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대학원 문헌정보교육전공의 교과과정 개발 연구

        문보영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교육대학원의 문헌정보교육전공 과정을 통한 사서교사 양성에 필요한 미래지향적인 새로운 교과내용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서울시내에 위치한 5개 교육대학원의 문헌정보교육전공에 개설된 교과과정과 미국의 사서교사 양성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교과과정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문헌정보교육전공의 교과과정은 전공교과목 형태를 지금 각 대학원에서 개설한 과목명을 구체화 하여 실제 운영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전공과목 형태는 전공 선택의 형태로 개설하되 교과교육론의 경우 개설 형태를 명확히 하고, 반드시 이수하도록 하여 사서교사가 현장에서 사서교사의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본적 소양을 교육할 필요가 있다. 즉 정책적인 고려사항으로써 대학들이 최소학점제의 확대와 함께 교과목 수와 이수학점을 정비하고 실무실습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사서교사의 배치기준은『초·중등교육법시행령』에 임의규정으로 되어 있는 사서교사의 배치기준을 ‘모든 초·중·고등학교에는 사서교사를 배치해야 한다.’라고 강제 조항으로 법제화해야 한다. 또한, 모든 학교에 사서교사를 강제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함과 동시에 정원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학교도서관을 경영하고, 교수-학습 과정을 지원해야 하는 사서교사는 과거의 자료관리 기능에서 점차 교육적인 업무 수행 기능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이 점을 고려한다면 교육적 역할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 교과교육학의 성격에 부합되는 과목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사서교사양성을 위해 도서관교육과 관련한 4개 교육영역과 30개의 교과목을 제안하였다. 4개 영역은 도서관 서비스를 위해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3개 영역과 웹서비스 영역 1개 부분으로 구분하였다. 기본영역은 학교도서관운영관리업무를 비롯하여 자료관리업무, 교육정보서비스 업무로 제안하였다. 나머지 영역은 디지털정보관리업무로 하였다. 교과목은 30개로 설정한 것은 학부수준에서 최소전공학점을 위해 필요한 12개 과목(3학점)의 36시간에 대학원 이수에 필요한 최소한 학점인 12개 과목(2학점)의 24시간을 고려한 60시간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궁극적으로 사서교사 양성을 위한 이론과 실무에 대한 교과목명과 시수 등 합리적인 기준을 설정해야 한다. 또한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사서교사 양성과정을 위하여 표준적인 교과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curricula for the major in library and information education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present a future-oriented new curriculum which was necessary for the cultivation of librarian teachers. For this, the investigator comparatively analyzed the curricula opened for the major in library and information education at the fiv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Seoul and the course of cultivation of librarian teachers of the United State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attern of major subjects for the curricula of library and information education at graduate schools must be concretely classified and then reflected on its actual operation. Major subjects must be opened as the pattern of major options, but the curricula education theory must be clarified in its pattern of opening and then compulsorily completed by the would-be librarian teachers in order for them to acquire elementary knowledge with which they can exert their expertise in-service situation. In other words, graduate schools must, as a consideration of policy, extend the minimal credit system, rearrange complete credits, and reinforce actual training for the practical service. Second, by changing the voluntary provision of librarian teacher placement criteria in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Law into a compulsory provision like this: 'Every primary/junior high/high schools must be placed with a librarian teacher.' In addition, a legal basis with which all the schools are compulsorily placed with a librarian teacher must be prepared together with the scheme of securing the authorized strength. Third, librarian teachers who must operate school libraries and support teaching-learning procedures are highlighted not with traditional data management but with educational business practices. In this vein, the subject which is appropriate for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la education must be reinforced. Fourth, for the cultivation of librarian teachers, the investigator presented four educational spheres and thirty subjects which are related to the education of library. The four educational spheres classified into the three spheres which can be commonly applied to library services and a sphere which is related to web service. As basic spheres, the investigator presented the operational and managerial business of school libraries, the data management business, and the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 business. Another sphere is the digital information management business. The reason why 30 subjects were established is that the investigator considered total 60 hours were necessary―12 subjects (3 credits) and 36 hours which were necessary for the minimal major credits at a university and 12 subjects (2 credits) and 24 hours which were necessary for the minimal major credits at a graduate school. In conclusion, a rational criterion for the theory, practical business and number of hours of cultivation of librarian teachers must be established. In addition,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standard curricula for the cultivation of librarian teachers who are appropriate for the domestic situation must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 VFA 기법을 활용한 풀필먼트센터 운영 효율화 Case Study

        문보영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COVID-19 으로 인해 온라인 풀필먼트센터 전환이 가속화 되었고 일일 출고 운영량을 초과하여, 출고 지연으로 주문을 취소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출고 처리 향상을 위한 풀필먼트센터 내 운영 효율화가 굉장히 중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패션 풀필먼트센터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VFA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실제 작업자 운영 개선 효과를 증명하고자 한다. VFA 분석기법은 주문량 (Volume), 주문 빈도 (Frequency), 주문 내 상품 연관성 (Association Rules)의 Data를 분석하여 풀필먼트센터 출고 운영의 효율화를 꾀하는 방법이다. 본 Case Study 연구를 바탕으로 VFA 기법을 활용한 풀필먼트센터 운영 효율화를 정량적인 데이터로 증명하였고, 온라인 풀필먼트센터에서 인력 효율화 및 생산성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

      • 20·30대 여성의 라이브 커머스를 통한 화장품 구매실태 및 만족도 연구

        문보영 성신여자대학교 뷰티융합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4차 산업혁명과 더불어 오늘날의 소비자들은 새로운 소비패턴을 형성하고 변화하고 있다. 현대의 소비자들은 미디어 및 모바일 기기를 통한 인터넷 사용이 익숙하며 정보를 얻는 방법과 소통하는 방법, 소비하는 유통채널 등 모든 부분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맞춰 쇼핑플랫폼이 나타나고 새로운 형태의 유통채널이 등장하는 등 시장은 새로운 흐름을 보이고 있다. 새로운 형태의 유통채널인 라이브 커머스는 쌍방형 소통이 가능하다. 2020년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의 영향으로 비대면 소비방식인 전자상거래 쇼핑에 의존도가 급격히 높아지면서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여러 국가에서도 속속 도입하며 라이브 커머스 시장은 발전이 가속되고 있는 현황이다. 라이브 커머스 시장이 확대되면서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라이브 커머스를 통한 화장품 구매실태와 만족도를 분석하여 향후 기업들이 좀 더 체계적인 마케팅 전략과 방향성을 수립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라이브 커머스를 사용해 화장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0∼30대 성인 여성 4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또한 여성들의 화장품의 일반적인 내용과 라이브 커머스의 이용실태, 라이브 커머스에서 화장품 구매 형태, 그리고 라이브 커머스를 통한 화장품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Chi-square) 검증, 빈도분석, t-test(검증), 그리고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총 440명 중 연령별로는 20대와 30대 여성 각 220명 50%로 동일한 분포를 보였다. 결혼여부별로는 미혼이 73.6%로 상당 부분을 차지하였고 학력별로는 대학교 졸업이 81.1%로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사무직이 66.4%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월평균 화장품 구매비용별로는 5∼10만원 미만이 49.5%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자인 20∼30대 여성들은 본인이 화장품을 구매하는 응답자가 98.2%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화장품 구매처는 인터넷이 40.3%로 답했으며 인터넷 구매의 장점으로는 구매의 편리성을 가장 많이 인식하고 있었다. 여성들이 화장품 구매 시 이용하는 정보원은 인터넷이 43.9%로 가장 많은 것으로 보아 여성들은 인터넷으로 정보를 얻고, 구매하는 데에 편리함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셋째, 라이브 커머스 이용 시 이용하는 채널에 대해서는 41.1%가 네이버로 나타났고 라이브 커머스 시청 시간대는 16시∼21시가 52.2%로 가장 많았다. 라이브 커머스 시청량은 한 번에 10∼20분 미만 시청하는 여성이 43.4%로 가장 많았고 하루 평균 1시간 미만으로 시청하는 여성이 79.5%로 나타났다. 라이브 커머스의 시청량과 라이브 커머스를 이용한 화장품 구매비중에 따라 여성들은 라이브 커머스 방송에서 진행자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라이브 커머스의 적합한 진행자로는 화장품 전문 지식이 풍부한 사람으로 응답한 여성이 70.2%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넷째, 라이브 커머스를 통해 화장품을 구매 시에 영향을 받는 요소로는 가격과 구성에 영향을 받는 여성이 31.7%로 가장 많았고 라이브 커머스에서 구매 시 실시간 댓글 작성 경험이 있는 여성은 61.6%로 나타났으며 30대 여성과 기혼인 여성, 월평균 화장품 구매로 많은 비용을 지출하는 여성일수록, 라이브 커머스를 오랜 시간 시청하는 여성일수록 그리고 라이브 커머스를 이용한 화장품 구매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여성일수록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라이브 커머스에서 구매 시 실시간 댓글을 작성한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간 댓글 작성 이유로는 제품에 대한 궁금증 해결을 위해 작성하는 여성이 34.7%로 나타나 제품에 대한 궁금증 해결이 여성들이 라이브 커머스에서 실시간 댓글을 작성하는 가장 주된 이유임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라이브 커머스의 편리성에 대한 여성들의 만족도는 5점 만점 중 평균 3.9점으로 라이브 커머스의 편리성에 대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라이브 커머스를 통한 화장품 구매 의향이 있다고 답한 여성은 94.8%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라이브 커머스를 통해 구매하고 싶은 화장품 품목으로는 기초 화장품 및 클렌징 제품이 48.7%로 나타났다. 화장품 구매의사가 없는 이유로는 직접 구매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답한 여성이 가장 많았고 불필요한 구성과 다량구매 부담이 다음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라이브 커머스를 통해 화장품을 구매한 소비자의 이용실태와 구매형태, 만족도를 통해 20∼30대의 많은 여성들이 인터넷에 익숙하고 인터넷을 통해 구매하는 데에 편리함을 느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라이브 커머스를 통해 화장품을 구매할 때 진행자의 역할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적합한 진행자로 화장품 전문 지식이 풍부한 사람을 선호하고 제품의 시연을 가장 보고 싶어 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라이브 커머스에서 화장품을 판매할 때에는 화장품에 대한 풍부한 지식이 있는 진행자가 실제 제품의 충분한 시연과 제품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콘텐츠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가 잠재 고객의 확보 및 원활한 라이브 커머스 시장 확대를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며 추후 마케팅 방향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As consumers' purchases in online markets have increased due to COVID-19, plenthora of cosmetics brands are actively entering the online retail business. A new form of distribution, called Live Commerce, enables two-way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in real time, creating an effective method of distribution for the generation MZ who are familiar with navigating internet and using digital devices. Because of the COVID-19, people have transitioned from the offline market making this system the ideal alternative. Attached to this study is the market share of Live Commerce and the overall customer satisfac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ollow up the customers’ purchase status and satisfaction of Live Commerc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440 adults in their 20s and 30s who had experience purchasing cosmetics through Live Commerce. The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cosmetic purchases and satisfaction through live commerce.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studying purchasing behavior of cosmetics customers. Among consumers, women accounted for the majority with 98.2%, and the percentage of women making purchases through the Internet was the highest at 40.3%. As an advantage of Internet shopping, 57% of women responded that it was convenient. Second, the result of examining the Live Commerce usage status. Naver Shopping Live was the most used channel when using Live Commerce at 41.1%, and 52.2% of women responded that the time period most watched was between 16:00 and 21:00. Cosmetics were the most frequently purchased products by 41.6% in Live Commerce by women who responded to the survey. Live Commerce viewing tim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verage monthly cosmetic purchase costs and the proportion of cosmetic purchases through Live Commerce. Third, the results from the study of on purchasing behavior of consumers through Live Commerce. Overall 61.6% of women had experience writing real-time comments. The real-time feedback rat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age, marital status, average monthly cosmetic purchase cost, Live Commerce viewing time, and the amount of cosmetics purchased using Live Commerce. Fourth, the result from studying the satisfaction of purchasing cosmetics through Live Commerce demonstrated in the survey group, high satisfaction with the convenience of Live Commerce. Depending on age and marital statu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osmetics purchased using Live Commerce.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recent purchasing trends and satisfaction of consumers who have bought cosmetics through live commerce. Based on this, I expect that various brands will successfully enter the live commerce market and become a stable distribution channels.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only surveyed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have experience purchasing cosmetics through Live Commerce. For more accurate results, a survey with various age groups is recommended. Second, the consumption of men's and genderless cosmetics have increased, showing these groups as newly emerging. It explains that the study of gen MZ men who are the major consumers of Live commerce is needed. Third, the sample group was overall insufficien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By diversifying the survey group, I recommend objective and subdivided questionnaires such as the time to commute by occupation,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the purpose of watching live commerce based on the cosmetics.

      • 어린이집 만 3세 창의반 놀이중심 과학교육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

        문보영 배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어린이집 만 3세 창의반의 놀이 속에서 과학적 개념을 찾아보고, 과학적 개념을 유아의 놀이와 연계하는 방식을 통해 놀이중심 과학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이다. 이러한 실행과정을 통해 나타난 교사와 유아의 변화양상을 살펴봄으로써 과학교육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어린이집 만 3세 창의반 유아들의 놀이중심 과학교육 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의 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연구문제 2. 어린이집 만 3세 창의반 유아들의 놀이중심 과학교육 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의 과정을 통해 교사와 유아에게 나타나는 변화는 무엇인가? 이에 연구자는 S어린이집 만 3세 창의반 유아 15명을 대상으로, 2021년 5월부터 7월까지 약 12주에 걸쳐 실행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는 참여관찰과 사진 및 동영상 촬영, 교사의 저널쓰기, 일일보육일지 평가 및 분석을 통해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계획-실행-관찰-반성의 순환적인 과정을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3세 창의반 놀이중심 과학교육을 활성화를 위한 실행과정은 교사, 교육활동 측면에서 1차, 2차, 3차 실행이 이루어졌다. 먼저 교사측면에서의 1차 실행과정에서는 과학수업을 대하는 교사의 생각 바꾸기를 통해 과학교육에 대한 자신감을 높이려고 노력하였으며, 과학적 요소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 과학교육 각론서를 함께 찾아보며 공부하였다. 2차 실행과정에서는 교육 참여, 문헌 고찰 등 다양한 경로로 지원을 받았으며, 유아의 과학적 사고를 확장해 주는 발문을 사용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3차 실행과정에서는 유아들이 자발적으로 과학실험에 참여할 수 있는 개방적인 분위기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교육활동 측면에서의 1차 실행과정에서는 ‘물리야, 놀자!’를 주제로 ‘힘과 운동’과 관련된 놀이를 통해 물리과학의 개념들을 경험할 수 있도록 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하였다. 2차 실행과정에서는 유아들이 흥미 있어 하는 ‘색깔’을 화학의 한 부분인 ‘혼합물’에 적용시킨 ‘색깔 혼합물 놀이’를 실시하였다. 3차 실행에서는 유아가 스스로 찾아낸 과학놀이를 허용하며, ‘물놀이’를 통해 물리, 화학의 특성이 서로 자연스럽게 융합되는 활동이 되도록 실행해 나갔다. 둘째, 만 3세 창의반 놀이중심 과학교육 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를 통해 유아, 교사에게 나타난 변화양상은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자인 교사의 측면에서는 연구자의 과학 교수 효능감이 증대되었으며, 질 높은 과학놀이를 위해 적극적으로 준비하며 연구자의 과학적 지식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자료 탐색과 실험, 시행착오를 통해 여러 수업과의 연계를 이루어나가며 연구하고 노력하는 교사로 변화되었다. 다음으로 유아의 측면에서 유아는 과학놀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다양한 과학놀이의 반복을 통해 새로운 놀이를 창조해나갔다. 또한 일상적 놀이에서 과학적 지식을 발견하며 친구와 새롭게 알게 된 과학적 지식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또래와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확대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유아는 일상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과학적으로 사고하고 과학놀이를 즐기는 유아로 변화되었다. This study explores scientific concepts in the play area of the 3-year-old creative class of daycare center. It is an implementation study to revitalize play-oriented science education through linking. The goal is to find effective ways to operate science education by looking at the changes in children.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is study are as follows: Q. 1: How is the process of action research carried out to revitalize play-centered science education for 3-year-old creative class children at daycare centers? Q. 2: What are the changes that appear to teachers and children through the process of action research to revitalize play-centered science education for 3-year-old creative class children at daycare centers? Accordingly, the researcher conducted an action study for approximately 12 weeks from May to July 2021, targeting 15 3-year-old creative class children at S Daycare.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 photo and video recording, teacher journal writing, and daily child care diary evaluation and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nalyzing the cyclical process of planning-execution-observation-reflec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first, second, and third implementations were carried out in terms of teachers and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for revitalizing play-centered science education in the 3-year-old creative class. First, in the first implementation process from the teacher's perspective, the teachers tried to increase their confidence in science education by changing their thoughts about science classes. In the second implementation process, various channels such as participation in ‘real science in the classroom’ education and literature reviews and footnotes that expanded children’s scientific thinking were used. In the third implementation process, efforts were made to form an open atmosphere where children can voluntarily participate in science experiments. In the first implementation course, in terms of educational activities, children could experience various scientific concepts of physical science through play, related to 'force and movement', which can be easily accessed by young children. Under the theme of 'Physics, let's play!', one of the scientific concepts, activities were planned and executed. In the second implementation process, ‘color mixture play’ in which children’s interest is ‘color’ was applied to ‘mixture’, a part of chemistry, was conducted, and children’s free exploration and exploration play was encouraged. In the 3rd implementation process, children were allowed to discover science play on their own through 'water play,’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s, chemistry, life science, and earth science were naturally fused with each other. Second, the changes shown to infants and teachers through action studies for the revitalization of play-centered science education in the 3-year-old creative clas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terms of teachers who are researchers, researchers' sense of efficacy in science teaching increased, and they were able to actively prepare for high-quality science play and increase the scientific knowledge of researchers. In addition, through various data exploration, experimentation, and trial and error; the researcher transformed into a teacher who researches and strives to establish a connection with various classes. Next, in terms of infants, interest in science play increased, and new play was created through repetition of various science games.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discovering scientific knowledge in everyday play and sharing new scientific knowledge with friends, verbal interaction with peers was expanded. Through this process, infants are transformed into children who naturally think scientifically and enjoy science play in their daily life.

      • 주식시장에서의 비효율적인 회계정보 해석의 경감을 위한 경영자 이익예측치의 유용성

        문보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경영자의 이익예측치가 재무분석가와 일반투자자로 하여금 회계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유용한 정보인지에 대해 실증 분석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식시장에서 이상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진 회계정보들인 비기대이익, 발생액, 장기순영업자산 성장률, 매출액증가율 및 보수주의와 실제투자활동의 상호작용과 관련된 이익의 질적 수준에 대해 경영자의 영업이익예측치가 갖는 편의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나아가 이를 재무분석가와 일반투자자가 갖는 편의성과 상호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자는 차기 년도에 대한 영업이익예측치를 제공함에 있어 당기의 발생액이 높거나 매출액 성장성이 높은 경우에 과대 예측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영자 이익예측치가 시장에서 유용한 정보로서 작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경영자의 영업이익예측치는 당기의 발생액과 매출액에 대해 투자자가 해석하는 것 이상으로 왜곡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영자 영업이익예측치가 자본시장의 비효율성을 줄이는 유용한 정보라고 할 수 없는 결과이다. 셋째, 경영자는 매출액 성장성에 대해 재무분석가 보다 더 낙관적 예측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시장의 효율성 증진여부를 통한 새로운 관점에서 경영자 영업이익예측치가 회계정보에 대해 갖는 상대적 편의성을 비교 분석하여 경영자 이익예측치의 유용성에 대해 재검증하는 연구라는 점에서 공헌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나아가 본 연구는 시장에서 발견되는 비효율성과 관련해 투자자뿐 아니라 투자자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집단으로 알려진 경영자와 재무분석가가 보이는 편의성을 비교하여 세 집단간에 나타나는 동일 회계정보에 대한 해석 차이를 제시하고 있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밝혀진 정보 생산자와 전문투자분석가의 예측치가 갖는 각 회계정보 대한 상대적인 편의성은 시장이상현상 문제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 Carl Maria von Weber Bassoon Concerto in F Major, Op. 75의 분석연구

        문보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Carl Maria von Weber (1786-1826), a pianist, conductor, and critic, was a leader of early 19th-century German Romantic music, a time when audiences had a preference for classical music, offered something new with his works that reflected his unique Romantic styl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elp to possess a better understanding of Weber’s music and to improve the technical skill and musicality of bassoonists by analyzing a use of traditional structure, the diverse harmonic language, various rhythmic patterns, tuneful melodies, and brilliant techniques of the instrument in Weber’s Bassoon Concerto in F Major, Op. 75. Weber’s Bassoon Concerto in F Major, Op. 75, follows the classical concerto form as it is composed in three movements: Fast-Slow-Fast. The first movement, Allegro ma non troppo, includes a double exposition in a sonata-allegro form, while the second movement, Adagio, is written in a slow ternary form and the third movement, Rondo Allegro, is in a rondo form. The present paper includes an analysis on the musical features of the work, the performance techniques, and suggestions by the performer. Weber’s Bassoon Concerto successfully represents Weber’s musical characteristics and shows an expansion of technical challenges and possibilities of bassoon as a solo instrument. 피아니스트, 지휘자이자 음악비평가였던 카를 마리아 폰 베버 (Carl Maria von Weber, 1786-1826)는 19세기 초 독일 낭만주의 음악의 선구자로서 고전주의 취향이 익숙했던 청중들에게 그만의 낭만주의 음악사조의 색채가 담긴 작품으로 새롭게 다가갔다. 본 논문의 목적은 그가 작곡한 바순을 위한 협주곡 바장조 작품번호 75번 (C. M. von Weber Bassoon Concerto in F Major, Op. 75)의 전통적인 형식, 다채로워진 화성, 다양한 리듬, 서정적인 멜로디와 독주악기의 화려한 기교를 분석함으로써 그의 음악에 대한 해석력을 높이고 바순 연주자로서 기술적인 면모와 음악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베버의 바순 협주곡 작품번호 75번의 1악장에서는 소나타 알레그로 형식으로 이중 제시부가 존재하며, 2악장은 느린 3부분 형식, 3악장은 론도형식으로써 빠름-느림-빠름의 전통을 고전주의 시대 3악장 구조의 협주곡 양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본문에서는 작품의 음악적 특징을 분석과 더불어 연주 테크닉과 연주자 입장에서의 제안 등을 포함한다. 베버의 바순 협주곡은 베버의 음악적 특징을 잘 나타내면서 독주악기로써의 바순의 가능성과 기교적 확장을 성공적으로 보여준다.

      • 내재된 여성성 표출에 관한 섬유조형 연구

        문보영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삶에 있어서 개인(個人)이 사회 속에서 하나의 존재(存在)로 완전히 자유로워지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다. 인간은 서로의 관계를 통해서 생성(生成)되어 관계를 맺으며 살고, 그 속에서 죽음에 이르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자유로워진다는 것은 인간이 대자연(大自然)속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삶의 본능과도 같은데, 사회 속에서 스스로를 속박하고 억압하는 현상들로부터 벗어남으로서 좀 더 자유로운 삶을 지향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는 이러한 욕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와 나 타인(他人)과 나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자기 모순에 끊임없이 빠지게 된다. 특히 여성은 남성과의 육체적 차이점, 다시 말해 여성의 생식(生殖)능력으로 인해 사회 속에서 자신을 실현하는 것과 아내와 어머니로서의 삶을 병행(竝行)하는데 있어 묘한 이중적 감정을 가진다. 본인은 여성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서 먼저 통념화된 여성성에 의문을 가지고 이러한 인식이 형성된 원인에 대해 살펴보며 스스로 해결책을 모색 해 보고자 한다. 따라서 내재된 여성성 표출을 이 과정의 한 방법으로 삼고 있으며 내재된 여성성의 외적(外的)현상을 파악하는 방법은 우상화된 여성성, 자연적 존재로서의 여성성, 사회 속에서 재형성된 여성성이라는 세가지로 분류하여 알아보았다. 이로 인해 내재된 여성성을 작품으로 형상화하고 능동적인 사고(思考)와 실천하는 의지를 가진 ‘초월적 인간’ 1)이 되는 것을 본인의 이상향으로 생각한다. 본인이 생각하는 내재(內在)된 여성성은 남성의 문화에 길들여짐으로서 생겨난 억제된 여성의 내적(內的) 본능이며, 이것이 여성을 수동적이고 비생산적인 존재로 머물게 하는 요인으로 파악하였다. 따라서 여성성이 내재(內在)에만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이러한 심리적 상태가 ‘표출’이라는 자기극복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러므로 본인에게 있어서 내재된 여성성을 표출하는 것은 초월적 인간으로 향상되기 위한 의지이고 실천이다. 남아(男 兒)에 대한 동경(憧憬), 월경과 생식(生殖)에 대한 공포, 나르시시즘2)의 환상 등이 스스로가 극복해야 하는 자기 모순이라고 생각한다. 본인은 창작활동이 이러한 일반화된 통념에 문제를 제기할 수 있는 중요한 접근방법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내재된 여성성을 형상화하기 위해 직조(織造)에 의한 섬유조형 작품을 제작하면서 직물의 부드러운 속성이 사회 속에서 발현(發現)되는 여성성과 유사점을 가지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직물을 만드는 것은 씨실과 날실의 연속적인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며 수없이 많은 구조의 결합에 의해 엮여져 있기 때문에 부러지지 않는 유연성(柔軟性)을 가진다. 이와 비슷하게 여성은 어릴 때는 아버지를 우상으로 삼고 어머니의 삶 속에서 자신을 발견하면서 성장하고, 결혼이라는 과정을 거친 후에는 아내, 어머니로서 남편과 아이와의 관계를 통해 자신을 실현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여성이 삶 속에서 타인(他人)과의 연속적인 결합을 맺으면서 살아가는 것이고 그 과정에서 여성은 주어진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유연성(柔軟性)을 가지게 된다. “과연 여성성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으로부터 시작한 이 연구를 통해 여성은 자신에게 일어나는 상황을 운명적으로 받아들임과 동시에 대처할 수 있는 자생력(自生力)을 만들어 간다는 점에서 여성성의 본질은 ‘수용적 (受容的) 변화’라고 느끼게 되었다. 개인이 삶 속에서 형성하는 여성성은 육체와 정신의 성장을 통해 긍정적으로 변화해야 하는 것이다. 여성은 하나의 인격체로서 어떠한 변화의 상황에서도 자신의 존재성을 유지하며, 능동적으로 상황을 직시(直視)하는 용기(勇氣)와 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는 존재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본인은 내재된 여성성에 대한 생각을 여성의 감성적 요소를 드러내는 직조작품으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작품을 제작하는 것은 현재까지 가졌던 여성에 대한 편견이 사실상 나로부터 시작되고 있다는 생각을 하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스스로의 실천과 노력을 조형언어로 표현하는 과정이다. It may be impossible for an individual to feel completely free in life. This is because human beings, as a social animal, lives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Yet at the same time, human beings have instinctive desire to live a life free from anything that constrains or oppresses them. Contrary to their desire, they endlessly get entangled in the complexity of relationships with society and with one another. In particular, women, unlike men, experience difficulty establishing their identity in the complex relationships they have. Women desire to realize their potential as the member of society and at the same time they have to live as a wife and mother. The difficulty women have to undergo results from the physiological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women have the reproductive ability while men do not. Thus, for women to find their identity, they have to question about conventional ideas of femininity formed due to women's physiological difference and seek solutions to the problems they face. To that end, I will examine how the idea of femininity is distorted by looking at the way that it is idealized, considered as a symbol of nature, and reformed in society. Also, I aim to express inherent femininity in my works to show how women can transcend myths about them and become people with independent mind and strong will. Inherent femininity is women's inner instinct repressed in male-dominated society. Failing to express this inherent femininity makes women passive and unproductive. Therefore, women should go through the process of expressing this repressed femininity to transform themselves. And I think doing so is also the expression of their will to regain their transcendence. To that end, women should overcome narcissism, unreasonable longing for a son, and the fear for menstruation and reproduction. In my opinion, art can be a tool to raise questions about conventional ideas of femininity. I have produced soft sculptures by weaving to express the inherent femininity. While producing them, I have found that the softness of fabrics has affinity with femininity displayed in society. Fabrics are woven by combining the weft and the warp, so they provide flexibility. In a similar way, women shape themselves by weaving many connections in their life. When they are young, they take the father as an idol and find their future in the mother. And when they grow up, they tend to realize their potential through their husbands or children. In other words, women continuously establish relations with others and develop flexibility to deal with any problem they face in their life. "What is femininity?" This is the question I had when I started this paper. My answer to the question is that the essence of femininity is a "receptive change". Women accept whatever happens to them as their fate but at the same time they produce the power to overcome it within themselves. In other words, women can never lose their identity under any circumstance. Rather, they can muster courage to transcend any barriers to self-realization. My weaving works depict this inherent femininity. The creation of these works has been the process of expressing myself through the plastic language to overcome my own prejudice about women.

      • 통합문화이용권사업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연구=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of integrated cultural voucher

        문보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통합문화이용권 문화누리카드 이용자 대상으로 통합문화이용권 사업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통합문화이용권 이용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문화 접근 요인, 문화생활 만족 요인 그리고 제공되는 프로그램 만족 요인을 독립변수로, 문화누리카드 이용자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독립 및 통제변수로 설정하여 종속변수인 통합문화이용권 사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밝혀 보고자 하였다. 연구내용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누리카드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문화접근성 정도와 문화생활 만족 정도, 통합문화이용권 프로그램 만족 그리고 통합문화이용권 사업의 만족 정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둘째, 문화접근성, 문화생활 만족과 통합문화이용권 프로그램 만족 변수들이 통합문화이용권 사업의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셋째, 문화누리카드 이용자들의 통합문화이용권사업의 만족을 저해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 이용자들이 느끼는 개선점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이해를 위해서 문화소외계층과 문화 향유권, 문화복지, 현 통합문화이용권 사업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앞선 문화복지와 통합문화이용권 사업의 선행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사동 중심으로 주민센터 내방 또는 방문자 중 2017년 신규 이용자는 제외하고 최소 작년에 문화누리카드를 이용하고 이번년도에도 이용하고 있는 대상자로 설문지 총 150부를 회수하여, SPSS 21.0 통계프로그램으로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및 기술 통계분석, t-test 및 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였다. 분석한 결과에 따라 연구 결과를 요약하며 첫째, 이용자의 통합문화이용권 사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으로 통제 변수인 성별, 연령, 가구원 수, 가구유형, 수급자 유형, 가구소득 중에서 가구원 수, 가구 소득 수준 만이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가구원 수가 많은 가구, 높은 소득 수준만이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통합문화이용권 사업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 접근성 요인 중 물리적 접근성과 정보적 접근성은 통합문화이용권 사업 만족도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물리적 접근성과 정보적 접근성이 높을수록 통합문화이용권 사업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 접근성 요인 중 경제적 접근성과 경험적·예술적 접근성은 통합문화이용권 사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인 유의성이 보이지 않았다. 셋째, 문화생활 만족 요인 중 심리적 만족은 통합문화이용권 사업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나머지 사회적, 휴적, 교육적 만족은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넷째, 문화누리카드로 사용한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 요인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이 높을수록 통합문화이용권 사업 만족도가 높다는 것이다. 정리를 해보면, 문화적 접근성 요인 중 물리적·정보적 접근, 문화생활만족 요인 중 심리적 만족 그리고 수급자 유형에 따라, 가구 소득에 따라 통합문화이용권 사업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韓國海外觀光廣告의 效率性 提高를 위한 硏究 : 政府 觀光機構의 活動을 中心으로

        문보영 경기대학교 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248639

        1. Purpose of Research All purpose of Advertising is implementation for the potencial buyer to be respond with better favor to something which is offered by all compantes and providing the clients with informations, foundations which are needed to prefer to goods of specife company and changing wants of customers. So a plan for the efficiency of Tourism Advertising which contribute to improue inbound tourists through inducement and motivetion to visit Korea and introduction of Tourism attractions as a best destination to the potential demands have been continuely rasing. Therefore,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make a plan to attract foreign tourists through the mayimization of overseas Aduertising of Tourism marketing Mix to promote Tourist demands. 2. Consist of thesis This study was made in total 5 chapters. Chapter I. discribe the purpose, the realm and method as an introduction. Chapter II. introduce some kinds of theories about Tourism marketing and Tourism advertising as a theoretical basis as well as the practice of Government Tourism organizations. Chapter III. invest background of overseas advertising of Korea and then comparison and analysis between Korea and other countries. Chapter IV. presentation of problems based on the above section and shows problems and last, grope for a plan to promote effectiveness of tourism advertising in Korea. Chapter V. present a condensed version and conclusion 3. Problems and a plan for efficaciousness Find some different kinds of problems through this study on overseas advertising. 1) Non-Systematization between related organizations. We have not done efficient advertising activity between administration of government which support Tourism advertising activity are dispersed with in the each administration branches. As a result consequence, it bring abint disharmoney for contrusion, adjustment, between each related government organizations and results in nonsystemation. 2) inefficiency of budget appropriation for Tourism. publicity budget appro priation for tourism publicity have been increasing and decreesing tentatively on the basis of last year's budget rather than a target figure through the market research and it seems that shows conservative posture of advertising within the limcts even through budget appropriated. 3) lacking of expert skill in practical use of Tourism medium. Overseas advertising had not practiced the adouate mass media to bring about inbound Tourism and to creat its better image by inserting an concentrated advertising in a powerful medium of Separate market. For instance, electronic medium has been rasing as a influential medium, but it was never enforced in any countries except Japan. 4) Unsuitable timing, of advertising. Advertising brought about a failure by an advertising company K.N.T.C.(Korea national Tourism co operation) appropriated budget so lately that it takes too long time between establishment of next year's advertising plan after budget appropriation and enforcement of advertising company. 5) Unproper measurement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Taking the measure of anticipating effect through the drastic market survey before Advertising and practical measure of effectiveness have not become effect before and after Advertising. To get rid of these problems and present the device to furnish effectuation are as follow; 1) It has to groped of advertising organization and schemed method of management. 2) It has to be necessary of effective distribution in small budget as estimate makes scientific of a design of advertising estimate. 3) It has to be maximum of the sales effect with active promotion about both the Variety of mass - advertising and special application. and some joint advertising with another business. 4) We should furnish the effectuation of tourist advertising to understand the change of image in Korea Tourism for the former/latter investigation of the effective advertising 4. Conclusion Therefore, forward, the Korean overseas Tourism advertising business must have active operation of Tourist advertising behave with the investigation about Overseas tourist advertising market to furnish internation competition through out the variety of Tourist reception as well as new tourist goods development and improvement, and service's advanc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