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등학교 교원의 교육행정업무에 관한 인식 연구 : 충청북도 충주시 지역을 중심으로

        류홍길 한국교통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about the educational administrative duties through questionnaires of 100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Chungju area and in - depth interviews with 10 teachers. To do this, we surveyed the general perception of the school work, the factors that affect the work, and the perception of the work reduction. And the factors that are not revealed in the survey were identified through in - depth interviews.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work reduction measures being promo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r the Office of Education. Most of the performance announced by the Office of Education was only available as statistical figures,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seem to be unable to feel the effectiveness of the work reduction measures. We also found that there were more negative opinions about operation of ‘Administrative Affairs Team'. In previous researches, it was stated that securing the additional manpower as a condi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Administrative Affairs Team' was necessary, however, the Ministry of Education or the Office of Education are required to operate the 'Administrative Affairs Team' without the additional manpower. For this reason, the teachers in the field do not perceive that the 'Administrative Affairs Team' directly reduces the overall works of the school. Instead, the 'Administrative Affairs Team' results in a problem of sharing the duties as well as to create conflicts. Coordination of the school principal and other teachers is also necessary for the work reduction plan to be placed on the school site.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mselves perceived that the 'Unique culture of the teacher group' was a stumbling block to work reduc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irst,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review various kinds of works in the unit school. Second, Efforts should be made to increase the number of people who can do administrative work, or to reduce the average class hours of teachers per week. Finally, the teachers in the field should work together to break down the existing culture and collaborate with each other to realize a practical experience. 본 연구는 중등학교 교원의 교육행정업무에 관한 인식을 구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충주 지역의 중·고등학교 교원 1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10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을 통해 중등학교 교원의 교육행정업무에 관한 인식을 파악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학교업무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업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업무 경감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하였고, 설문조사에서 드러나지 않는 요인들은 심층면담을 통해 파악하였다. 중등학교 교원들은 교육부나 교육청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업무경감 대책에 대하여 실효성이 높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육청이 발표한 추진 성과 대부분이 통계 수치로 작성될 수 있는 내용들뿐이었으며, 이에 중등학교 교원들은 업무경감 대책의 실효성을 체감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교무행정지원팀’의 운영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의견이 더 많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선행 연구들에서 ‘교무행정지원팀’의 운영이 성공하기 위한 조건으로 추가 인력 확보가 필요하다고 하였지만, 실제 교육부나 교육청 차원의 대책에서는 추가 인력에 대한 지원은 없이 ‘교무행정지원팀’을 운영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현장에 있는 교원들은 ‘교무행정지원팀’이 학교의 전반적인 업무를 직접적으로 경감시키는 것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으며, 오히려 ‘교무행정지원팀’의 구성이 업무를 나누는 비중의 문제로 귀결되면서 학교 내에서 새로운 갈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업무경감 방안이 학교 현장에 자리 잡기 위해서는 학교장을 비롯한 교원의 협조도 필요하다. 중등학교 교원들 스스로도 ‘교사 집단의 특유의 문화’가 업무경감의 걸림돌로 작용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단위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각종 업무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 둘째, 행정업무를 전담할 수 있는 인력을 증원하거나 교원들의 주당 평균 수업 시수를 줄여나가는 노력을 통해 업무를 분산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끝으로 현장에 있는 교원들 역시 기존의 문화를 깨고 서로 협업하여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업무경감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