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ara chlorobenzoic acid (pCBA)를 이용한 오존/CNT 공정에서의 촉매 효과에 관한 연구

        문종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불균일계 촉매인 CNT (Carbon nanotube)와 OH 라디칼 probe compound인 para-chlorobenzoic acid (pCBA)를 이용하여 오존/CNT 공정에서의 촉매 효과 및 메커니즘을 조사하였다. 실험은 오존 분해와 pCBA의 특성을 고려하여 pH 3과 pH 7 조건에서 실행되었다. 또한 산처리 및 열처리를 통해 CNT 표면을 개질하여 오존/CNT 공정의 촉매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오존/CNT 공정을 평가하기에 앞서, pH 7, 순수한 물 system에서 pCBA가 오존 단독 공정에서 오존 및 pCBA의 분해를 가속화시키는 현상을 보였다. 따라서 수용액 속에 라디칼 scavenger가 적은 조건에서 pCBA가 생성되는 OH 라디칼을 간접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probe compound로 사용되기 위해서 pCBA = 0.5 uM, OH 라디칼 scavenger로 사용되는 Tertiary butyl alcohol (TBA) = 10 uM, pCBA의 scavenging rate이 30% 이하가 되는 조건을 제시하였다. pH 3에서는 TBA의 존재에 상관 없이 pCBA를 이용한 OH 라디칼 평가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pH 7에서 OH 라디칼 scavenger인 TBA가 1000 uM, 과량으로 존재할 때 오존/CNT 공정의 촉매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오존 단독 공정과 비해 제거율이 18% 증가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오존/CNT 공정에서 pCBA 제거에 대한 반응 메커니즘은 CNT 표면에서 생성된 라디칼에 의한 것임을 증명하였다.pH 3에서 CNT가 갖는 제타 전위와 pCBA의 이온화 경향을 고려하였을 때, pH 7에 비해 흡착이 잘 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TBA의 존재 유무에 따른 pCBA 제거율 비교를 통해 오존/CNT 공정의 촉매 효과는 Bulk와 표면 반응이 둘 다 존재한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오존/CNT 혼합공정에서의 pCBA 제거 효율 개선을 위한 방법으로 전흡착-후오존 시리즈 공정을 적용해 보았다. pCBA 제거에 있어서 오존/CNT 혼합공정보다 전흡착-후오존 공정이 6% 더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현재 실험에서는 오존이 1회 주입되었지만 연속적으로 오존이 주입될 경우 그 효과는 더 증가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산처리 한 CNT, 열처리 한 CNT와 Original CNT를 이용하여 오존/CNT 공정 별 pCBA 제거율을 비교한 결과, 제거 효율은 열처리 CNT > original CNT > 산처리 CNT 순으로 오존/열처리 CNT의 촉매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 장애 아동 부모의 사회적 지지, 장애수용, 경제적 안정감이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문종혁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동발달센터에서 치료 및 훈련을 받는 발달장애를 가진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사회적지지, 장애수용, 경제적 안정감이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수원시 소재 아동발달센터를 이용하는 발달장애 아동의 부모 2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먼저 연구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후에 각 측정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데이터의 정규분포 가정 충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왜도와 첨도를 산출하였다. 또한 각 측정 변인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절변인으로 설정한 경제적 안정감이 ‘사회적 지지와 장애수용 간의 관계’, ‘장애수용과 가족기능 간의 관계’, ‘사회적 지지와 가족기능과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장애수용이 사회적 지지와 가족 기능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3단계 절차를 활용하고, 매개효과를 재검증하기 위해 Sobel 검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 장애수용, 경제적안정감, 가족기능의 주요 변인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 지지는 장애수용, 경제적 안정감, 가족기능과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수용은 경제적 안정감과 가족기능에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경제적안정감은 가족기능과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절변인인 경제적 안정감의 조절효과를 확인한 결과 사회적 지지와 장애수용간의 관계 및 사회적 지지와 가족기능, 장애수용과 가족기능간의 관계 모두 경제적 안정감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가족기능간의 관계를 장애수용이 매개하는지 검증한 결과, 사회적 지지와 가족기능의 관계에서 장애수용은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장애 영역과 장애 진단 시기에 따른 가족의 어려움 및 지속적으로 실천 가능한 사회적 지원 체계와 가족 지원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discuss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the sense of economic stability on the part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are receiving treatment and training at a child development center has on family function. To accomplish this goal, a survey was given to 252 parents of children who were using the child development center in Suwon city. The first step in the research method was to conduct a frequency analysis to ver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Then,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sured variables were calculated along with skewness and kurtosis, in order to check the appropriateness of the data’s normality assumption. In addition, a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of the measured variables. Next, a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was used to examine whether the moderator, sense of economic stability, controll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disability acceptance, between disability acceptance and family function, and between social support and family function. Lastly, a causal steps approach, as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6), was utilized to examine whether disability accepta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family function, and a Sobel test was conducted to reexamine that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demonstrated through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primary constructs of social support, disability acceptance, sense of economic stability, and family function that social support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disability acceptance, sense of economic stability, and family function. Disability acceptance was found to have a static relationship with sense of economic stability and family function, and sense of economic stability was also found to have a static relationship with family function. Secondly, after checking for a moderating effect from the moderating variable of sense of economic stability, no moderating effect was found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disability acceptance, social support and family function, and disability acceptance and family function. Lastly, after examining whether disability accepta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family function, disability acceptance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at relationship. With this study as a foundation, future studies should focus on creating social support systems and family support programs that can quickly be implemented and on the hardships families face based on the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and at the time of diagnosis.

      • PV모듈을 일체화한 박스형 이중외피의 열· 전기적 특성연구

        문종혁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Double-Skin Facades (DSFs) have been developed as an alternative technology to improve the thermal performance of conventional fully glazed buildings. The use of DSFs can help to reduce winter heating loads as a buffer zone. One of the advanced methods of using DSFs is integrating the PV module as a part of outer skin of DSFs. PV Module has different properties compared to conventional glass for buildings. Most of PV Modules are opaque and tend to have different thermal and electrical properties.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thermal and electrical performance of Double-Skin Facade with PV Module. The comparative experimental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two different models of Double-Skin Facade: one with PV Module and the other with glass only. The thermal and electrical performance of two DSF test models with same configuration were measured in outdoor. Opening condition of DSFs influence cavity's performance. So all of test was measured by opening condition. The energy performance of DSFs could be related to the opening of the envelope.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for the both cases of open (inlet at the bottom of DSF and outlet at its top) and closed. The experimental results presented that both DSFs had similar thermal performance, in spite of the reduction of solar gain at the DSF with PV Module. At the cavities of the open glazed DSF and PV Module applied DSF the average air temperature were 16℃ and 14.5℃, respectively. For the cases of closed DSFs, they were 37.5℃ and 36.7℃,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mal properties of PV Module applied into DSF contribute to increase air temperature of the cavity, while they block direct solar gain into the DSF. When comparing their electrical performances, it found that the closed DSF has lower efficiency than the opened DSF. Th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the closed type has higher PV Module temperature than the glazed type. As it is typical to close the openings of DSFs in winter time, the electrical performance of PV system applied into DSFs tend to be at a disadvantage. At the same time this fact contributes to the thermal performance of the DSF. PV Modules Thermal and electrical properties can help the DSFs thermal performance integrated PV Module that has similar performance to fully glazed DSFs in the winter time. In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PV Modules into some part of double-skin facade has a potential in terms of energy gain as the function of buffer zone of a building envelope. Further research should include the seasonal performance of the DSFs, and different designs of DSFs with various PV Modules and their energy performance.

      •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사회적 자본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문종혁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사회적 자본과 서비스 질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사회적 자본이 서비스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5개 장애인복지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기간은 2021년 4월 19일부터 4월 30일까지 연구자가 직접 기관을 방문하여 연구에 대한 설명과 동의를 구하고 설문지를 배부 및 회수하였다. 총 200부를 배부하여 182부가 회수되었고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Cronbach's α 값을 구하여 신뢰도 분석과 빈도, 기술적 통계 분석을 하였고 주요 변수 간의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표본 T검정(t-test)과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회적 자본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자본과 서비스 질은 전체적으로 보통 수준(3점) 이상을 보였고, 사회적 자본은 사회복지사 자격증이 없고 직위가 높을수록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여성이 남성보다, 학력과 연령이 높을수록, 장애인복지관 종사기간이 길수록 서비스 질을 지각하는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검증 결과, 서비스 질 전체의 평균은 타 사회복지 영역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독립변수인 사회적 자본을 투입한 결과, 사회적 자본 하위요인 중 공유된 규범과 가치만이 서비스 질 하위요인인 대응성에 유의미한 결과를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종사자의 공유된 규범과 가치는 이용자에게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서비스 질 향상에 기여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기관 내의 사업방향과 규범이 종사자에게 영향을 미쳐 이용자의 서비스에 즉각적으로 반응을 함으로써 서비스 질 개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사회복지 현장에서는 직접적인 업무와 관련되지 않은 네트워크나 연대 활동이 미흡한 실정이며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사회적 자본 형성을 위해서 신뢰 및 소속감을 제고 시킬 수 있는 교육정책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 내 장애인복지관의 상호 교류 및 공식·비공식적 네트워크의 활성화로 통합적인 서비스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social capital and service quality of welfare center workers for the disabled and how social capital affects service quality. To this end, a self-filling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employees of five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in Jeju.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April 19 to April 30, 2021, when the researcher personally visited the institution to ask for explanation and consent for the study, and to distribute and collect questionnaires. A total of 20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182 copies were recovered and used for analysis. Data analysis was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21.0.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by obtaining Cronbach's alpha value. In order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mong major variables,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ANOVA) was used for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service quality. As a result of the study, social capital and service quality were generally above the average level (3 points), and social capita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re was no social worker qualification and higher positions. In addition, the higher the educational level and age of women, the longer the period of service at the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than men. As a result of verification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average of the overall service quality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social welfare domains, but as an independent variable, social capital was input. 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sponsiveness, which is a factor. The shared norms and values of the practitioners provide prompt services to users, thereby increasing user satisfaction and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It seems to have had an impact on service quality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re is insufficient network and solidarity activities that are not directly related to work in the social welfare field, and an educational policy that can enhance trust and a sense of belonging is necessary for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for workers in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 plan to improve the quality of integrated services through mutual exchange of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in the region and activation of formal and informal networks.

      • 원형탈모증의 DPCP 면역치료에 의한 각질 사이토카인의 분석을 통한 예후인자로서의 가능성을 알기 위한 예비 연구

        문종혁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경 : 원형탈모증의 병태 생리는 정확히 밝혀지진 않았지만 자가면역요인, 유전적인 원인, 신경정신적 요인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 중에서 자가면역요인으로 인한 가설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특히 모낭에 대한 T helper 1 세포 연관성 자가면역 반응이 가장 중요한 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원형탈모증의 치료는 대부분 면역요인들을 조절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고, 이 중 접촉 면역요법은 광범위한 범위의 원형탈모증을 가진 환자에게 쓸 수 있는 국소 치료법이다. 특히 Diphenylcyclopropenone (DPCP)는 안정성과 효과가 입증된 이상적인 항원으로 알려져 있다. 비 침습적인 도구인 Adhesive tape stripping을 이용한 각질 채취와 각질내 사이토카인의 분석은 최근 알려지기 시작한 방법으로 아토피피부염, 자극성접촉피부염에서 발생한 각질 내 사이토카인 분석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원형탈모증에서 혈청 사이토카인 분석에 대한 보고는 많지만 원형탈모반의 각질을 채취하여 사이토카인의 수치를 분석한 보고는 현재까지 없었다. 각질이 발생하는 다른 염증성 피부질환에서와 같이 원형탈모증 환자에서 DPCP를 도포한 뒤 발생하는 각질 내부의 사이토카인도 분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이를 통해 DPCP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찾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목적: 본 연구에서는 접촉 면역치료인 DPCP를 받는 원형탈모증 환자의 두피 각질을 채취하여 시간에 따른 사이토카인 수치 변화 및 면역치료에 반응이 있는 군과 면역치료에 반응이 없는 군 사이에 사이토카인 수치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DPCP로 치료하는 원형탈모증 환자에서 치료 반응을 조기 예측할 수 있는 사이토카인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 인하대병원 피부과에 방문한 DPCP로 치료할 원형탈모증 환자 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질 채취는 감작 1주일 후, 2개월, 4개월째 시행한다. 마지막 검체가 채취된 후 일괄적으로 용출하여 multiple ELISA를 사용하여 사이토카인 IFN-gamma, IL-2, IL-12, IL-10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2개월, 4개월에 치료효과 및 부작용 평가를 시행하였다. 치료 효과는 실험자에 의한 객관적 평가와 환자에 의한 주관적 만족도로 나누어 평가하였고 매회 치료 시 마다 부작용을 평가하였다. 모발 재성장 50%를 기준으로 치료에 반응이 있는 군과 없는 군으로 나누고 각 사이토카인에 대하여 군간 수치 변화 차이, 각 시점에서 군간 수치 차이, 전체 환자에서 시간에 따른 사이토카인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 IFN-gamma는 1주와 4개월, 2개월과 4개월 간에 반응이 있는 군에서는 감소하고 반응이 없는 군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p=0.059, p=0.07). 4개월 때 IFN-gamma는 반응이 없는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게 높은 수치를 보였다 (p=0.042). 전체 환자를 대상으로 평가했을 때, DPCP치료 후 IL-10에서 1주와 2개월, 1주와 4개월간의 수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1, p=0.011). 또한 IL-2에서도 1주와 4개월간의 수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44). 결론: 비 침습적인 방법을 통해 채취한 원형탈모반 각질 내 IFN-gamma가 DPCP로 치료하는 원형탈모증 환자의 추적관찰에서 치료반응 평가 지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바이다. Background: Although the pathophysiology of alopecia areata (AA) is pooly understood. Autoimmune, genetic, epigenetic factors have been suggested for causing AA. Among these, hair follicle-specific T helper 1 cell-mediated autoimmune response has been proposed as the most important mechanism. Nowadyas treatment of AA is focused on controlling autoimmune responses. Topical immunotherapy is one of the topical treatment options for extensive AA patients. Especially, topical diphenylcyclopropenone (DPCP) was known as an ideal antigen which had safety and effectiveness. Many researches have investigated to measure cytokine levels in sera of patients. However, a study investigated to measure cytokine levels in the scales of alopecic patch in AA has not been reported yet. Recently, analyses using non-invasive tool (adhesive tape stripping) to evaluate cytokine levels in the scales of atopic dermatitis and irritant contact dermatitis have been proposed. However, no analysis to check cytokine levels in the scales of alopecic patch in AA has been performed. Objectives: In this study, cytokine levels in the scales of alopecic patch in AA were investigated. Changes in cytokine levels between responder and non-responder to DPCP treatment were evaluated. Median cytokine levels depending on the time in the whole patients were also evaluated. Methods: A pilot clinical trial was performed to measure cytokine levels with eight patients who had AA and planned to treat it with DPCP. Scales were taken in 1week, 2 months and 4 months after sensitization. Concentrations of IFN-gamma, IL-2, IL12 and IL-10 were evaluated using multiple ELISA. Therapeutic effectiveness and side effects were evaluated in 1 week, 2 and 4 months. Therapeutic effectiveness was investigated by both physician and patients. The patients were divided as responder and non-responder to DPCP treatment. Changes in each cytokine levels between responder and non-responder to DPCP treatment and median cytokine levels at different time points in every patients were evaluated. Results: Changes in IFN-gamma between 1 week and 4 months, 2 and 4 months showed decrease in responders whereas showed increase in non-responders (p=0.059, p=0.07). In evaluation with total patients, median IL-10 levels between 1 week and 2 months, 1 week and 4 months showed decrease, which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nrences (p<0.01, p=0.011). Also, median IL-2 levels between 1 week and 4 months showed decrease, which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nrences (p=0.044). Median IFN-gamma levels of responder at 4 months was higher than those of non-responder groups,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nrence (p=0.042). Conclusion: The results in this study suggest that the level of IFN-gamma in the scales of alopecic patch obtained by non-invasive tool may be suggested as a mornitoring marker in AA patients who are intended to treat with topical DPCP.

      • PHR 기반 상황인지 시스템에서 기계학습 모델을 위한 학습데이터 생성 방법

        문종혁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사물인터넷과 더불어 의료 관련 디바이스가 발전하면서 기존보다 방대한 양의 PHR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에 상황인지 기술에 활용하기 위한 추상화 방법 이를 적용한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상황 정보는 수집 데이터의 추상화를 통해 얻어지며, 이는 상황인지에 직접적인 판단 기준으로 사용된다. 추상화는 복잡한 규칙이나 모델을 설계하는 개발과정이 요구되며, PHR 데이터는 더욱 많은 단계의 추상화 과정이 소요된다. 이러한 추상화 구조에 기계학습 기반의 모델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추상화 과정이 단순해질 수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시스템에 학습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모듈이 적용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계학습 기반 모델의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이는 기존 추상화 과정의 복잡한 개발환경 구조에 기계학습 기반의 모델을 사용하고 제안하는 학습 데이터 생성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추상화 단계에서의 개발과정이 단순화된다. 또한, 이를 통해 PHR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를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공할 수 있다.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medical devices along with the Internet, a large amount of PHR data has been acquired, and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provide customized health care services using context awareness technology. Situation-aware contextual information is obtained through abstraction of collected data, which is used as a direct criterion for context awareness. Abstraction requires a development process to design complex rules or models, and PHR data requires more abstractions. The abstraction process can be simplified by applying a machine learning-based model to the abstraction structure, but a module capable of generating learning data must be applied to the 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generate learning data of machine learning based model. This simplifies the development process at the abstract level by applying a machine learning based model to the complex development environment structure of the existing abstraction process and applying the proposed learning data generation method. In addition, PHR-based healthcare services can be provided based on reliable data.

      • 서비스 공급사슬의 시뮬레이션에 관한 연구

        문종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뮬레이션 모델링은 공급사슬에서 시스템의 설계와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방법론이다. 본 연구는 서비스 공급사슬의 시뮬레이션을 위한 개념적 모델의 설계를 목적으로 한다. 기존 공급사슬 시뮬레이션은 제조 공급사슬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서비스를 중심으로 다루는 공급사슬에 적용하기 어렵다. 이는 서비스 공급사슬의 개념적 모델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여, 시뮬레이션 모델 설계를 어렵기 만든다. 서비스 공급사슬의 시뮬레이션 설계에는 서비스가 갖는 다양한 형태와 가변성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공급사슬 시뮬레이션의 일반적인 모델을 도출하기 위한 객체지향 기법에 기초한 시뮬레이션의 개념적 모델 설계에 관한 절차를 제안한다. 객체지향 관점의 모델링은 복잡한 시뮬레이션 모델 설계에 있어서 매우 효과적이며, 방법과 구현단계를 잘 설명한다. 또한 설계된 개념적 모델을 이용하여 실제 모델 코딩에 ARENA?? 시뮬레이션 패키지 환경에서의 모델 설계 절차를 제안한다. 본 연구는 서비스 공급사슬 시뮬레이션을 다루는 최초의 연구로써 앞으로 연구될 서비스 공급사슬의 기초가 될 수 있으며, 제시된 시뮬레이션 모델과 구현 절차는 다른 연구자나 실무자가 참고하거나 재사용함으로써 서비스 공급사슬 모델링을 하는데 지침이 될 수 있다. In recen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service supply chain because the economy moves from manufacturing to services. However, most of existing supply chain research focuses exclusively on the manufacturing sector. To overcome this situation, it needs to investigate and analyze service supply chain. Simulation modeling is one of the mostly utilized methodologies for analysis and design of supply chain management system. Service supply chain has a variety of diverse structures. Consequently, it is harder to design a conceptual simulation model than a manufacture supply chain. In this paper, we develop service supply chain simulation models, based on object-oriented approach. Service supply chain takes advantage of programming an objective-oriented model to build up a conceptual model of simulation because of its diversity and changeability. Objective-oriented modeling has demonstrated an effective simulation design and the practical process. Especially, it is based on the UML analysis/design tools and on the ARENA�� simulation language. The two main features of the proposed procedure are the definition of a systematic conceptual procedure to design service supply chain models and of a set of rules for the conceptual model translation in an ARENA�� simulation language. The goal is to improve the knowledge on service supply chain management with the developed model and support the simulation model development efficiency on service supply chain.

      • 특허데이터 분석과 웹 검색 트래픽 분석을 통한 기술 트렌드 연구 : 데이터 마이닝 기술을 중심으로

        문종혁 高麗大學校 技術經營專門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특허데이터 분석을 통해 나타난 기술 트렌드와 웹 검색 트래픽 데이터의 트렌드 사이의 유의성을 확인하여 특허데이터 분석을 통해 나타난 기술 트렌드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최근 활발하게 진해되고 있는 특허데이터 분석의 경우 특허데이터의 특성 상 이를 등록하는 주체는 대부분 기업들이기 때문에 기업 입장의 기술 트렌드 데이터만이 반영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해당 기술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는 웹 검색 트래픽 데이터를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특허데이터 분석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가장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텍스트마이닝 및 주성분 분석을 통한 기술군집화 방법을 활용 하였으며 여기에 활용되는 데이터는 WIPS ON 사이트를 통해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 특허데이터 분석을 통한 공백기술 예측 결과에 대한 검증 방법으로 웹 검색 트래픽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 번째는 이번 연구에서는 데이터 마이닝 기술에 한정되긴 하였으나 특허 데이터 분석을 통해 얻어진 기존 기술과 공백기술에 대해 기존 기술에 비해 공백기술에 대한 검색어 트래픽이 증가하는 것을 통해 공백기술의 유의성을 검증할 수 있었으며, 두 번째는 특허 데이터 분석 과정에서는 확인되지 못했던 일부 공백기술을 오히려 웹 검색 트래픽을 통해 확인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기존 기업 주도의 특허데이터 분석을 통한 기술예측에 대한 검증 및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소비자 주도의 웹 검색 데이터 분석의 유의성을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향후 본 연구의 시사점과 결론을 보다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기술에 대한 분석 및 SNS를 포함한 다양한 웹 및 모바일 트래픽의 상대 비교로의 확대가 필요로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