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ndotoxin에 의해 유도되는 tissue factor 및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유전자의 발현조절에 관한 연구 : Tissue factor와 PAI-1발현에 관한 연구

        문현식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effects of protein kinase inhibitors on the expression of tissue factor and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PAI-1) genes was investigated in U937 human monocyte cell line using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Treatment of U937 cells with PD98059,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protein kinase 1/2 (ERK1/2) pathway inhibitor, for 8 hrs decreased LPS-induced production of both tissue factor and PAI-1 mRNA. PD98059 also inhibited NF-kB and AP-1 which are important in the gene expression of tissue factor and PAI-1, respectively. Inhibition of LPS-induced expression of tissue factor and PAI-1 by SB203580, p38 MAPK inhibitor, was less than the inhibition by PD98059. Collectively, the experiments indicate that ERK1/2 pathways positively regulate tissue factor and PAI-1 gene expression through the activation of NF-kB and AP-1. Due to the critical role that tissue factor and PAI-1 play in mediating microthrombosis induced by endotoxin, the inhibitory effects of PD98059 on the gene expression suggest that ERK1/2 pathway may be a target to prevent endotoxin-induced thrombosis.

      • 李奎報 社會詩 考察

        문현식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1992 국내석사

        RANK : 247631

        Lee Gyu Bo was a great literary man who was born in 1168 and handed down about seven thousand poems such narrative literatures as the novel of Baek-Woon, the life of Kuk teacher, until he died in 1241. Not only from the period of Shin-Jong to the period of Ko-Jong which he took an active part in literature but also through the history of Korea five hundred years old, he was the most eminent and interpid spirit literary man and in particular he was famous for his impromptu poem which recited his own sentimentality whenever he entered government service. Through the poems of Lee Gyu-Bo which was representative poems of Korea like this, I am going to examine into his literary character, realm of his literature and consideration of his own poem consciousness, and re-examine his achievement in the history of Chinese poem. His poems are so huge that I can't look into the his whole poems, therefore I set limits to only social poems as a researching data which is divided into according to the main subject. The reason why I tried to approach to the world of his literature through his social poems is that poem reflects society and poem can't exist without society, so it is the best way to research his own viewpoint of literature through his social poems, I think. Accordingly, his social poems will be very adequate to examine his own consciousness about reality and the ability of reality analysis which represent the literary world of Lee Gyu - Bo. After I analyzed his social poems, he was not a man who succeeded in life by means of flattery and sycophancy in the reign of soldier, which is general and negative estimation of world but he was a literary man who recognized the reality with warm-hearted affection, and I think that such affection was sublimated to the poems. Besides, he sublimated his own inner consciousness to his poems on the basis of warm-hearted affection and comparative accurate reality recognition In particular, the real poems which wrote in the place of people showed that he accepted the reality with splendid affection and the other realpoems which wrote in the place of government showed his exactness of reality recognition about the reality. After all, the features which was represented in his real poems can prescribe warm-hearted affection and reality like this and this means that his literature is not a secular literature as a tool of success but his literature has very affirmative viewpoint of poem. If we look into his literary world on the assumption that was appeared in real poems, through his literature, he expressed the reality which viewed in the place of people and government, and mild affection about the reality, side by side comparative accurate reality recognition.

      • 알파차단제를 복용하는 환자의 백내장 수술 시 홍채이완증후군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술 전 호마트로핀 점안제의 효과

        문현식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알파차단제를 복용하는 환자에서 백내장 수술 시 발생할 수 있는 홍채이완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 수술 전에 사용하는 호마트로핀 점안제의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알파차단제를 복용하고 백내장 수술을 받은 68명 98안을 대상으로, 수술 전 호마트로핀을 점안한 1 군, 아트로핀을 점안한 2 군과 대조군(3 군)으로 나누어 연령, 성별, 기저질환, 알파차단제의 종류, 수술 전, 중 및 후 동공크기, 수정체유화술의 역동학변수 및 수술합병증을 비교하였으며, 또한 수술 중 홍채이완증후군의 발생 및 정도와 관련된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세 군 간 연령, 기저질환의 유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세 군 모두 tamsulosin이 알파차단제 종류 중 가장 많았다. 수술 전 및 후 동공크기와 수정체유화술의 소비에너지는 1 군과 2 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수술 1일 째엔 1 군과 2 군 사이에도 유의한 차이는 보였다. 세 군 간 각막절개로의 홍채 탈출 소견의 발생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그 외 소견이나 합병증 발생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홍채이완증후군의 정도 또한 1 군과 2 군이 대조군보다 낮았는데, 수술 전 동공크기와 아트로핀 점안이 그 정도를 낮추는 인자였다. 결론: 홍채이완증후군 정도를 낮추기 위해 예방적으로 시행한 호마트로핀 점안법은 기존에 알려진 아트로핀 점안법과 비슷하게 그 정도를 경감시켰고, 수술 후 동공크기의 회복은 더 빨랐다. 수술 전 호마트로핀 점안이 알파차단제를 복용하는 환자의 홍채이완증후군 정도를 낮출 수 있는 선택사항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제주형 자율학교의 지정 의도와 운영 결과

        문현식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주형 자율학교는 초등학교 5개교, 중학교 3개교, 고등학교 1개교로 총 9개 학교가 지정되어 2007년 3월 1일에 처음 등장하여 2009년 2월 28일까지 2년간 시범 운영 되었다. 그리고 처음 지정되었던 학교들을 포함하여 총 24개교로 확대된 제2기 제주형 자율학교는 2009년 3월 1일에 운영을 시작했고 2011년 2월 28일에 종료될 예정이다.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2006)의 제주형 자율학교(i-좋은학교)지정․운영 세부 계획에 따르면 제주형 자율학교의 지정 의도는 과대 학교 및 과밀 학급 해소 및 도내 지역간 균형 발전, 국제자유도시에 걸맞은 외국어교육 및 국제이해교육 기반 구축, 교육과정 및 학교경영의 자율권 부여로 특성화된 학교 조성, 국제화 교육환경 조성을 위한 제주지역의 차별화된 교육인프라 구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형 자율학교가 자율학교 본래의 지정 의도를 얼마나 구현하고 있는지, 구현하고 있지 못하다면 그 원인은 무엇인지 규명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즉, 제주형 자율학교가 지정 의도를 구현하지 못한 원인에 대해 사회학적 분석을 시도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제주형 자율학교 ‘지정’의 사회적 배경은 무엇인가? 제주형 자율학교 ‘지정’에 영향을 미친 교육적․사회적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제주형 자율학교 ‘지정’ 정책의 의도는 무엇인가?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은 어떠한 의도에서 제주형 자율학교를 지정, 행․재정적 지원을 했는가? 셋째, 제주형 자율학교 지정 정책의 운영 결과는 어떠한가? 정책의 의도대로 소기의 성과를 갖고 왔는가? 만일 그렇지 못했다면 그 원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단위학교의 자율과 책임을 강조하는 외국의 사례, 국내 학교 자율화 정책, 제주형 자율학교의 특징 및 제주형 자율학교 지정의 정책적 의도를 알아 보았으며, 제주형 자율학교의 운영 결과를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의 제주형 자율학교 담당 장학사와 제주형 자율학교의 교원, 학부모, 학생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 제주형 자율학교의 운영은 지정 의도에 미흡했다. 도심 공동화 학교와 소규모 학교의 학생 수 증가가 미흡했고 외국어 교육은 영어와 중국어에 한정되었으며 교육과정과 학생선발, 교원인사에서 단위학교의 자율권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였다. 더불어, 재정지원의 감소로 차별화된 교육 인프라 구축에 부족함이 있었다. 이러한 미흡한 결과가 나타나는 각각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제주형 자율학교의 학생 수 증가추세 완화 또는 감축 원인은 첫째, 제주형 자율학교 교육프로그램의 특성화가 뚜렷하지 않기 때문이다. 둘째, 제주형 자율학교 교장이 자율학교 운영에 대한 마인드가 확립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셋째,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의 제주형 자율학교에 대한 행․재정적 지원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제주형 자율학교의 특성화 프로그램이 영어와 중국어 일부에 한정되어 있는 원인은 첫째, 단위학교 중심으로 교육과정의 자율적 편성 경험이 부재하고 상향식(bottom-up)의 교원 주도의 교육과정 편성이라는 학교문화가 형성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둘째, 영어를 강조하는 중앙 정부의 정책을 쫓아갈 뿐 제주특별자치도가 지닌 지정학적 특징(일본, 중국과 교류의 중심)을 구현해 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셋째, 제주지역 교원들이 중앙정부가 아닌 지역사회중심으로 인근 국가간 교류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부재하기 때문이다. 제주형 자율학교가 자율학교로서 교육과정의 자율성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원인은 첫째,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 도내 모든 초등학교에 일괄적용하는 학력평가 때문이다. 둘째, 제주형 자율학교의 근무 교사들이 증가된 수업 시수와 업무량으로 인해 수업과 업무에 대해 부담감을 느끼는 경우가 있음에도 이에 대한 보상이 미흡했기 때문이다. 한편, 인사상에서 자율성이 발휘되지 못하는 원인은 보수적인 교원인사문화풍토 때문이다. 제주형 자율학교에 대한 재정지원의 대폭 감축 원인은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 제2기 제주형 자율학교 지정 수를 확대시켰고 제1기 제주형 자율학교의 운영과 평가에 비추어 제1기 제주형 자율학교의 지원액이 과도했다는 당국의 판단 때문이다. 이상으로 제주형 자율학교의 지정 의도와 운영 결과의 관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형 자율학교라는 바람직한 방향의 교육정책이라 할지라도 이를 지원할 사회적 조건이 마련되지 않았을 때 성공적인 결과를 가져 올 수 없다. 둘째, 제주형 자율학교 교육정책을 지원하는 사회적 조건의 하나로서 그 교육정책 추진 관련 행위자들의 교육주체에 대한 재인식, 개방적 세계관, ‘유기적’ 평등관에 바탕을 둔 제주형 자율학교에 대한 이해와 공감대 형성이 요구된다. 특히 폭 넓은 인재 등용을 위해 보다 개방적인 교원인사문화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제주형 자율학교 추진에 적합한 학교 내 그리고 교육청 내 상향식 의사결정구조와 상향식 의사결정을 유도할 수 있는 교원들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차별적 학교평가 제도 및 충분한 재원 마련 등의 사회구조적 조건들이 요구된다. 특히 제주형 자율학교의 꾸준한 지정과 예산지원 등 일관된 정책으로 교원, 학생, 학부모들의 신뢰를 유지해야 한다. Jeju self‐governing schools, which included 5 elementary schools, 3 middle schools and 1 high school, were designated first on March 1, 2007 and had been operated demonstratively for 2 years until February 28, 2009. In the 2nd term, a total of 24 Jeju self‐governing schools including the schools designated first started their operation on March 1, 2009 and will end the operation on February 28, 2011. According to Jeju self‐governing school (i‐good school) designation and operation plans of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2006), the designation of Jeju self‐governing school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of large‐size or overcrowded classes, to promote balanced development among areas within the province, to lay the base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well‐matched with the province’s status as an international free city, to foster specialized schools through giving autonomy in curriculums and school administration, and to construct differentiated educational infrastructure in the Jeju area for creating internationalized education environment. This study focused on how much the original intentions of designating self‐governing schools have been implemented by Jeju self‐governing school and, if they have not been implemented, what the causes of failure are. That is, this study attempted sociological analysis on why the intentions of designating Jeju self‐governing schools could not be implemented and, for this, we set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social background of ‘designation’ of Jeju self‐governing schools? What are educational and social factors influencing the ‘designation’ of Jeju self‐governing schools? Second, what is the intention of the Jeju self‐governing school ‘designation’ policy? With what intention did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its Office of Education designate Jeju‐style self‐governing schools and provid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Third, what are the results of the Jeju self‐governing school designation policy? Have the policy produced results as it intended? If not, what are the causes of the failure?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Jeju self‐governing schools based on foreign and domestic cases of school self‐governing policies that emphasize individual schools’ autonomy and responsibility and investigated the intentions of the Jeju self‐governing school designation policy. In addition, we surveyed the results of the operation of Jeju self‐governing schools by interviewing school supervisors in charge of Jeju self‐governing schools at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and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of Jeju self‐governing schoo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nadequate implementation of the intentions of Jeju‐style self‐governing school designation was caused by factors as follows. The reason for the slow increase or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at Jeju self‐governing schools was, first, that the characterization of education programs at Jeju self‐governing schools was not evident. Second, the principals of Jeju self‐governing schools did not have a clear mind for the operation of self‐governing school. Third,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shrank it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to Jeju self‐governing schools. The reason for the confinement of Jeju self‐governing schools’ characterization programs to English and Chinese was, first, that individual schools did not have experience in autonomous organization of curriculums and there was no school culture of bottom‐up curriculum development led by field teachers. Second, only following the central government’s policy emphasizing English, the program failed to reflect the geo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s the center for exchange with Japan and China. Third, teachers in the Jeju area were not aware of the local community’s potential for exchange with the neighboring countries. The reason that Jeju self‐governing schools failed to enjoy their autonomy in curriculums was, first, that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applied a uniform scholastic ability test to all elementary schools in the province. Second, teachers at Jeju self‐governing schools felt burdened with increased class hours and workload but without compensations for that. On the other hand, the reason that autonomy in personnel management was not exercised was the conservative culture of teacher personnel management. The reason for the marked reduction of financial support to Jeju self‐governing schools was that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expanded the number of designated Jeju‐style self‐governing schools in the 2nd term, and based on the results of operation and valuation of the Jeju self‐governing school in the 1st term, the Office of Education judged that the amount of subsidy to the self‐governing schools in the 1st term had been excessiv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ed above, the relation between the intentions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designation and the results of operation of the school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ven if the educational policy of Jeju self‐governing schools is desirable, it cannot bring successful results without social conditions for supporting the policy. Second, one of social conditions for supporting the educational policy of Jeju self‐governing schools is involved parties’ understanding of and consensus on Jeju self‐governing school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educational subjects, open view of the world, and ‘organic’ view of equity. In particular, it is required to foster open culture of teacher personnel management in order to recruit a wide variety of talented people. Third, in order to induce bottom‐up decision making structure in the schools and the Office of Education for promoting Jeju‐style self‐governing schools, we need to meet socio‐structural conditions such as incentives for teachers, differentiated school evaluation system, and sufficient funds.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win the confidence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through consistent policies in terms of the designation of self‐governing schools, budget support, etc.

      • 도심 내 유휴부지 유형화 및 유형화에 따른 그린인프라 조성 전략 : 서울시 서대문구를 중심으로

        문현식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Vacant land in the city have high potential in that they have various social and cultural infrastructures as well as physical infrastructure such as roads and subways in the surrounding area. However, as the demographic structure changes and the concept of space sharing emerges socially, architectural urban policies change to respond to this, urban idle spaces are recognized as negative spaces in abandoned spaces, vacant lots, and urban structures. They are not simply viewed as empty spaces in dangerous and negative cities, but rather as new types of urban resources and starting points for recreating cities. In particular, vacant lands are treated more importantly because they can be a source of potential urban ecosystem services that can provide community benefits and opportunities for urban regeneration through re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and support the health and well-being of local residents. It is necessary to look at new ideas about vacant land and various methods of use from a wider perspective, and to develop guidelines fo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at can categorize vacant lands in urban areas and apply gardens.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idle spaces around the vacant land database in Seodaemun-gu, Seoul, and to present a technique for creating green infrastructure according to the categorization. It also encourages the use of urban vacant lands through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at can categorize urban idle sites and create green infrastructure, and aims to propose the possibility as a new open space in the city center. As a method of this study, raw data was first construct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then the validity and keywords of raw data were extracted through FGI analysis to extract the final categorization index. In addition, spatial characteristics identification and survey priority areas using GIS were selected, and current status analysis and categorization indicators were quantified using a 7-point Likard scale through field surveys of selected target sites. The final vacant land categorization was performed throug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using the extracted typification index.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actor and constructing a model for each type, a scenario for creating a green infrastructure for each type was propos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ategoriz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FGI analysis and field investigation, there were a total of four types: Abandoned Vacant Land, Underutilized Vacant Land, Polluted Vacant Land, and Derelict Vacant Land. Second, Abandoned Vacant Land is geographically separated from places where many people are distributed, such as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and has the characteristic of poor accessibility and connection with residents. However, vacant lands have natural resources and high environmental potential.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o attract urban residents by activating idle sites by proposing to create green infrastructure with native botanical gardens and urban ecological forests that utilize local environmental resources. Third, the Underutilized Vacant Land, which is a common vacant land in the city center, has the characteristic of being relatively small and diverse in shape near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Taking advantage of the potential of being located close to residents in the city center, it was proposed to further revitalize commercial districts and promote local communities by creating green infrastructure such as community gardens and pocket gardens for residents. Fourth, the type of Polluted Vacant Land is an vacant land that is abandoned and neglected by residents in the city center, and currently functions as an illegal garbage dump for residents, and has the characteristics of contamination of land and poor environment. This type of vacant land was planned in the long term to creat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reen infrastructure to enhance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alleviate urban environmental problems. Fifth, the neglected vacant house type of vacant land is an vacant land including buildings abandoned and neglected by people among vacant lands, and has high potential as a community asset because it includes a building structure that can be redeveloped in the short or long term. It can be seen that if it is activated using neglected buildings, it can have regional symbolism. 도심 내 유휴부지는 도심이라는 입지특성과 주변 지역에 도로, 지하철 등 물리적 기반시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인프라 구축 되어 있다는 점에서 높은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이종민 외, 2016). 그러나 인구 구조가 변화되고 사회적으로 공간의 공유에 대한 개념이 등장하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해 건축 도시 정책이 변화됨에 따라 도시 유휴공간은 버려진 공간, 공터, 그리고 도시구조에서 부정적인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들을 단순히 위험하며 부정적인 도시 내의 빈 공간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유형의 도시자원이자 도시를 재창조하는 출발점으로 인식하고자 한다. 특히 유휴부지는 지역사회의 재개발을 통해 지역 사회 혜택 및 도시재생의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 주민의 건강과 웰빙을 지원할 수 있는 잠재적인 도시생태계서비스의 원천이 될 수 있으며 귀중한 도시경관자원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유휴부지에 대한 새로운 생각과 다양한 활용방법에 대하여 좀 더 넓은 시선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고, 도심지역 유휴공간의 유형화와 정원 적용이 가능한 환경특성 지침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서울시 서대문구의 유휴부지 데이터 베이스를 중심으로 유휴공간을 유형화 하고, 유형화에 따른 그린인프라 조성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도시지역 유휴부지의 유형화와 그린인프라 조성이 가능한 환경특성 지침 개발을 통해 도시 유휴부지 활용을 권장하며 도심 내 새로운 오픈스페이스로서의 가능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로우데이터를 구축하고, 그 후 FGI분석을 통하여 로우데이터의 타당성과 키워드를 추출하여 최종 유형화 지표를 추출하였다. 또한, GIS를 활용한 공간특성 파악 및 조사우선지역을 선정하고 선정된 대상지의 현장조사를 통하여 현황 및 특성을 물리적, 생물학적, 사회문화적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으며, 비슷한 특성을 가진 대상지끼리 유형화를 실시하였다. 같은 유형의 대상지의 특성 및 유형화 지표들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유형별 모델을 구축하여 유형별 그린인프라 조성을 위한 시나리오를 제안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고찰 및 FGI분석, 현장조사를 통하여 유형화를 실시한 결과, 버려진 유형의 유휴부지(Abandoned Vacant Land), 저이용 유형의 유휴부지(Underutilized Vacant Land), 오염된 유형의 유휴부지(Polluted Vacant Land), 방치된 빈집 유형의 유휴부지(Derelict Vacant Land)로 총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버려진 유형의 유휴부지(Abandoned Vacant Land)는 주거지 및 상업지 등 사람이 많이 분포된 곳으로부터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으며, 주민들과의 접근성과 연계성이 떨어진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유휴부지는 자연적 자원을 확보하고 있으며 환경성이 높은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지역의 환경적 자원을 살린 토종식물원 및 도시생태 숲 등으로 그린인프라를 조성하는 것을 제안하여 유휴부지를 활성화 해 도시민들을 유치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저이용 유형의 유휴부지(Underutilized Vacant Land)는 도심 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유휴부지로, 주거지 및 상업지 근처의 면적이 비교적 작고 형태가 다양하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도심 내 거주민들 가까이에 위치한다는 잠재성을 이용하여 주민들을 위한 커뮤니티 정원, 포켓 정원 등의 그린인프라를 조성하여 상권을 더욱 활성화 할 수 있고, 지역 커뮤니티를 증진시키는 것을 제안 하였다 넷째, 오염된 유형의 유휴부지(Polluted Vacant Land)는 도심 내 주거민들에게 버려져 방치되어 있는 유휴부지로, 현재 주민들의 불법 쓰레기장의 기능을 하고 있으며, 쓰레기 더미로 이루어져 토지가 오염되고 환경성이 떨어진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유형의 유휴부지는 장기적으로 계획하여 지속가능한 개발 및 그린인프라를 조성하여 지역의 환경성을 높이고, 도시의 환경문제를 완화시키는 것을 제안하였다. 다섯째, 방치된 빈집 유형의 유휴부지(Derelict Vacant Land)는 유휴부지 중 사람들에게 버려져 방치되어 있는 건축물을 포함한 유휴부지로, 단기간 또는 장기적으로 재개발이 가능한 건물 구조를 포함하고 있어 공동체 자산으로 잠재력이 높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방치된 건축물을 활용하여 활성화 된다면 지역 상징성을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무릎 관절염 환자의 족압 감소 및 실시간 보행 자세 피드백을 위한 에어 커프 개발

        문현식 고려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usually experience pain in the medial side of the knee and thus take a genu varum posture in the stance phase during gait, which causes the lateral foot pressure to be much larger than that of the medial side compared with non-patients. This paper introduces a new pneumatic knee orthosis system that reduces the knee adduction moment and pain by increasing the pneumatic pressure during the stance period, and that reduces the motion resistance of the knee joint by lowering the pneumatic pressure at the swinging period. Force-sensing resistor sensors are used to decide the gait phase and monitor the foot pressures. The feature of the developed system is that it is light and easy to use, so walking training is possible during daily life.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the system, a treadmill walking test was performed at the speeds of 2 km/h and 3 km/h for three healthy subjects. The results show that the system can reduce the lateral-side pressure of the forefoot at the stance phase. It was more effective at low walking speed because the swing phase is relatively long. Considering that the subjects were non-patients with less knee adduction moment, it can be inferred that the system will have a sufficient effect on patients.

      • 태권도 수련수준이 대인관계지향성과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

        문현식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태권도를 수련하는 아동의 수련수준이 대인관계지향성과 자아실현에 의미 있는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중심으로 관련변인간의 관계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현재 서울 및 수도권지역의 태권도 도장에서 태권도에 참여하고 있는 초등학교 4-5학년 아동을 유층집락무선 표집법의 방법으로 총 326명을 무선으로 표집하였다. 대인관계지향성의 측정도구는 Schutz(1966)가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아실현은 민 진(1986)의 '자아실현' 척도를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전체 신뢰도를 나타내는 Cronbach's α계수는 .53에서 .84의 분포로 나타났다. 조사절차는 연구대상자가 있는 장소를 직접 방문하여 질문의 목적 및 내용을 자세하게 설명한 뒤, 자기평가 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설문지를 완성하도록 한 후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신뢰있는 자료를 구분하여 자세하게 검색한 후 유효한 자료만을 부호화하였다. 그리고 부호화된 자료는 컴퓨터에 개별 입력시킨 후, 기입오류의 검색이 끝난 자료는 Windows용 SPSS?PC+ 13.0 Version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자료분석은 일원변량분석, 공변량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러한 과정과 절차를 거쳐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태권도에 참여하는 아동의 배경변인에 따라 대인관계지향성과 자아실현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즉, 성별은 자아실현의 능력개발은 남자가 목적이상실현은 여자가 높다. 학년은 대인관계지향성의 통제행동과 애정행동은 5학년이 높으며, 포용행동은 4학년이 높고 자아실현의 능력발휘와 목적이상실현은 5학년이 높으며, 능력개발은 6학년이 높다. 소득수준이 400만원 이하인 집단은 대인관계지향성의 포용행동과 자아실현의 능력발휘가 높으며, 400만원 이상인 집단은 자아실현의 능력발휘가 높고, 200만원 이하인 집단은 대인관계지향성의 통제행동과 애정행동이 높다. 종교가 기독교인 집단은 대인관계지향성의 애정행동이 높고, 카톨릭 집단은 대인관계지향성의 통제행동과 자아실현의 목적이상실현이 높으며, 불교집단은 자아실현의 능력개발이 높다. 부모님직업이 서비스인 집단은 대인관계지향성의 통제행동과 애정행동이 높으며, 자아실현의 능력발휘와 능력개발이 높고 공무원 집단은 대인관계지향성의 포용행동과 자아실현의 목적이상실현이 높다. 둘째, 태권도 수련수준에 따라 대인관계지향성과 자아실현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즉, 태권도 수련수준이 중급인 집단은 다른 집단보다 대인관계지향성의 통제행동과 포용행동이 높으며, 자아실현의 목적이상실현이 높다. 셋째, 아동의 대인관계지향성은 자아실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즉, 대인관계지향성의 애정행동이 높을수록 자아실현의 능력발휘와 능력개발이 높으며, 대인관계지향성의 통제행동이 높을수록 자아실현의 목적이상실현은 높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aekwondo Training Level on 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Realization of children, and inspected the correlation between related variables. The sample groups were 4th-5th grades 326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selected by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The Directivity on Personal Relationship was measured by the Schutz's way( 1966), and Self-Realization was scaled by the Min-Jin's method (1986). Cronbach's α coefficient distributed between 53 and 84. In doing investigation, the researcher visited and met every sample group, explained the goals and contents, and took the answers by self-administration method. After making out of the reliable answers thoroughly, the data were encoded into the computer, and checked no error found. The computer analyzed the data with Windows SPSS/PC+13.0 version, and the analysis was approved by One Way ANOVA, analysis of co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followed; First, the background variables influenced on the 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Realization of the Taekwondo learning children. Concerning the gender, the boys had higher self-realization level than girls; in purpose-ideal actualization girls were higher. Considering the grade, 4th grade showed higher level in the inclusion-expression; 5th grade in self-realization, control and affection-expression; 6th grade in self-development than other grades, respectively. In relation to income level, the group which had more than 4 million won income expressed high self-realization; the group which had less than 4 million won income showed high inclusion-expression and self-realization; the group which had less than 2 million won income had control and affection-expression in significant level. Concerning religion, the Christian group showed high affection-expression; the Catholics expressed the need-for-control and the purpose-ideal actualization; the Buddhist showed self-development. Considering parents' occupations, service job group had the control-expression, the affection-expression, development and actualization of self-realization in significant level; the public service job group showed high inclusion-expression and the purpose-ideal actualization. Second, Taekwondo Training Level affected on the 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Realization. The intermediate training group expressed more needs for control and inclusion in directivity on personal relationship, and showed higher purpose-ideal actualization of self-realization than other groups. Third, Personal Relationship influenced Self-Realization partly but importantly. The group which showed more affection-expression in personal relationship had higher developmental and expressed level in self-realization; the group showed more control-expression in personal relationship had greater purpose-ideal actualization level in self-realization.

      • 과정 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이 아동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문현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을 활용하여 과정 중심 읽기 활동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정 중심 그림책 읽기 모형을 초등학교 3학년 학생에 적합하도록 구안하고 읽기 전, 읽는 중, 읽은 후의 단계별 활동으로 나누어 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을 선정하여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을 배치하고 실험 집단은 과정 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을 실시해 보았다. 가설 검증에 사용 된 통계적 방법은 t-검증이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과정 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 후 창의성 검사 창의성 검사를 창의성의 하위 영역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으로 나누어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 별로 실시한 결과, 과정 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을 한 실험 집단이 활동을 실시하지 않은 비교 집단보다 창의성 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하위 영역인 융통성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2. 과정 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 후 성별에 따른 창의성 검사 그림책 읽기 활동이 아동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실험 집단을 남녀로 나누어 분석해 본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창의성이 향상되었지만 성별에 따른 창의성 점수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 Windshield Spray Nozzle의 유체 진동 특성에 대한 비정상 전산유체해석 연구

        문현식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windshield spray nozzle의 비정상 유동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대부분의 windshield spray nozzle은 크기가 매우 작고 사소한 설계 변경에 민감하기 때문에 경험에 의존한 설계변경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즐의 내부 형상이 변경 될 때 내부유동의 주파수와 분사 각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 연구의 목적은 시간 경과에 따른 내부 흐름의 변화, 교차 흐름의 원리, 주파수 및 분사 각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노즐의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진행하고 설계 변수를 설정하는 것으로 시작하였다. 설계 변수는 피드백 채널의 직선 길이, 입구 쐐기의 폭 및 혼합 챔버의 두께를 선정하였다. 해석은 비정상상태의 난류 유동을 가정하여 계산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내부유동은 코안다 (Coanda) 효과에 의해 피드백 채널로 순환되고, 재 흡수 유동 중 일부 유동이 와류를 생성하여 진동을 일으킨다. 피드백 채널의 직선 길이가 길수록 주파수와 분사 각도가 낮게 측정되었다. 입구 쐐기 폭이 넓을수록 주파수가 높아지고 분사 각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입구 쐐기 폭이 좁을수록 주파수가 낮아지고 분사 각도가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혼합 챔버가 두꺼울수록 주파수와 각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체적증가는 내부 흐름을 개선하는데 불필요한 요소로 판단된다. 이 결과는 진동 특성을 가진 모든 형태의 기본 설계 데이터로 사용됩니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Windshield spray nozzle의 해석적 연구는 추후 Windshield spray nozzle의 성능개발 및 설계에 대한 기초연구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the unsteady flow characteristics of windshield spray nozzles were studied. Most windshield spray nozzles are designed with experience because they are very small in size and sensitive to minor design parameter chang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frequency and injection angle of the flow when the internal shape of the nozzle was chan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nge of internal flow over time, the principle of cross flow, and the change of frequency and injection angle. The study proceeded with reverse design of the nozzle and set the design parameters. The design variables were the linear length of the feedback channel, the width of the inlet wedge, and the thickness of the mixing chamber. The analysis was conducted in an abnormal state. As a result, the flow is circulated to the feedback channel by the Coanda effect, and the re-intake flow generates vortices on the wall and causes vibration. The longer the linear length of the feedback channel, the lower the frequency and the injection angle. The wider the inlet wedge width, the higher the frequency and the lower the angle. In addition, the narrower the inlet wedge width, the lower the frequency and the larger the angle was confirmed. The thicker the mixing chamber is, the lower the frequency and angle are, and the volume is considered to be an unnecessary factor for improvement in internal flow. These results are used as basic design data in all shapes with oscillation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design of windshield spray nozz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