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ocial Capital of Community in Community Forest Development in The Buffer Zone of Mount Ciremai National Park: A Case Study in Management Section II of Majalengka,

        리안티인드리푸지 Park Chung Hee School of Policy and Saemaul, Yeung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Social Capital of Community in Community Forest Development in The Buffer Zone of Mount Ciremai National Park, West Java, Indonesia: A Case Study in Management Section II of Majalengka Indri Puji Rianti Yeungnam University, Park Chung Hee School of Policy and Saemaul Advisor: Yong Shik KIM Don Koo LEE Abstract Community forest is the man-made forest built on private land and managed by farmer both individually and in group that is incorporated in forest farmer group. Community forest was developed by Ministry of Forestry to reduce critical land, to reduce the risk of disaster and to increase the community welfare. Buffer zone is a part of national park which is located outskirt of national park area and has function as a barrier for reducing community pressure and interaction to access the national park such as land encroachment and habitat destruction. The buffer zone had also function as a corridor for providing space for community to increase their income for economic development and welfare.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forest can be a solution to enhance community welfare enhancement, so that the dependency to national park is expected decreasing. In the development of forestry and community forest, social aspect had to be considered as a tool to maintain continuity, because social value is inherent to the communities and the community is an actor to drive the development. Social capital was one part of social aspects that give an overview about togetherness, unity, and mutual trust in a community to achieve common goals. Therefore social capital value in development of community forest is necessary to be known. Social capital was suspected to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forest that can be seen on its management through the performance of community forest at present. Social capital was also thought to have several factors that can affect its level to be high or low. So it is valuable information if research about social capital of community in community forest development in the buffer zone of national park was conducted to give the suggestion to buffer zone management as a barrier for reducing pressure from communities. Thus,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measure the level of social capital elements of communities and the performance of community forest in community forest development, (2) to identify and value the factors that are related with social capital elements and the performance of community forest, and (3) to analyze the relation among the elements of social capital, the performance of community forest and those related factors in community forest development. The study used the descriptive quantitative approach in order to describe each variables and the relation among variables as described i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result showed that the level of social capital falls into the high category with total score of 74 from the minimum score of high category of 68.5 and the performance of community forest also falls into the high category with total score of 10.43 from the minimum score of high category of 9.32. The factors that have been identified and measured as factors that related to social capital and the performance of community forest are internal factors i.e individual charactaristics (moderate category) and knowledge in community forest management (high category), and external factors (moderate category) i.e extension activities, the role of forest farmer group and access to information. Based on rank spearman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each variables had a correlation and influence on each others. Social capital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external factors especially forestry extension activity and the role of forest farmer groups. Therefore Mount Ciremai National Park Office, Forestry Agency and Extension Agency of Majalengka District were suggested to continue forestry extension with optimizing the role of forest farmer groups in order to increase social capital level which affects the performance of community forest for its sustainability and for community welfare around the forest of Mount Ciremai National Park. Thus the dependency on national park area and its natural resources was expected to decrease. Key words: social capital, community forest, national park, sustainability 인도네시아 서부 자바(West Java)지역 Mount Ciremai 국립공원의 완충지대 내 주민공동산림의 발전과 지역사회의 사회적 자본 : Majalengka관리 구역 II 에서의 사례연구 Indri Puji Rianti Yeungnam University, Park Chung Hee School of Policy and Saemaul Advisor: Yong Shik KIM Don Koo LEE Abstract 주민공동산림(community forest)은 사유지에 조성되어 지역주민 또는 혼농임업단체(forest farmer group)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인공림을 말한다. 주민공동산림은 임계토지(critical land)의 감소, 재해 위험 감소, 지역사회의 복지 증진을 위하여 인도네시아 산림부에 의해 개발된 개념이다. 완충지대(buffer zone)는 국립공원 외곽 지역으로서 토지잠식(land encroachment), 서식지 파괴와 같이 지역주민들이 국립공원을 이용하기 위해 행사하는 압력(pressure)과 상호영향(interaction)을 감소시키는 방어벽으로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완충지대는 또한 지역경제 발전과 복지 증진을 위하여 지역주민의 수입을 증가시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통로로서 기능도 가지고 있다. 주민공동산림 발전은 완충지대 내 지역사회의 복지 증진을 위한 해결책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국립공원에 대한 주민 의존도가 감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임업과 주민공동산림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사회적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지역 사회와 연관된 사회적 가치가 주민공동산림 발전을 가속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사회적 자본은 이러한 사회적 요인의 한 부분으로서, 지역사회가 공동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유대감, 화합, 상호신뢰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주민공동산림 발전에 있어서 사회적 자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사회적 자본은 주민공동산림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측되며, 현재의 산림이 어떻게 관리되어 왔는지를 보여준다. 또한 사회적 자본은 그 수준을 높이거나 낮추는 데 영향을 주는 몇 가지 인자들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만약 국립공원의 완충지대 내 주민공동산림의 발전과 관련된 사회적 자본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면, 지역사회로부터의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어막으로서 완충지대를 관리하는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정보가 될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1) 주민공동산림 발전에 있어서 지역사회의 사회적 자본 수준과 주민공동산림 역량 수준을 진단하고, (2)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 주민공동산림 역량과 관련된 인자들을 식별하여 평가하며, (3)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 주민공동산림 역량과 그 발전에 연관된 다양한 인자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에 있다. 이 연구는 목적에서 언급되었듯이 각 변수들의 특성과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정량적 기술(記述)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변수들 사이의 관계는 몇 가지 가설에 근거하여 통계학적 방법에 의하여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자본의 수준은 총점74점으로 상위 범주(high category)에 속하고, 주민공동산림의 역량 또한 총점 10.43점으로 상위 범주(high category)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본과 주민공동산림의 역량과 관련된 내부 요인으로는 개인적 특성(보통 수준), 주민공동산림 관리에 대한 지식(상위 수준)이 있으며, 외부 요인(보통 수준)은 지도활동(extension activities), 혼농임업단체의 역할, 정보에 대한 접근성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스피어만 순위상관계수와 다중회귀분석에 근거하여, 각 변수들은 상호 연관되어 있으며 서로 영향을 끼치고있었다. 특히 임업지도활동이나 혼농임업단체 등과 같은 외부적 요인이 사회적 자본에 유효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Mount Ciremai National Park Office, Forestry Agency and Extension Agency of Majalengka Distric는 주민공동산림의 역량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자본 수준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혼농임업단체의 역할을 최대한 활용하고 임업지도를 지속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주민공동산림 역량의 지속가능성과 Mount Ciremai 국립공원 주변 지역사회의 복지를 증진시켜, 향후 국립공원 지역과 그 자연자원에 대한 주민의존도를 감소시킬 것으로 생각된다. 주요 어: 사회적 자본, 주민공동산림, 국립공원, 지속가능성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