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어린 시절 정서적 외상 경험과 정서조절 곤란의 관계 :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문초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Childhood emotional trauma experiences and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self-report experiencing trauma. As a result, a total of 256 copi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Process Macro of SPSS 28.0.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experience of emotional abuse, emotion dysregulation and internalized sham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ll variable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experience of emotional abuse, emotion dysregulation and each sub-factors of internalized shame in detail,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most of all sub-factors. Secon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emotional abuse and emotion dysregulation, it shows tat the internalized sham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emotional abuse and emotion dysregulation. This means that experience of emotional abuse has a greater influence on emotion dysregulation indirectly by internalized shame than in direct way. The significance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tributed to empirical studies of internalized shame. Previous studies have been limited to studies on the distinction between shame and guilt and state shame related to body image. In addition, it was difficult to found a research model that confirmed the psychological variable of internalized shame as a direct parame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emotional abuse and emotion dysregulation among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by focusing on the difficulty of emotion dysregulation due to experience of emotional abuse through the psychological variable of internalized shame. Through th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 strategy based on internalized shame can be an important therapeutic element in the counseling field of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 of childhood emotional abuse. In other words, this study has unique significance in that it not only reconfirmed the effect between each variable like the previous studies accumulated by verifying a research model thar has not been tried before, but also statistically verified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internalized shame. Seco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conceptualize and organize the cases of college students who came to the counseling due to psychological and emotion difficult because of experience of childhood emotional abuse. For example, when college students who complain of emotion dysregulation and internalized shame meet counselor, this study can serve as a evidence for choosing whether the counselor needs to explore the clients’ childhood experiences. In addition, this study can also education clients who automatically feels shame when they express of feel emotions without knowing why, that understand their symptoms and manage their emotions in the life. That is, this study judged the importance of exploration in childhood and confirmed empirical evidence for counseling related to emotion dysregulation is important. And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unselor needs to help build interpersonal resources so that the clients can receive emotional support and acceptance from others even outside the counseling room after the ends of the counseling session. Even if the clients experiences new emotional support and 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counselor, there is a risk that the clients change will be seriously hindered if he of she forms or experiences relationship with people similar to the past outside the counseling room. On the other hand, having someone with whom the clients can emotionally depend and feel safe will help them express and feel their emotions, and futhermore, their internalized shame will gradually become flexible. If so, positive changes through counseling will be able to maintain and develop those changes in the life of the clients outside the counseling room.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어린 시절에 경험했던 정서적 외상 경험과 정서조절 곤란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256부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SPSS 28.0의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외상 경험, 정서조절 곤란, 내면화된 수치심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수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세부적으로 정서적 외상 경험, 정서조절 곤란 그리고 내면화된 수치심의 각 하위요인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모든 하위요인들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정서적 외상 경험과 정서조절 곤란과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변수 영향력을 밝혀내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은 정서적 외상 경험과 정서조절 곤란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정서적 외상 경험이 정서조절 곤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 내면화된 수치심을 통해 간접적인 효과로 더 큰 영향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갖는 의의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내면화된 수치심의 실증적 연구 및 경험적 연구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선행연구들은 그동안 수치심과 죄책감을 구분 짓는 연구와 신체이미지 등과 관련된 상태수치심에 대한 연구에 국한되었다. 또한 국내 및 국외 문헌들 중에서 정서적 외상 경험과 정서조절 곤란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이라는 심리적 변인을 직접적으로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살펴본 연구모형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와 달리 본 연구는 내면화된 수치심이라는 심리적 변인을 통해 정서적 외상 경험으로 인해 발생되는 정서조절 곤란에 초점을 두어 내면화된 수치심의 영향력을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결과는 내면화된 수치심에 기반을 둔 상담전략이 어린 시절 정서적 외상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상담 현장에서 중요한 치료적 요소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즉, 본 연구는 이전에 시도하지 않았던 연구모형을 검증함으로써 축적된 선행연구들과 마찬가지로 각 변수들 간의 영향을 재확인하였다는 점뿐만 아니라, 내면화된 수치심이라는 심리적 변인의 중요성을 통계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독특한 의의가 있다는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상담 장면에서 어린 시절 정서적 외상 경험으로 인하여 심리적 및 정서적으로 힘들어하여 상담실을 찾아온 대학생 내담자들의 사례를 개념화하고 조직화하는 데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정서조절 곤란과 수치심을 호소하는 대학생 내담자들이 상담자를 만날 때, 본 연구는 상담자가 그들의 어린 시절 경험을 탐색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선택할 때 근거가 될 수 있다. 또한 이유를 알지 못한 채 일상에서 정서를 표현하거나 느낄 때, 자동적으로 수치심도 함께 느껴져서 힘들어하는 내담자에게 자신의 증상과 어려움을 이해하고 정서를 조절할 수 있는 데 도움이 되는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연구는 어린 시절 탐색의 중요성과 여부를 판단하고, 정서조절 곤란 관련 상담이 왜 중요한지에 대한 하나의 경험적 증거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상담 종결 이후에 상담자는 상담실 밖에서도 내담자가 타인으로부터 정서적 지지와 수용을 받을 수 있도록, 대인 관계적 자원을 구축하는 데 도움을 줄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내담자가 상담자와의 관계에서 새로운 정서적 지지와 수용을 경험한다고 하더라도, 상담실 밖에서 과거와 유사한 사람들과의 관계를 맺거나 경험한다면 내담자의 변화를 심각하게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내담자가 정서적으로 의지할 수 있고 안전하다는 사람이 곁에 있으면 자신의 정서를 표현하고 느끼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더 나아가서 내면화된 수치심도 차츰 유연하게 변할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상담을 통한 긍정적인 변화가 상담실 밖에서의 내담자의 삶 속에서도 그 변화를 유지시키고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