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토지이용특성이 통행의 목적 및 수단별 통행패턴에 미치는 효과 : 서울시 행정동을 대상으로

        민병학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토지이용특성이 통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서울시의 각 행정동에 유입되는 통행을 대상으로 통행의 속성 중 통행목적과 통행수단에 따라 통행을 유형화한 후 토지이용의 특성인 밀도, 다양성, 접근성이 각 유형화한 통행패턴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이론과 선행 연구를 고찰한 후 연구 가설을 설정하고, 분석에 사용할 변수를 선정한 후 통행을 통행목적 및 통행수단에 따라 분류하여 통행패턴별 분석 모형을 구축하였다. 모형 분석에 앞서 서울시에서의 통행패턴별 분포를 분석하였고, 최종적으로 통행패턴별 분석 모형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토지이용특성이 각 통행패턴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서울의 경우 밀도와 다양성의 무조건적인 증가는 보행을 감소시키지만, 미시공간에서의 높은 통합도는 보행에 효과적이며 보행권역 내 주거시설과 비주거시설을 비슷한 점유율로 계획하여 생산 및 소비 활동을 위한 통행거리를 단축시키는 방안이 보행 활성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factors of each land use characteristic-density, diversity and accessibility-on inflow travel which is classified by two properties of trip, trip purpose and travel mode, in Seoul Metropolitan area. For the analysis, theories and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land use and trip were reviewed, and three research hypotheses were set. Land use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into three properties of density, diversity and accessibility, and twelve independent variables were included. Trips were classified as eleven different trip patterns by the two properties of trip, and models for analysis were built for each pattern.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pattern were statistically analyze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land use characteristics on each trip pattern. The results show that local integration is effective for walkability in microscopic area, and balancing an occupation between residential facilities and non-residential facilities in a pedestrian shed can activate walkability.

      • 생활체육참여자의 라이프스타일이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민병학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lifestyle,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recreational sports. For this purpose, 365 sets of data from participants of life sports in public sports facil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analyz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participants of life sports (gender, age, marriage status, income, and education level) had a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style. Second,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participants of life sports (gender, age, marriage status, income, and education level) had a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isure satisfaction. Third,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participants of life sports (gender, age, marriage status, income, and education level) had a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Fourth, the lifestyles of the participants of life sports had a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isure satisfaction. The sports-focused and self- focused lifestyles affected environmental satisfaction. The leisure-focused, goal-oriented, sports-focused, self-focused, and health-focused lifestyles affe cted environmental satisfaction. The leisure-focused, goal-oriented, sports- focused, self-focused, and health-focused lifestyles affected educational sati sfaction. Biological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health-focused, sports- focused, leisure-focused lifestyles. Rest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the health-focused, leisure-focused, spots-focused, and goal-oriented lifestyles. Psychological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the health-focused, leisure- focused, spots-focused, and goal-oriented lifestyles. Rest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health-focused, sports-focused lifestyles, and social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health-focused, sports-focused, leisure-satisfaction, and self-focused lifestyles. Fifth, the lifestyles of the participants of life sports had a partially signif 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In particular, sports-focused and self-foc used lifestyles affected life satisfaction. Sixth, the leisure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of life sports had a part 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Specifically, environmental satisfaction, rest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affected life satisfac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생활체육참여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여가만족 그리고 생활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서울시 및 경기도에 소재한 공공체육시설을 이용하는 생활체육참여자들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이 질문지를 대상자가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직접 응답하게 하였다. 조사기간은 2010년 3월 1일부터 2010년 3월 30일까지 약 1개월간에 걸쳐 이루어 졌다. 이러한 과정으로 총 400부의 질문지를 배포하여 390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된 390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25부를 제외한 365개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를 위한 통계분석방법은 t-test와 one-way ANOVA 그리고 다중회귀분석법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이러한 과정과 절차로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생활체육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변인(성별, 연령, 결혼유무, 월소득, 학력)에 따라 라이프스타일 유형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결혼유무에서는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모든 라이프스타일 하위변수를 높게 지각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을 보였다. 연령에서는 50대가 건강관리추구형과 스포츠추구형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을 보였다. 월소득에서는 500만원 이상의 고소득자가 건강관리추구형과 스포츠추구형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을 보였다. 학력에서는 대학원졸업 이상에서 자아추구형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을 보였다. 그러나 성별에서는 모든 요인에서, 연령과 월소득에서는 여가추구형, 목표지향형, 자아추구형에서, 학력에서는 건강관리추구형, 여가추구형, 목표지향형, 스포츠추구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이 없었다. 둘째, 생활체육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변인(성별, 연령, 결혼유무, 월소득, 학력)에 따라 여가만족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결혼유무에서는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여가만족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을 보였다. 연령에서는 50대가 여가만족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을 보였다. 월소득에서는 500만원 이상의 고소득자가 여가만족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을 보였다. 그러나 성별과 학력에서는 여가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이 없었다. 셋째, 생활체육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변인(성별, 연령, 결혼유무, 월소득, 학력)에 따라 생활만족도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월소득에서 500만원 이상의 고소득자가 생활만족도를 높게 지각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을 보였다. 그러나 성별과 연령, 학력에서는 생활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이 없었다. 넷째, 생활체육 참여자의 라이프스타일은 여가만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적만족에는 스포츠추구형과 자아추구형 라이프스타일이 영향을 미쳤으나 건강관리추구형, 여가추구형, 목표지향형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교육적만족에는 여가추구형, 목표지향형, 스포츠추구형, 자아추구형 그리고 건강관리추구형 라이프스타일이 영향을 미쳤다. 생리적만족에는 건강관리추구형, 스포츠추구형, 여가추구형 라이프스타일이 영향을 미쳤으나 목표지향형과 자아추구형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심리적만족에는 건강관리추구형, 여가추구형, 스포츠추구형, 목표지향형 라이프스타일이 영향을 미쳤으나 자아추구형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휴식적만족에는 건강관리추구형, 스포츠추구형 라이프스타일이 영향을 미쳤으나 여가추구형, 목표지향형, 자아추구형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사회적만족에는 건강관리추구형, 스포츠추구형, 여가추구형, 자아추구형 라이프스타일이 영향을 미쳤으나 목표지향형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섯째, 생활체육 참여자의 라이프스타일은 생활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스포츠추구형과 자아추구형 라이프스타일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으나 건겅관리추구형, 여가추구형, 목표지향형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여섯째, 생활체육 참여자의 여가만족은 생활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환경적만족과 휴식적만족, 사회적만족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으나 교육적만족, 생리적만족, 심리적만족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생활체육활동이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일반인들이 여가활동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관련시설 등을 설치, 운영 등 노력과 함께 관련 생활체육프로그램의 보급 및 지도자 양성이 필요하고 아울러 홍보도 함게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 工業界 高等學校 資格取得과 連繫한 敎育課程 改善方案 : 電子·情報·通信學科를 中心으로

        민병학 仁川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진로선택 동기, 진로에 대한 만족도, 장래 진로에 대한 성향, 직업에 대한 인식과 자격취득과 연계한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실태조사를 통해 공업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진로교육과 직업교육의 방향과 내용을 탐색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올바른 직업의식을 갖도록 하여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궁긍적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결과를 통하여 도출된 문제점을 토대로 현행교육과정과 기능사자격검정제도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몇 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적성과 소질에 맞는 학교선택을 위해 연계적이고 체계적인 직업교육과 진로지도 이울러 공업계고등학교졸업생들이 사회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정책적인 지원 등의 사회적인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기능사 자격검정제도의 시험횟수를 좀 더 늘리고 또한 시험문제 출제에 있어서도 유능한 기능인의 양성이라는 기능사 자격증의 취지에 맞게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문제구성을 하는 등의 기능사 자격검정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공업계 고등학교 특성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의 편제 및 단위배당 시간을 개선하고 보통교과, 전문교과 및 실습 이수 단위 범위는 학교장이 자율적으로 정하도록 운영한다. 넷째, 교과내용과 기능사 자격시험의 연계성을 지금보다 더 강화한다. 다섯째, 교사자격과 임용제도를 보다 유연하게 운영하고 교원임용제도의 개방화 방안 등 우수한 직업 기술 교사의 양성과 유인책의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arried to help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find their careers that they want and guide them to have right minds towards jobs by researching guidance education counseling, the contents and ways that the schools have. Precedent studies are examined and analyzed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s purposes. Several improvement plans are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issues obtained by analyzing results from the materials, and the suggested plans are like followings; First, the policies that will efficiently support the graduates from industrial high schools to find their ways in the society are necessary, and some continual and systematic occupational education and guidance counseling plans should be established. Besides for the above aims, a conversion of cognition of all members of the society is necessary in the whole society. Second, the number of qualifying examinations that pick out able technicians should be increased, and when making questions, the whole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examination should be considerately improved in order to meet the purport of the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for technicians, namely, to cultivate able technicians, and one of the examples is the questions had better be practical ones that are necessary in actual spots. Third, considering the industrial high schools characteristics, the uneven distribution of curriculum as well as the apportionment unit should be improved, and the management of regular curriculum, special curriculum, and the range of practice completion is to depend on the independent control of presidents of the high schools. Fourth, the curriculum and the technician qualifying examination should keep in closer connection with each other than in the present condition. Fifth, the control of teachers qualification and the appointment system of teachers should be managed with more flexibility, and the plans for cultivating excellent technical teachers in charge of vocational education will be necessary, such as the open-door policy for appointing teachers in high schools.

      • 지체장애 엘리트선수의 스포츠대처전략을 위한 프로파일 유형 및 다집단 구조모형 검증

        민병학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코치-선수관계, 자기관리, 스포츠대처전략 각 척도의 잠재프로파일을 검증함과 동시에 지체장애 엘리트선수의 스포츠대처전략 향상을 위한 코치-선수관계와 자기관리의 영향력을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로는 “지체장애 엘리트선수의 코치-선수관계, 자기관리, 스포츠대처전략의 잠재프로파일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지체장애 엘리트선수의 코치-선수관계, 자기관리, 스포츠대처전략의 인과관계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지체장애 엘리트선수의 코치-선수관계, 자기관리, 스포츠대처전략의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따른 다집단 인과효과는 어떻게 형성되는가?”를 체계적으로 검증하여 연구목적에 일치하는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2014년도 대한장애인체육회에 정식으로 등록되어 있는 지체장애 엘리트선수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등록 선수를 각 종목별 무선(random)으로 선정한 후 이천장애인종합훈련원과 장애인경기단체의 협조를 받아 선수를 직접 찾아가는 목적표집법을 활용하여 총 270명의 자료를 분석에 적용하였다. 조사도구는 관련 선행연구에서 사용되었던 구조화된 설문지를 적용하였고, 구성내용은 연구대상의 배경특성, 코치-선수관계, 자기관리, 스포츠대처전략으로 구성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처리는 SPSS 18.0과 Amos 20.0, Mplus 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를 검증하였고,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각 척도가 타당성을 보유하고 있는 지를 검증하기 위한 절차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코치-선수관계, 자기관리, 스포츠대처전략의 잠재계층은 몇 개의 유형으로 구분되며, 분류된 잠재계층의 특징은 어떠한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코치-선수관계, 자기관리, 스포츠대처전략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검증하였고,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Bootstrapping을 적용하였다. 또한 코치-선수관계, 자기관리, 스포츠대처전략의 잠재계층분류에 따른 인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집단 구조모형(multi-group structural modeling)을 적용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 엘리트선수의 코치-선수관계, 자기관리, 스포츠대처전략의 잠재프로파일을 각각 살펴본 결과, 코치-선수관계는 low 수준 집단과 high 수준 집단으로 분류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자기관리는 low 수준 집단, middle 수준 집단, high 수준 집단으로 분류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스포츠대처전략의 잠재프로파일은 low 수준 집단, middle 수준 집단, high 수준 집단으로 분류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전체 지체장애 엘리트선수의 코치-선수관계, 자기관리, 스포츠대처전략의 인과관계를 규명한 결과, 부분매개모형보다는 완전매개모형이 자료를 보다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치-선수관계는 자기관리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자기관리는 스포츠대처전략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때 자기관리는 코치-선수관계와 스포츠대처전략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체장애 엘리트선수의 코치-선수관계, 자기관리, 스포츠대처전략의 잠재계층분류에 따른 인과관계는 다양한 유형의 경로효과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코치-선수관계 잠재계층분류의 low 수준 집단에서는 코치-선수관계가 자기관리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자기관리는 스포츠대처전략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치-선수관계 잠재계층분류의 high 수준 집단에서는 코치-선수관계가 자기관리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자기관리는 스포츠대처전략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관리 잠재계층분류의 경우 low 수준, middle 수준, high 수준 집단 모두에서 코치-선수관계가 자기관리에 미치는 경로, 자기관리가 스포츠대처전략에 미치는 경로는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대처전략의 잠재계층분류의 low 수준 집단에서는 코치-선수관계가 자기관리에 미치는 경로, 자기관리가 스포츠대처전략에 미치는 경로 모두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middle 수준 집단에서는 코치-선수관계가 자기관리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자기관리는 스포츠대처전략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high 수준 집단에서는 코치-선수관계가 자기관리에 미치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고, 자기관리가 스포츠대처전략에 미치는 경로는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상의 결론을 토대로 이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코치-선수관계, 자기관리, 스포츠대처전략의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함으로써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부분은 지체장애 엘리트선수 집단 내에서 low, middle, high 수준 집단에 속하는 개인을 판단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각 변수에 대한 지각수준에 따른 유형을 분류하고, 해당 유형에 속하는 개인을 판단함으로써, 이들에게 적합한 지도전략 혹은 개인 맞춤형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지체장애 엘리트선수와 같이 기존 연구가 상당히 축적되지 않은 경우라면,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적용함으로써 선수의 심리적 특성과 더불어 경기력 특성에 대한 개인의 위치를 통계적으로 판단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장애인 엘리트선수의 특성을 파악하고, 일률적인 지도가 아닌 개인 맞춤형 지도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市場細分化에 관한 實證的 硏究 : 自家用乘用車 市場을 中心으로

        민병학 건국대학교 경영대학원 198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recent years, we have built remarkable economic growth, which made us possess better condition of welfare than that of the past. Therefore, market segment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trategies in modern corporate management. Market segmentation has been the starting point of corporate strategy by providing the firms with the guild to search for the target market, making use of restricted resources. As the economic condition progress, the demand of passenger car increases rapidly. Accordingly, the passenger car seems to be a necessaries nowadays. And, consumers' characteristics or needs are different each other, whose needs become individuality, diversify, and complexity. Therefore, in other to survive and to prosper the company not only scrutinization of the consumer behavior and analysis of target market, but also satisfaction of their needs and social welfare are required to the marketing manager. For this purpose, I will try to analyze with the follwing contents. First, with the selection of pragmatic markets segmentation model easily applicable not only in the theoretical aspect but also in the practical point, I analyzed this model in relation to consumer behavior. Second, in actual proof analysis I analyzed the consumer's evaluation process about passenger car and applied this to market segmentation model which is developed from theoretical part. Also I preferted marketing strategic meaning about the passenger car market through this. The conclusion obtain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assenger cars are, in general, utilized for the business purpose, for the case of domestic use, purchasing was mainly influenced by the householder's interest. 2. In case of lower medium passenger car market, relatively low in come class and the young are the major consumers of this market as new demand creator. Therefore in this market it is necessary to plan the market segmentation policy by price differentiation. 3. On the other hand because medium passenger car group is preferred by relatively high income class and the replacement demand, it is necessary toplan the market segmentation policy by product differentiation. Therefore, the passenger car company must perform the consumeroriented marketing strategy, and research consumers' needs, wants, their characteristics continuously, that is the best way to surrive and prosper the company in the uncertain and changeable marketing environment.

      • 탄소중립도시 조성을 위한 에너지 저감형 지구설계 모형 연구

        민병학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주 에너지원으로 도시에서 꾸준히 소비되어온 화석연료는 오늘날 온실가스 배출의 주원인으로 기후변화에 의한 도시환경 문제를 야기하고 인류가 감당해야 할 사회적·경제적 피해의 규모와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정부의 ‘녹색성장’ 선언을 통해 도시의 친환경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사회적인 공감대가 형성된 이래로 최근에 발표된 ‘2050 탄소중립 선언’은 도시에서의 환경과 기후변화에 대해 꾸준한 실천적 대응이 필수불가결한 고려 사항임을 다시금 상기시켜 주었다. 정부는 온실가스 비중의 절대적 우위를 차지하는 탄소의 배출을 줄이기 위해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안」, 「한국판 뉴딜 2.0」 등 탄소저감에 이어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펼쳐오고 있다.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과 그 뒤를 잇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의 제정은 이를 위한 법제적 장치로, 탄소중립 실현의 의무와 체계를 강화해 온 그간의 발자취는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정부의 강한 의지를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국내 온실가스 인벤토리의 에너지 분야 중 건물을 포함하는 '기타' 부문에서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간접배출량을 제외하더라도 네 번째로 높은 배출량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많은 인구와 건물이 밀집한 수도인 서울에서는 건물 부문이 전체 배출량의 70%에 가까운 비중을 보이고 있어 건축·도시 분야는 온실가스 저감에 대한 의무감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으며 다각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이에 정부는 건축 부문에서의 탄소의 배출을 줄이기 위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한 인증제도와 설계기준를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준은 기계나 설비를 활용한 액티브 요소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패시브 요소는 단열성능이나 열관류율 기준만 제시되고 있을 뿐 건물의 배치나 도시공간의 조성에 관한 계획 및 설계는 불명확한 기준으로 권장함에 그치고 있다. 오늘날 열섬효과 저감이나 바람길 형성 등 도시환경의 쾌적성 제고를 위한 국지적 공간설계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도시공간의 형태적 요인은 단순히 경관 개선의 목적을 넘어 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도시공간의 형태적 요인을 에너지 성능의 관점에서 다루는 시도는 부족하다. 비록 도시의 입체적 관리제도로 운영 중인 지구단위계획제도가 있으나 도시의 밀도 관리를 위한 토지이용의 합리화와 심미적인 경관구조 형성에 주안을 두고 있으며, 제도에서 제시하는 에너지 성능에 관한 기준은 액티브 요소나 단열 성능에 국한되어 있어 도시의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계획수단으로서 한계를 보인다. 또한, 지구단위계획은 특정 구역에만 수립되므로 도시적 맥락의 분리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어 도시공간 전체를 관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에너지 성능 관점에서 도시공간의 입체적인 관리와 에너지 저감을 위해 지구차원에서 도시 전역을 진단하고 관리하기 위한 새로운 개념의 계획수단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탄소중립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도시의 형태적 맥락에서 건물의 에너지 소비의 환경적 여건을 진단하고, 건물과 도시의 계획·설계에 관한 패시브 디자인 전략을 도출하여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감축할 수 있는 계획도구로서 에너지 저감형 지구설계 모형을 정립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도시형태의 개념에 관한 고찰을 선행하여 도시공간의 구성요소를 검토하여 건물, 블록, 가로공간으로 구분하였고, 건축물과 필지 단위의 데이터셋을 통해 도시공간 구성요소별 데이터를 구축하여 통합 데이터 모형을 정립하였다. 이후 정립한 데이터 모형에 기초하여 건물의 에너지 소비의 관점에서 유의미한 도시공간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도시공간을 유형화하고, 도시공간 유형별로 건축물 에너지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건물 및 토지에 관한 요인을 도출하여 최종적으로 지구설계 모형을 구축하였다. 모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지구단위계획이 수립된 대상지를 선정하여 지구단위계획대로 개발하였을 때의 에너지 소비량과 본 연구에서 도출한 모형을 적용했을 때의 에너지 소비량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공간 유형은 대상지의 개발 여부와 개발밀도를 통해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건물의 에너지 소비를 저감하기 위한 건물의 형태를 계획할 때 건물의 상이도와 규모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건물의 규모는 건물의 에너지 소비 증가의 주요인이며, 동일한 형태의 건물일 때 수평적으로 넓은 평면의 저층 건물보다 좁은 평면의 고층 건물이 상대적으로 에너지 저감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필지의 형상이 건물의 에너지 소비에 미치는 영향력은 미미하나 지형적으로 경사지이거나 높은 고도에 위치할수록 에너지 저감에는 효과적이다. 다섯째, 건물의 에너지 저감을 위해 건물의 용도에 따라 계획·설계 전략을 다르게 적용해야 한다. 여섯째, 건물밀도가 낮은 지역은 건물의 에너지 소비가 건축면적의 변화에 더 민감하며, 건물밀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연면적의 변화에 더 민감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라 정립한 에너지 저감형 지구설계 모형은 도시공간을 계획하기에 앞서 건물의 에너지 소비의 관점에서 그 공간의 환경적 여건을 진단하고, 그 진단에 따라 건물의 에너지 소비를 저감할 수 있는 계획·설계 전략을 제시하도록 구성하였다. 특히, 두 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에너지 저감에 효과적인 도시공간 유형을 검토하는 ‘에너지 조닝’의 과정을 선행한 후 계획하는 ‘선 진단-후 계획’의 방식을 취하여 도시공간에서의 건물 에너지 관리에 체계적인 계획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는 틀을 마련하였다. ‘선 진단-후 계획’의 방식을 갖추어 계획 단계에서 면밀한 진단을 기반으로 삼아 계획의 방향을 설정한다는 점은 도시공간의 조성 단계에서부터 계획·설계적으로 접근하여 에너지 저감에 효과적인 도시공간과 건물을 설계하고, 이를 보완하는 역할로서 액티브 요소를 활용하는 체계를 통해 건물 부문의 탄소중립 실현에 계획·설계적 차원의 기여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ossil fuels have been constantly consumed as the main energy source in cities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18th century; today, they are the main cause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causing urban environmental problems due to climate change, and increasing the scale and burden of social and economic damage that mankind has to bear. Since the government's 'Green Growth' declaration formed a social consensus on the city's eco-friendly sustainability, the recently announced '2050 Carbon Neutrality Declaration' reminded us again that a steady and practical response to environmental and climate change in cities has to be essentially considered. The government has been continuously implementing policies such as the 「2050 Carbon Neutral Scenario」 and 「Korean New Deal 2.0」that realize carbon neutrality following carbon reduction to reduce the emission of carbon that occupies the largest share of GHGs. The enactment of the 「FRAMEWORK ACT ON LOW CARBON, GREEN GROWTH」 and subsequent enactment of the 「FRAMEWORK ACT ON CARBON NEUTRAL, GREEN GROWTH FOR RESPONSE TO THE CLIMATE CRISIS」 are legislative tools to reduce the emission of carbon; strengthening the obligations and systems to realize carbon neutrality shows the government's strong will to reduce GHG emissions. Among the energy sectors of the domestic GHG inventories, the GHG emissions from 'other sector' that includes buildings account for the fourth highest emission, excluding indirect emissions. Particularly, in Seoul, the capital of South Korea, with a large population and a high density of buildings, the building sector accounts for close to 70% of the total emissions of carbon. Therefore, the architecture and urban sectors cannot be free from the sense of duty to reduce GHG emissions, and multilateral measures are required. Accordingly, certification systems and design standards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and reduce energy consumption are in force by the government in order to reduce carbon emissions in the building sector. However, most of the standards are focused on active design elements using high efficient machines or facilities, and passive design elements only provide insulation performance or thermal transmittance standards. Planning and design for building layout or urban space are suggested by unclear standards. With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local spatial design to improve comfort of the urban environment such as reducing the heat island effect or forming a wind path, morphological factors of urban space are keys for improving the urban environment beyond a simple improvement of the landscape. However, there is a lack of efforts to deal with the morphological factors of urban space in terms of energy performance. A district unit planning system operated as an urban three-dimensional management system is mainly focused on the rationalization of land use to manage the density of a city and the formation of an aesthetic landscape structure. Because the energy performance standards suggested by the system are limited to active elements or insulation performance, they show limitations as a planning tool for urban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s the district unit plan is established only in a specific site area, there is a possibility of causing separation of the urban context, and it has a limit as a means to manage the entire urban space. Therefore, for the three-dimensional management of urban spaces and energy redu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nergy performance, a new concept of planning means is needed to diagnose and manage the entire city at a global level. For this r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Energy-saving District Design Model' to create a carbon-neutral city. This model is a planning tool that can reduce the energy consumption of buildings by diagnosing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energy consumption of buildings in the context of the city and deriving passive design strategies for planning and designing buildings and cities. For this, I first considered the concept of urban form, reviewed the elements of urban space, and divided it into buildings, blocks, and horizontal spaces. Next, an integrated data model was established by constructing data for each urban space component through data sets of buildings and lots. Afterwards, based on the established data model, urban space was categorized based on the significant urban space components from the perspective of building energy consumption. Finally, a District Design Model was constructed by deriving factors related to buildings and land that affect building energy consumption by the type of urban space.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model, the site where the district unit plan was established was selected. After that, the difference in energy consumption when developed according to the district unit plan and when the model derived from this study is applied was compar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urban space could be classified by the development and the building density of the site. Second, when planning the shape of a building to reduce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building,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difference variations and the scale of the building. Third, the scale of the building is a major factor in the increase in energy consumption of buildings, and in the case of the same type of building, high-rise buildings with small planes were relatively effective in energy reduction than low-rise buildings with horizontally wide planes. Fourth, although the influence of the shape of the lot on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building is insignificant, it is more effective in reducing energy as it is located on a geographically inclined or high altitude. Fifth, different planning and design strategies should be appli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building for energy reduction in buildings. Sixth, energy consumption of buildings is more sensitive to changes in building area in areas with low building density, and more sensitive to changes in gross floor area in areas with high building densit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Energy-saving District Design Model' was established; it diagnoses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space in terms of energy consumption of buildings before planning the urban space and presents plans and design strategies to reduce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building. In particular, this model takes the 'pre-diagnosing and post-planning' method which precedes the ‘energy zoning’ process that examines the types of urban space effective for energy reduction according to two scenarios. This provided a framework that can be used as a systematic planning tool for building energy management in urban space. The 'pre-diagnosing and post-planning' method is a method of setting the direction of a plan based on a detailed diagnosis in the planning stage. This means approaching from the early stages of urban development through a planning and designing perspective. Through this, it is judged that the contribution of planning and design to the realization of the carbon neutral city in the building sector can be in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