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한·중 임시어 대조 연구

        린샨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3 국내박사

        RANK : 247647

        本论文的研究目的是以韩语的临时语为中心探究汉语里临时语的存在与否问题。具体来说, 是从临时语的形态变化和构成规则、意义结合、以及造词的角度出发, 考察临时语的生成方式、过程及生成规则等。本研究的研究对象是现代韩语和现代汉语中使用的临时语, 研究的主要内容是提出韩语和汉语临时语的研究方法论, 并以此为基础探讨韩语和汉语中临时语的异同问题。 第二章系统地整理了韩语和汉语临时语对比研究的方法论。首先整理了韩语和汉语临时语的概念, 然后在本研究里对韩语和汉语临时语的概念进行统一定义。 其次整理了韩语临时语的形成原因及类型。同时在第二章最后一节提出了韩语和汉语临时语的对比分析框架, 并以该分析框架为中心进行了分析。本论文将临时语分爲单纯词、合成词、派生词三种类型进行了考察。例如, 韩语的单纯词在汉语中虽然有与其对应的单词, 但在单词的意义和形态构成成分上多少有些差异。虽然韩语和汉语都存在形成临时语的单纯词类型, 但由于和临时语的高生产率不同, 大部分学者认为形成临时语的类型是复合词的类型, 因此本研究也遵循这一观点。 第三章中分析了韩语和汉语临时语的合成词类型。在形成韩语和汉语临时语的类型中, 确认了合成词是形成韩语和汉语临时语的共同结构,并将合成词分为合成名词、合成动词、合成形容词三种类型。大部分韩语合成词对比示例在汉语中也可以找到相同的类型结构或相同的意思。部分合成词类型的情况与预想的不同, 在汉语中可以找到比韩语更多的示例。例如, 在合成名词中, 缩略词和首字母词在汉语中非常活跃。根据汉语造词规则,可以总结为不事先被收录于词典,非常具有生产性的词叫临时语。另外, 从韩语的内部结构来看, 虽然汉语与韩语在某些地方相似, 但由于没有韩语的语尾和助词等功能范畴, 必然会有所差异。其中在韩語和汉語中对应的一些临时语里, 虽然是相同的汉字词, 但意义因各国的语言环境不同而改变, 所以就会出现没有相互对应单词的现象。更何况, 汉语虽然是同样的汉字词, 但也有简体字和繁体字, 随着时间的流逝, 也会发生词汇上的变化。有些临时语在汉语里与韩语有着相同的类型经常被使用, 但并不是与韩语相似的汉字词发音, 甚至单独来看的话, 意思也大不相同的单词以合成词的形式被使用。可以解释为这是由两个单词组成的合成词, 在意思上是与韩语一致的。这可以看作是异声异态的临时语对比类型。因为汉语是孤立语, 韩语是黏着语, 所以韩语里擅长以冠形词语尾结合的合成词现象,只会导致其与汉语没有相对应的单词。 第四章对临时语类型中的派生词进行了分析。首先可以确认, 在形成韩语和汉语临时语的派生词类型结构中, 有一部分词缀相同。与此同时还发现了一个非常有意思的共同点是韩语和汉语都受到了方言的影响。在对韩语和汉语进行临时语对比分析的同时, 两国语言也多少受到了方言的影响, 使临时语的类型变得多种多样。因此形成韩语和汉语相似临时语词缀的原因与两国造词方式和内部结构相似有关系, 是通过汉文统词结构表现出来的。另外, 可以看出在韩语里部分汉字词是从汉语内引入, 在结构和意义上没有多少变化, 同时这些词缀在汉语中也没有发生像韩语一样的词缀功能和意义的变化。综上所述, 在临时语的韩语和汉语共同词缀中, 后缀的数量多于前缀。这是因为无论在韩语还是汉语里,后缀的使用都比前缀更加活跃。 韩语和汉语临时语的词缀差异可以整理成五种。 1. 韩语派生词没有汉语派生词具有多样性。 2. 韩语的词缀的词根可以自由地由固有词、汉字词、外来词组成,与此不同, 汉语大部分词根是由汉字构成的。 3. 由于韩语和汉语两种语言的词性差异, 内部结构也会发生差异。此外, 除了可以改变汉语后缀词根的词汇范畴的功能外, 还存在附加词的功能。 4. 根据词汇范畴的特性,中文的词缀既有实词也有虚词,但韩语中只存在实词。 5. 韩语和中文有相互对应的词缀, 但具体意义和使用上存在差异。 上面提到的的差异原因首先是韩语和汉语在不同词类体系中产生的, 其次因为汉语是孤立语, 所以可以总结为虚词或实词相结合时不会发生形态变化。汉语和韩语中出现同样的词缀, 说明它们同属汉字圈, 在文化和语法上存在很多相似之处, 因此才存在相同用法的汉字词。汉语和韩语不是同一语种,虽然语义和语法结构上有一小部分一致,但大部分使用的是不同文字的词缀。即使从历史上来看, 汉字词起源相同, 根据各自国家的文化和语言习惯, 意义会发生变化, 因此汉语和韩语中存在的派生词类型也会出现差异。 通过对韩语和汉语语言之间的对比研究很好地体现了现代韩语和现代汉语的文化差异、社会现象和语言特点。在本研究中, 通过确立汉语临时语的概念, 可以使汉语临时语得到更广泛、更系统的研究。虽然本研究不属于韩语教育本身, 但其意义在于可以充分地为韩语教育提供可利用的基础资料。 本研究希望有助于增强汉语学习者和韩语学习者在外语环境下接触临时语等语法现象时对此类单词的理解。在外语学习过程中, 如果遇到陌生的单词, 很自然地会在形态和结构上与自己的母语进行比较, 然后活用于外语学习上。希望通过本研究, 使以汉语为母语的韩语学习者在学习韩语词汇的过程中, 参考临时语的构成规则和示例, 更有效地为外语词汇学习做出贡献。另外, 通过韩语和汉语临时语的对比研究, 使韩语教师们理解韩语学习者的目标学习语言和母语间的相同点和不同点, 并有效利用在韩语教育和教学上, 增强韩语教育的效果。遗憾的是本论文没有涉及更多的例子, 只提及代表性的例子这点可以说是本研究的局限性。同时,非常期待以此研究为基础,从语言学的角度或者外语教育的角度出发对汉语临时语的相关后续研究。希望今后对临时语感兴趣的语言学家们能够将这种主题的研究应用到更多的语言上, 并扩展到更广阔的领域里。 본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임시어의 형성 유형 및 의미를 대응시켜 이들의 공통점과 차이점, 형태적 의미적 기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대조 분석을 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국어와 중국어에 존재하는 임시어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임시어의 형태적 변화와 구성 규칙, 의미 결합, 그리고 조어 차원에서 임시어의 생성 방식 및 생성 규칙 등을 살펴보았다. 본고에서는 현대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사용되는 임시어 대응어를 중심으로 이들 임시어들 간에 존재하는 언어 유형적 차이점에서 출발하여 먼저 한국어와 중국어 임시어의 연구 방법론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임시어와 대응되는 중국어의 대응어가 있는지, 있으면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임시어 대조 연구 방법론에 대해 체계적으로 제시하였다. 먼저 한국어 임시어의 개념과 중국어 임시어의 개념을 정리하고 한·중 임시어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이렇게 정립한 임시어의 개념을 기준으로 하여 임시어의 형성 원인 및 유형을 정리하였다. 한국어 임시어의 단어 유형은 크게 단일어, 복합어(합성어, 파생어)로 나눌 수 있다. 중국어와 한국어는 서로 다른 어족에 속하며 어순, 문자 속성도 다르지만 단어 구성 유형에 있어 분류 방식, 표현 방식에 다소 차이가 있긴 했으나 전체 단어 형성 유형은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 나아가 한국어와 중국어 임시어의 대조 분석 틀을 제시하고 이 분석 틀을 중심으로 한국어와 중국어 임시어를 분야별로 수집하여 대응 분석하였다. 이어서 3장과 4장에서는 본격적으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임시어를 대조 연구하였다. 임시어를 단어 유형 체계에 따라 단일어, 합성어, 파생어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한국어 단일어의 경우 중국어에서 그와 대응된 단어가 있지만 단어의 의미나 형태 구성 성분에서 다소 차이를 보였다. 예를 들어 한국어에서 차용어인 “에이스”처럼 중국어에서도 비슷한 차용어를 임시어로 광고에 사용하는 언어 현상이 존재한다. 즉, 可口可乐(coca-cola), 立顿(lipton), 路易十三(LOUISXIII) 등이다. 한국어에서 과일 주스 제품명으로 쓰인 광고 임시어 “과수원”도 중국어에서 ‘椰树(야자나무), 海南岛(하이난섬), 农夫果园(농부 과원)’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과일 주스 제품명은 중국어에서 그와 대응되는 것은 단일어뿐만 아니라 합성어의 유형도 많이 있었다. 따라서 단일어의 유형은 한국어와 중국어에는 비슷한 점도 있고 차이점도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한국어와 중국어에 모두 임시어를 형성하는 단일어 유형이 존재하지만 임시어의 높은 생산성과 차이가 있으므로 대부분의 논의들에서는 임시어는 복합어의 유형으로 제한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견해를 받아들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임시어 합성어 유형을 살펴보았다. 한국어와 중국어 임시어를 형성하는 유형 중 합성어의 경우에는 한국어와 중국어 임시어가 비슷한 구조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합성어를 합성 명사, 합성 동사, 합성 형용사의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대부분의 한국어 합성어 대조 예들은 중국어에서도 같은 유형 구조나 같은 의미로 볼 수 있었다. 일부분 합성어 유형의 경우 예상과 달리 중국어에서 한국어에 비해 더 많은 예가 있다는 경우도 찾아볼 수 있었다. 예를 들어 합성 명사에 축약어와 머릿글자어는 중국어에서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중국어 단어 형성 규칙에 따라 사전에 등재되지 않고 아주 생산적으로 만들 수 있는 임시어로 정리할 수 있다. 또한 한국어의 내부 구조를 살펴보면 중국어는 한국어와 비슷하지만 한국어와 같은 어미와 조사 등의 기능범주가 없기 때문에 차이점이 드러났다. 한국어와 중국어 합성어의 차이점은 주로 ‘단어 속성 차이, 어족 차이, 어순 차이, 외래어의 수용 차이, 통사적 구성의 차이, 형태적 차이, 같은 한자어의 의미적 차이, 합성 명사 형식 차이, 문법 차이, 두음 단어의 차이, 문화 차이’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또한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사용하는 한자는 동일한 ‘한자’지만 의미는 각 나라의 언어 사용 환경마다 다르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대응하는 단어가 없을 수도 있다. 중국어의 경우 같은 한자어이면서도 간체자도 있고 번체자도 있어서 시간이 지나면서 어휘적으로 변화가 발생하기도 한다. 어떤 임시어는 중국어에서 한국어와 똑같은 유형이 자주 사용되고 있지만 한국어와 유사한 한자어 발음이 아니고 심지어 단독적으로 보면 뜻도 다른 단어가 합성어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두 개의 단어가 결합된 합성어로 한국어와 일치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이성이태(異聲異態)의 임시어 대조 유형으로 볼 수 있다. 중국어는 고립어이고 한국어는 교착어이기 때문에 관형형 어미를 취하는 합성어 현상은 중국어와 대응하는 단어가 없을 수밖에 없다(린샨, 2021a:142). 이어서 4장에서 임시어 유형 중 파생어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임시어를 형성하는 파생어 유형 구조 중에서 부분적으로 동일한 접사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요약하자면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접두사는 ‘반(反)-, 친(親)-, 탈(脫)-, 주(駐)-, 대(對)-, 재(在)-, 신(新)-, 無(무)-, 휘-’ 등이 있다. 접미사로는 ‘-들(们), -가(家), -남(男), -녀(女), -족(族), -가(哥), -씨(氏),-제(制), -산(產), -행(行), -어(語), -인(人), -식(式), -통(通), -풍(風), -공(公), -옹(翁), -이세(二代), -깡(条), -기/-개(器), -형(型), -자(者), -망(網)’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한국어와 중국어도 모두 방언의 영향을 받는다는 재미있는 공통점을 발견하였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임시어를 대조 분석하면서 양국 언어에서도 다소 방언의 영향을 받아 임시어의 유형을 더 풍부하게 만들어주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한국어에서 방언의 영향을 받아 만든 단어들은 파생어의 유형에 속하며 한국어 방언에서는 도구를 지시하는 [N-개]형 파생명사의 생산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나막신: 나막개, 나목개, 나무개; 이엉: 영개, 이응개; 안정: 안질개, 앉질개; 누룽지: 누룽개, 누릉개; 부침개: 부친개” 등이다. 중국어의 경우 한국어 “회토랑, 패스토랑”등 외래어에서 유래된 유추적인 임시어가 중국어에서 ‘咖(ka)’로 한국어와 비슷한 언어 현상으로 간주될 수 있다. 중국어의 ‘咖(ka)’는 명사와 결합해 ‘综艺咖, 电影咖, 音乐咖, 足球咖, ...’, 동사나 형용사와 결합해 ‘胖咖, 怪咖, 潮咖, 玩咖’ 등 임시어를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예를 통해 ‘咖’는 접사화(词缀化) 특징이 보여 임시어를 형성할 수 있는 접미사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중국어에서도 방언의 영향을 받아 임시어의 유형을 매우 다양하게 만들었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유사한 임시어 접사를 형성하는 원인은 양국 조어 방식과 내부 구조가 비슷해 한문의 통사구조를 보여 줬기 때문이다. 그리고 한국어의 일부분 한자어는 중국어에서 유입되어 구조나 의미상 변화하지 않고 그대로 쓰이는 것은 중국어에서도 한국어와 같은 접사의 기능성이나 의미의 변화가 없기 때문이라고 보인다. 위에서 보듯이, 임시어를 형성하는 한국어와 중국어 공동 접사 중에는 접두사보다 접미사의 수량이 더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한국어든 중국어든 접미사가 접두사보다 더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임시어를 형성하는 접사의 차이점을 정리하면 ‘접사의종류 차이, 수량 차이, 접사와 결합한 대상의 차이, 한자어 접사의 차이, 새로운 접사의 생산성 차이, 형태적 차이, 통사적 차이, 외래어 수용 차이, 품사의 차이, 접사의 실사와 허사의 차이, 같은 접사의 의미적인 차이’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위에 제시된 차이의 원인은 먼저 한국어와 중국어는 서로 다른 품사 분류 체계에 있어서 비롯된 것이고, 다음으로는 중국어는 고립어라서 허사나 실사가 형태 변화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중국어와 한국어에서 같은 접사가 나온다는 것은 같은 한자권에 있기 때문에 문화나 문법상 비슷한 점이 많고 같은 한자어를 쓰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어와 한국어는 같은 어족이 아니므로 의미와 문법 구조상 부분적으로 일치하지만 대부분 다른 글자로 된 접사를 사용하고 있다. 역사적으로는 기원이 같은 한자어지만 각각 나라의 문화나 언어 습관에 따라 의미 변화가 생겼기 때문에 중국어와 한국어에 나타나는 파생어 유형에서도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다. 그리고 4장에서 제시된 “라면볶이, 생금구이, 꿈틀이”에 쓰인 파생접미사 ‘이’는 중국어에서 찾기 힘들다. 왜냐하면 중국어는 고립어로서 형태소의 형태 변화가 없기 때문이다. 한국어와 중국어 언어 간의 대조 연구는 현대 한국어와 현대 중국어의 문화 차이, 사회 현상과 언어 특징을 잘 드러낸다. 먼저 본 연구에서 중국어 임시어의 개념을 정립함으로써 중국어 임시어를 더 광범위하고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가 한국어 교육 그 자체에 속하는 것은 아니지만, 한국어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충실히 제공하는 데 의의를 둔다.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외국어 환경에서 임시어와 같은 언어 현상을 접할 때 임시어를 형성하는 규칙과 예들을 참고하면서 단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한국어와 중국어 임시어의 대조 연구를 통해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들이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대상 언어와 모국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해하고 한국어 교육 · 학습에 이용하면 한국어 교육의 효과를 높이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더 다양하고 많은 예들을 다루지 못하고 대표적인 사례들만 다루었다는 것은 본 연구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연구를 바탕으로 언어학 관점이나 외국어 교육의 관점으로 출발해 그동안 중국어 내 다루지 못한 중국어 임시어에 대한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더 나아가 향후 임시어에 관심을 가지는 언어학자들에 의해 이러한 주제로 된 연구가 더 많은 언어에 적용되어 더 넓은 영역으로 확대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presents a contrastive study of nonce words of Korean and Chinese. Specifically, the ways, processes, and rules of generating are examined in this paper from the perspectives of morphological changes, composition rules, semantic combinations, and word form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centered on nonce words used in modern Korean and modern Chinese languages. The main content of the study is to propose a research methodology for Korean and Chinese nonce words, and to fi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nonce words based on this methodology. Chapter 2 systematically summarizes the methodology of Korean and Chinese nonce word comparison study. The concepts of nonce words are firstly proposed, and then the concept is defined in a unified manner. Then the causes and types of Korean nonce words is summarized. In the last section of Chapter 2, a comparative analysis framework for Korean and Chinese nonce words is presented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is conducted. In the third and fourth chapters, Korean and Chinese nonce words are formally studied in comparison. According to the Word-type system, nonce words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single words, complex words, and derived words. Although Korean single words have their counterparts in Chinese,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meaning and morphological compositions. In this way, there are single words in both Korean and Chinese that can be nonce words, but most scholars believe that the type of nonce word belongs to compound word, because of the high productivity of nonce words, which is also the view of this thesis. Chapter 3 also analyzes the types of Korean and Chinese nonce complex words. Among the types of Korean and Chinese adverbs, it has been confirmed that complex words have similar structures. The complex words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complex nouns, complex verbs, and complex adjectives. Most of the Korean complex words can also be found in Chinese with the same structure or the same meaning. In the case of some complex words, contrary to expectations, more examples can be found in Chinese than in Korean. For example, in complex nouns, abbreviations and acronyms are very active in Chinese. According to the rules of Chinese word-making, words that are very productive without being listed in the dictionary are called nonce words. In addition, from the internal structure of Korean, although Chinese is similar to Korean, there are inevitable differences due to the absence of functional categories such as suffixes and auxiliary words. Among them, some of the nonce words in Korean and Chinese are the same Chinese characters, but their meanings change depending on the language environment of each country, so there are no words that correspond to each other. Moreover, one Chinese character word can be written in simplified or traditional character version, and its meaning may change over time. Some nonce words are often used in Chinese in the same type as Korean, but they are not pronounced with the same Chinese characters. Even words with different meanings are synthesized in the form of complex words. It can be interpreted as a complex word consisting of two words and is meaningfully consistent with Korean language. This can be seen as a contrast type of allophonic allomorphism. Since Chinese is an isolating language and Korean is an agglutinative language, the phenomenon in Korean of combining coronal endings can only lead to the absence of corresponding words in Chinese Chinese. The analysis results of the derived nonce words in Chapter 4 are as follows. First of all, some of the derivative type structures in Korean and Chinese nonce words have the same affixes, which can be confirmed. The other interesting commonality is that both Korean and Chinese are influenced by dialects. The comparative analysis process of Korean and Chinese nonce words both have been influenced by dialects to a greater or less extent. In Chinese, the types of nonce words become diverse due to the influence of dialects. Therefore, the reason why Korean and Chinese have similar nonce affixes is that they are similar in the way of word formation and internal structures, which are expressed through the unified word structure of Chinese.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some Chinese characters in Korean are introduced from Chinese without much change in structure and meaning, and have been using in their original forms, while no change in the function and meaning of affixes occurs in Chinese as what occurs in Korean. As mentioned above, the number of affixes in Korean and Chinese nonce words is greater than that of prefixes, which is because suffixes are used more actively than prefixes in both Korean and Chinese. There are five types of differences in the conjugation that make up Korean and Chinese adverbs. 1. Derivatives in Korean are not as diverse as derivatives in Chinese. 2. While the roots of Korean affixes can freely be composed of native, Chinese characters, and foreign words, most of Chinese roots are made up of Chinese characters. 3. Due to the difference in a part of speech between the two languages, the internal structures of Korean and Chinese words can also be different.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changing the lexical category of Chinese suffix roots, there is also the function of additional words. 4. Due to the nature of vocabulary category, Chinese affixes can be notional or function words, but all Korean affixes are notional words. 5. Korean and Chinese have affix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specific meaning and use. The reasons for the difference mentioned above are, firstly, that Korean and Chinese are in different lexical systems, and secondly, because Chinese is an isolating language, it can be summarized that there is no morphological change when imaginary or real words are combined. The presence of the same affixes in Chinese and Korean shows that there are many cultural and grammatical similarities due to the fact that they belong to the same cultural circle, which is why there are Chinese words with the same usage in both Korean and Chinese. Since Chinese and Korean are not the same language, most of the affixes are used in different words, although the semantic and grammatical structures are partially the same. Although the origin of Chinese characters is the same historically, the meaning varies depending on cultures and language customs of each country, so the types of derivatives that exist in Chinese and Korean may also differ. The contrastive study between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is a good example of the cultural differences, social phenomena,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and modern Chinese. First, by establishing the concept of Chinese temporary words in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study Chinese nonce words in a broader and more systematic way. Although this study does not belong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tself,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provide sufficient basic informatio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and Korean learners when they are exposed to grammatical phenomena such as nonce words in a foreign language environment. In the process of learning a foreign language, it is natural to compare the morphology and structure of an unfamiliar word with that of one's native language and then apply it to foreign language learn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Korean learners who are native Chinese speakers to learn Korean vocabulary more effectively by referring to the rules and examples of nonce vocabulary formation. In addition, it is effective to help Korean teachers underst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learners' target learning languages and native languages through research on the comparison of Korean and Chinese nonce words. It can be used for Korean education and learning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Korean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will help Korean language teachers to underst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arget language and the native language of Korean learners, and use them effectivel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learning. However, this study is limited in that it does not cover more examples and only mentions representative examples. Finally, we are looking forward to the follow-up research on nonce words from the perspective of linguistics 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linguistics who are interested in nonce words will apply this theme to more languages and expand it to a wider field in the future.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호칭어 교육 방안 연구: 2인칭 대명사 대체 용법을 중심으로

        린샨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以中國人學習者爲對象的韓語稱呼語敎育方案 -以第二人稱爲中心- 林 杉 國立安東大學院 一般大學院 國語國文學科 韓國語敎育 中韓兩國歷史以來就是有這很深厚文化淵源的,雖然曾經長期彼此隔絶,但由於1992年8月建交以來,兩國關係迅速發展,中韓不斷開展高層往來,增進互信共識,拓展合作領域,深化合作層次。在政治,經濟,文化,科技等領域合作廣泛,幷且兩國元首一直同意順應兩國關係發展的现實需要和長遠要求,將中韓全面合作夥伴關係提升爲戰略合作夥伴關係,共同開創中韓關係更加美好的未來。在中韓友好的大趨勢下,韓語已經成爲重要的合作交流工具,爲了讓中國人與韓國人之間更好的交流,所以本論文以中國韓語學習者爲研究對象,對代替第二人稱的呼稱語進行研究,來幇助中國學生更好更快的學習韓語。 第一章,本論文中提出代替第二人稱呼稱語的必要性,幷且提出研究方法。 第二章,導出韓語的呼稱語的概念,本論文是以韓語的社會稱呼與爲中心,分析韓語和中文的社會呼稱語的概念和區別。 第三章,提出中國第二人稱與韩國第二人稱的概念,分類整理幷且將中文和韓語進行比較。 第四章,分析敎材。在首尒大學韓國語敎材,延世大學韓國語敎材,慶熙大學韓國語敎材的對話文中找出呼稱語的事例進行分析,幷總結出代替第二人稱呼稱語在现實生活中的使用頻繁,在敎材中却沒有進行學習的弊端。 第四章,制定代替第二人稱呼稱語的教育方案,本教育方案是以中級中國人韓語學習者爲中心的,考慮初級不懂的這些詞匯的用法,高級又都知道如何正確使用呼稱語,所以就以中級爲中心來進行敎學。 第五章,通過總結兩次測試的結果,證明我的代替第二人稱呼稱語敎育方案是有效果的,對中國學生日程生活中正確使用呼稱語是有幇助的。而且,本敎育方案是以電視劇,電影爲題材,制定特定的使用呼稱語的環境,使學生對上課内容産生興趣,從而學會如何正確的使用呼稱語。 本論文是以安東大學韓語學堂中級班10名學生爲調査對象進行的,因爲調査人數比較少,范圍比較小,所以調査結果的普遍性和正確性會有偏差。幷且本論文的敎育方案僅僅選用了最常用的5個呼稱語來進行學習,生活當中還有很多可以代替第二人稱的呼稱語,在不同情况用法是不同的。在这一點上來看,我的論文還有一定的局限性。希望本研究對今後學習韓語的中國人在第二人稱代替呼稱語方面有一定的幇助和參考價値。以後,會以更新的方式和方法來研究呼稱語,幷制定更有效果的敎育方案。敬請期待!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