect seeing is realized in many examples or how the word 'imagination' is used, one ought to ask, not what images are or what happens when one imagines anything. Accordingly it could not be justified that an aspect seeing is regarded as the private visual experience or that mental images are thought as mental picture accessible on one's own. Why is not it a private experience, for example, seeing a likeness between one man's face and his son's or seeing the duck-rabbit, seeing a triangle as a half parallelogram, etc? It is not because these are simply a primary seeing but because these are the visual experience under the concepts. The concepts combined with the sight are taken the public usage. Therefore the fact that one can see anything but a rabbit in the duck-rabbit or a triangle as a half parallelogram does not mean that one has an error of the optic organs. Rather, it is natural that a hillman who has never seen a duck only see a rabbit in the duck-rabbit, the student who has not learned the concept of 'parallelogram' cannot see it as a half parallelogram. Likewise, it is not helpful to the study of the imagination that one would think that we could understand it through the inner observations for one would think imagination is a private mental state. It is not fixed in one's inside at the first what one imagines and what it is the image of the contents of an imagination is decided through the process of our acting. An aspect seeing and imagination need the subject's active commitments. Both of them lie in the acrossing of many other concepts and share many properties with each other. But we should focus on the later Wittgensteins's style as a methodology, not some shared properties. And above all, it is emphasized that one should constantly arouse oneself into grammatical investigations without misleading the substantialistic biases.

      • Notes on the plus-construction of classifying spaces

        민정 全南大學校 1992 국내박사

        RANK : 247631

        本 論文에서는 可換環의 分類空間 BGLA의 플러스 構成에 대하여 硏究하였다. 第二章에서는 自明한 백터束圈에서 自由C(X)-可群圈으로의 Γ-函修를 조사하여 K_0(k(X)) = K^0_k(X) 에 도달한다. 第三章에서는 群에서의 완전라디칼과 acyclic空間을 使用하여 플러스 構成을 유도하였다. 第四章에서는 플러스 構成을 만들고 여러가지 성질들을 證明하였다. 끝으로 第五章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된 定理들을 證明하였다. i) K_0(A) × BGLA^χ+ □Ω(BGL(μA)^+). ii) BGL(mA)^+ → BE(lA)^+ → BE(μA)^+ 는 fibration이다(定理 5.5). iii) BGL(mA)^+□ΩBE(μA)^+ (定理 5.6). iv) BGL(rf)+□W = BGL(μA)^+ × _fPBGL(μA)^+ (定理 5.7). v) BGL(S^i A)^+□ BGL(μ^iA)^+ (定理 5.10). In this dissertation, we study the plus-constraction BGLA^+ of the classifying space BGLA of a commutative ring A with 1. In chapter2, we study the functor Γ from the category of trivial vector bundles to the category of the free C(X)-modules to find K_0(k(X)) = K^0_k(X). In chapter3, we study the perfect radical of a given group and acgclic spaces which are used to make the plus-constraction. In chapter 4, we construct the plus-construction of a space, and describe its some properties. In chapter 5, we prove our main results. i) K_0(A) × BGLA^+ □Ω(BGL(μA)^+) ii) BGL(mA)^+ → BE(lA)^+→ BE(μA)^+ is a fibration (Theorem 5.5) iii) BGL(mA)^+□ΩBE(μA)^+ (Theorem 5.6) iv) BGL(rf)^+□W = BGL(μA)^+ × _fPBGL(μA')^+ (Theorem 5.7) v) BGL(S^i A)^+□ BGL(μ^iA)^+ (Theorem 5.10).

      • 전통 여성복식에 나타난 꽃문양을 상징화한 장신구 디자인 연구 : 조선시대 사계화를 중심으로

        민정 단국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at attracting aesthetic expression of traditional life and culture through analyzing figurative characteristics shown on the flower pattern of ladies' trimming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utilizing obtained results for designing accessaries according to comtemporary tastes. Furthermore, this study set the goal thinking over meaning of "tradition" and groping for potential of Korean accessaries based on own beauty by applying figurative factors of such flower patterns to current accessaries. A pattern is a product of symbolic thinking and it expresses a period and sociality by formative characteristics which are expressed by a unique aesthetic of each country and race. Although many studies have done on traditional patterns of Korea, such studies have generally put much importance on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 pattern so far. In addition, a flower pattern among traditional patterns has much wider kind range and it has its own symbolic meaning. This study set ladies' trimmings which has strong decorative factors among many patterns in the Joeseon Dynasty period as the standard and examines the flower pattern which had been loved most by women at that time. Therefore, this study would like to progress and design the flower pattern in order to give it modern and international university through symbolism and figurative meaning of Korean traditional characteristics. For such purpose, figu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flower pattern were analyzed through documents study and practical study on remains and, based on studeis performed, 9 pieces of works were designed and produced. Results from th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flower pattern on ladies' trimmings is the one expressed by sublimating color sense and figurative recognition of ancestors, so figurative characteristics from it was used to recreate traditional beauty by applying to the accessary design. Second, pursuing image application and figurative expression of the flower pattern, recreated modern design for accessaries could be expressed by adding modernity on the traditional flower pattern. Third, the flower pattern shown on ladies' trimmings was appropriate to express modern figurative beauty and it was proved that the flower pattern is the right material meeting both creativity and artistry at the same time. This study inquired into figu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flower pattern, figured out possibility to utilize the flower pattern by understanding figurative beauty and aesthetic value of it, and presented possibility to use and develop Korean cultural remains internationally through the accessary design. 이 논문은 조선시대 여성 복식의 꽃문양에서 나타난 조형특성의 분석을 통해 전통생활 문화에서의 미적 표현을 추출하고, 이를 현대적으로 표현하여 장신구 디자인에 활용하고자 한다. 특히 여성복식에 나타난 꽃문양의 조형 요소들을 장신구에 적용함으로서 전통에 대한 의미를 되새기고 장신구에 여성스러움과 현대적인 감각으로 디자인 연구하여 우리나라 고유의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으로 한다. 문양은 상징적 사고의 산물이며 각 나라와 민족의 독특한 미적취향에 의해 표현되는 조형성으로 그 시대와 사회성을 표현한다.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한국 전통문양의 이용한 연구들이 많으며 문양에 나타나는 외형적인 면을 중점으로 연구돼 왔던 것이 통례적이다. 또한 전통문양 가운데 꽃문양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것보다 종류가 다양하고 그 나름의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 여성 복식을 장식한 문양 중에서도 장식적 요소가 강했던 여자 복식을 기준으로 삼았으며 조선시대의 여성 복식에서 나타나는 전통문양 중 가장 많이 사랑 받았던 꽃문양에 대해서 연구ㆍ조사하였다. 따라서 연구자는 한국 전통성을 부여하고 꽃문양의 상징과 조형적 의미를 통해 현대적이면서도 세계적인 보편성을 가질 수 있도록 조형성을 이용하여 하나의 패턴으로 문양을 전개, 디자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헌 조사 및 보전 유물의 실증적 자료의 연구를 통하여 꽃문양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총 9점의 작품을 디자인하고 제작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복식에서 나타난 꽃문양은 우리 조상들의 색채감각과 조형의식을 일상생활속의 미감으로 승화시켜 표현한 것으로, 그 조형성을 장신구 디자인에 응용하여 전통미를 재창조하는데 적절한 소재가 되었다. 둘째, 꽃문양의 이미지 응용과 조형성 표현을 추구함으로써 기존의 전통 꽃문양에서 보여 지는 문양에 부가하여 현대적 느낌이 나는 모던한 이미지 등 장신구의 다양한 응용 물로 표현할 수 있었다. 셋째, 여성 복식 문양에서 나타난 꽃문양은 현대적 조형미를 표현하는데 적절했으며, 디자인에서 독창성과 예술성을 동시에 만족시켜 표현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창조의 역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꽃문양에 대한 조형성과 그 특징을 밝혀보고 전통문양 중 가장 많이 사랑 받았던 꽃문양에 내재되어있는 조형미나 미적 가치 등을 이해함으로써 현대장신구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며 장신구 디자인을 통해 우리의 문화유산을 세계적로 알리고 활용, 발전돼 갈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 하였다.

      • 한글발음 입출력기를 위한 불규칙현상 해결방안

        민정 청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Korean language’s correct method for pronunciation only has a principle and there are no ways to identify all methods for pronunciation. Common and principle instruction by depending on teaching materials gives trouble and burden to learners if slightly different strings occur. The best solution of this problem is to develop the I/O unit of Hangul(Korean alphabet) pronunciation that desired strings are automatically and spontaneously inputted to and outputted from the computer. The expected effect of the unit will be very helpful in many fields including economic and cultural aspects for standardized and internationalized Hangul. Korean pronunciation is difficult for students learning Korean in Korea to correctly recognize. Moreover, methods are still being researched to effectively present correct standards to observe the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 ‘A Korean pronunciation dictionary’ presents to standard to solve this problem. ‘The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 was decided and published in 1988 by the Korean Language Research Institute and ‘a Korean pronunciation dictionary’ was complied in 1993 by the Korean Broadcasting System to make the standard of sound expression. It is written in the preface of the dictionary that “it is not necessary to compile a dictionary if orthography precisely reflects pronunciation or there is a consistent pronunciation rule enough to pronounce only by spelling. It is difficult to know the correct pronunciation of specific words only by orthography in Korean language.” Although a dictionary was compiled and presented standard pronunciation for this purpose, the number of registered words are not enough for the number of used words because of the limit of capacity and utility is limited because of uneasy carrying. Thus, it was required to follow the pronunciation method of a dictionary and output all Hangul according to the rules. Although the I/O unit that Hangul is inputted using a keyboard and a pronunciation method is outputted was developed to solve this problem, it cannot convert all Hangul in an actual pronunci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 To fundamentally solve this problem, the I/O unit of Hangul(Korean alphabet) pronunciation proposed by this study used the phonetic conversion of Korean pronunciation that converts 532 pairs(28*19) of final and initial sounds into another pairs of final and initial sounds by ‘the basic change table’, considering that the phonetic change of two letters inputted is the changes of 28 final sounds and 19 initial sounds. This method could convert all Korean pronunciations except the case of inputting different results from actual pronunciation because of a linking phenomenon when the last letter is a vowel. This study examined reasons for the irregularity of Korean pronunciation and realized that Clause 15 and 29 of the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 were important to be applied to the I/O unit of Hangul pronunciation and output correct pronunciation. Then solutions were described. Finally, this study prefectly supplemented the problems of the case where the last letter was a vowel, succeeded in a computer test, and realized the production of the automatic Hangul pronunciation I/O unit. The strings of ‘a Korean pronunciation dictionary’ were substituted to ensure objective reliability and all results were agreed. The idea of this study presented a method to automatically output a pronunciation method of all Hangeul with a chart and explain rules when strings are inputted to the terminal via the computer without a teacher or teaching material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actice correct Korean pronunciation in an effective and correct way. 한국어의 정확한 발음 방법은 원칙만 존재할 뿐 모든 경우의 발음 방식을 확인 할 방법은 아직 없다. 원칙에 의해서 그리고 관용대로 교재에만 의존하는 수업에 의한 방식으로는 조금만 다른 문자열이 발생하면 학습자들은 곤란함을 느끼고 부담을 갖게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최선의 방법은, 원하는 문자열이 컴퓨터에 입력과 동시에 자동 출력되는 한글발음 입출력장치의 개발일 것이다. 한글의 표준화와 국제화를 위하여 그러한 장치의 기대 효과는 경제적 측면과 문화적 측면 등 많은 분야에서 도움이 될 것이다. 한국어 발음은 국내의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생들도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할 뿐 아니라 표준발음법을 준수하는 정확한 기준을 효과적으로 제시하는 방법이 현재도 계속 연구되고 있다. ‘표준 한국어 발음대사전’은 이 문제해결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표준발음법’은 1988년에 국어연구소에서 결정 발표되었고 한국 방송공사에서 1993년 소리표시의 기준을 삼고자 ‘표준 한국어 발음 대사전’을 편찬하였다. 사전의 머리말에서, “맞춤법이 발음을 정밀하게 반영하거나 아니면 발음 사이에 일관성 있는 발음 규칙이 존재하여 철자만 보고도 정확하게 발음 할 수 있다면 구태여 사전의 편찬이 필요치 않을 것이며 우리말은 맞춤법만으로는 한 특정낱말의 정확한 발음을 알 수 없게 되어있는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전을 편찬하여서 발음 방식의 기준을 제시하였지만 용량의 한계 때문에 사용단어 수에 비해 등록 단어의 개수가 부족하고, 휴대가 불편하여 활용도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사전의 발음 방식을 따르면서 모든 한글을 규칙대로 출력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 해결방법을 위해 한글을 자판기에 입력하면 발음방식이 출력되는 기존의 변환기가 있지만 모든 한글을 표준발음법에 의하여 실제 발음방식대로 변환하지 못하는 등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않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본고의 한글발음 입출력기의 방법은, 입력된 두 글자의 음운변동의 과정은 28개의 종성과 19개의 초성의 변화일 것으로 사료되어 28*19 = 532개의 (종성, 초성) 쌍을 또 다른 (종성, 초성) 쌍으로 바꾸는 ‘기본변동표’에 의한 한글발음 음운변환 방식이다. 이 방식은 모든 한글발음을 변환 할 수는 있었지만 뒷글자가 모음인 경우는 일괄적으로 연음 현상으로 처리되어 있어서 실제 발음과 상이한 결과를 출력하는 경우를 해결하지 못하였다. 본고에서는 한글발음의 불규칙현상을 유발하는 원인을 파악하고 한글발음 입출력기에 이를 적용하여 올바른 발음 방식을 출력하려면 표준발음법 15항과 29항의 두 가지 요소가 무엇보다도 중요한 이유로 보고 그 해결 방법을 기술하였다. 뒷글자가 모음인 경우의 나머지 문제점들을 완벽하게 보완하고 컴퓨터 실험에 성공하여 자동 한글발음 입출력기의 제작을 현실화하였다. 더욱이 객관적인 신뢰를 확보하기 위하여 표준발음대사전의 문자열들을 대입한 결과 모두 일치하는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고의 아이디어는 교사와 교재가 없어도 컴퓨터를 통해 문자열을 단말기에 입력하면 모든 한글의 발음방식이 도표와 함께 자동으로 출력되고 규칙이 설명되는 방식을 제시하였으므로 효과적이며 올바른 한국어 발음을 연습할 수 있다는 특성을 갖는다.

      • V. Frankl의 인간이해를 통해 본 평생교육이념의 재조명

        민정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의 목적은 V. Frankl의 인간이해를 통해 평생교육이념을 재조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Frankl의 인간이해를 고찰하였다. 즉 Frankl의 생애와 의미요법의 배경, 그리고 평생교육이념 분석의 두 가지 도구로서 의미요법의 인간관인 ‘인간적・실존적・자기초월적 인간’과 의미요법의 인간학적 전제인 ‘실존적 공허’, ‘삶의 의미’, ‘의미 추구의 의지’를 개관하였다. 둘째, 평생교육이념을 의미요법의 인간학적 관점에서 재조명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평생교육이념으로서의 ‘전인적 자아실현’, 그리고 ‘직업능력개발’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본격적으로 야기된 평생교육의 정체성 논란을 통해 평생교육이념의 재조명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UNESCO 평생교육론을 대변하는 「Lengrand보고서」(1970), 「Faure보고서」(1972), 「Delor보고서」(1996)의 핵심테제에 해당하는 ‘평생교육체제’, ‘평생학습사회’를 각각 의미요법의 ‘인간관’과 ‘인간학적 전제’에 기초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체제’ 속 자아실현을 이루기 위해서는 단순히 잠재능력의 실현이라는 기능적 측면을 넘어 의미요법의 인간상인 ‘인간적・실존적・자기초월적 인간’이 되어야 한다. 이는 ‘평생학습’이 ‘다른 존재로 되어가는(becoming) 전반의 과정’이며, ‘평생교육’은 이를 위한 통합교육임을 시사한다. 둘째, ‘평생학습사회’는 의미요법의 인간학적 전제들에 의거하여 ‘학습자가 삶의 의미를 추구하고 실현하기 위한 학습을 인정하고 돕는 사회’이다. 이는 ‘존재하기 위한 학습’이 ‘삶의 의미’를 포착하기 위한 ‘지각력’을 기르는 과정임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평생학습은 ‘삶의 의미의 탐색과 실현에 관계하는 전반의 과정’, 평생교육은 그러한 ‘평생학습을 위해 필요한 모든 종류의 교육’, 그리고 평생학습사회는 ‘학습자 각자의 삶의 의미를 추구하고 실현키 위한 학습을 인정하고 돕는 사회’이다. 이에 따라 평생교육은 주관적이고 상대적인 ‘행복’ 이 아닌 초주관적이고 절대적인 ‘삶의 의미’를 그 궁극적 지향점으로 두어야 한다는 당위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본 논문의 시사점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idea of lifelong education throughout understanding on the human being in V. Frankl's idea called Logotherapy.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gave an overview of Logotherapy including its world view which is called ‘dimensional ontology’, its image of men which is the ‘humane’, ‘existential’, ‘self-transcendental’ human being, and its anthropological hypothesis such as ‘existential vacuum’, ‘meaning in life’ , and ‘will to meaning’. Then, this study re-examined the idea of lifelong education from a Logotherapeutic point of view. To do this, this study confirmed the necessity of Logotherapeutic approach to lifelong education as reviewing the founding ideology of lifelong education which is ‘holistic self-realization’, and the controversy over the identity of lifelong education which has been provoked since ‘vocational ability development’ was in the spotlight. Finally, this study analyzed ‘lifelong education system’ and ‘lifelong learning society’ in the framework of Logotherapy’s image of men and anthropological hypothesis respectively.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y are the pivotal themes of 「Lengrand Report」(1970), 「Faure Report」(1972), 「Delor Report」(1996), the most renowned references representing the idea of UNESCO lifelong education. The outcom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realization in ‘lifelong education system’ refers to not only actualizing one’s potential ability, but also becoming a humane, existential, and self-transcendental human being which is the desired role model of Logotherapy. This means that lifelong learning is the whole process of becoming(another being), and lifelong education is all kinds of education that help his lifelong learning. Second, according to the anthropological hypothesis of Logotherapy, lifelong learning society is a society that acknowledges everyone has his unique meaning in life, and help him pursue and actualize that. This implies that ‘learning to be’ is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perception’ to recognize one’s meaning in life. In conclusion, ‘lifelong learning’ is the whole process of seeking and actualizing one’s meaning in life, ‘lifelong education’ is all kinds of education necessary for his lifelong learning, and ‘lifelong learning society’ is the society that understands and helps one should pursue and actualize his meaning in lif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lifelong education should aim the ‘meaning in life’ instead of happiness as its ultimate goal.

      • 투어리스티피케이션 현상이 관광 지지도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민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15

        As simple and short vacations to nearby places become more popular, regional downtown centers are emerging as travel destinations. Reflecting the trend, interest and planning related to achieving tourism-based regional economic revitalization through urban renewal is increasing. However, as tourists gather at tourist destinations, the problem of over tourism, which refers to surpassing the tourist capacity of an era, is occurring. Indeed, as the tourism capacity of an area is reached, the inhabitants are made to should the inconvenience, which can even lead to the condition of tourism phobia, which refers to despising and fearing tourists and tourism itself. Therefore, for the success of sustainable tourist development, more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the phenomenon of touristification is needed. Up until now, research on touristification has only taken place on the qualitative level.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a qualitative analysis of touristification while also undertaking an empirical analysis of local inhabitants. Finally, this essay examines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henomenon of touristification 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support rating variables and quality of life variables.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residents of Bukchon Hanok Village and Ihwa Mural Village, where the phenomenon of touristification is occurring, were surveyed over 20 days from May 1 to May 20 of 2020. A total of 182 survey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analysis classified the five different constituent elements of touristificaiton to be living environment, amenities, policy support, economic environment, and health and safety. Tourism support level and quality of life were classified as separate elements. When inspecting the casual relation between each respective element, the three variables of living environment, health and safety, and policy support were shown to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tourism support level, and the three elements of economic environment, policy support, and living environment were shown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quality of life. Therefore, in order to raise the tourism support level, environment improvement, the increased roles of residences, and diverse policy support is needed. Moreover, in order to raise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various policy-level approaches and forms of support are needed, such as solving economic problems and improving the living environment. Keyword: Overtourism, Touristification, Support for tourism, Quality of life 짧고 가까운 곳으로의 여행인 소소한 여행이 유행되면서 지역 내 도심이 하나의 관광목적지로 부각되는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듯 관광을 이용한 지역경제 활성화는 도시재생의 성공 구로 이를 추구하는 계획과 관심이 늘어나고 있지만 관광지에 관광객이 몰리게 되면서 관광수용력 초과를 뜻하는 오버 투어리즘(Overtourism)현상이 문제가 되고 있다. 즉 관광수용력이 한계에 다다르면서 지역민이 고스란히 그 부담을 떠안게 되고 나아가 관광객과 관광현상을 혐오하고 공포를 느끼게 되는 관광공포증(Tourism phobia)까지 나타나게 되었다. 그러므로 지속가능한 관광지화의 성공을 위하여 투어리스티피케이션 현상에 대한 이해와 인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지금까지 투어리스티피케이션에 대한 연구는 정성적 측면으로만 연구되어왔기에 본 연구에서는 투어리스티피케이션에 대한 정량적 연구를 실시하고자 관광지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시도하여 투어리스티피케이션의 현상에 대한 구성요소들과 관광지지도, 삶의 만족도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20일(2020년 5월 1일 ~ 2020년 5월 20일) 동안 투어리스티피케이션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서울특별시 북촌한옥마을과 이화동 벽화마을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82부의 설문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투어리스티피케이션 구성요소는 생활환경, 편의시설, 정책적 지원, 경제적 환경, 건강 및 안전 5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관광 지지도와 삶의 만족은 단일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투어리스티피케이션 구성요소와 관광 지지도 및 삶의 만족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면 관광 지지도에 생활환경, 건강 및 안전, 정책적 지원의 3가지 요인이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삶의 만족에서는 경제적 환경, 정책적 지원, 생활환경의 3가지 요인이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관광 지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환경개선 및 거주지로써의 역할 보장, 다양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며, 주민들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적 문제 해결, 생활환경 개선 등의 다양한 정책적 접근과 자원이 필요할 것이다.

      • ICT활용이 과학교육에 미친 영향

        민정 한양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설문지법을 사용하여 현재 학교 현장에서 ICT활용 수업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기 위해 학생과 교사들의 반응을 알아보고, 또 앞으로의 ICT 활용 수업의 전망과 개선책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7차 교육과정에서는 ICT 활용을 10% 이상 활용하도록 목표를 제시하였는데 과연 학교 현장에서는 그것을 활용할 준비가 되어있는지가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 생각한다. 그 준비성 문제에서 대두되는 것이 컴퓨터 보급과 교사들의 능력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에 의하면 수업 시간에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는 교사들은 없다. 물론 현장에 계신 교사 10명을 전제로 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과학과 교사들은 ICT 활용 수업에 우호적인 반응을 보일 것이다. 과학은 자칫 딱딱하고 어렵다는 느낌을 받기 쉽다. 그 이유는 추상적인 개념을 다룬다든지 일상적인 변화를 법칙으로 표시하면 매우 복잡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상을 눈에 보이는 동영상이나 사진 등을 통해 학생들에게 직접 보여줄 수 있다면 효과는 커질 것이다. 설문지에 따르면 ICT를 활용한 교육이 학생들이 이해하지 못했던 부분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는 대답이 56%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학생들은 ICT 활용 수업에 관한 우호적인 면에서는 교사들보다는 다소 낮은 비율을 보였다. 이것은 처음에는 학생들에게 학습동기를 부여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ICT 수업에 대한 관심이 감소하였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교사들의 수업준비가 미흡했거나 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컴퓨터 자료에는 수업과 관련된 자료가 방대하지만 그것을 적절히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세계화, 정보화, 및 무한경쟁의 시대에서 국가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국가적인 교육 체제가 이루어 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첫째, 지식사회의 ICT 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체계적인 ICT 인프라가 우선적으로 구축 되어야 한다. 둘째, ICT 교육에 필요한 전문적인 자료를 개발하고, 관련 교사를 적극 양성해야 한다. 셋째, 창조적인 ICT 교육화를 위하여 정부의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투자가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