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옥정호 수환경인자에 의한 식물성 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분포특성 연구

        문예은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Reservoirs form stagnant water bodies due to their hydraulic properties. Thus, water quality problems such as eutrophication and algal bloom can occur. In the Okjung reservoir, algae growth may also occur due to changes in nutrients and various environment fact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ress algae growth and occurrence through water quality management, including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stat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status and the trend through the results of the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of Okjung reservoir. By analyzing the water quality and algae, we tried to find out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Okjung reservoir. In addi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factors influencing algae growth. As a result of the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the T-N and T-P concentrations showed different trends in the results of the river and lake measurement networks. The concentration change in the river monitoring network was greater than that in the lake because it was affected by rainfall directly. T-P, TOC, and COD showed similar tendencies because particulate phosphorus flow into water body with pollutants due to rainfall. The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ree points in the river and five points in the lake in 2017 and 2018. Water quality factors such as SS, organic factors and nutrients were found to be affected by inflow due to changes in rainfall. In particular, the concentration change of the upstream inflow was affected by the rainfall from the non-point source of pollution. T-P came in the form of particulate phosphorus and was unable to move relatively far, and the concentration near the upstream inflow river was high. On the other hand, T-N came in the form of dissolved nitrogen and as it accumulates after moving, it showed a higher concentration near the dam than the inflow river. N/P ratio was observed to be P-limited condition in both the monitoring network and the water quality analysis. As a result of the TSIKO, most of the analysis was found to be a mesotrophic condition. The phytoplankton community was found to be mainly composed of diatoms during the study perio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2017 and 2018 identified 4 component that explained 74.6% and 78.3% respectively. In 2017, these components were attributed to change of meteorological and environment factor(40.4), growth of phytoplankton by inflow of organic matter and particulate phosphorus(17.0%), concentrated precipitation in the summer(11.2%), environmental changes causing growth of cyanobacteria(8.0%). In 2018, these components were attributed to change of meteorological and environment factor(34.7%), growth of phytoplankton by inflow of phosphorus(21.6%), environmental changes causing growth of cyanobacteria(12.0%), meteorological condition(9.9%). As a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clusters were classified based on location characteristics in 2017.In 2018, clusters were classified into stream and lake sites but there was no distinction between lake sit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P management is necessary because it acts as a limiting nutrient among water quality factors. And the upstream inflow river has a large change in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s and organic matters entered as the flow rate chang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growth of algae by managing the water quality of upstream inflow river.

      • 자발적 고독의 시간 표현 연구 : 정원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문예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자발적 고독에 대해 탐구한 과정을 정원 속 식물로 은유해 표현한 조형적 연구이다. 연구자는 자아에 대한 고찰의 방법으로 내면의 감정을 돌아보고 치유함으로써 올바른 자아로 성장하는 시간을 ‘자발적 고독의 시간’이라 하였다. 연구자는 이러한 고독의 시간을 정원 속 식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빠르게 흘러가는 일상 속에서 우리는 수많은 경험을 하고 많은 생각과 감정을 느끼며 지나보낸다. 경험들로부터 나온 감정은 부정적 혹은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자아를 자라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자는 지나간 내면의 감정을 살피고 보듬어주는 긍정적 시간은 올바른 자아 확립에 큰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연구를 통해 자발적 고독의 시간이 주는 의미를 분석하고 조형적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이론적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해 첫째, 고독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고 둘째, 정원의 의미와 자아를 형성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셋째, 정원의 조형성을 다양한 작품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주제에 대한 표현 가능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작품 표현을 위한 제작 방식에 대한 연구로는 자수와 페인팅으로 표현한 작품 사례를 연구하였으며 중첩 방식의 공간 구성 사례 작품을 알아보았다. 또한 색채를 통한 시각적 표현 방법을 분석하였다. 작품 제작을 위해 드로잉으로 먼저 작업 구상을 하였다. 기억과 감정의 중첩을 표현하기 위에 첫 번째 레이어에 페인팅으로 기억의 형상을 재현하고 후에 감정을 자수를 통해 형상화하였다. 또한 기억의 축적을 표현하기위해 투과성이 있는 소재를 택하여 중첩 효과를 주었다. 이는 감정들이 쌓여 얽힌 복잡한 심리를 중첩으로 나타내기 적합하다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를 토대로 하여 총 6개의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자수와 페인팅을 투과성이 있는 소재로 중첩함으로써 그 사이에 공간을 주어 예술적으로 연출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품 제작 과정을 통해 연구자는 자발적 고독의 시간을 통해 경험으로부터 나온 감정을 다시 돌아보고 깨달음으로써 자아를 긍정적으로 형성해가는데 도울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를 예술로 표현함으로써 고독 속 성장을 통해 나아가 타인과 더 나은 소통과 조화를 이룰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This paper is a formative study that metaphorically describes the process of exploring spontaneous solitude as a plant in garden. The time to grow into a right self by looking back and healing inner feelings in a way that concerns the self is called the time of spontaneous solitude. And it is expressed as a plant in garden. In the daily life, people have numerous experiences and pass through many thoughts and emotions. Emotions from experiences play a role in bringing up the self with negative or positive effects. The researcher believed that positive time to examine and care for past inner feeling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establishing the right self. Thus, the researcher intended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time of spontaneous solitude and state it in a formative way through this research. Theoretical research seeks to consider the understanding and necessity of solitude through literature studies and study how gardens affect self-forming. The researcher also wanted to check the possibility of manifestation of the topic by looking at the sculptural nature of garden through various works. As a study of the method of production for the expression of works, the researcher not only studied examples of works expressed in embroidery and painting, but also looked at works with examples of spatial composition of overlapping methods. Furthermore, visual representation methods were analyzed through colors. The drawing was the first step of the production. Above indicating the overlay of memory and emotion, the first layer was painted to visualize the shape of the memory, and later the emotion was depicted through embroidery. A penetrating material was chosen to actualize the accumulation of memory, which gave an overlapping effect as well. This was because overlapping technique was suitable to embody the complex psychology of mixed emotions. Based on this, a total of six works were produced, and by overlapping embroidery and painting with penetrating materials, the researcher wanted to create an artistic production by giving space between them. From this process of production, the statement of ‘Looking back and understanding the emotions from spontaneous solitude could form one’s mind positively’ was confirmed. Also, articulating this in an artistic way, a better communication and harmony with others could be done by going through the growth in solitude.

      • 근현대시기 한국 여성의 수공예 실천과 그 의미변화

        문예은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자수, 침선, 매듭과 같은 여성 수공예는 여성이라면 갖추어야 할 솜씨로 여겨져 왔다. 아름다움을 더하기 위한 장식적인 목적, 계급과 신분을 나타내기 위한 기준으로 일상에서 사용되었던 것이 이제는 보존하고 기록해야 할 우리나라 전통문화가 되었다. 그리고 개별적인 전통 공예 예술 중의 하나로 인정받아 국가의 정책적인 보호와 관리를 받고 있다. 여성들은 자신의 수공예 기술로 국가무형문화재가 되기 위해 노력한다. 하지만 여성들이 처음부터 문화재가 되기 위해 수공예를 시작한 것은 아니었다. 생활용품을 자급자족하기 위해 여성이라면 익혀야 했던 ‘일상’인 수공예는 일제강점기기와 경제개발·산업화시기를 거치며 ‘기술’로 거듭나게 된다. 일제강점기에 여성 수공예는 여성이라면 받아야 할 정규 교육이 되었다. 학술 분야 중 하나로 공부할 수 있는 대상이 되고 외국 유학까지 가능한, 여성에게 사회적 지위를 부여하는 수단이 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제개발 시기는 해방, 6·25전쟁, 군사정변 등 굴곡의 역사를 거치고 빠른 시간 내에 이루어졌다. 교육에서 소외되었던 여성들은 생업전선에 내몰리게 되었고, 여성 수공예는 여성들에게 일자리를 잡고 소득을 창출할 수 있는 수단이 되었다. 수공예 기술은 경제개발시기 학력이 단절된 여성들에게 주어진 유일한 기술이었고, 여성에게 가장의 역할을 해냈다는 자부심을 심어주었다. 일생을 바쳐 수공예를 했던 여성들은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기 시작한다. 할머니와 어머니에게 솜씨를 배우는 여성 전승 공예의 특성이 가미되어 수공예 자체가 여성 자신의 존재 가치를 입증할 수 있는 수단으로 발전한다. 그리고 현재 여성들은 국가에서 인정하는 무형문화재가 되기 위해 노력한다. 이러한 사고의 변화에는 수공예가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유산으로 새롭게 자리매김하게 된 배경적 요인이 있다. 이 연구는 여성 수공예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 공예로 인정받을 수 있었고, 그 변화 속에서 여성들은 어떻게 반응하고 실천했느냐를 보여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학령기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문예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및 경상북도에 위치한 3곳의 초등학교 4, 5학년에 재학 중인 307명의 남녀 초등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질문지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은 Fabes, Eisenberg와 Bernzwieg (1990)의 CCNES(Cop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 Scale)를 수정·보완한 안효민(2013)의 척도를,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최경순(1992)의 아버지 양육참여도 척도를 임지희(2014)가 수정·보완한 척도를, 그리고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은 Shields와 Cicchetti (1995, 1997)의 ERC(Emotion Regulation Checklist)를 수정·보완한 안효민(2013)의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변인들 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고, 단순 및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체 아동의 경우, 첫째,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이 지지적일수록 아동은 긍정적으로 정서를 조절하였고, 비지지적일수록 불안정/부정적 정서를 나타냈다. 둘째, 아버지가 자녀양육에 참여할수록 아동의 적응적 정서조절능력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아동의 적응적 정서조절에는 어머니의 지지적 반응과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아동의 불안정/부정적 정서에는 어머니의 비지지적 반응만이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남녀 아동의 경우, 첫째, 남아와 여아 모두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이 지지적일수록 적응적으로 정서를 조절하였고, 비지지적일수록 불안정/부정적 정서를 나타냈다. 둘째, 남아와 여아 모두 아버지가 자녀양육에 참여할수록 적응적 정서조절능력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남아는 어머니의 지지적 반응과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적응적 정서조절에 영향을 미쳤으나, 여아는 어머니의 지지적 반응만이 긍정적 정서조절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각각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함으로써,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대한 부모역할의 중요성을 재확인하였으며, 특히 주 양육자로서 어머니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또한, 부모의 양육행동이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차를 확인함으로써,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남아의 적응적 정서조절능력에 더욱 더 중요하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학령기 자녀의 부모 대상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아버지 양육참여를 독려하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father's participation in the care of their children on emotion regulation in middle childhood. Participants were 307 4th and 5th graders (170 boys and 130 girls) attending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Gyeongbuk province. Children completed questionnaires regarding their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Cop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 Scale: CCNES), father's participation in the care of their children, and their own emotion regulation (Emotion Regulation Checklist).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2.0 program, including t-test, correlation, and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s for all children, first, mother's supportive reactions influenced children's adaptive emotion regulation and nonsupportive reactions influenced children's lability/negativity. Second, father's participation in the care of their children influenced only children's adaptive emotion regulation. Finally, both mother's supportive reactions and father's participation in the care of their children influenced children's adaptive emotion regulation. As for boys and girls, first, mother' supportive reactions influenced children's adaptive emotion regulation and nonsupportive reactions influenced children's lability/negativity. Second, father's participation in the care of their children influenced only children's adaptive emotion regulation. Finally, for boys, both mother's supportive reactions and father's participation in the care of their children influenced children's adaptive emotion regulation. For girls, however, only mother's supportive reactions influenced children's adaptive emotion regulation. In conclusion, both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father's participation in the care of their children influence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arental roles o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Comparing relative influences of the two variables, this study emphasizes mother's roles as the caregivers. Moreover, this study confirms the gender difference that father's participation in the care of their children is more important to boys' emotion regul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emphasizes developing co-parenting education and programs for enhancing fathers’ participation.

      • 청소년기 인격형성을 위한 음악교육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 J. Piaget의 인지발달이론을 중심으로

        문예은 부산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악교육은 인간에게 음악의 경험을 닿게 하여 더욱 전인격적이고 풍요로운 삶을 살아가는데 도움을 주는 참교육을 의미한다. 즉, 다른 교과의 교육보다도 음악교육이 미적 가치뿐만 아니라 인간성 함양을 위한 조화로운 생활교육의 총괄적인 교육을 뜻한다. 음악교육은 전인격을 갖추기 위한 성장과정에 있는 청소년들에게 큰 영향을 끼치므로 매우 중요한 과목이며, 바람직한 음악교육은 청소년들의 조화로운 인격형성을 가치롭게 만드는 것이다. 이처럼 음악교육은 그 자체로서의 중요성과 당위성을 충분히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 학교 교육현장에서는 그 중요성이 고려되지 않아 정상적인 음악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현재 학교교육에서는 인성교육을 무시한 채 입시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청소년들의 정서와 문제점을 초래한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주입식 교육방식과 입시위주의 교육이 청소년들의 인격형성에 좋은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으면서도 교육학자들은 음악교육의 소중함과 절실함에 대해 부각시키지 않고 있는 것이 현 교육의 문제점이다. 이에 본 논문은 음악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여 현재 제자리를 잃어가고 있는 음악교육의 당위성에 대해 다시금 되새기며 음악교육이 청소년기의 바람직한 인격형성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음악교육의 역사적 배경과 철학적, 미학적 관점을 통해 음악교육의 당위성에 대해 제시하고,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을 바탕으로 시기별 청소년기의 특징과 이를 적용한 중학교 음악 창작 영역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이 미디어를 통해 양적으로만 음악을 접하는 것이 아닌 질적으로도 우수한 학교 음악교육을 통해 인격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이 끼치는 이유와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Music Education allows humans to reach music and live a fuller life along with having an accomplished personality. It means that music education, compared to other subjects, is the de facto harmonious lifestyle education that fosters not only aesthetic values, but also humanness. Music Education heavily influences teenagers who are in a growth period to attain a whole personality and desirable music education makes their formation of personality valuable. Even though music education has the significance and justification all by itself, the current school system does not consider its importance and thus normal music education does not take place.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ignores building character but focuses on college entrance exam, so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it causes emotional issues within adolescence. The problem is that, despite knowing that education focused on rote memorization and college entrance has negative effect on adolescent students and their personalities, educators do not emphasize the importance and desperation of music education. This paper attempts to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music education so that we can think once again of its justification and utilize it to help teenagers shape a healthy personality. Thus, after present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music education and the justification from a philosophical and aesthetic aspect, we developed a teaching-learning plan in the creation area based on Piaget’s theory of cognitive development that takes into account adolescence characteristics. In these regards, we present the reason and method of the positive effect that high-quality school music education can have in building a personality compared to the large amount of music teenagers receive from the media.

      • 어머니 양육태도와 아버지 양육참여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문예은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변하는 지식정보화 시대의 유아들에게 가장 필요한 능력은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 잘 적응하는 융통적인 적응 능력이다. 자아탄력성은 융통적인 적응을 위한 요소로,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적응차원의 심리적 자원이다. 자아탄력성은 유아가 태어나 최초로 맺게 되는 부모와의 관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 양육태도와 아버지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의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3세~5세 유아의 어머니 262명으로부터 수집된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측정도구로 어머니 양육태도는 박성연과 이숙(1990)의 양육행동검사와 Block (1984)의 Child Rearing Practices Report를 수정·보완한 류현강(2007)의 척도를, 아버지 양육참여도는 이영환, 이진숙, 조복희(1990)의 생산적 아버지 노릇의 척도를, 유아 자아탄력성은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를 사용하였다. 어머니 양육태도의 하위요인으로는 애정적, 거부적, 과보호적, 일관적 양육태도가 포함되며, 아버지 양육참여는 발달적지지, 돌보기 및 지도, 함께하는 활동의 세 가지 하위요인을 포함한다.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대한 어머니 양육태도와 아버지 양육참여도 각 하위요인들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한 결과, 첫째,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는 아버지 양육참여의 모든 하위요인과 상호작용하여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 점수가 높으면서 동시에 아버지의 양육참여 각 하위영역의 점수가 높을 때 유아의 자아탄력성 점수가 더욱 높아지는 상호작용효과를 보였다. 둘째, 어머니 거부적 양육태도의 경우, 아버지 양육참여 중 함께하는 활동 요인과만 상호작용효과를 보였다. 이는 어머니가 거부적 양육을 보이더라도 아버지가 자녀와 함께하는 활동에 많이 참여하는 것이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아버지 양육참여의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어머니의 일관적 양육태도는 아버지 양육참여의 모든 하위요인과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대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영향이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특히 어머니 양육태도와 아버지 양육참여의 하위요인별로 모든 상호작용을 분석함으로써 유아의 자아탄력성 향상을 위한 보호요인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제언을 가능하게 한다.

      • 여대생의 출생순위와 자아분화의 관계 : 지각된 어머니 양육태도의 중개효과

        문예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여대생의 형제지위가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와 통제적 양육태도에 대한 지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지각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여대생의 출생 순위와 자아분화의 관계를 중개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는 제석봉(1989)이 제작한 자아분화 척도와 Parker의 부모-자녀 결합 형태검사지(PBI: Parental Bonding Inventory)이다. PBI는 송지영(1992)이 번안하여 표준화하고 문경주, 오경자(2002)가 수정한 문항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여대에 재학 중인 543명이었으며, 자료는 SPSS 12.0 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 지각된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태도, 자아분화는 출생 순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맏이가 둘째보다 어머니를 유의하게 더 애정적이라고 지각하였으며, 둘째는 맏이보다 어머니를 유의하게 더 통제적이라고 지각하였다. 또한 맏이가 둘째보다 더 자아분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정적 양육태도에 대한 삼원분산분석 결과, 출생 순위와 형제간 연령차의 이원 상호작용효과만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출생 순위와 형제 연령차는 각각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에 대한 지각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서로 상호작용하여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에 대한 지각에 영향을 주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형제간 연령차가 5세 이상인 경우에만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를 지각함에 있어 출생 순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 둘째가 맏이보다 어머니를 더 애정적으로 지각하였다. 통제적 양육태도에 대한 삼원분산분석 결과, 출생 순위의 주효과와 출생 순위, 형제 성별, 형제 간 연령차의 삼원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둘째일수록 어머니를 더 통제적으로 지각하였으며, 형제 성별과 형제간 연령차는 각각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태도에 대한 지각에 효과를 미치지는 않았지만 출생 순위와 상호작용하여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에 대한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적 양육태도에 대한 단순 상호작용효과의 분석 결과 둘째의 경우 형제의 성별과 연령차 간에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 둘째이면서 형제와 연령차가 2세 이하인 집단과 둘째이면서 형제와 연령차가 3-4세인 집단에서 각각 형제의 성별에 따라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태도에 대한 지각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둘째의 경우 손위 형제와 연령차가 4세 이하일 때 오빠보다는 언니가 있을 경우 어머니를 더 통제적으로 지각하였다. 그러나 둘째이면서 형제와의 연령차가 5세 이상일 때는 형제 성별의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지각된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태도는 출생 순위와 자아분화의 관계를 완전중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일수록, 어머니를 통제적으로 지각할수록 낮은 자아분화 수준을 보였으며 출생 순위는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에 대한 지각을 거쳐 자아분화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둘째의 자아분화가 더 낮게 나타난 것은 둘째가 어머니를 더 통제적으로 지각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1) sibling status effects on the perception of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 and (2)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hild-rearing attitude of moth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irth order and differentiation of self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were 543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using two kinds of questionnaires on differentiation of self, and perceived child-rearing attitude of mother. Data was analyzed by t-test, three-way ANOVA, and three step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significant birth order difference in percerved mother's love, perceived mother's control, and differentiation of self. Firstborns percieved their mother more loving, and less controlling than second-born students, and firstborns showed higher degree of differentiaion of self. Second, there was interaction effect between birth order and sibling age spacing on perceived mother's love. Second-born students perceived their mother more loving than first-born students when the age spacing was more than 5 years. Also, the main effect of birth order and three-way interaction of birth order × sibling sex × age spacing on percieved mother's control were significant. Second-borns generally reported higher control of their mother, and when the age spacing was less than 4 years, second-borns having older sister perceived their mother more controlling than second-borns having older brother. Third, perceived mother's control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irth order and differentiation of self. Being second-born and reporting mother's higher control predicted lower differentiation of self, and birth order had an indirect effect on differentiation of self through the perception of mother's control. Therefore, the result that second-borns showed lower separate sense of self can be explained by their higher perception of mother's controlling attitude.

      • 감사성향이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을 통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대인외상 후 고통을 경험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문예은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경험하는 대인외상 고통의 정도를 파악하며, 개인의 정서적 특성인 감사성향이 인지적 특성인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을 매개하여 외상 후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감사성향이 외상 후 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았으며, 또한 감사성향이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을 매개하여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국의 대학생 약 39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문을 사용하였으며, 특별히 대구 지역에 소재한 1개의 대학교의 3개의 교양수업에서 오프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으로 202명이 응답하였으며, 오프라인으로 190명이 응답하였다. 그 중에서 외상 사건이 없다고 보고한 25명의 자료와 불성실한 응답으로 간주된 27개의 데이터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절단점 미만으로 보고된 104명의 응답을 제외하여 총 236명의 자료만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주요 변인에 사용된 척도는 각각 대인간 스트레스 사건 경험 질문지, 사건충격척도, 인지적 정서전략 척도, 외상 후 성장 척도이다. 감사성향이 외상 후 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차례대로 기술통계, 피어슨의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과 소벨 테스트를 통해 검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장 많은 대학생들이 경험한 대인 간 외상 경험은 대인관계문제(절교,이별,실연)이 43.6%로 나타났으며, PTSD 없는 그룹은 104명, PTSD가 있는 그룹은 236명으로 나타났다. 이 중, 사고충격척도에서 17/18점 이상을 보고한 그룹만을 연구에 사용하였다. 둘째, 감사성향은 외상 후 성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주는 정서적 변인인 감사성향의 영향력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은 감사성향의 영향으로 인지적 특성이 높아져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감사성향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외상 후 성장을 긍정적으로 일으킬 수 있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외상 후 스트레스의 심리적 어려움을 예방 및 완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이후 대학생의 대인 간 외상 스트레스를 예방 및 보완하며, 외상 후 성장의 치료모델을 개발할 수 있겠다. 또한 대인 간 외상 경험 이후 보다 적응적인 일상을 영위하기 할 수 있게 도울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제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egree of interpersonal trauma pain experienced by college students and to verify how audit propensity, an individual's emotional characteristic, affects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First, in this study, based on previous studies, it was assumed that audit propensity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and that audit propensity would mediate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To verify this, it was conducted on about 392 college students nationwide. Online and offline surveys were used for the survey, and offline surveys were conducted especially in three liberal arts classes at one university located in Daegu. As a result, 202 people responded online, and 190 people responded offline. Among them, only 236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excluding 25 data reported that there were no trauma events, 27 data considered insincere responses, and 104 responses reported below the post-traumatic stress cut point. The scales used for the main variables are the human stress event experience questionnaire, event shock scale, cognitive emotional strategy scale, and post-traumatic growth scale, respectively.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dit propensity and post-traumatic growth, and then verifi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interpersonal trauma cases most frequently experienced by college students were interpersonal problems (breakup, separation, and demonstration), while PTSD tendency with 17/18 as the cutting point was 14.4%, and Full PTSD with 24/25 as the cutting point was 85.5%. Second, it was found that audit propensity had a direct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of audit tendency, an emotional variable affecting post-traumatic growth, was large. Third, adaptive cognitive and emotional control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dit tendency and post-traumatic growth. Both indirect and total effect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showed complet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dit propensity and post-traumatic growth. Finally, audit propensity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ppeared as important variables that could cause post-traumatic growth, and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an prevent and alleviate psychological difficulties in post-traumatic stres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possible to develop a post-traumatic growth treatment model for college students later, and it will help them continue a stable life with various integrated ways to lead an adaptive life after trauma experience. Finally, the limitations and proposal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근대문화유산을 둘러싼 담론의 변화 : - 군산시를 중심으로 -

        문예은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근대문화유산을 둘러싼 담론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근대문화유산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낡고 오래되어 도시 곳곳에 버려져 있던 근대 건축물들이 문화재로 사람들의 주목을 받게 되면서 부터이다. 식민지배 기간 동안 일제의 주도 아래 만들어진 근대 건축물은 수치의 증거물로 여겨져 철거되거나 재개발 아래 사라지기 마련이었다. 그러나 갑자기 근대건축물의 역사적 가치를 인정하여 문화재로 등록하고, 국가차원에서 장려하는 관광 상품으로 확대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본 연구자의 첫 번째 작업은 이런 현상에 주목하여 근대건축물을 대하는 입장의 변화가 나타나게 된 사회·정치적 배경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분석을 위해서 사회적 배경 하에 형성되는 담론을 민족주의론과 역사주의론, 그리고 문화소비론의 세 가지로 분류해 보았다. 민족주의론은 일제시대 지어진 근대 건축물들을 일제 침략의 잔존물로 인식하고 일본의 생활·문화·역사를 보여주는 요소들을 모두 철거하여 청산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인다. 역사주의론은 식민지 시기 역시 우리나라 역사의 부분으로 인정해야 하며, 오히려 과거의 실수를 번복하지 않기 위한 교훈으로 남겨두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문화소비론은 역사주의론과 마찬가지로 근대 건축물의 역사적 가치를 인정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건축물을 복원하고 관광화 하여 지역경제를 살리고 정체성까지 확립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인다. 두 번째 작업은 분류한 세 가지 담론을 시기에 따라 군산시에 적용시키고, 그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먼저 군산이 근대도시로 발전하기까지의 시기를 형성기, 정체기, 갈등·혼란기, 신 개발기의 네 분류로 나누어 보았다. 그리고 해당 시기에 일어난 일련의 사건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담론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군산의 근대문화유산 관광·산업화 전략을 살펴보았다. 이 작업들을 통하여 근대 건축물이 현재에 이르러 급격히 부각되게 된 정책적·사회적 배경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근대 건축물을 둘러싸고 이루어지는 담론의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이 담론의 변화를 통해 빚어진 군산의 역사·문화적 사건들을 정리해 볼 수 있었으며 과정에서 발생하는 국가와 지자체, 그리고 군산 시민들 간의 갈등을 나누어볼 수 있었다. 또한 근대역사문화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관광개발 과정에서 나타나는 우리나라와 일본 간의 입장 차이에 대한 우려를 분석할 수 있었다.

      • 공익광고를 활용한 교육활동이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문예은 한국교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공익광고를 활용한 교육활동이 유아의 인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광고를 활용한 교육활동이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1 공익광고를 활용한 교육활동이 유아 인성의 배려 요인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2 공익광고를 활용한 교육활동이 유아 인성의 존중 요인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3 공익광고를 활용한 교육활동이 유아 인성의 협력 요인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4 공익광고를 활용한 교육활동이 유아 인성의 나눔 요인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5 공익광고를 활용한 교육활동이 유아 인성의 질서 요인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충청북도 청주시에 소재한 공립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 42명으로 실험집단 21명(남: 11명, 여: 10명), 통제집단 21명(남: 10명, 여: 11명)이다. 실험집단 유아들은 공익광고를 활용한 교육활동을 경험하였으며, 실험처치는 2016년 10월 4일부터 2016년 12월 9일까지 10주 동안 총 20회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엄정애와 동료 연구자들이 개발한 「유치원 기본과정 내실화를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기초로 박형신과 김정주(2014)가 구성한 유아 인성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존중, 배려, 나눔, 질서, 협력 5개의 하위요소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나서 이를 바탕으로 인성 사전 검사 점수를 공변인(covariance)으로 하여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의 사후 검사 점수에 대한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익광고를 활용한 교육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유아 인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는 공익광고를 활용한 교육활동이 유아의 인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공익광고를 활용한 교육활동은 유아 인성의 하위요인인 ‘배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는 공익광고를 활용한 교육활동이 유아 인성의 ‘배려’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공익광고를 활용한 교육활동은 유아 인성의 하위요인인 ‘존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는 공익광고를 활용한 교육활동이 유아 인성의 ‘존중’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넷째, 공익광고를 활용한 교육활동은 유아 인성의 하위요인인 ‘협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는 공익광고를 활용한 교육활동이 유아 인성의 ‘협력’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공익광고를 활용한 교육활동은 유아 인성의 하위요인인 ‘나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는 공익광고를 활용한 교육활동이 유아 인성의 ‘나눔’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여섯째, 공익광고를 활용한 교육활동은 유아 인성의 하위요인인 ‘질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는 공익광고를 활용한 교육활동이 유아인성의 ‘질서’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