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갈륨계 액상금속을 이용한 신축성 배선 회로 및 투명 전극층 구현에 관한 연구

        문유경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Ga 합금계의 액상 금속을 이용하여 전자 회로의 신축성 배선과 신축성 투명 전극을 구현하는 방법 두 가지 주제로 진행하였다. 여기서 Ga 합금계의 액상 금속을 새로운 패터닝 기법으로 배선 및 전극을 제작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패터닝 방법은 일반적으로 금속 박막에 적용되는 포토리소 공정과 lift-off 공정을 이용하였으며, 정교하고 high resolution의 미세한 패턴(∼20㎛)을 얻었다. 또한 elastomer 기판 위에 직접 전자 회로를 제작하지 않고, Si 기판 위에 회로 구현 후 희생층(PAA와 Parylene)을 이용하여 elastomer에 전사시키는 방법을 응용하였다. 이것은 elastomer 기판이 높은 온도의 공정에서 열 수축 및 팽창이 나타나기 때문에 정렬된 패턴을 얻으며 경화되지 않은 elastomer로 우수한 신축성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신축성이 있는 elastomer 기판 위에서 제작된 전자 회로와 메쉬 투명 전극을 제작하고 각각의 기계적 및 전기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PART 1> ‘Stretchable Thin-Film Transistors Using Liquid Metal Eutectic Gallim-Indim Interconnect’는 IGZO(InGaZnOx)를 이용한 산화물 TFT와 액상 금속 배선을 결합한 신축성 하이브리드 구조를 제작하였다. 산화물 TFT는 PI island 영역 위에 구현이 되었으며, 그 영역 밖은 액상 금속 배선이 TFT와 연결되었다. 따라서 인장하였을 때, PI island 영역 안의 TFT는 변형이 일어나지 않고 액상 금속은 기판과 함께 늘어난다. 결과적으로 strain 62%까지 인장하였을 때, TFT의 주요 특성인 ID-VG, threshold voltage(VT), mobility(µ) 그리고 subthreshold swing(S.S)은 거의 변하지 않은 안정적인 특성을 유지하였다. <PART 2> ‘Highly Stretchable and Transparent Mesh Electrode Using Ga-Based Liquid Metal’은 앞서 언급한 액상 금속 패터닝 방법을 적용하여 우수한 신축성을 가진 메쉬 투명 전극을 개발하였다. mesh의 선폭과 간격을 설정하여 최대 20㎛의 선폭까지 아주 정교하고 정렬된 패턴을 얻었다. 현재까지 연구된 신축성 메쉬 전극과 비교하였을 때, 유동적인 특성을 가진 액상 금속이기에 60%이상의 반복 인장으로 인한 stress가 거의 없다. 또한 낮은 저항으로 인해 전도성이 우수한 전극의 장점과 높은 투과도를 가진다. 그래서 mesh 구조의 parameter를 사용하여 투과도 및 저항의 경향성을 미리 파악하고, 실제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 값과 비교하였다. 결론적으로 액상 금속을 이용하여 우수한 신축성을 가진 배선과 전극을 연구 및 개발하였다. 또한 포토리소 공정과 lift-off 공정을 적용한 새로운 액상 금속을 패터닝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align이 가능한 전자 회로의 패턴과 높은 resolution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제시한 기술과 연구들을 통해 웨어러블 산업, 디스플레이, 전자 인공 피부(E-Skin), 등 미래 응용 산업에 활기를 불어 줄 것이라 예상된다.

      • 상징적 기호를 응용한 도자도형 연구 : 해와 달과 산을 소재로

        문유경 동덕여자대학교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은 예로부터 끊임없이 자신의 생각이나 사상, 감정등을 그 시대에 맞는 수단을 통해 표현해 왔고, 태어난 순간부터 온갖 기호속에 둘러싸여 있다고 할 수 있으며, 그 기호속에는 또한 많은 상징들이 내포되어 있다. 선사시대의 동굴벽화나 신석기 시대의 기하학적 문양들 그리고 고대의 그림문자나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문자들은 모두 인간의 내적, 외적인 표현수단으로 사용되어왔다. 오늘날 기호는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의 수단으로써 언어 다음으로 많이 쓰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눈에 알아 볼 수 있는 기호이든 아니든 간에 그 안에는 무엇인가를 상징하고 전달하려는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기호와 상징은 밀접한 관계라고 할 수 있으며 현대에 와서는 기호가 갖는 상징적 의미로 인하여 조형예술에 있어서 의미 전달의 수단이나 표현치 한 형식으로 채택되어 지고 있다. 기호와 상징은 현실이나 현상, 구체적인 것들을 추상적인 것으로 나타내는 매개역할을 하며 좀더 깊은 의미에서 본다면 이는 단순히 사물을 지시하고 전달하는 것 뿐만이 아니라 대상의 의미를 전달하고 그 속에는 좀더 깊은 인간의 의식이 내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작가의 내면세계를 표출하는 예술작품은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하나의 기호이며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클레(P.Klee)나 미로(J.Miro´)의 작품을 보면 상징적 기호예술을 통해 꿈과 환상의 세계를 추구하고 있으며 다른 모든 작품들도 작가 나름대로 사실적이거나 추상적으로 개인적 언어를 창조해 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의 감정을 표현하는 형식으로서의 예술작품의 기호는 언어체계와는 다른 상징을 통해 인식되어 진다. 랭거(S.K.Langer)는 예술작품을 하나의 기호로 보면서 그의 이론을 설명하고 있으며 작품을 상징의 형식으로 간주했다. 본 논문에서는 예술작품이란 상징을 표현함에 있어 체계화된 기호와 같은 개념으로 보는 이론적 배경하에 기호에 대한 일반론을 검토하고 평면적인 화면에서 뿐만 아니라 입체물에 있어서의 기호의 적용에 대해 논의 함으로써 조형언어가 지니는 상징적 의미와 기호적 기능의 가능성에 대해 접근하고자 하였다. 또한 자연물에서 나타나는 형상에 의미를 부여하여 기호화하고, 기호의 조형형식을 빌어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도자조형에 있어서의 기호와 그 가능성을 연구해 보았다. The pictograph, the geomentrical design in the Neolithic age, the wall painting in a cave in the prehistoric era, and the current letters have been used for expressing the human spirit. From the prehistoric age to the present, man have expressed his thought and emotion by means of symbols. Today, signs are often used for the communication next to the language. All signs implicate on intention to symbolize and transmit something. So signs and symbols have a close relation with each other. In the modern times, due to the symbolic significance which of communication and the form of expression in the formative art. Signs and symbols serve as a medium to change realitics of life, phenomena, and. the concrete into the abstract. Furthermore, signs and symbols not simply indicate the thing but transmit the meaning of the object and implicate the inside of human mind. In this point, the works of art which express the mind of artist are sorts of symbols and signs, and all of works are concrete or abstract personal language. The sign in works of art expressing emotion are recognized by symbol which is different from the language system. S.K.Langer and C.W.Morris explain the theory in the premise that all works of are signs and consider the works of art as a form of symbol. In the theoretical premise that the work of art is a systematized sign for the expression of symbol, I study the general theory of the sign, and the application of sign in formative art. Moreover, I intend to endow the meaning to the figure of the nature and symbolize it and produce the works by the formative mode of sign and study the process of making signs, and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formative sign in the ceramic art.

      • 식해의 이용실태 및 키토산 첨가 멸치식해의 품질특성

        문유경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1. Study on utilization and preference of Sikha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and preference of Sikhae from 385 living residents in the Daegu and Gyeongbuk areas. As a result of analyzing frequency, '3~4 times a year' showed the highest (32.7%), followed by 'one time a year'(22.3%), '1~2 times a month'(19.0%), '4~5 times a week'(9.9%), and 1~2 times a week(16.1%). Approximately 27.8% of respondents answered the they purchased Sikhae in mart. When purchasing Sikha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considered taste, kind and fish content. Knowledge rate scores for ‘Sikhae is traditional fermented foods’ and ‘Sikhae is favourite foods’ were highest, but ‘Sikhae is delicious’ were very low. Regarding knowledge of Sikhae, Gajami Sikhae score was the highest(84.9%), whereas preference was highest for Ojing-eo Sikhae(4.00). On the other hands, knowledge for ‘Myeongtae changja Sikhae’, ‘Holttaegi Sikhae’ were very low. Popularization rate scores for Sikhae were in the order of ‘hygiene’, ‘development of healthy functional Sikhae’, ‘improvement of taste’, ‘development of various product’ and ‘consider personal preference’. As a result, popularization of Sikhae was based on product quality factor and sales promotion factor significantly influenced development for Sikhae. To increase consumption of Sikhae, there is a need for hygiene, development of healthy functional Sikhae and various product. 2. Quality characteristics of anchovy Sikha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characterize anchovy sikhae according to pre-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for pH, total acidity, salinity, moisture, organic acids, amino acid, total viable lactic acid bacteria, sensory evaluation of anchovy sikhae during fermentation for 28 days at 20℃. The pH of sikhae,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FM was lowest. but acidity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The organic acid was highest in lactic acid, acetic acid. The amino acid analysis showed that the SDM was the highest and the highest in glutamic acid, lysine, leucine, increased during the fermentation. Lactic acid bacteria was increased during the fermentation, SDM was highest on 28th. In sensory evaluation, flavor liking, texture liking, appearance liking of SDM was highest. Based on the above results, using SDM(hot-air dried, 24 hr) would be appropriate for use in anchovy sikhae. 3. Quality characteristics of anchovy Sikhae added with chitos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tosa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anchovy Sikhae. Anchovy Sikhae containing 0.05-0.3% chitosan were stored at 20 ℃ for 4 weeks to test the effect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anchovy Sikhae by chitosan. The moisture content of anchovy Sikhae increased during the fermentation. The pH was decreased gradually, but acidity was increas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nchovy Sikhae increased as the amount of chitosan increased. The hunter’s color valued of anchovy Sikhae were increased during the fermentation. The L value, a value of anchovy Sikhae were increased by the increasing concentration of chitosan, but b value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addition of chitosan. Lactic acid bacteria was rapidly increased during the fermentation. In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the anchovy Sikhae with 0.1% chitosan showed the highest result in taste, flavor, overall acceptabillity. Therefore, anchovy Sikhae will be used as a funtional Sikhae with improved shelf-life by adding chitosan.

      • 도덕과 교육과정의 정보윤리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 중등학교 도덕교과를 중심으로

        문유경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우리는 인간의 주요 활동이 정보 통신 기술의 지원 하에 일어나는 정보사회에 살고 있다. 이러한 정보사회는 우리 삶을 다양하고 편리하게 해 줌으로써 우리 삶의 질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하기도 하였으나 그로 인한 문제점도 적지 않게 발생시키고 있다. 이에 이제 우리 사회에서는 기존의 윤리와는 또 다른 형태의 새로운 윤리가 요구되고 있다. 정보사회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물론 법과 제도, 기술적 방법 등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이것들은 정보사회의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는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해결 방법이 되기에는 좀 미흡한 측면이 있다. 사회 구성원들에 대한 정보윤리교육이 이에 대한 보다 확실한 대안이 될 수 있는데 특히 청소년 정보윤리교육의 필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을 것이다. 청소년들은 우리 사회의 미래이고 청소년기에 형성된 잘못된 가치관은 전 생애를 걸쳐 개인의 인생에 절대적 영향을 끼칠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 올바른 정보윤리교육을 할 때 그 시작은 정보 사회의 본질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부터 일 것이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은 정보 사회의 주체로서 올바른 자아 정체성을 확립하고 정보 사회에서 책임 있는 한 구성원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정보윤리교육을 할 때는 정보사회의 역기능만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교육이 아니라, 정보사회의 순기능과 역기능을 균형 잡힌 시각으로 인지하게 해 정보사회에 대한 진정한 이해와 도덕적 판단과 신념, 실천의지를 돕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 효과적인 정보윤리교육을 위해서는 학교에서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심리적 문제까지도 고려한 통합적인 접근을 통해 체계적이고, 반복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학교교육 중에서도 정보윤리를 제대로 교육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교과가 도덕교과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중등학교 도덕 교과에서 정보윤리를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도록 도덕 교과의 교육 방향과 내용, 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첫째, II장 정보윤리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정보사회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균형 잡힌 시각으로 보면서 정보사회의 현실을 직시하고자 하였고, 정보윤리가 무엇인지, 어떻게 발전되어 왔고, 또 어떤 식으로 접근해야 할 지, 어떤 기능을 해야 할 지를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정보윤리교육의 성격을 알아보고 올바른 목표와 내용체계를 설정하고자 하는 노력을 하였고, 정보윤리를 효과적으로 교육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둘째, III장 정보윤리교육의 현실에서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정보윤리교육에 대해 살펴보았다. 미국 등 정보 선진국의 정보윤리교육을 살펴보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정보윤리교육에 대해 알아보았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 실시되고 있는 정보윤리교육을 교과별로 분석해 보았다. 특히, 제7차 중등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정보윤리교육 내용을 상세히 분석해 보았다. 셋째, IV장 개정 교육과정 도덕 교과에서의 정보윤리교육에서는 개정 중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정보윤리교육 목표를 설정해 보고, 정보윤리 교육내용의 기준을 제시한 다음 그것을 토대로 개정 도덕교과 교육과정의 정보윤리 교육 내용을 구성해 보았다. 또한 이를 활용한 교수&#8228;학습 과정안을 통해 효과적인 교육 방법을 고민해 봄으로써 중등 도덕과 교육에서 정보윤리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올바른 정보윤리교육을 통해 이 시대 청소년들이 정보사회의 진정한 윤리적 인간이 될 때만이 이상적인 정보 사회가 이룩되고 우리 사회 구성원 모두가 진정한 자유와 행복을 누릴 수 있게 될 것이다.

      • 키토산 김부각의 품질특성 및 저장성

        문유경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rics of Korean traditional food, Kimbugak prepar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chitosan. Moisture contents of glutinous rice paste was lower as the additive increased. As the chitosan content increased, pH was decredsed and acidity was increased. 2,2-diphenyl-1-picryl hydrezyl(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improved significantly the addion of the chitosan. L values decreased as the level of chitosan increased. Color a and b values were lowest in the control group. The viscosity of the glutinous rice paste was the highest viscosity in the sample with 0.1% chitosan. The Kimbugak, stored at 25℃, was the then examined for its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life. Oil absoption rate of the control group was 54.54%, whereas chitosan Kimbugak ranged from 23.38~35.75%. As the amount of added chitosan increase, moisture decreased, as storage period increased. pH decresed, and acidity increased as the amount of added chitosan increase. DPPH radical acavenging activity was improved significantly the addion of the chitosan. During storage, Chitosan Kimbugak was the examined for its antioxidative effect. After the oil was extracted from Kimbugak, acid value, peroxide value and TBA value were found have and antioxidative effect in order of chitosan 0.01~ 0.1% Kimbugak. Color L value decreased, but a and b values increased significantly, as storage period increased. Hardness of the control group was 16.85, whereas chitosan Kimbugak ranged from 36.43~47.63, as storage period increased. Sensory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0.05% and 0.1% chitosan Kimbugak were higher than the others. chitosan 0.05% Kimbugak and chitosan 0.1% Kimbugak, were the highest value on oily taste, savory taste, after swallowing, overall acceptability which suggest the possibility of chitosan Kimbugak with improved sensory characteristics.

      • Exploiting Excited-State Processes of Organic Molecules

        문유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15

        Part II Phosphorescent Pt(II) complexes having tetradentate ligands have emerged as promising dopant materials for use i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due to high efficiency and stability. One drawback that retards the full exploitation of their electroluminescence is a strong propensity for bathochromically shifted emissions. The chromic shift results from intermolecular association. Molecular strategies that avoid the intermolecular interactions are needed, particularly for producing blue electrophosphorescence. We have designed and synthesized a series of sky-blue-phosphorescent cycloplatinate complexes having symmetric bis(1-pyrazolylphenyl)methane tetradentate ligands (PtSN1-3). The ligands have been systematically modified to incorporate methyl substituents at different positions of the pyrazole moieties (PtSN1, no methyl substituent; PtSN2, 4-methyl substituents; PtSN3, 3-methyl substituents) with the aim of preserving sky-blue phosphorescence while suppressing intermolecular interactions. The synthetic modifications control the extent of out-of-plane distortions in the cycloplatinate scaffold. Excimer emission is obtained from PtSN1-2 of planar platinacycles in diluted solutions (10 uM) or in thin mCBP:TSPO1 (8 wt %) films (1:1, wt/wt; mCBP = 3,3-di(9H-carbazol-9-yl)biphenyl; TSPO1 = diphenyl(4-(triphenylsilyl)phenyl)phosphine oxide) due to strong spontaneous excimer formation with free energy changes of -4.4 to -3.1 kJ/mol. By contrast, helically distorted PtSN3 is capable of preserving its inherent sky-blue phosphorescence in concentrated states as it effectively suppresses excimer formation. An additional benefit of our synthetic control is improved stability against degradation for PtSN3. Finally, electroluminescence performances was evaluated by constructing and analyzing multi-laye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employing the PtSN complexes as dopants. As expected, the PtSN3 devices produced sky-blue electrophosphorescence with a Commission Internationale Internationale de l'Éclairage coordinate of (0.16, 0.24) and a peak external quantum efficiency of 8.5%. The electrophosphorescence spectra of the PtSN1-2 devices were contaminated with excimer luminescence. These results collectively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helical distortion approach for obtaining blue electrophosphorescence. We hope that our research will aid the future development of Pt(II) complexes that are useful in blue-emitting devices. PartIII Exploitation of the full potential of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OLEDs) based on thermally activated delayed fluorescence (TADF) is retarded by short operational lifetime. The poor device stability results from intrinsic degradation of organic materials. We establish a quantitative model of OLEDs which involves the formation of radical ion pair between host and TADF dopant molecules as the key degradation step. Investigations based on combined experimental and quantum chemical techniques were performed. The studies yielded the key kinetic parameter in each step of our degradation mechanism. Numerical simulation of our model successfully predicts the operation lifetimes of TADF OLEDs. We believe that our model should be useful for improving longevity of OLEDs. Part IV An unprecedented approach to the generation of an N-centered radical via a photocatalytic energy-transfer process from readily available heterocyclic precursors is reported, which is distinctive of the previous electron transfer approaches. In combination with singlet oxygen, the in-situ-generated nitrogen radical from the oxadiazoline substrate in the presence of fac-Ir(ppy)3 undergoes a selective ipso addition to arenes to furnish remotely double-functionalized spiro-azalactam products. The mechanistic studies provide compelling evidence that the catalytic cycle selects the energy-transfer pathway. A concurrent activation of molecular oxygen to generate singlet oxygen by energy transfer is also rationalized. Furthermore, the occurrence of the electron transfer phenomenon is excluded on the basis of the negative driving forces for one-electron transfer between oxadiazoline and the excited state of fac-Ir(ppy)3 with a consideration of their redox potentials. The necessity of singlet oxygen as well as the photoactivated oxadiazoline substrate is clearly supported by a series of controlled experiments. Density functional studies have also been carried out to support these observations. The scope of substrates is explored by synthesizing diversely functionalized cyclohexadienone moieties in view of their utility in complex organic syntheses and as potential targets in pharmacology. Part V Tri(9-anthryl)borane was successfully applied as an organophotocatalyst for the visible-light-induced trifluoromethylation of unactivated alkenes with CF3I. The mild reaction conditions tolerated a variety of functional groups, and the reaction could be extended to perfluoroalkylations with C3F7I and C4F9I. Mechanistic studies revealed that the photoredox catalysis involves an oxidative quenching pathway. 본 연구는 들뜬 상태의 분자 간 전자 전달 또는 에너지 전달 현상을 이용하여 디바이스 및 광촉매 매커니즘을 연구한 내용이다. 1장에서는 전반적인 연구 내용을 뒷받침하는 전자 전달 메커니즘과 들뜬 상태의 에너지 전달 메커니즘 이론에 대해 설명하고 이 현상이 적용된 유기 발광 소자와 광촉에의 원리에 대해 설명하였다. 광 조사를 통해 생성된 들뜬 상태의 분자는 바닥 상태의 분자에 비해 높은 에너지를 가지게 된다. 이 에너지를 통해 다양한 광물리적 또는 광화학적 반응이 빠르게 일어날 수 있다. 전자 전달 현상은 전자 주개와 전자 받개 사이에서 전자가 전달되는 현상이다. 이 현상은 유기 발광 소자의 전하 운반체의 주입과 물질 열화를 일으키는 중요 현상이며, 광촉매의 산화 및 환원 반응을 가능케 한다. 다음으로 에너지 전달 과정은 높은 에너지의 분자로부터 전자 교환 상호작용 또는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을 통해 다른 분자로 에너지가 전달되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전달 현상의 이론은 세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에너지 전달 과정은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층에서 도펀트 발광을 일으키는 주요 현상이며 다양한 바이오 광촉매의 작동 원리가 된다. 이 전반적인 메커니즘은 1장에 요약하였다. 2장에서는 유기 발광 소자의 청색 발광 물질로써 고리금속화 백금 착제물을 개발한 내용이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청색 사각 평면 백금 착제물을 개발하였다. 4배위 백금 착제물은 사각 평면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분자간 상호 작용이 잘 일어나게 된다. 이로 인해 에너지적으로 안정한 엑시머 또는 응집체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낮은 에너지종의 발광으로 인해 색순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해 대칭의 4배위 리간드를 기반으로 백금 배위 구조에 입체 장애를 도입함으로써 평면 뒤틀림을 유도했다. 이러한 구조적 접근은 고유의 청색 인광을 유지하며 엑시머의 형성을 막을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이 청색 도펀트를 도입한 유기 발광 소자로부터 우수한 청색 발광이 구현되었으며 본 연구를 통해 백금 착제물을 기반한 색순도 높은 청색 인광이 가능함을 제시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열활성화지연형광(thermally activated delayed fluorescence, TADF) 발광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의 분해 거동성을 예측하고 정량 가능한 분해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모델은 도펀트와 호스트 간 여기 상태 전자 전달로 인해 생성되는 폴라론쌍을 핵심 분해 중간체로 포함한다. 발광층 분해의 정량 모델링을 위해 Langiven 혹은 ShockleyReadHall 전하 재결합 속도 상수 및 전자 또는 에너지 전달의 각 단계 반응 속도 상수를 다양한 광학적 분석을 도입하여 직접 결정하였다. 지배 미분방정식을 구성하고 수치 모델링을 통해 실제 소자 수명을 이론적으로 예측할 수 있었으면 본 연구를 통해 유기 발광 소자 발광층 수명 예측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기대된다. 4장에서는 에너지 전달 기반 광촉매를 이용한 이종 고리 화합물 다중 작용화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이리듐 및 백금 전이 금속 착제물을 긴 여기 수명을 가지기 때문에 주변 분자와의 효과적인 에너지 전달이 가능하다. 이 반응에서는 다중 Dexter 에너지 전달 과정이 핵심원리로 작용한다. 이의 규명을 위해 다양한 시분해 분광학법을 활용하여 인광성 이리듐계 분자로부터 기질과 산소 분자로의 다중 에너지 전달을 규명하였다. 이는 기능성 분자가 합성화학, 의화학 분야에 사용되는 복잡한 유기 화합물 합성에 응용된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5장에서는 여기 상태 전자 전달 기반 유기 광촉매를 이용한 trifluoromethylation 반응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순수 유기 광촉매인 tri(9-anthryl)borane 을 이용하여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통한 반응을 보고하였다. 다양한 작용기를 가진 반응물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히며 반응론적 분석을 통해 광촉매로부터 산화성 촉매 반응이 일어난 다는 것을 밝혔다. 이는 tri(9-anthryl)borane 의 광촉매 반응이 다른 유용한 변환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붕소 기반 유기 광촉매의 발전에 큰 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