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민공동이용시설의 이용료 지불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창신숭인도시재생협동조합 ‘수수헌’을 중심으로-

        마경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초록 서울시는 2022년 민선 10기를 맞이하여 ‘서울시 바로세우기’를 내세우며 민간위탁 및 민간보조 사업에 대한 구조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그동안 진행해온 도시재생사업도 ‘재구조화를 통한 2세대 도시재생사업’을 발표하며 기존 보존관리 중심의 도시재생에서 재개발·재건축 및 물리적 환경개선 중심사업으로 사업방향을 전환 중이다. 이와 맞물려 새정부의 국토부 또한 지난 8월 서울시와 같은 맥락의 도시재생 추진방향을 발표하였으며 기존 도시재생사업기획단의 조직을 재정비하였다. 각 부서의 명칭과 주요기능 등을 변경하고 뉴딜사업의 중요 핵심사업으로 작용했던 주민 역량강화 사업과 중간지원조직 운영은 지자체의 역량으로 넘겼다. 대신 주택 정비 및 경제재생에 관련한 사업 등 성과중심의 사업체계로 개편하면서 그동안 진행되어 왔던 보존관리 중심의 도시재생사업은 이제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 진행과정에서 조성된 앵커시설 중 도시재생기업(CRC)이 위탁운영 중인 주민공동이용시설의 이용가치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먼저 지불의사액(WTP)을 확인하여 주민공동이용시설의 이용가치를 추정하고 이후 지불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지로는 서울시 종로구 숭인2동에 자리한 주민공동이용시설 ‘수수헌’으로 하였고 <창신숭인도시재생협동조합>이 2022년 현재 위탁운영 중이다. 도시재생사업을 진행했던 창신(3)·숭인(2) 5개 동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하였으며 가설적 상황을 설정하여 시설 이용 시 회당 지불의사액(WTP)을 질문하였다. 지불의사는 이분선택형을, 지불의사액(WTP)은 개방형의 직접질문법을 사용하였고 지불의사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설과 관련한 다양한 설문 내용을 추가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주민공동이용시설의 이용가치는 1회 이용 시 7,957원으로 추정되었다. 이를 토대로 도시재생사업을 진행했던 창신(3)·숭인동(2) 5개동의 2022년 12월 기준의 인구수와 시설의 평균 이용 횟수를 고려하여 ‘수수헌’의 이용가치를 평가한 결과, 연간 약 999백만원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2018년 8월 개소 이후 2022년 11월까지 ‘수수헌’을 이용한 총인원에 대한 이용가치도 산출한 결과 53백만원으로 추정되었다. 지불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월평균 소득’, ‘운영프로그램 인식도’, ‘위탁운영의 지속가능을 위함’이 주민공동이용시설 이용 시 지불의사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수헌’에서 어떤 프로그램을 운영하는지 주민 개개인의 인식 정도에 따라 만족도가 높아지고 이는 위탁운영이 지속가능할 수 있도록 이용료 지불의사를 높이는 데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또한 남성일수록 지불의사액이 높게 나타나 남성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도 필요해 보인다. 결과적으로 ‘수수헌’의 원활하고 지속가능한 민간위탁 운영을 위해서는 먼저 운영 중인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주민들에게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인식을 꾸준히 높이고 남성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준비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수헌’을 지역사회에 적극적으로 알리는 것이 창신숭인협동조합의 지속적인 위탁운영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어 : 주민공동이용시설, ‘수수헌’, 도시재생기업(CRC), 창신숭인도시재생협동조합, 다중회귀분석 Abstract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Resident’s Intention to Pay Charges for Common Use Facilities - Focusing on the Changsin Sungin Urban Regeneration Cooperative 'Susuheon' - Ma, Kyoung Hee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Design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Advised by Prof. Jeong, Seok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calling for structural improvement in private consignment and private assistance projects, with the 10th popular election in 2022.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which has been underway so far, is also changing its direction from urban regeneration centered on preservation management to redevelopment, reconstruction, and physic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through the announcement of "second-generation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rough restructuring.“ In line with this,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of the new government also announced the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motion in the same context as Seoul in August and reorganized the organization of the exist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 planning team. The name and major functions of each department were changed, and the residents' capacity building project and the operation of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which served as important core projects of the New Deal project, were handed over to the capabilities of local governments. Instead, as it was reorganized into a performance-oriented business system such as housing maintenance and economic regeneration, the conservation management-oriented urban regeneration project has now reached a new turning poi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value of the shared use of resident facilities commissioned by CRC among anchor facilities created in the proces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irst, the payment amount (WTP) was checked to estimate the value of use of the resident common use facility, and then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payment amount. The target site of the study was "Susuheon," a resident joint use facility located in Soongin 2-dong, Jongno-gu, Seoul, and the place that is being commissioned and operated is "Changshin Soongin Urban Regeneration Cooperative". Residents of 5 dongs, Changsin (3) and Sungin (2), wher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ere carried out, were surveyed, and a hypothetical situation was set to ask about the willingness to pay (WTP) when using facilities. The intention to pay was a binary choice, and the open direct questioning method was used for the payment amount (WTP), and various surveys related to facilities were add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payment amount. As a result of the study analysis, the value of use of the resident joint use facility calculated through the payment amount (WTP) was estimated to be 7,957 won for one use. Based on this,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value of "Susuheon" considering the number of people and the average number of use of facilities as of December 2022 in five dongs, Changsin (3) and Sungin-dong (2) that carried ou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t was confirmed to be about 999 million won per year. In addition, it was estimated that the value of use for the total number of people using "Susuheon" from its opening in August 2018 to November 2022 was 53 million won. Factors influencing the willingness to pay were 'gender', 'average monthly income', 'operating program awareness', and 'for sustainability of consignment operation' as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willingness to pay when using shared facilities. In the end, depending on the degree to which programs are operated in "Susuheon," it led to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facilities, which served as a major factor in raising the willingness to pay fees for consignment operation. In addition, it seems necessary to operate various programs for men as the amount of payment is higher for men. As a result, it seems necessary to promote the program more actively in order to smoothly operate and maintain the "susuheon," a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more diverse programs for men.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actively promoting "Susanheon" to the local community will be of great help to the continuous consignment operation of the Changsin Sungin Cooperative. Key words : Common use facilities for residents, Susuheon, Urban Regeneration Corporation (CRC),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 마을기업에 참여한 주민의 평생학습 경험 : 노산동 누림마을공동체 사례 중심으로

        마경희 경남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39

        As a solution to community problems in the globalized economy, attention concentrated on communities has recently increased community businesses led by residents on the basis of community restoration. These businesses aim to solve local problems through communiti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form a community in urban society. There are limited discussions about the residents' learning to understand how they grow to be independent and develop communities during the process of community particip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meanings of lifelong learning the residents participating in community businesses experienced in those processes of forming communities and working for the community businesses. By doing this, it aimed to examine ambivalence of learning through failure as well as successful learning.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on Nurim Maeul Community in Nosan-dong, governmental support for which had been discontinued and the continued existence of which was in a transition period. The researcher collected data through literature review,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terview and analyzed the contents, consequently obtaining the following resul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background for the residents participating in community businesses and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of lifelong learning in those processes of forming communities and working for the community businesses until the creation of the community business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n the basis of the background for the residents participating in community businesses, the participants' prior experiences may affect their spontaneous participation in community development. Most of the residents participating in community businesses were already connected with the government to serve as the head of tong or had worked for autonomous groups or performed voluntary service. Second, on the basis of the process of forming communities, community formation is sustainable when residents participate with empathy, instead of being led by the government. While there were antagonism and conflicts between the government, the researchers, and the residents in relation to the governmental project of residence regeneration and redevelopment desired by the residents, a field of communication based on continuous gatherings, discussions, and conversations was created to generate transformative learning in which the residents had their awareness transformed and empathized with community formation. The residents' awareness transformation had made concerns expand beyond personal matters into communities. Through community schools, they performed critical learning by inspecting the community personally to identify its problems, find solutions to the problems, and practice community formation. Their activities were accompanied by community learning to make group participation in practice and form a community with the aim of realizing their common vision of community formation. However, a community once formed was not kept complete but had a dialectic cycle of formation, conflicts, split, and re-formation. In such a community cycle, residents came to know that bad communication led to failure to understand each other and conflicts and, ultimately, understood that a community might be meaningful when they worked together in harmony. In this way, the residents were making learning through their experiences of failure. Third, it was difficult to have residents participate together in the community business and work as a community. While working for a community business, the residents participating in the business internalized the values of the business through interaction among them. By ding this, they made situational learning by adapting the level of participation to their role and by becoming a principal member of the business. At the initial stage, they participated spontaneously in community businesses with hope and enjoyed working. However, conflicts occurred among members due to obligatory participation in community businesses making no profit; they failed to participate independently in the process of making a decision about management and had no sense of common responsibility; and they made passive participation, consequently stagnating the businesses. Although an attempt was made to induce competent residents' participation to activate community businesses, the members' antipathy prevented external members' participation, which led to loss of internal drive. The products disagreeable to local emotion failed to get empathy from residents and there were limitations in consuming undifferentiated goods through a clique. On the basis of learning through failure, they were keenly feeling the need of education about development of new items and marketing strategies. However, there was only awareness of problems, which failed to lead to practice for their solution, since the work in community businesses is not principal work related to livelihood. Fourth, the meanings of lifelong learning the residents participating in community businesses experienced through group participation in communities could be reviewed at the levels of personal growth and community development and growth. At the level of personal growth, they grew from a housewife to a local leader and saw their commonplace routines become meaningful: that is, a person of narrow outlook got an expanded view of the world. At the level of community development and growth, they took pride in their community as it changed from a shameful community to boastful one and was reborn as harmonious one with a field of communication among residents. To summarize the learning activities for the residents participating in community businesses, non-formal and informal learning occurred through dynamic interaction in the process of community activities. The residents made experiential, transformative, critical, situational, and community learning in the process of group participation in communities, which involved residents' meetings, residents' steering committee activities, community schools, and community business activities. Learning for the residents participating in community businesses didn't remain at the level of personal growth but led to participation in communities; community development through group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interactively facilitated personal growth.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while growth can also be generated from failure, poor confidence caused by repetitive failures may prevent spontaneous participation. To activate the residents' learning through community participation in community busines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rm and support the foundation of lifelong learning with the objective of realizing learning about a common vision of community formation, learning about formation of communal spirit, learning for local job creation, and continuous learning through community participation. 최근 세계화 경제에서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마을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지역공동체 회복을 통한 주민주체의 ‘마을사업’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업은 지역공동체를 통해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지만 도시사회에서 지역공동체를 형성하기란 쉽지 않다. 또한 주체인 주민들이 공동체 참여과정에서 어떻게 주체로 성장해 나가고 공동체의 발전으로 이어지는지 주민의 학습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마을기업에 참여한 주민이 마을공동체 형성과정과 마을기업 활동과정에서 경험한 평생학습의 의미를 질적 사례연구를 통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성공한 학습뿐 아니라 실패를 통한 학습의 양면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관의 지원이 중단되고 존립의 과도기에 놓여있는 노산동 누림마을공동체 마을기업을 사례로 선정하여 질적 사례연구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문헌조사, 참여관찰,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내용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먼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마을기업 참여주민의 참여배경을 살펴보는 것에서부터 마을기업이 탄생하기까지의 마을공동체 형성과정과 마을기업 활동과정에서 마을기업에 참여한 주민의 평생학습경험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을기업 참여주민의 참여배경을 통해 마을기업에 참여한 주민의 선행경험이 마을공동체 발전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마을기업에 참여한 주민들은 대부분 이미 관과 연계되어 통장으로 활동하고 있거나, 자생단체 활동, 자원봉사의 경험이 있었다. 둘째, 마을공동체 형성과정을 통해 마을만들기는 관의 주도에서 벗어나 주민이 공감하여 동참할 때 지속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관에서 추진하는 주거재생사업과 주민들이 원하는 재개발을 두고 관과 연구진, 주민들 간의 대립과 갈등이 있었지만 지속적인 만남과 토론, 대화를 통한 소통의 장이 형성되면서 주민들의 인식이 전환되어 마을만들기에 공감하는 전환학습이 일어나고 있었다. 주민들의 인식전환은 개인적 차원을 넘어서 마을로 관심이 확장되었다. 마을학교를 통해 마을의 문제를 파악하고자 마을을 직접 둘러보고 문제해결 방법을 찾아 마을만들기 실천으로 이어지는 비판적학습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주민들의 활동은 마을만들기라는 공동의 비전을 구현하기 위한 실천에 집단참여하면서 마을공동체를 형성해 나가는 공동체학습이 함께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마을공동체는 한번 형성되었다고 완결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형성, 갈등, 분열, 재형성되면서 변증법적으로 순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공동체의 순환과정에서 주민들은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아 서로를 이해하지 못해 갈등이 생겼음을 알게 되었고, 결국에는 주민이 화합하여 함께 갈 때 마을공동체가 의미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주민들은 실패의 경험을 통해서도 학습이 일어나고 있었다. 셋째, 마을기업은 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마을공동체로 활동하는 것이 어렵고 힘든 과정임을 알 수 있었다. 마을기업 활동과정에서 마을기업에 참여한 주민들은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마을기업의 가치를 체화시켜 나갔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신의 역할에 맞게 참여정도를 달리하며 마을기업의 주요 구성원이 되어가는 상황학습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마을기업에 참여한 주민은 초기에는 마을기업에 희망을 가지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며 즐겁게 일하였다. 하지만 수익이 창출되지 않는 마을기업에 의무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두고 구성원 간에 갈등이 생겼고, 운영의 의사결정과정에 주체적으로 참여하지 못하면서 공동책임의식을 갖지 못하게 되고, 소극적인 참여자가 늘어나면서 마을기업은 정체되어 있었다. 마을기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마을의 능력 있는 주민을 참여시키고자 하였지만 구성원의 반감으로 참여시키지 못함으로써 내부동력을 잃고 있었다. 또한 지역정서와 맞지 않는 상품은 주민들의 공감을 얻지 못하고 있었으며, 차별화 되지 않은 상품은 더 이상 인맥을 통해 소비하는데 한계에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실패의 경험을 통한 학습으로 새로운 아이템개발과 마케팅 전략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었다. 하지만 마을기업의 일은 생계와 관련된 주업이 아니기 때문에 문제를 인식만 할뿐 해결을 위한 실천으로는 이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넷째, 마을기업에 참여한 주민의 마을공동체 집단참여를 통해 경험한 평생학습의 의미를 개인적 성장차원과 공동체 발전과 성장차원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개인적 성장차원에서는 가정주부에서 지역의 리더로 성장하였으며, 평범한 일상이 의미 있는 일상이 되었다. 또한 우물 안 개구리에서 세상을 보는 세계관이 확장되었다. 공동체 발전과 성장차원에서는 부끄러운 마을에서 자랑스러운 마을로 바뀌면서 마을에 대한 자부심을 갖게 되었으며, 주민들 간에 소통의 장(場)이 마련되면서 화합의 마을로 거듭나고 있었다. 마을기업에 참여한 주민의 학습활동을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공동체 활동과정에서 무형식학습과 비형식학습이 상호 역동적으로 일어나고 있었다. 주민들은 주민회의, 주민추진위원회 활동, 마을학교, 마을기업 활동 등 공동체 집단참여과정에서 경험학습, 전환학습, 비판적학습, 상황학습, 공동체학습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을기업에 참여한 주민의 학습은 개인의 성장에 머무르지 않고 공동체 참여로 이어졌으며, 공동체에 집단참여를 통한 공동체의 발전은 개인의 성장을 촉진하면서 상호작용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패를 통해서도 성장이 일어나지만 거듭된 실패로 인한 자신감 부족이 자발적인 참여를 저해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마을기업에서 공동체 참여를 통한 주민들의 학습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마을만들기 공동의 비전에 대한 학습, 공동체 의식 형성을 위한 학습, 지역일자리 창출을 위한 학습, 공동체 참여를 통한 지속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평생학습의 기반을 조성하고 지원해야함을 제언한다.

      • 방송대학 성인학습자의 학습동아리 활동에 관한 연구

        마경희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방송대학 성인학습자가 자생적 조직인 학습동아리에 어떤 동기로 참여하여 어떻게 활동하는지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송대 성인학습자의 학습동아리 활동 참여 동기는 무엇인가? 둘째, 방송대 성인학습자는 학습동아리 활동을 어떻게 하고 있는가? 셋째, 방송대 성인학습자가 학습동아리 활동을 하면서 겪는 어려움은 무엇이고 얻은 도움은 무엇인가? 넷째, 원활한 학습동아리 활동을 위해 방송대 성인학습자는 무엇을 요구하고 기대하는가? 이와 같은 연구 내용을 수행하기 위해 방송대 학습동아리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 동기를 보면 성적향상 및 졸업이나 학사일정 및 학습 정보 공유를 위해서 참여하는 외재적 동기, 유대감 형성이나 자기 성장을 기대하면서 참여하는 내재적 동기와 특정한 동기 없이 막연한 도움을 기대하며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동아리 활동을 살펴보면 만남주기, 시간, 장소는 학습동아리 활동 환경을 구성하는 과정과, 학습내용을 분담하여 함께 스타디하고, 유대감을 강화하기 위한 학습동아리 활동과정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동아리 활동을 하면서 겪는 어려움으로는 장소 섭외의 어려움은 학습동아리 활동 환경차원의 어려움으로 구분하고 학습내용 선정과 스타디 방식을 찾지 못해 겪는 어려움은 학습동아리 활동 과정차원의 어려움으로, 유대감이 형성되지 않아 겪는 어려움, 리더의 역할미숙, 무책임한 참여자로 인한 어려움은 구성원간의 역할, 관계차원의 어려움으로 분류하였다. 학습동아리 활동을 통해 얻은 도움은 내적인 차원의 도움, 외적인 차원의 도움으로 나눌 수 있는데 내적인 차원의 도움은 유대감 형성에 도움, 자존감 증대와 삶의 활력에 도움이 된 경우이며 외적인 차원의 도움은 성적향상과 학사일정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원활한 학습동아리 활동을 위해 요구하고 기대하는 것을 살펴봤더니 참여자에게 적합한 장소 물색은 적합한 학습동아리 환경에 대한 요구와 기대,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스타디방식 탐색은 원활한 학습동아리 진행에 대한 요구와 기대, 구성원들 간의 유대감을 높이기 위한 노력과 함께 지속적 성장을 위한 노력은 구성원간의 관계에 대한 요구와 기대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ith which motivation the adult learners for Correspondence University participate in the learning circle, which is voluntary organization, and how they are active.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motivation for adult learners at Correspondence University to participate in the learning circle? Second, how are adult learners at Correspondence University active in the learning circle? Third, what is difficulty that adult learners at Correspondence University suffer while being active in learning circle? and what is help of being obtained? Fourth, what do adult learners at Correspondence University demand and expect for smooth learning-circle activity? To perform these research contents, the in-depth interview was carried out targeting participants in learning circle for Correspondence Universit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given seeing the participatory motivation, the adult learners were indicated to participate with the extrinsic motivation of joining for enhancing score, and for sharing schedule of graduation and educational matters, and of the learning information, with intrinsic motivation of joining with expecting the formation in relationship and the self-growth, and with expectation for vague help without specific motivation. Second, given examining the learning-circle activity, the meeting cycle, time, and place were indicated to be the process of forming environment of learning-circle activity and the process of learning-circle activity for studying together and reinforcing relationship by sharing the learning contents. Third, as for difficulties of being suffered while being active in learning-circle activity, the difficulty for arranging a place was classified into the difficulty in the environmental dimension of learning-circle activity. The difficulty of being suffered due to failing to select the learning contents and to find a study method was classified into the difficulty in the procedural process of learning-circle activity. The difficulty of being suffered due to failing to be formed relationship, and the difficulty caused by the leader's immaturity of role and the irresponsibl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he difficulty in the dimension of role and relationship among members. The help, which was obtained through learning-circle activity, can be divided into the help in the internal dimension and the help in the external dimension. The help in the internal dimension is a case of having been conducive to forming relationship, to increasing self-esteem, and to vitalizing life. The help in the external dimension was indicated to have been conducive to enhancing score and to sharing information on schedule of educational matters. Fourth, the demand and expectation were examined for the smooth learning-circle activity. A search for a place proper for participants was indicated to be the demand and expectation for the appropriate learning-circle environment. A quest for a study method available for enhancing the learning effect was indicated to be the demand and expectation for the smooth learning-circle progression. An effort for continuous growth along with an effort for increasing the ties among members was indicated to be the demand and expectation for relationship among members.

      • 한국 사회정책 체제의 젠더계층화 논리와 여성의 사회권

        마경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한국 사회정책 체제의 젠더계층화 논리를 분석하고, 이것이 여성의 사회권에 대해 가지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정책 체제를 직접적인 시장소득 상실의 위험으로부터 사회구성원을 보호하는 급여들로 구성된 계급체제(Class regime)와 가족관련 위험과 가족의 기능을 지원하는 급여들로 구성된 젠더체제(gender regime)로 구분하여 각 체제의 수급권의 규칙 이면의 젠더계층화 논리를 분석 하였다. 한국 사회정책의 계급체제는 기본적으로 기여(contributions)와 욕구(needs)의 원칙에 의해 공적 자원을 분배한다. 사회보험은 철저한 기여원칙에 의해 유급 노동시장에서 안정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 인구층을 통합하고, 공공부조 제도는 욕구원칙에 의해 시장에서 실패한 인구층을 통합한다. 기여와 욕구의 원칙은 그 자체 성별을 축으로 한 차별화 원칙을 내재화하지 않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성과 여성은 각각 "남성= 사회보험층, 여성=공공부조층"으로 다른 프로그램으로 통합된다. 계급체제 내의 이러한 성별분리는 양육자 역할에 대한 인식을 통한 여과과정을 전혀 거치지 않은 채 유급노동 시장 내 지위가 그대로 반영된 결과이다. 사회보험은 양육책임 없이 유급노동 시장에 안정적으로 고용된 노동자를 전제하는 수급권의 규칙을 통해 여성의 통합을 강하게 배제하며, 공공부조는 욕구와 부양원칙의 결합을 통해 남편없는 여성가구주 가구를 통합한다. 계급체제의 이러한 배제와 통합의 기저에는 남성이든 여성이든 유급 노동시장 내 지위 또는 법정 빈곤충의 요건을 충족시킨다면 성별과 관계없이 동등하게 적용된다는 의미에서 '성중립성'(gender-neutrality)의 논리가 작용하고 있다. 젠더체제의 부양자 가정은 한국 사회보험 중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는 특수직역연금과 산재보험에서만 일관되게 관철되고 있으며, 민간을 대상으로 하여 뒤늦게 도입된 국민연금,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과 저소득 모자가정 지원 프로그램의 부양원칙은 제한적이거나 형식적이다. 즉 특수직역연금, 산재보험의 경우 피 부양자 급여에 대한 관대한 자격부여를 통해 노동시장 밖의 인구를 제도 내로 통합하고 부양자 부재시 높은 급여수준을 보장하여 시장에 대한 의존을 약화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데 비해 후자의 경우 부양자 지원 급여가 형식적이고 낮거나(국민연금 가급연금, 국민연금 유족연금), 아예 가족 내 부양자 지위를 고려한 급여가 없다(고용보험). 건강보험은 적용범위 확대 과정에서 제도 내적 불일치를 보이는 경우이다. 건강보험은 확대가족에 기초한 방대한 가족개념을 전제하면서도 직장가입자의 소득없는 가족원에게만 '피부양자' 지위를 인정하고, 지역가입자의 실질적인 피부양자에게는 보험료 납입 연대의무를 부과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별도의 보험료 부담없이 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피부양자'의 범위를 제한한다. 한편, 모성과 양육자에 대한 재정적 지원은 욕구와 노동시장 지위라는 부가적 조건을 전제로 하는 선별주의 제도 내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다. 모성급여는 모성에 기초한 사회권(social rights)이라기 보다는 모성으로 인해 손실된 소득을 보상하거나(산전 산후휴가 급여, 육아휴직급여), 저소득층 모자가정의 양육·교육비의 극히 일부를 보조하는 잔여적 제도일 뿐이다. 모든 어머니들에게 보편적으로 제공되는, 전업 양육자(full-time caregiver)를 포괄할 수 있는 보편적 급여는 없다. 그렇다면, 양육자(carer)의 노동시장 참여를 지원하는가? 90년대 중반 이후 한국의 보육 서비스는 양적으로 확대되었지만, 서비스와 재원에서 국가의 직접적 개입과 역할의 강화를 수반하지 않았다. 보육서비스는 상품화되었고, 보육 서비스에 대한 재정적 지원은 법정 저소득층에 제한된다. 이러한 정책 이면의 전제는 자녀양육은 기본적으로 '사적' 문제라는 것이다. 이 논문은 양육자에 대한 재정적 지원없이, 보편적인 공적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형식적으로만 부양자를 지원하는 이러한 젠더체제의 유형을 "형식적 부양자 체제"로 개념화하였다. 몇몇 사회정책에서 발견되는 부양자(피부양자) 급여의 흔적이 한국 사회정책 체제 내에서 제도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가족에 대한 유일한 가정이지만, 부양자 가정에 기초한 급여에 대한 까다로운 자격부여와 낮은 급여수준으로 인해 가족 내 지위와 연계된 불완전한 권리를 통해서 조차도 피부양자는 탈상품화 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형식적"이다. 다만 특수직역연금의 경우는 예외적으로 "강한 부양자 가정"에 의해 부양자의 역할을 지원하고 부양자 부재시 가족 내 지위에 기초하여 피부양자를 효과적으로 탈상품화 할 잠재력을 가진다. 양육자에 대한 인식이 고려되지 않은 채 유급 노동시장 내 지위를 여과없이 반영하는 계급체제의 성중립성과 젠더체제의 형식적 부양자 가정은 결과적으로 빈곤충의 가장인 여성만을 사회정책에 통합하고 많은 여성을 사회정책의 사각지대에 방치한다. 한국 사회정책 체제 내에서 여성은 노동시장 참여와 노동시장 내 지위를 통한 개인적 수급권을 보장받지도 못하고, 전통적 부양자 가족에 대한 가정 하에 피부양자로서, 양육자로서 수급권도 갖지도 못한다. 양육책임 없는 노동자로서의 사회보험 수급권을 갖지 못하는 여성들은 가족 지위와 연계된 사회정책 급여를 통해 남편에 의존하기보다는 남편의 시장소득에 의존한다. 사회정책에 대한 서구 페미니즘의 주된 공적 지점이 되어 왔던 부양자 모델가족에 대한 가정이 형식적인 것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피부양자로서의 수급권온 남편의 권리를 매개로 한 파생적 권리(derived rights)라는 점에서 불완전한 속성을 가지고 있고 이는 복지국가가 여성을 통합하는 방식에 대한 서구 페미니즘 비판의 주된 초점이었다. 피부양자로서 수급권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부양자와의 가족관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조건이 부과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양원칙에 기초한 피부양자로서 수급자격 부여는 노동시장 밖에 있는 인구층을 제도 내로 통합하고 부양자 없는 가족을 시장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질적 젠더이해(Practical Gender Needs)와 접맥된다.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또는 노동시장 참여를 통한 개인적 수급권 확보가 용이하지 않은 한국 사회의 현실적 여건을 감안해 볼 때, 비교적 최근에 도입된 몇몇의 제도들에서 형식적으로 관철되는 부양원칙은 부양자 없는 가족을 시장에 방치한다. 이는 곧 강한 부양자 모델 국가보다 편모 가족의 빈곤이 더욱 악화될 것임을 의미한다. 부양원칙은 전략적 젠더이해(Strategic Gender Interest)의 관점에서 볼 때 제거되어야 할 사회정책의 원칙임에 분명하지만, 사회정책의 형식적 부양자 가정은 "보살핌(caring) 책임있는 노동자"를 전제로 한 사회정책 프로그램의 발달을 전제로 할 때만, 장기적으로 지향되어야 할 전략적 젠더이해에 (Strategic Gender Needs) 부합할 수 있다. The thesis analyzes the gender stratification of Korean social policy, and then discusses its implication for women's social rights. This study analytically divides the social policy regime into two parts : the dass regime and the gender regime. The latter is consisted of benefits that secure the family members from the family-related risks such as their loss of breadwinner income, loss of personal income through pregnancy. The former is based on benefits that protect income through pregnancy. The former is based on benefits that protect "individual citizens from the risk of loss of earned income. Based on this framework, this thesis analyses the policy logic of gender stratification underlying the rules of eligibility of each regime. First, the class regime allocates the public resource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contributions and needs. Social insurance schemes based on the principle of contributions intend to embrace those who have stable positions in the labor market on the one hand, and on the other, public assistance programs based on the principle of needs intend to secure those who fail in the market. Even though the principle of social contributions and needs might not have the intention of discriminating between men and women, their results appear as men=social insurance schemes an women=social assistance programs. Such a gender stratification within the class regime actually stems from "gender-neurality" that does not full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are work carried out by women in the private sphere of the home. Second, regarding gender regime, a male-breadwinner assumption reflected in Korean social policy shows some contractions. For instance, occupational pensions schemes targeted for the groups of government employees, school teachers and the military, as well as the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intensify the male-breadwinner assumption, since the schemes are designed to protect and de-commodify the dependents of male breadwinner by granting them generous benefits. However, the National Pension scheme, the Health Insurance for self-employeds, the Employment Insurance and the public assistance programs for lone mothers with low incomes superficially employ the assumption, as their levels of benefits are too low to support the dependents. Regarding public financial support for women with children, in Korea, there is no universal maternal benefits that cover full-time caregivers. To access maternal benefits, women have to fulfill one of the two additional qualifying conditions, labor market status. Even though the numbers of childcare facilities have been dramatically increased since the middle of the 199Os, it was not accompanied by the direct involvement of the state in the provision and funding of services. The childcare services are marketized and funded childcare services are confined to families below the poverty line. The assumption of these policies 1s that the care responsibility is the private. Therefore, the responsibility for childcare is allocated to women whose prime place is defined as the private sphere of the home. This thesis defines such a type of gender regime as a "superficial breadwinner regime" that supports male breadwinners and their dependents only in a limited way In the superficial breadwinner regime care work is primarily located in the private sphere, and then, unpaid. As a result of that, the class and gender regimes incorporate only for women in poverty, such as lone mothers with low incomes. The rest of women are excluded from the consideration of Korean social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