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매체 전환에 따른 텍스트 변형 연구 : 카이신마화(開心麻花) 극단 작품의 영화화를 중심으로

        마옌리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re are countless films adapted from plays in the history of Chinese cinema. Drama and film belong to multimedia art, but their text media and media are different. Drama is human-oriented and has real-time two-way media. Film is a one-way communication art.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rise of consumer culture and mass culture, the barrier between art is gradually broken.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a large number of theatrical adaptations of the film into the audience at almost the same time, the group "Mahua FunAge" in 2015 to bring its New Year's laughter stage drama "Goodbye Mr. Loser" to the screen.In just four years, the group's "Mahua FunAge" set up its own brand characteristics in comedy films with the results of three original drama adaptations, and made the group's "Mahua FunAge" a vantage point.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research, it is found that the analysis of drama and film works is often different, or that there is little litera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media transformation. Therefore, it is especially necessary to discuss the transformation of the adaptation of the play. How to transform a play into a movie and how to keep the artistic transform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topic in modern art research.This paper studies the conversion from drama to film by taking the work of "Mahua FunAge" as an example.From the perspective of film narration, combining with the theories of film aesthetics and sociology, this paper analyzes the creative techniques and strategies of the film adaptation from four aspects. To promote the group's "Mahua FunAge" follow-up film production mechanism of benign development, so that the adaptation of the film from the artistic and technical perspective to form a long-term development. To this end, the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Firstly, the motivation and goal of this study are put forward by explaining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study. The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levant prior research, this paper summarizes the current research situation of cross-media transformation, especially the media transformation from drama to film. The second chapter focuses on the cross-media transformation of drama and film, analyzes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and discusses their intermingling and aesthetic value. The main point of this chapter is to reveal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lay and the film and how the film endows the play with new life and aesthetic value. The third chapter studies the narrative transformation of "Mahua FunAge" from drama to film, including the change of narrative structure, the adjustment of plot and the reflection of post-modern narrative features. The purpose of this chapter is to reveal how films reinterpret original plays to suit the needs of different media and audiences. The fourth chapter focuses on the re-creation of characters from drama to film, which covers the changes of characters' image, language and performance style. This chapter analyzes how the film reconstructs and develops the characters in the play to meet the performance needs of the film media. Chapter 5 focuses on the audio-visual transformation from drama to film, including space-time, visual and sound changes. This chapter reveals how the film can bring a richer audio-visual experience to the audience through the adjustment and re-expression of various media elements. The sixth chapter discusses the problems existing in the adaptation of "Mahua FunAge" plays and puts forward the development strategies in the future to deal with the challenges faced by the adaptation. This chapter also looks forward to the future developments in the field of theatrical adaptations. Finally, Chapter 7 summarizes the findings and significance of the whole study, and also points out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media conversion on text, and to provide new perspectives and insights for cross-media conversion between drama and film. 중국의 영화 역사에서 연극을 바탕으로 각색한 영화가 매우 많다. 연극과 영화는 모두 멀티미디어 예술에 속하지만 텍스트 매체와 커뮤니케이션 매체에 차이가 있으며, 연극은 실제 사람에 의해 연출되고 실시간 쌍방향으로 커뮤니케이션하는 예술인 반면, 영화는 이미지를 위주로 하는 단방향의 커뮤니케이션 예술이다. 과학기술과 소비문화 및 대중문화의 발전에 따라 예술 간 장벽이 점차 해소되고 있으며, 최근 중국에서 연극을 바탕으로 각색한 영화들이 거의 동시에 관객 앞에 나타났다. 2015년 카이신마화(開心麻花) 회사는 새해 기간에 공연한 코미디 연극 <굿바이 미스터 루저(夏洛特煩惱)>를 영화로 각색하여 영화계에 진출했으며, 이 영화는 Douban 평점 7.6점, 박스오피스 14.4억 위안의 성과를 거두어 영화계의 다크호스로 급부상 하였다. 불과 4년이라는 짧은 시간에 카이신마화는 3개의 원작 연극을 바탕으로 각색한 영화로 코미디 영화에서 자신만의 브랜드를 구축하였고, 또한 카이신마화는 영화 관람의 풍향계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의 시리즈 영화는 대중의 주목을 받는 문화 현상을 형성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현재 연극과 영화 작품에 대한 분석은 항상 개별적으로 진행되거나 다른 예술 유형을 가볍게 언급했으며, 미디어 전환의 관점에 따라 양자의 관계를 고찰한 문헌이 매우 적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연극에서 영화로 각색하는 전환 연구가 매우 필요하게 되었다. 어떻게 연극을 영화로 전환하고, 어떻게 예술성을 유지하면서 전환할 것인가는 현대 예술 연구의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따라서 영화 서사학의 시각에 따라 영화 미학과 사회학 등 이론을 결합하여 카이신마화가 이미 공연한 4개 연극을 바탕으로 각색된 영화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연극과 영화의 미디어 간 전환, 서사 각색, 인물 구축, 시청 표현 등 4가지 측면에서 연극을 영화로 각색하는 창작 기법과 전략을 분석하였다. 또한 카이신마화의 연극을 바탕으로 영화로 각색하는 창작 기법과 예술 가치를 요약하고, 그 과정에서 창작 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며, 이러한 매체 간 각색이 중국 영화 창작에 끼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고찰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카이신마화 후속 영화 제작 메커니즘의 질적 발전뿐만 아니라 연극을 바탕으로 각색한 영화가 예술과 기술 측면에서 계속 발전할 수 있도록 일정한 도움을 제공하고자 했으며, 이를 위한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 연구 배경과 연구 목적에 대한 서술을 통해 본 연구의 동기와 목표를 제시하였다. 이어서 관련 선행 연구에 대한 분석을 통해 매체 간 전환 연구 현황을 요약했으며, 특히 연극에서 영화로 전환하는 연구와 카이신마화의 관련 작품 연구에 주목하였다. 제2장에서 연극과 영화의 매체 간 전환에 초점을 맞추어 각각의 특징과 차이를 분석하고, 양자의 융합과 연극 영화화의 미학 가치를 탐구하였다. 이 장의 중점은 연극과 영화 간 상호작용 관계와 영화가 어떻게 연극에 새로운 생명과 심미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지를 제시하는 것이다. 제3장에서 구체적으로 카이신마화의 연극에서 영화로의 서사 전환을 연구하였고 서사 구조의 변화, 플롯의 조절과 포스트모더니즘 서사 특징의 구현 등이 포함되었다. 이 장에서 영화가 어떻게 원작 연극 작품을 재해석하여 다른 미디어와 수용자의 수요에 맞출 것인지를 고찰하였다. 제4장에서 카이신마화의 연극을 영화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인물 재구축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인물 이미지, 인물 언어와 연출 방식의 변화 등이 포함되었다. 이 장에서 영화가 어떻게 연극의 캐릭터를 재구축하고 발굴하여 영화 미디어의 표현 수요에 적응할 것인지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제5장에서 연극에서 영화로의 시청 전환에 주목하였고, 이는 시공간, 시각과 소리의 변화를 포함하였다. 이 장에서 영화가 어떻게 각종 미디어 요소의 조절과 재현을 통해 관객에서 더욱 풍부한 시청각 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제6장은 카이신마화의 연극을 영화로 각색하는 과정에 존재하는 문제를 토론하고, 미래 발전 전략을 제시했으며, 이를 통해 각색 과정에서 직면하는 도전에 대응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이 장은 연극을 영화로 각색하는 분야의 미래 발전을 전망하였다. 제7장에서 전체 연구의 발견과 의미를 요약하는 동시에 연구의 한계와 미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미디어 전환이 텍스트에 끼치는 영향을 깊이 연구했으며, 이를 통해 연극과 영화 간 매체 전환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견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