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목포해역 해일/범람모의 및 고극조위 해석

        문승록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표는 건설에 따른 환경변화가 뚜렷한 목포해역에서 고극조위 해석을 통해 발생빈도에 따른 극치해면을 산출하고, 태풍으로 인한 해일의 발생과 해안범람을 모의할 수 있는 모의체계를 구축하여 가상태풍에 대한 해안범람도를 작성하여 목포해역에 발생하는 해일로부터 해안저지대를 효율적으로 방호할 수 있는 기준 및 대책을 마련하는 기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지구온난화에 의한 전지구적 해수면 상승과 더불어 하구언/방조제와 같은 해안구조물 건설이후 목포해역에서의 고극조위는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장기적 변화에 의한 고극조위 상승량과 건설에 의한 고극조위 상승량을 정량적으로 분리한 후, 목포 해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고극조위 상승원인을 규명하였다. 조석확폭은 조간대효과에 따라 극조일수록 더욱 크게 나타나게 되므로 목포해역에서 해일 위험성이 매우 높아진 상태가 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조위자료의 동질성이 결여된 곳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빈도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빈도별 고극조위를 산정한 결과 하구언 및 방조제 건설이후 빈도별 고극조위가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태풍에 의한 해일의 발생과 해안범람을 모의하기 위해 MIK21을 활용하여 모의체계를 구축하여 과거 10년간 목포해역에 큰 해일고를 발생시킨 태풍의 해일모의를 통해 모형의 검증을 수행하였다. 8개 분조에 대한 등조위도 및 등조시도를 작성하여 조석을 결합한 해일모의를 통해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약최고고조위 상황에서 태풍 ‘루사’와 가상 태풍의 해일이 발생한 상황에 대한 범람모의를 수행하였는데, 목포시는 도시기반이 낮아 해수가 해안의 시설물을 넘어 범람이 발생할 경우 빠른시간내에 넓은 지역의 피해가 초래됨을 확인하였다. 목포해역은 조석환경변화 등을 고려하여 최근 시설물표고가 550㎝로 증고되었으나, 태풍 ‘민들레’ 내습시 550㎝의 조위가 관측된 바 있고, 전지구적 해수면 상승 및 목포해역의 해일에 대한 취약성 등을 감안하여 추가적인 해일에 대한 대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simulation system of storm surge and coastal flooding induced by typhoons. Extreme sea levels of some return periods are presented by frequency analysis at Mokpo Harbor. Moreover, the coastal flooding maps made by this system would be helpful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oastal hazard mitigation system. Due to both global warming and constructions of seadike/seawalls, continuously or abruptly rising tendencies of extreme high water levels have been detected at Mokpo harbors. This dissertation deals with the separation of each effect, namely global warming effect and construction effect. Thus, it can be explained why and how the extreme high water levels had been risen just after constructions. The tidal flat effect makes the amplification more deepen at spring tide or extreme high tide, which results in the increase of inundation risk at Mokpo Harbor. A frequency analysis method is applied, which is shown to be effective at such a site of having non-homogeneous tidal data due to constructions as Mokpo Harbor. The simulation system which employs the MIKE21 software, is applied to several typhoon cases which had resulted in inundation at Mokpo Harbor for decade. Another storm surge mixed with 8 major tidal constituents is also simulated. Finally, flooding simulations of 'RUSA' and imaginary typhoon are carried out. The results show rapidly and broadly inundation at low-lying area of Mokpo City. Recently, most facilities height have been raised to 550㎝ at Mokpo. However, considering global sea level rise and above mentioned inundations, the water level of 550㎝ is not satisfactory, thus additional preparations must be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