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家猫 膀光의 神經支配에 관한 電子顯微鏡的 硏究

        민영돈 全南大學校 大學院 1992 국내석사

        RANK : 248639

        가묘 방광의 神徑支配와 근층내, 神經節의 미세구조를 관찰하기 위하여 5-hydroxy dopamine을 투여하여 전자현미경적 관찰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가묘 방광의 근층내 神經節은 미세한 결합조직낭에 의해 둘러 싸여 있고 神經節細胞와 衛星細胞, 顆粒含有細胞, 神經纖維 및 纖維母細胞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神經節細胞는 많은 神經纖維와 神經終末 및 소수의 衛星細胞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 싸여 있었다. 세포의 외형은 불규칙하고 세포질에는 주변부에 닛슬小體와 세포 전역에 絲粒體, 濃顆粒 및 잘 발달된 골지복합체 등을 함유하고 있었다. 顆粒含有細胞는 단독 또는 집단으로 출현하고 세포질 전역에 100-200 nm의 원형 또는 타원형의 顆粒小胞을 함유하고 있음이 특징이었다. 5-hydroxydopamine 투여후 神經終末은 30-60 nm의 無顆粒性小胞만을 함유하고 있는 콜린성 神經終末과 80-120nm의 顆粒性小胞를 함유한 아드레날린성 神經終末과 100-200 nm의 구형 또는 장타원형의 顆粒性小胞만을 함유하고 있는 顆粒含有細胞의 돌기로 구분되었다. 顆粒含有細胞의 細胞體와 돌기들은 神經節細胞體와 상접하고 있었다. 神經終末은 아드레날린성 神經終末이 많았고 神經節細胞는 콜린성 또는 아드레날린성 神經終末과 軸索體 또는 軸索樹狀突起連接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 가묘 神經節細胞와 神經纖維는 방광의 기능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생각된다. Fine structure of autonomic intramural neurons and innervation of cat urinary bladder were studied by electron microscopy. The intramural ganglion of the urinary bladder consisted of ganglion cells, satellite cells, granule-containing cells and nerve fibers and was surrounded with connective tissue capsules. The ganglion cells were surrounded by a few satellite cells and nerve fibers. The cytoplasm of ganglion cell contained well developed Golgi complex, numerous mitochondria, Nissle bodies, and dense granules. Granule containing cells we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junctional complex and contained numerous 100-200nm dense vesicles, Golgi apparatus, and mitochondria. The nerve endings could be divided into 3 types: cholinergic endings with containing 30-60nm agranular vesicles, adrenergic endings containing 80-120nm granular vesicles, and processes of granule containing cells with contained 100-200nm spherical or cylindrical granular vesicles. The last nerve endings formed close contact with ganglion processes. The adrenergic and cholinergic axon terminals were distributed amongst the muscles of urinary bladder. The motor innervation of the muscles is predominantly adrenergic. Cholinergic and adrenergic nerve terminals formed axosomatic or axo-dendritic synapse with ganglion cells. This results suggested that local circuits of ganglion cells and nerve fibers can playa role in coordinating the function of the urinary bladder.

      • 인태아 상경신경절내 소형의 과립함유세포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민영돈 전남대학교 1995 국내박사

        RANK : 248639

        교감신경절에 출현하는 소형의 과립함유세포는 단독 또는 집단으로 존재하며 신경절세포보다 크기가 작고 세포질내에 막으로 둘러싸인 농심과립을 다수 함유하고 있음이 특징이다. 포유류 상경신경절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에서 단독으로 존재하는 과립함유세포는 신경절전섬유와 신경절후섬유사이에 개재신경 역할을 하며, 집단으로 존재하는 과립함유세포는 모세혈관벽에 근접하고 있어 내분비성 방신경절로 기능을 한다고 알려져 왔다. 사람에서 교감신경절내의 과립함유세포가 타포유류에서 처럼 개재신경 또는 내분비성 신경으로 역할을 할 것인가는 매우 흥미있는 일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는 인태아를 대상으로 상경신경절의 발육과정에서 출현하는 과립함유세포의 발육에 관한 미세구조와 이들이 신경절세포와 연접하는 형태학적 특징과 성상을 관찰하여 몇가지 새로운 지견을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고자 한다. 좌고 40 mm(태령 10주)때 상경신경절은 미분화세포, 원시신경모세포, 무수신경섬유 및 혈관들로 구성되어 있었고, 90 mm(13주)때 신경모세포, 위성세포 및 무수신경섬유로 분화발육하였으며 과립함유세포가 처음으로 관찰되었다. 과립함유세포는 단독으로 존재하는 I형의 세포와 집단을 이루어 모세혈관벽에 근접하고 있는 II형의 세포로 구별 관찰되었다. 150 mm(18주)때 I형의 과립함유세포는 신경절세포와 신경섬유사이로 긴 돌기를 내어 신경절전섬유와 축삭체연접 또는 축삭수상돌기연접을 이루고 있었다. 또한 과립함유세포체와 돌기는 신경절후섬유와 연접을 이루고 있었다. 이와같이 태아의 상신경절세포에 출현하는 I형의 과립함유세포는 신경연접이 150 mm부터 260 mm (30주)때 까지 모두 관찰되었으며 신경절전섬유와 절후섬유사이에 존재하는 개재신경임을 알 수 있었다. 상경신경절의 변연부 혈관벽 근처에 집단을 이루는 II형의 과립함유세포는 짧은 돌기를 혈관벽에 평행하게 내고 있었고 이들 돌기는 유창성 내피인 모세혈관벽과는 기저판을 사이에 두고 존재하고 있어 내분비성 방신경절세포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The development of small granule-containing cell in the superior cervical ganglion was studied by electron microscopic method in human fetuses ranging from 40mm to 260mm crown rump length(10 to 30 weeks of gestational age). At 40mm fetus, the superior cervical ganglion was composed of clusters of undifferentiated cells, primitive neuroblasts, and unmyelinated nerve fibers together with blood vessels. At 90mm fetus, the superior cervical ganglion consisted of neuroblasts, satellite cell, small granule-containing cells, and unmyelinated nerve fibers. Two morphological types of the small granule-containing cells in the superior cervical ganglion were first identified at 90mm fetus, but were rare. Type I granule-containing cell occurred in solitary and had long processes, whereas type II cells tend to appeared in clusters near the blood capillaries. The granule-containing cells were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dense-cored vesicles ranging from 150-300nm in diameter in both the cell bodies and processes. Other organelles included abundant mitochondria, rough endoplasmic reticulum, neurotubules, and widely distributed ribosomes. The granule-containing cells had long processes similar to those found in principal ganglionic cells. They could be identified by their content in dense-cored vesicles. The small granule-containing cells increased somewhat in size and number with increase of fetal age. Synaptic contacts were first found on tile solitary granule-containing cell at 150mm fetus. Synaptic contacts between the soma and processes of type I granule-containing cells and preganglionic axon terminals were observed. In addition, synaptic junctions between the processes of granule-containing cells and presumed dendrite of postganglionic neuron were also observed from 150mm onward. On the basis of these features type II granule-containing cells could be considered as interneurons. The clusters of type II granule-containing cells were located in the interstitial or subcapsular portions of the ganglion, and had short processes which ended in close relation to fenestrated capillaries. Therefore it may be infer that clusters of type II granule-containing cells have an endocrine 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