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교 영어과 읽기 지도의 문제점과 다독을 통한 개선 방안

        민인경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issues related to intensive reading and suggest better ways to deal with an extensive reading program fo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I at first surveyed English teachers and students in high schools in Korea about the difficulties that they have in reading class. Nowadays, most English teachers in high schools guide their students to get a high score in the subject of English on KSAT(Korean Scholastic Aptitude Test). Teachers believe that teaching the students strategies for obtaining high scores in the exam is a valuable present for the students. This is the current situation that English teachers face in school. Ideally, the main idea is to make students feel delighted while reading books. Presently, students keep asking teachers to tell them interesting stories even if they are required to submit considerable amount of assignment. I realized what students wanted to do in a class, and designed class activities by reflecting their needs and desires for class activities. I hope this extensive reading program can meet the students' needs and requirements. In other words, this study is aimed at improving their reading ability through an extensive reading program. Fifty teachers and two hundred students joined this survey that explores current issues and weak points of English reading in an EFL setting. To solve these problems, I designed an extensive six step reading program; pretesting, selecting books, reading, discussing, evaluating, and completing homework. I am concerned that students are bored whenever they read books in English due to the fact that they don't experience any delight or satisfaction while reading these books. Extensive reading programs can improve students' reading habits and encourage them to become life long learners of English. These programs will promote students to enjoy books while reading. I hope they will be a meaningful tool for the learners to feel excitement and a desire to read.

      • 수용-전념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완벽주의와 경험회피 감소에 미치는 효과

        민인경 서울敎育大學校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수용-전념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완벽주의와 경험회피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수용-전념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아동의 완벽주의 감소에 효과적인가? 둘째, 수용-전념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아동의 경험회피 감소에 효과적인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G초등학교 6학년 5개 학급 중 1개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1개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3주 동안 9회기의 수용-전념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처치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으며, 프로그램이 종결된 후에 효과 검증을 위해 두 집단 모두에게 완벽주의와 경험회피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20.0을 사용하였다. 집단 간 변화는 다변량 분산 분석(MANOVA)을, 집단 내 변화는 반복 측정 다변량 분산 분석(repeated MONOVA)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아동의 프로그램 전반에 관한 소감문과 회기별 소감문, 그리고 연구자가 관찰한 내용을 종합하여 분석하였다. 검사지 반응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용-전념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완벽주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완벽주의의 하위요인인 자기지향적 완벽주의와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모두 유의미하게 낮았다. 둘째, 수용-전념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경험회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경험회피의 하위요인인 회피행동, 주의분산이 모두 유의미하게 낮았다. 주요어 : 경험회피, 수용-전념 집단상담 프로그램, 수용-전념치료, 완벽주의

      • 일반화 선형 혼합 모형에서 추정과 선택법에 대한 비교 연구

        민인경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료가 독립이 아닌 개체들로 구성되어 있거나 특수한 구조를 가지는 경우 일반적인 선형 모형을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개체 간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계층적 구조의 자료를 포함한 더 폭 넓은 자료에 적용 가능한 유용한 모형이 선형 혼합 모형(Linear Mixed effects Model)이다. 또한 다양한 종속 변수를 고려할 수 있도록 확장된 모형이 일반화 선형 혼합 모형(Generalized Linear Mixed effects Model)이다. 본 연구는 토대가 되는 선형 혼합 모형의 구조를 비롯하여 일반화 선형 혼합 모형의 구조와 모수를 추정하는데 이용되는 방법을 연구하고 정보 기준 선택 방법을 통한 모형 선택 모의실험을 진행하였다. 모의실험 프로그램은 통계 프로그램 $R$로 작성하였으며 다양한 모수들의 조건 아래에서 AIC와 BIC의 모형 선택 경향을 파악하여 모형 선택 방법의 통계적 성질을 비교 연구하였다. The modeling using ordinary linear models for data with correlation structures has limitations. Considering correlations between individuals, a useful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a wider range of data including hierarchical structure data is the Linear Mixed effects model. A more extended model to apply various dependent variables with non-normal distributions is the Generalized Linear Mixed effects Model. This paper reviewed the structure of linear mixed model and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 Furthermore, reviewed various methods which are used to estimate the parameters of the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 and conducted model selection simulation through information criterion selection methods such as AIC and BIC. The simulation program was written with the R and statistical properties of model selection methods are compared under various conditions on parameters.

      • 초급 학습자를 위한 중국어 e-learning 콘텐츠 설계 : 대학교 신입생 학습자를 대상으로

        민인경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와 함께 찾아온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시대는 정치, 경제, 사회뿐만 아니라 교육의 분야에도 매우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미 전통적인 수업 방식에서도 많은 부분 멀티미디어를 사용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있고, 전통적인 수업 방식대로 수업 하는 것 보다 그 학습 효과가 뛰어나다는 연구결과를 많이 찾아 볼 수 있다. 영어와 같은 경우에는 이미 완성도가 높은 e-learning 콘텐츠들이 존재하지만 그에 비해 중국어는 이제 발전하고 있는 단계에 와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에 소재한 K 대학교에서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중국어 e-learning 콘텐츠를 제작하는 과정 중에서 특히 콘텐츠를 설계하는 과정을 소개하고 설문을 통하여 이 콘텐츠를 수강한 학습자의 반응과 의견, 학습 정도 등을 조사하였다. 그것을 통하여 분석해 본 결과 중국어 e-learning에서는 말하기와 쓰기 영역의 학습정도가 듣기와 읽기 영역에 비해 부진하며 학습자가 e-learning 콘텐츠를 통하여 학습하는 것에 집중도가 많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는 즉각적인 피드백의 부재가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런 단점들을 중점적으로 보완해 좀 더 다양한 측면에서 중국어에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온라인 교육방식과 면대면 교육방식 간의 장점을 효과적으로 혼합·배치·운영 할 수 있는 블렌디드러닝으로 콘텐츠를 설계한다면 그 학습효과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The Digital society that came along with 21st century is affecting not only our politics, economy, life but also education. The multi-media technology is already being used in many classes in various ways and we can find it is sometimes much better to help learning than old ways. For English there are already various contents with good qualities but not for Chinese which is still in developing stage. So in this study we surveyed of freshmen of K University by introducing them the way of making of e-learning contents and gathering their achievements of Chinese and opinions after they took those e-learning courses. We found that it is not effective as expected in the parts of writing and speakings than other parts such as reading and listening. We also found that the students easily lose their concentration than traditional ways. We believe that a lack of immediate feedbacks is the main cause of this ineffectiveness. As we can see from the results of this survey it is strongly recommended we should find the way of making up for these defects of e-learning contents by mixing and placing and organizing good parts of both traditional ways and media-oriented ways well. We believe it will be much more effective if we design our e-learning contents as blended learning contents which are well combined with the interactivity of face-to face learning and the convenience of e-learning.

      • 중학교 1학년 미술수업에서 과학교과와의 통합적 접근이 학습몰입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민인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information-oriented age of the 21th century, knowledge, learning, culture, living, art is multi-dimensionally integrated and recreated. Therefore, the creative productivity based on the integration capability among multi-disciplines beyond fragment intellectual capability is recognized as the core competence of the present era. In accordance with these periodic changes, the education in the present is pursuing the transformation to lead creative and diverse thoughts by participating in learning as well as to lower the excessive burden of learners based on the interests in learning. In other words, it aims to pursue the activeness and enhancement of thinking skill of learners, highlighting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and converged thought. Subject-integrated education influenced by constructivist pedagogy includes the classes centered on the relating process to actual lives of learners beyond the existing disciplined-subject education, which is one of the educational pedagogies to make learners exert subjectivity and activeness through learning-immersion experiences and feel the pleasure to learn. This study selected the theme of ‘cubic expression of rocks’ for the activities of material investigation by linking ‘cubic expression’ in art that learners commonly face in parks or residential areas and ‘rocks’ in science that learners frequently face in their lives through construction materials or sculptures. The theme of the classes were selected through the analysis on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in art and science based on the spider web-form by Fogarty (1991), a researcher on integrated education. The programs for subject-integrated classes were developed to b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classes. The subject-integrated classes were applied to connect art and science based on the selected theme, and the effects of the class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immersion of the first-grade-students in a middle school were verified. For this purpose, the necessity and implication of subject-integrated between art and science was explored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s on subject-integration first.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 system appeared in the 2009-revised curriculum was compared and analyzed to extract the common orientations and linkages between the two subjects. Then, the subject-integrated classes between art and science were designed and developed for material investigation activities of the first graders in a middle school. 48 students in the first grade in A middle school located in Songpa-gu in Seoul were selected as research targets. The classes were conducted for total 10 sessions. The subject-integrated classes between art and science were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of 24 students, and the traditional disciplined classes were applied to the controlled group of 24 students. Prior to the experiment processing, the learning immersion tests and academic achievement tests on art and science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homogeneity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the homogeneity was identified. Among the results from the experiment processing, statistical data was analyzed through SPSS ver. 2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nd the other practical results obtained from practical assessment and observation based on the criterion of the 2009-revised curriculum achievement were additionally analyzed to derive research results. Thus, the effects of material investigation through the subject-integrated classes between art and science on learning immers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were finally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subject-integrated classes to link art and science showed higher difference changes compared to the controlled group which received the principled-subject classes in terms of the sub-category of learning immersion. That is, the subject-integrated classes between art and science gave more positive influences on learners in terms of the improvement of learning immersion than principled-subject classes. Second, in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to identify the achievement of class objectives for each class between art and science,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the integrated classes between the two subjects had higher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than the controlled group which received the principled-classe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class process through practical assessment, activity paper, class observation revealed that the outcom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the subject-integrated classes to link art and science were superior to that of the controlled group in terms of expression process and attitude. Forth,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items on self-evaluation report and class satisfac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majority of the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subject-integrated classes to link art and science positively evaluated the classes in terms of their interest and satisfaction. Such results revealed that the subject-integrated programs between art and science gave positive impacts on the improvement of learning immers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first graders in a middle school. This study has its implication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subject-integrated program between art and science on learning immers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through field application. It is expected that high-quality education to lead the attentions of learners as well as to contribute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 can be performed by developing a lot of integrated programs among various subjects including science and art. 21세기는 정보화시대로서 여러 정보의 수집과 활용을 통하여 지식과 학문, 문화, 생활, 예술 등이 다방면으로 통합, 융합되어 재창조 되고 있다. 때문에 단편적인 지적능력을 넘어 다학문간의 통합 능력을 바탕으로 한 창의적 생산력이 현시대의 핵심역량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대적 변화에 따라 현시대의 교육은 학습자의 지나친 학습부담은 줄이면서도 학습에 대한 흥미를 기반으로 학습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며 창의적이고 다양한 사고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하는 교육으로의 변화를 추구한다(교육과학기술부, 2010). 이에 따라 현 교육은 창의성과 융복합적 사고의 신장을 핵심으로 학습자의 능동성과 사고력 신장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를 위한 실천적 방안으로서 교과간의 통합적 접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교육과학기술부가 제시한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도 교과통합이 강조되고 있다. 구성주의 교육방법에 영향을 받은 교과통합 교육은 기존의 분과식인 교과교육이 아닌 학습자의 실제적인 삶과 연관 지은 과정 중심의 수업으로 학습자가 학습몰입경험을 통해 능동성과 주체성을 발휘하며, 배우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교육방법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가 공원과 거주지역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입체작품에 대한 지식을 학습할 수 있도록 미술과의‘입체표현’과 건축자재나 조각품 등 생활 속에서 빈번히 접하는 과학과의‘암석’을 연계하여 재료탐색 활동을 위한‘암석의 입체표현’이라는 주제를 선정하였다. 본 수업의 주제는 통합교육 연구자인 포가티(Fogarty, 1991)의 거미줄형을 토대로 미술과와 과학과의 2009개정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선정하였으며, 본 수업 목적에 알맞게 교과통합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선정한 주제를 중심으로 미술과와 과학과를 연계한 교과통합수업을 적용하고, 본 수업이 중학교 1학년 학습자의 학습몰입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먼저 교과통합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미술과와 과학과의 교과통합수업의 필요성과 의의를 살펴보고, 2009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미술교과와 과학교과의 특징과 내용체계를 비교 분석하여 두 교과간의 공통적인 지향점과 연계성을 추출하고, 이를 토대로 중학교 1학년의 재료탐색 활동을 위한 미술과와 과학과의 교과통합 수업을 설계ㆍ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송파구에 소재한 A중학교 1학년 학생 48명을 선정하였으며, 총 10차시에 걸쳐 적용하였다. 24명의 실험집단에게는 미술과와 과학과의 교과통합수업을 적용하고, 24명의 통제집단에게는 전통적인 분과식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으로 선정된 학급은 총 6차시에 거쳐 본 연구자가 설계한 통합수업을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으로 선정된 학급은 총 4차시에 거쳐 전통적인 분과식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 처치에 앞서 두 집단의 동질성을 검사하기 위해 학습몰입도와 과학ㆍ미술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여 동질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실험 처치 후 얻은 결과 중 통계적 처리가 가능한 자료는 SPSS ver.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추가적으로 2009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 등을 토대로 작성한 실기평가와 관찰법 도구를 통해 실기결과물을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미술과와 과학과의 통합수업을 통한 재료탐색이 학습자의 학습몰입도와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과와 과학과를 연계한 교과통합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은 학습몰입도의 하위영역 변화가 분과식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보다 높은 차이변화를 나타냈다. 즉, 분과식 수업보다 미술과와 과학과의 교과통합수업이 학습몰입도의 향상에 있어 학습자에게 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둘째, 미술과와 과학과의 교과별 수업목표 달성을 확인하기 위한 학업성취도검사에서 두 교과를 연계한 통합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이 분과식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보다 높은 정답률을 얻었다. 셋째, 실기 결과물과 활동지, 수업관찰을 통해 수업 과정을 분석한 결과, 미술과와 과학과를 연계한 교과통합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의 결과물이 통제집단보다 표현과정에서의 성취가 우수하였다. 그 외에도 성실도와 주의집중과 같은 태도면에서도 실험집단이 우수하였다. 또한 결과물을 대상으로 평가한 실기평가결과,‘조형 요소와 원리’,‘표현 재료의 사용’,‘전체적인 짜임새’의 각 평가 영역 모든 면에서 미술과와 과학과를 연계한 통합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우수하였다. 넷째, 실험집단의 자기평가 보고서와 수업만족도에 대한 문항 분석 결과, 미술과와 과학과를 연계한 교과통합수업의 흥미도와 만족도에 있어서 수업 참여 학습자 대부분이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이러한 결과는 미술과와 과학과의 교과통합수업 프로그램이 중학교 1학년의 학습몰입도와 학업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미술과와 과학과의 교과통합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학습몰입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현장적용을 통하여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앞으로 미술과를 중심으로 과학과 외에도 다양한 여러 교과와의 통합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학습자의 흥미를 이끌어 내면서도 학업성취를 기대할 수 있는 질 높은 미술교육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영어 책임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정의적 특성과 영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강원도 지역 중심으로-

        민인경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understand how Gangwon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s English Responsibility Education Program (EREP) helps middle school students in Gangwon province to strengthen their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English ability. EREP has three English programs, which are English project class, Distance English program with native speaker of English, and English club activity. Confidence, value, interest, and motivation as English subject-based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conceptualized English ability consisting of detailed content, central content, textual flow, descriptive explanation and sentence composition are discussed. The relationship among EREP,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Communicative Language Ability (CLA) is also assessed. The research questions are investigated as follows. First, this thesis discusses the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for the EREP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based on English. Second, the components of CLA were reviewed by derived elements of 2015 revised English curriculum. Third, how EREP influenced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English ability was explored. In addition, the construct valid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CLA model was verified using the EQS structural equation program. As the main research method, English proficiency simulation test questions were used as a measurement tool to evaluate English ability, and a survey questionnaire on English subject-based affective characteristics was conducted simultaneously.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was 518 students at 26 middle schools, located in 13 different regions of the Gangwon province. Participants took this English test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questionnaire survey under the guidance of an in-service English teacher at their school. English answer sheets and questionnair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ir school site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to determine which English Responsibility Education Program has the greatest effect on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English ability. The fit of the model for these relationships was verified using the EQS structural equation program. The following theoretical considerations were made. First, as a result of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n gender, grade, school size, and location, it proved that these factors have different effects on their English ability as well as affective characteristics. For instance, female students at large schools of cities had a relatively better English proficiency than male students at small schools of rural areas. Second, when evaluating the fit of CLA model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to confirm English ability, it is assumed that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are effective tools to achieve English ability, because this model satisfied the construct validity. Third, although EREP influences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English ability satisfies the model fit, English Project Class program negatively influenced affective characteristics. It also proved that Distance English Program with native speaker of English exerted a strong influence on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However, as a result of the model fit analysis examining the effects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on English ability, it was confirmed that confidence, value, and interest all had a strong influence on English ability and had a theoretical explanation. It was suggested that confidence had the greatest impact on English ability. It also researched strong tie between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English ability. 2015 중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은 학습자들이 영어 교과의 일반적인 성격과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기본적인 일상 영어를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현행 교육과정 내용 체계는 이와 같은 영어능력 향상을 위해 음성 언어는 듣기·말하기, 문자 언어는 읽기·쓰기로 영역을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의사소통기능에 따른 영역별 접근의 효율성을 검토하고, 강원도교육청에서 운영하는 읽기·쓰기 활동 위주의 영어 책임교육 프로그램을 독립변인으로 삼아 영어 학습에서 경험하는 정의적 특성과 영어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중점적으로 논의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서 영역별로 제시된 읽기·쓰기 기능을 넘어 읽기·쓰기를 과업(tasks)이나 활동(activities)으로 간주하고 언어지식을 영어능력의 구인으로 바라보는 관점(Bachman & Palmer, 1996; Canale, 1983a)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강원도교육청 영어 책임교육 프로그램은 모든 학생이 읽고 쓸 수 있도록 3R’s(읽기, 쓰기, 셈하기)를 바탕으로 정의적 특성 강화에 비중을 두고 있는 프로젝트 영어 수업, 양방향 원어민 원격화상 프로그램, 학생 자율 영어동아리 활동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영어 책임교육 프로그램이 중학교 영어학습자들의 정의적 특성과 영어능력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연구가설을 수립하고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읽기·쓰기 활동 중심의 영어 책임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자신감, 가치, 흥미, 학습의욕은 성별, 학년, 학년당 학급수, 학교 소재지와 같은 변인에 의해 어떠한 영향을 받는가? 둘째, 이와 관련한 변인은 영어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읽기·쓰기를 각각의 영역으로 보는 영어능력 모형과 읽기·쓰기를 과업중심의 언어활동으로 보는 영어능력 모형의 타당도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셋째, 영어 책임교육 프로그램, 정의적 특성 및 영어능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강원도 내 18개 시․군 중에서 13개 지역의 중학교 26교 재학생 총 518명이 읽기·쓰기 영어능력 모의시험과 영어 교과 기반 정의적 특성 관련 설문조사에 참여하였으며, 이 학생들을 연구 참여자로 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을 재구성하여 읽기·쓰기 영어능력 모의시험 문항을 제작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읽기·쓰기 영어능력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정의적 특성 설문 도구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교과 기반 설문 문항을 재구성하여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 절차로는 연구에 참여한 학생의 소속 학교 영어 교사 지도하에 읽기·쓰기 영어능력 모의시험과 동시에 설문조사를 학교별로 실시하였다. 이후 해당 학교의 영어 교사로부터 읽기·쓰기 영어능력 모의시험 답안 및 설문 자료를 메신저, 이메일, 우편 및 인편으로 받은 후 수기 입력하여 채점하였다. 결과 분석은 SPSS를 활용하여 정의적 특성 및 영어능력을 변인에 따라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를 측정하였으며, EQS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영어 책임교육 프로그램, 정의적 특성 및 영어능력 간의 모형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및 이에 따른 교육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학습자들이 학습과정에서 경험하는 정의적 특성에 대하여 성별, 학년, 학년당 학급수, 학교 소재지별 분석 결과, 성별이나 학년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년당 학급수가 6학급 이상인 경우 자신감과 흥미의 평균이 높았으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학교 소재지별 변인 분석의 경우 군(면)지역의 정의적 특성이 제일 높았으며 가치와 흥미의 경우, 군(면)과 군(읍)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다만, 자신감의 경우 학년이 높아질수록 하락하였고 가치와 흥미는 상승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학교 소재지에 따른 영어능력 분석 결과, 학교 규모가 큰 시(동) 지역 여학생의 영어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는데, 성별, 학년당 학급수, 학교 소재지별로 변인 간에 편차가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비록 동일 집단에 대한 사전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각 프로그램의 영향력으로 인한 정의적 특성이나 영어능력의 추이 변화를 측정하지는 못하였으나, 각 프로그램 참여 집단과 프로그램을 참여하지 않은 집단을 비교하여 영어 책임교육 프로그램이 개선해야 할 지점을 확인하였다. 둘째, 2015 개정 영어과 중학교 교육과정이 제시하고 있는 현행 영역별 내용 체계를 읽기·쓰기 과업 중심의 활동으로 분류함이 효율적임을 도출하였다. 읽기·쓰기가 영역별로 상보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읽기·쓰기가 의사소통을 동반하는 과업이나 활동으로서 영어능력에 도달하는데 적합함을 검증하였다. 셋째, 영어능력을 구성하는 변인들의 요인적재량 분석 결과, 영어능력은 문장작문 쓰기, 세부내용 읽기, 묘사설명 쓰기 및 글의 흐름, 중심내용 읽기의 순으로 중요함을 검증하였다. 이를 근거로 문장작문 쓰기나 세부내용 읽기에 중점을 두어 의사소통능력의 효율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영어 책임교육 프로그램이 정의적 특성 및 영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세 개의 프로그램은 개별적으로 가치, 자신감, 흥미, 학습의욕 순으로 구인 타당도를 가지고 모형 적합도를 충족하였다. 그러나, 영어 책임교육 프로그램이 영어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표준화계수의 범위가 매우 낮아서 실제적으로 영어 책임교육 프로그램이 영어능력에 직접 미치는 영향력은 상당히 미약하였다. 다만, 정의적 특성 중에서 자신감, 흥미, 가치가 영어능력에 매우 강하게 영향을 미치며 이론적으로 설득력을 갖추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교육적 함의에도 불구하고, 영어 책임교육 프로그램이 주로 읽기·쓰기 활동으로 운영되어 듣기·말하기 활동을 연구 대상에 포함하지 못한 점과 사전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아 영어 책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토하는데 일부 제한이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