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기노출, 긍정적 사회반응, 의도적 반추 및 삶의 의미와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

        류지현 삼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자기노출, 긍정적 사회반응, 의도적 반추 및 삶의 의미와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 류 지 현 삼육대학교 대학원 상담심리학과 상담심리전공 본 연구는 자기노출, 긍정적 사회반응, 의도적 반추 및 삶의 의미와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성인 남녀 320명(남:108명, 여:210명)을 대상으로 조사 하였다. 측정도구로는 한국판 사건 관련 반추척도와 자기노출척도, 한국판 사회적 반응척도에서 긍정적 사회반응척도만 사용하였고, 삶의 의미척도와 한국판 외상 후 성장척도(K-PTGI)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독립표본 t-검증, 분산분석(ANOVA),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 단계적,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째, 먼저 일반적인 특성에서 나타난 결과를 보면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 여자의 경우가 긍정적 사회반응과 외상 후 성장의 하위요인인 삶에 대한 감사에서 높은 편 이었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종교 유무에 다른 변인을 분석한 종교가 있는 경우에 삶의 의미와 외상 후 성장이 더 유의하며 그중에서도 의미발견과 새로운 가능성의 발견, 영적인 관심변화가 유의하게 보고되었다. 셋째, 자기노출, 긍정적 사회반응, 의도적 반추 및 삶의 의미 중에서 어떤 요인이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결과, 삶의 의미가 가장 높게 설명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의미발견이 영향을 많이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관관계에서는 외상 후 성장과 자기노출이 유의하였다. 하지만 중다회귀분석에서 외상 후 성장과 자기노출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한 결과, 자기노출이 긍정적 사회반응을 부분매개효과로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을 하자면, 변인 중에 외상 후 성장에 가장 영향을 끼친 요인으로는 삶의 의미발견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노출은 외상 후 성장에 나아가는 관문으로써 요인으로, 외상경험자들이 자기노출을 할 때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반응과 공감과 수용이 필요하며 이때 외상 후 성장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본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고 후속연구의 제언을 하였다. 주요어: 자기노출, 긍정적 사회반응, 의도적 반추, 삶의 의미, 외상 후 성장

      • 어휘 단순화가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텍스트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 신문 기사 텍스트를 중심으로

        류지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Lexical simplification on the level of reading comprehension in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Lexical simplification refers to the process in which, when the vocabulary comprising texts are divided into levels based on their difficulty, the learners replace advanced-level vocabulary with low-level vocabulary. In this study, vocabulary in newspaper article texts was simplified by defining five methods of Lexical simplification, including “deletion,” “phrase replacement,” “hypernym-hyponym replacement,” “synonym replacement,” and “pronoun replacement.” To measure learner’s reading comprehension, the concepts of lexical simplification and text difficulty assessment first needed to be defined. The second chapter surveys the historiography of lexical simplification theories. First, the chapter reviews the theoretical concept of “extensive reading,” the academic aim and objective of this study. Then simplification and elaboration, the two major concepts in text modification, are defined and compared. Lastly, the chapter examines miscue analysis, a method used in examining the impact of lexical simplification, and reading fluency theory, a broader concept that includes miscue analysis. The third chapter identifies the target and tools of analysi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0 mid-level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n terms of analytical tools, miscue analysis suggested by Y. Goodman (2005) was used to set five categories, including “Syntactic Acceptability,” “Semantic Acceptability,” “Meaning change,” “Correction,” and “Inflection-Phoneme similarity.” Two more categories were added, Patterns for Constructing Meaning and Patterns of Grammatical Relations. to evaluate the overall view of the learner’s reading ability based on the aforementioned five categories. For the texts used in the study, an original text and a modified text were presented. The original text was a newspaper article written for readers with Korean as their mother tongue. The level of each noun, adjective, adverb, and determiner in the original text was determined using Level System for Korean Vocabulary Learning developed by Joongsub Kim (2017) and Namho Cho (2003). Then the vocabulary in high and very high levels was replaced by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 vocabulary to create a modified text. Miscue analysis record sheet and re-telling evaluation sheet were used to measure the textual understanding. The fourth chapter presents the result of miscue analysis of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and miscue analysis for each Lexical difficulty level. The result of miscue analysis compared miscue tendency with original texts and miscue tendency in modified texts and measures the miscue frequency and self-correction success rate per every 100 word segments. The result showed almost no difference in terms of grammar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mantic construction. While the miscue frequency per 100-word segments was lower in the group with the modified text than with the original text, the self-correction success rate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the modified text. Retelling evaluation examined the number of learners’ spoken word segments and the comprehension level. Here, too,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summary, Lexical simplification lowered the frequency of miscued reading and helped learners comprehend the meaning more easily. In conclusion, the fifth chapter summarizes the above discussion and presents the view of this study on the impact of Lexical simplifi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learning, more varying and diverse reading texts should be offered in and out of classes. While texts intended for native speakers can be practical, the advanced level vocabulary is not suitable for language learners. As the present study has demonstrated, lowering the difficulty level of vocabulary through Lexical simplification can sufficiently improve the learners’ understanding. 본 연구는 어휘 단순화가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텍스트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어휘 단순화란 텍스트를 구성하고 있는 어휘를 난이도에 따라 등급화한 뒤 높은 등급의 어휘를 낮은 등급의 어휘로 대체하는 과정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어휘 단순화의 방법으로 ‘삭제’, ‘구 대체’, ‘상위어-하위어 대체’, ‘유의어 대체’. ‘대명사 대체’의 다섯 가지를 제안하고 이에 맞춰 신문 기사 텍스트에 대하여 어휘 단순화를 실시하였다. 학습자의 읽기 텍스트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어휘 단순화와 텍스트 난이도 측정에 관한 개념을 정립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2장에서는 어휘 단순화와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먼저, 본 연구의 학문적 지향점이자 목표라고 할 수 있는 확장형 읽기(Extensive reading)에 대한 이론적 개념을 확립하였다. 그리고 텍스트 수정의 두 가지 대표적 방법인 텍스트 단순화와 상세화의 개념을 밝히고 두 개념을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어휘 단순화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주된 연구 방법으로 사용한 오독 분석(Miscue analysis)과 오독 분석을 포괄하고 있는 이론적 개념인 읽기 유창성 이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연구 대상과 연구 도구를 특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한국어 중급 학습자 20명으로 설정하여 두 집단으로 나누었다. 연구 도구로는 Y.Goodman(2005)에서 제시한 오독 분석 방법을 참고하여 ‘의미적 용인가능성’, ‘통사적 용인가능성’, ‘의미 변화’, ‘자기 수정’, ‘어형-음소 유사성’ 5가지 항목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 다섯 가지 항목을 토대로 학습자의 전반적인 읽기 수행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의미 구성’ 패턴과 ‘문법적 관련성’ 패턴을 추가로 설정하였다. 실험 텍스트는 원문과 수정문을 준비하였는데 원문은 한국어 모어 화자를 예상 독자로 설정하여 쓴 신문 기사 텍스트이다. 이 원문의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관형사를 김중섭(2017)과 조남호(2003)의 한국어 교육용 어휘 등급 체계에 맞춰 등급화하였다. 그 후 고급, 최상급에 해당하는 어휘를 초급, 중급에 해당하는 어휘로 대체하여 수정문 텍스트를 마련하였다. 읽기 이해도 측정 도구로는 오독 분석 기록표와 다시 말하기 평가지를 사용하였다. 4장에서는 어휘 단순화 실시 여부에 대한 오독 분석 결과와 어휘 난이도별 오독 분석 결과를 나누어 제시하였다. 어휘 단순화 실시 여부에 대한 오독 분석 결과는 원문에서의 오독 양상과 수정문에서의 오독 양상을 비교하였으며 텍스트 100어절당 오독 빈도와 자기수정 성공률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원문과 수정문의 오독 간에 문법적인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의미 구성면에서 현저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문에서보다 수정문에서 100어절당 오독 빈도가 낮았던 반면 자기수정 성공률은 수정문에서 더 높았다. 다시 말하기 측정 결과는 학습자 발화의 어절 수와 이해도 점수를 살펴보았는데 다시 말하기 점수 역시 수정문을 읽은 집단이 원문을 읽은 집단보다 대체적으로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를 정리해 보자면, 어휘 단순화는 학습자로 하여금 오독의 빈도를 낮추며 학습자가 텍스트의 의미를 더 수월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앞선 논의를 정리하고 어휘 단순화의 효과에 대한 본 연구의 입장을 제시하였다.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학습자를 위한 읽기 텍스트는 교실 안과 밖에서 다양하고 다채롭게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모어 화자를 위한 텍스트는 실용적이기는 하나 어휘 난이도가 높아서 한국어 학습자에게 적합하지 않다. 이때, 본 연구에서 밝힌 바와 같이 어휘 단순화를 통해 어휘 난이도를 낮춘다면 학습자의 이해도를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 Carl Vine의 <Piano Sonata No.3>에 관한 분석 연구 : 박자 전조를 중심으로

        류지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칼 바인(Carl Vine, 1954-)은 20세기 이후의 현대 작곡가로서, 기악 작품에서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작곡하며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호주의 작곡가이다. 바인의 다양한 작품들 중 피아노 소나타는 세 개의 시리즈로 구성되어있다. 그 중 본 논문에서 연구될 <피아노 소나타 3번(2007)>은 2006년 자신이 작곡한 <앤 랜다 프렐류드(Anne Landa Preludes, 2006)>에 영향을 받아 작곡한 작품이다. 바인은 이 작품에서 나타나는 음악적인 영향보다는 단일 작품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아이디어들을 혼합시키는 개념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다. 본 논문은 이 점에 주목하여, 소나타 3번에서 사용되는 8가지의 아이디어를 통해 각 악장이 어떠한 유기적 관계를 맺는가를 분석하였다. 소나타 3번에서 나타나는 8가지의 아이디어들 중 1악장에서만 5가지의 아이디어가 소개된다. 또한 1악장에서는 다음 악장에서 등장하게 될 다양한 음악적인 요소들을 미리 예시함으로써 소나타 3번의 중요한 중추 역할을 담당하는 악장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아이디어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리듬적인 요소와 함께 소나타 3번을 발전적으로 이끌고 갈 중요한 핵심요소가 된다. 아이디어들의 유기적인 발전 관계를 비롯하여 본 논문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게 될 박자 전조(Metric Modulation)는 바인의 작품에서 가장 중요하게 나타나는 특징이다. 이러한 바인의 박자 전조는 엘리엇 카터(Elliott Carter, 1908-2012)의 속도 전조(Tempo Modulation)와는 다르게 템포와 박자에서 동시에 변화를 이룬다. 소나타 3번에서 나타나는 리듬 요소는 이전의 두 개의 소나타에서 등장했던 재즈적인 리듬 요소는 등장하지 않지만 자신의 색을 표현하기 위한 도구로써 다양한 리듬적인 요소를 많이 사용하였다. 그 중 리듬의 모멘텀(Momentum)을 통한 발전적인 리듬 요소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박자 전조와 연결된다. 필자는 이 점에 주목하여, 소나타 3번에서 등장하는 다양한 리듬 요소를 비롯하여 악장에서 등장하는 광범위한 박자 전조의 예를 통해 어떻게 발전적으로 박자 전조가 이루어지는지를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악장에서 등장하는 박자 전조를 중심으로 전통적인 소나타의 형식과는 다르게 아이디어라는 매개체를 사용하여 어떠한 발전을 이루는가를 분석한 연구이다.

      • 드라마 활동을 통한 평화적 갈등 해결 프로그램 실행연구

        류지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mplemented ‘An action research on conflict resolution program through drama activities' for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and observed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of the students in the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effect these changes have on the formation of community culture. As a method to prevent school violence, a program was constructed by adding drama factors to the program of 'Peace Well Project' of the Institute for the Education of Village Community (IEVC). After participating in three sessions of ‘Restorative dialogue' workshops performed by Korea Peace-building Institute (KOPI) which has been staging 'Restorative justice' campaign, this study applied constituting factors of the dialogue workshop of KOPI to the dialogues in the classroom. ‘An action research on conflict resolution program through drama activities' fortified with drama activities factors was practiced three times over two years in 2013 and 2014. Empathic problem-solving process through drama activities and 'Stop (Violence) conversation' was conducted and partially restorative dialogue meeting was also held. Program was implemented on the fifth and fourth grade students in one Elementary School. The first and second sessions were intensively conducted in the first semester of 2013 and third session was conducted in the 2nd semester of 2014. Three sessions of practice were observed and interpreted through ethnography in the action research. The results of the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gram for the peaceful resolution of conflicts through drama activities enhanced members' capacity for the peaceful resolution of conflicts. Members were actively involved in conflict situation and their sensitivity to violence was improved. They chose problem-solving methods through empathy, understanding one another's positions and conversation and they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econd, Program for the peaceful resolution of conflicts changed the structure of the roles in the classroom. Members were playing various roles of victim, bully, assistant, passive assistant, bystander, passive defender and defender i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classroom caste. With the program proceeding over one semester, many students who once had played the role of followers, assistants, passive assistants and bystanders came to change their role to defenders protecting the victims and actively mediating between victim and bully. Third, Program for the peaceful resolution of conflicts was effective in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by forming the culture of ‘community which protect and care for one another.' Students who became defenders protected victim(s), prevented conflicts among their classmates from developing into more serious state and showed empathy toward other students listening to their stories. When necessary, students changed and developed individual conflicts into the solution of community problems by stipulating new regulations or changing existing rules of the whole class.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hat it induced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from classroom members and obtained voluntary participation in conflict resolution by applying Program for the peaceful resolution of conflicts through drama activities . This drama activities encouraged students in classes to understand and empathize with one another and this community awareness brought about change in the structure of the roles in class ecosystem. These changes are very effective by forming community culture which protects and care for one another. This culture is expected to extend help those students who are suffering from school violence. Keywords: Drama, Program for the peaceful resolution of conflicts,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Classroom ecosystem, Community culture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평화적 갈등 해결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구성원의 내적․외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러한 구성원들의 변화가 공동체의 문화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성찰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마을공동체 교육연구소의 평화샘 프로젝트 프로그램에 드라마적 요소를 강화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회복적 정의’ 운동을 펼치고 있는 평화교육훈련원의 회복적 대화 모임을 접하고 3차례의 워크숍을 참여한 후 이 대화모임의 구성요소를 교실 속 대화에 적용하였다. 2013년과 2014년 2년간에 걸쳐 드라마 활동의 요소를 강화한 평화적 갈등 해결 프로그램을 3차 실행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드라마 활동을 통한 공감적 문제 해결 과정과 ‘멈춰 회의’를 진행하고, 부분적으로 회복적 대화 모임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은 I 초등학교 5학년과 4학년, 두 학년에서 진행되었으며 2013년 1학기 1, 2차 실행과 2014년 1~2학기 3차 실행에서 집중적으로 진행되었다. 3번의 실행과정은 실행연구에서 문화기술지를 통해 관찰되고 해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원들의 갈등 해결 능력은 드라마 활동을 통한 평화적 갈등 해결 프로그램을 통해 향상되었다. 구성원들은 갈등 상황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서 해결하였으며, 폭력에 대한 민감성이 향상되었다. 문제 해결 방식을 선택할 때도 공감과 입장 나누기, 대화와 회의를 통한 문제해결방법을 선택하였고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둘째, 평화적 갈등 해결 프로그램은 교실 속 역할 구도를 변화시켰다. 학급 카스트의 각 서열 구조 안에서 구성원들은 피해자, 가해자, 동조자, 조력자, 소극적 조력자, 방관자, 소극적 방어자, 방어자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프로그램이 한 학기 이상 진행되면서 동조자, 조력자, 소극적 조력자, 방관자의 역할을 하던 다수의 학생들이 방어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가해자와 피해자의 상황에 놓인 친구들을 보호하고 중재하였다. 셋째, 평화적 갈등 해결 프로그램은 ‘서로를 보호하고 돌보는 공동체’ 문화를 형성하여 학교폭력예방에 효과적이다. 방어자가 된 다수의 학생들은 학급 친구들의 갈등이 심각하게 발전하지 않도록 막아주고 보호해주었으며, 친구들의 마음을 공감하고 이야기를 들어주었다. 필요한 경우 학급 전체의 규칙을 새로 정하거나 바꾸는 등 개인의 갈등을 공동체 문제의 해결로 발전시키기도 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드라마 활동을 통한 평화적 갈등 해결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구성원들의 내적․외적 변화와 갈등 해결을 위한 자발적인 참여를 이룰 수 있었다는 점이다. 드라마 활동은 학급 구성원이 갈등을 통해 서로를 공감하고 이해하도록 도왔으며 이러한 공동체적 인식은 학급 생태계의 역할 구도에 변화를 가져왔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들은 서로를 돌보고 보호하는 공동체 문화를 형성하여 학교폭력예방에 매우 효과적이다. 이러한 문화가 학교폭력으로 어려움을 겪는 많은 사람에게 작은 힘이 되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드라마, 평화적 갈등 해결 프로그램, 학교폭력예방, 학급생태계, 공동체 문화 * 본 논문은 2014년 12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석사학위 논문임.

      •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과 취업불안의 관계: 자기몰입과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과

        류지현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self-absorption, irrational beliefs, job-seeking anxiety, and more specificall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absorption and irrational belief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job-seeking anxiety. For this, 465 college students in all parts of the country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Measuring tools included an adaptation of INCOM(Iowa-Netherlands Comparison Orientation Measures) in Korea, SDSAS(Scale for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in Social situation), GABS-K(General attitude and Belief scale-Korean), Scale for Job-seeking Anxiety,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esting. The results revealed that: 1.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absorption, irrational beliefs, job-seeking anxiety, and self-absorption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irrational beliefs, job-seeking anxiety, and irrational beliefs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seeking anxiety; and 2. self-absorption and irrational beliefs du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job-seeking anxiety. It can be speculated that apply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actual consultations for college students, in the company of training programs to reduce their self-absorption and irrational beliefs, will effectively reduce their job-seeking anxiety.

      • 지시적 심상과 음악 감상이 청소년 수영선수의 경쟁상태불안 감소에 미치는 영향

        류지현 명지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ffect of Guided Imagery and Music Listening on Reducing Competitive State Anxiety Control of Adolescent Swimmers Ryu Jihyun Department of Music Therapy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Myongji University Thesis Director Professor Moon Soyoung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13 high-school swimmers from S and I physical education high-school. Six subjects were allocated to experimental group, who were required to partake therapeutic music listening and relaxation sessions, and the remaining seven to control group, who were required to be engaged in non-musical therapeutic and relaxation sessions. The program consisted of a 12-minute intervention in a daily basis for six days from April 5th to April 16th, excluding days without any training. A competitive state anxiety examination (Competitive State Anxiety Inventory-II)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 brief interview session was held after the program in order to obtain subjective reaction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As a result, differences of cognitive state anxiety and physical state anxie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observed but the level of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not so meaningful. The intervention provoked a meaningful reduction in cognitive state anxiety and physical state anxiety and an improvement in state of confidence when comparing the pre- and post-intervention of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suggest that therapeutic music listening and relaxation may act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that alleviates competitive state anxiety and supports confidence level build-up of adolescent swimmers prior to their competition. 지시적 심상과 음악 감상이 청소년 수영선수의 경쟁상태불안에 감소에 미치는 영향 류 지 현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음악치료학과 지도교수 문 소 영 본 연구는 S체고와 I체고에서 전국수영대회를 앞둔 고교 남녀 수영선수 1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지시적 심상과 음악 감상을 처치한 실험집단에 6명, 음악이 없는 지시적 심상만 처치한 비교집단에 7명을 배정하여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은 2019년 4월 5일부터 4월 16일까지 훈련이 없는 날을 제외하고 6일 동안 하루 한 번 12분씩 총 6회기로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경쟁상태불안 검사지(Competitive state anxiety Inventory-II)를 프로그램 시행 전과 후에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사 진행 후에는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주관적인 반응을 확인하고자 간단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사후 검사 결과 경쟁상태불안 하위요인 중에서 인지불안과 신체불안 점수가 감소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내 사전-사후 검사결과 경쟁상태불안 하위요인인 인지불안, 신체불안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상태자신감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지시적 심상과 음악 감상이 청소년 수영선수의 시합 전 상태 불안을 감소시키고 자신감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중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Generalized solutions of impulsive control systems

        류지현 西江大學校 1999 국내박사

        RANK : 247631

        일반적으로, 제어함수 u를 갖는 제어 미분 방정식의 경우, u가 가측일 때 u을 distribution으로 정의하면 그 해가 유일하게 정의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제어함수가 불연속인 벡터함수로 주어지는 두 개의 임펄시브 제어 방정식에 대하여, 적당한 조건 아래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유일하게 해를 정의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IR^(n)에서 정의된 함수 f, gi(i=1, …, m)에 대하여 ◁수식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을 생각하였다. 이 때 유계인 C^(1)-함수 u에 대하여 이에 대응하는 해를 x(u, T)라 할 때, input-output 함수 u→x(u, T)가 Lipschitz 연속임을 증명하였고, reachable 집합의 compactness를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시간변수 t에 좌우되는 함수 f, gi(i=1, …, m) : IR ×IR^(n)→IR가 t에 대하여 가측이고 x에 대하여 Lipschitz 연속인 경우, 다음 임펄시브 제어 방정식을 생각하였다. ◁수식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이 때, gi들이 적당한 증가함수 φ에 대하여 ◁수식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을 만족시킨다면, input-output 함수가 Lipschitz 연속임을 보임으로써 input-output 함수의 정의역을 bounded variation을 갖는 가측함수들의 집합으로 확장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This thesis is concerned with the impulsive Cauchy problems where the control function u is a possibly discontinuous vector-valued function. Suppose that f, gi (i = 1, …, m) : IR^(n) → IR^(n) are suitably smooth functions and we consider the impulsive Cauchy problem ◁수식 참조▷(원문을 참조하세요) In this case, we show that the input-output map is Lipschitz continuous and investigate the compactness of reachable sets. Next, we assume that the vector fields f, gi(i = 1,…, m) are dependent on the time variable. In fact, the impulsive Cauchy problem is of the form ◁수식 참조▷(원문을 참조하세요) where the vector fields f, gi : IR × IR^(n) → IR^(n) are measurable in t and Lipschitz continuous in x. If gi's satisfy a condition that ◁수식 참조▷(원문을 참조하세요) for some increasing function φ, then the input-output function can be continuously extended to measurable functions of bounded variation.

      • 지역아동센터 프로그램이 아동의 우울·불안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류지현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에서 아동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의 실태를 파악하고, 아동이 참여한 프로그램의 종류와 그에 따른 실질적인 만족도를 이용기간과 교사와의 관계와 함께 알아봄으로써 아동의 우울,불안 및 공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힘으로써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로 나타나는 심리사회적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의 활성화와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기간에 따른 우울,불안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이용기간에 따른 공격성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교사와의 관계에 따른 우울,불안의 차이는 어떠한가? 넷째, 교사와의 관계에 따른 공격성의 차이는 어떠한가? 다섯째, 프로그램 참여여부에 따른 우울,불안의 차이는 어떠한가? 여섯째, 프로그램 참여여부에 따른 공격성의 차이는 어떠한가? 일곱째, 프로그램 만족도에 따른 우울,불안의 차이는 어떠한가? 여덟째, 프로그램 만족도에 따른 공격성의 차이는 어떠한가? 이상과 같은 연구문제 규명을 위해, 부산의 ○○○구 4개 초등학교 학생 중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지를 아동이 직접 응답하는 것으로 하여, 조사는 2007년 4월 18일에서 4월 27까지 총 120부의 설문지를 직접 방문 배부하였으며, 그 중에서 응답내용이 부실한 9부를 제외한 111부를 본 연구에서 최종 분석 대상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은 SPSS 12.0 for windows를 활용하여 우선 각 문항에 대한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아동의 특성과 주요변수들의 특성을 파악하였고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지역아동센터 이용기간에 따른 우울,불안 및 공격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교사와의 관계에 따른 차이는 상관관계를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여부에 따른 차이는 유의도를 검증하는 방법인 t-test를 이용하여 적응수준의 차이를 살펴보았고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이용 프로그램 만족도에 따른 집단 간 평균차이가 유의미한지를 비교하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조사 연구의 연구문제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기간에 따른 분산분석(ANOVA)결과 우울,불안 및 공격성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과 교사와의 관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지역아동센터의 프로그램 참여여부에 따른 t-test검증 결과 영화,공연관람 프로그램의 참여여부에 따라 아동의 공격성에 있어 t값 2.75와 유의확률 .01로 p<.05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독서지도 프로그램의 참여여부에 따라 아동의 공격성에 있어 t값 2.10과 유의확률 .04로 p<.05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미술 프로그램 참여여부에 따라서는 우울․불안에 t값 2.15와 유의확률 .03으로 p<.05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11개의 이용프로그램 만족도에 따른 아동의 우울․불안 및 공격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결과 역시 일부 프로그램의 만족도에 따라 공격성수준에서만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고 견학 프로그램 만족도 점수의 계수는 -.05과 유의확률은 .00이며, 영화,공연관람 프로그램 만족도 점수의 계수는 .05와 유의확률은 .01이며, 독서지도 프로그램 만족도 점수의 계수는 .04와 유의확률은 .04로 이것은 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의 내재화 문제 중 우울,불안과 외현화 문제 중 공격성 수준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지금의 대부분의 지역아동센터에서 운영되어지고 있는 단순하고 일괄적인 프로그램에서 벗어나 보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아동이 참여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편성에 좀 더 세심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나아가 아동이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intend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children?s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on as the period using in the community child center and participated in program and program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in teacher. this research was based survey on 120 poor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in Busan; 9 data were abounded because of their unreli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1) According to ANOVA, the period using in the community child cente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fluence of children´ s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on 2) Interrelationship effect between the child and relationship in teache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fluence of children ´s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on 3) According to t-test, significantly different influence of participated in movie,performance program and reading guidance program on children´s aggression.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influence of participated in arts program on children´s depression,anxiety. 4) A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hildren´s aggress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fluence from the field trip and movie,performance and reading guidance program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operating of community child center program is simply regimental management. Accordingly, children´s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on of psycho-social adjustment to do decrease, so that the community child center must circumspective organization program and child participated in various program and child should satisfied program .

      • 문재숙 작곡 국악찬양곡의 원곡과 편곡 분석연구 : <주님 기뻐하실 때>, <두려워 말라>, <에루화둥둥 할렐루야>, <추수감사절 노래> 중심으로

        류지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1885년 공식적인 선교사에 의해 서양식찬송가가 유입된 이래로 영어찬송가의 번역과정에서 원곡의 정확한 의미전달의 어려움과 서양식 음악구조와 한국식 음악구조가 달라 한국인의 정서에 맞는 찬송가의 필요성이 나타나게 되었다. 한국인의 정서에 맞는 국악적인 찬양의 필요성과 토착화를 위해 많은 학자와 음악가들이 관심을 가지고 시도해왔고, 그 결과 현재는 일부 교회 내에서 국악찬양단이 설립되고 선교를 위한 개인과 여러 단체가 창단되었다. 개인과 여러 단체가 활동하면서 국악찬양곡의 장르 또한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1990년대에 작곡된 가야금병창곡 4곡을 분석하여 전통적인 요소와 찬양의 접목방법에 대해 정리한 뒤 편곡을 통하여 가창방식과 악기편성의 변화를 주어 교회음악의 특성에 맞추면서 전통음악의 색이 짙어진 4곡의 편곡방법을 파악하고자 한다. 각 곡에서 나타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원곡 <주님 기뻐하실 때>, <두려워 말라>, <에루화둥둥 할렐루야>, <추수감사절 노래>는 가야금병창곡으로 주로 전통음계인 5음음계를 사용하여 민요느낌으로 작곡되었다. 편성악기는 가야금과 장구를 사용하여 전통적인 색채를 드러냈으며 찬양에 관련된 가사를 주제로 작사하여 민요느낌의 찬양곡으로 접목하였다. 편곡된 곡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주님 기뻐하실 때>는 4성부체제로 편곡하였으며 가창방식은 합창 또는 제창으로 전개되었다. 합창 시 원곡의 선율을 소프라노파트에 두고 주로 주요 3화음을 사용하여 안정적인 느낌을 주었으며 제창 시 원곡의 선율이 드러나 원곡을 부각하였다. 편성악기는 대금, 피리, 해금, 대아쟁, 거문고, 12현가야금, 장구를 편성하였다. 악기의 선율은 합창과 대개의 음을 중복 연주하여 소리를 풍성하게 하는 역할을 하였고 국악기의 음색을 통하여 전통음악의 느낌을 드러냈다. <두려워 말라>는 독창과 4성부체제로 편곡하였다. 가창방식은 독창, 합창, 독창과 합창의 교창, 전 성부의 합창으로 전개되었다. 독창 시 원곡의 선율을 인용하였고 합창 시 4성부 중 한 파트에 원곡의 선율을 두고 주로 주요 3화음을 사용하여 원곡을 부각하며 안정적인 느낌으로 전개되었고 교창 시 독창선율이 4성부합창으로 울려 펴지는 에코의 효과를 주었다. 편성악기는 대금, 피리, 해금, 대아쟁, 거문고, 12현가야금을 편성했으며 신디사이저를 혼합 편성하였다. 악기의 선율은 합창과 대개의 음을 중복 연주하여 소리를 풍성하게 하는 역할을 하였고 독창 시 12현 가야금만 반주하여 원곡인 가야금병창곡의 특징을 부각하였다. 신디사이저는 국악기보다 넓은 음역대를 반주하며 합창과 조화를 이루었다. <에루화둥둥 할렐루야>는 4성부체제로 편곡하였다. 가창방식은 제창, 교창, 합창으로 전개되었다. 제창 시 원곡의 선율을 인용하였고 합창 시 유니즌형태와 어울림음정의 화음을 반진행구조로 전개하여 밝고 씩씩한 분위기를 주었다. 또한 E♭조에서 A♭조를 통하여 상승된 음악적 분위기를 나타냈다. 악곡구조는 ?-?-?’의 3악장형식으로 나누어졌고 ?, ?’부분은 새롭게 추가된 선율로 원곡의 선율이 인용된 ?부분을 돋보이게 하였다. 합창의 음계는 5음음계 솔선법을 사용하여 전통음악의 색채를 드러냈다. 편성악기는 피아노를 편성하여 합창이 전개될 때 피아노의 왼손성부는 장구의 궁편, 오른손성부는 채편에 해당하는 역할을 하여 장구장단의 리듬형태로 연주하였고 전주나 연결구부분에서는 5음음계를 상징적으로 배열하고 아르페지오주법으로 연주하여 전통음악의 색채가 짙어졌다. <추수감사절 노래>는 4성부체제로 편곡하였다. 가창방식은 독창, 교창, 합창의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독창과 제창 시 원곡의 선율을 인용하였고 합창 시 성부간의 간격을 어울림음정의 화음을 사용하였으며 성부간의 유니즌 진행, 반진행 등의 방법으로 전개되었다. 악곡구조는 ?-?’-?의 3악장형식으로 나누어져 다양한 음악적분위기를 나타냈다. ?’부분에서 E♭에서 G♭으로 전조하여 상승된 음악적 분위기를 나타내었고 ?부분에서 굿거리에서 휘모리로 변박하여 또 다른 음악적 분위기를 나타냈다. 합창의 음계는 5음음계 솔선법을 사용하여 전통음악의 색채를 드러냈다. 또한 편성악기는 피아노와 25현 가야금1·2, 장구를 편성하여 국악기와 양악기를 혼합 편성하였다. 25현 가야금1과 피아노는 합창선율을 화성적으로 연주하여 풍성하게 전개하였고 25현 가야금2는 민요 반주하듯 합창선율에 장식음을 추가하고 농현, 추성등의 시김새를 사용하여 전통적인 느낌을 나타내었다. 각곡에서 나타난 편곡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김희조가 편곡한 <주님 기뻐하실 때>, <두려워 말라>의 4성부체제는 원곡의 선율을 토대로 주로 주요 3화음을 사용하였고 국악기를 편성하여 편곡하였다. 안현정이 편곡한 <에루화둥둥 할렐루야>, <추수감사절 노래>의 4성부체제는 성부간의 유니즌형태, 반진행구조 등의 선율적인 변화를 주로 사용하였고 피아노편성에 전통적인 요소를 접목하여 편곡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곡 <주님 기뻐하실 때>, <두려워 말라>, <에루화둥둥 할렐루야>, <추수감사절 노래>는 민요느낌의 가야금병창 찬양곡으로 작곡되었다. 편곡된 4곡은 공통적으로 합창방식과 악기편성에 변화를 주어 편곡하였다. 합창은 4성부의 서양합창체제를 사용하여 교회 내 성가대의 실질적인 참여도를 높이고 교회음악의 특성에 맞게 편곡하였다. 반주악기는 신디사이저 또는 피아노를 편성하여 합창과 조화를 이루었고 국악기의 편성이 더해져서 악기의 음색과 시김새를 통하여 전통적인 색채가 짙어졌다. 본 작품과 같이 전통적인 요소에 기반을 두고 교회에서 연주 될 수 있는 국악찬양곡이 많이 발표되기를 바라며, 본 논문을 읽는 연주자와 국악찬양곡을 편·작곡하려는 이들의 이해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Since hymns in Western style were introduced by official missionaries in1885, there has emerged the difficulty to deliver correct meanings of original song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English hymns and the necessity of hymns which match Korean emotions due to the difference of musical structure between Western style and Korean one. For the sake of the necessity and indigenization of Gukak hymns matching Korean emotions, many scholars and musicians have made attempts with great interests. As a result, Gukak church choirs were founded in some churches at the present moment, and various organizations for missionary as well as individuals were established. Since their activities, genres of Gukak hymns took a new turn of diversification. Consequently,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4 kinds of Gayageum Byeongchanggok composed in the 1980’s, conclude integrating method of traditional elements and hymns, and investigate the arrangement methods of 4 hymns with deep timbre of traditional music by changing performing method and instrument organization through arrangement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church music. The characteristics of each hymn are as follows. Since the original 4 hymns of <Joy to the Lord>, <Don’t be Afraid>, <Aeruhwa DoongDoong Hallelujah>, and <Thanksgiving Song> are Gayageum Byeongchanggok, traditional pentatonic scale is mainly used to give folk feeling. As Gayageum and Janggu are used for instrument organization, traditional timbre is revealed. As the lyrics were composed with the theme related with praise, folk feeling was integrated with the hymns. The characteristics of arranged hymns are as follows. The choral way of <Joy to the Lord> was arranged as 4-part chorus and the performing style is chorus or singing in unison. In case of chorus, stability is provided by depending original melodies on soprano part and using fundamental chords. In case of singing in unison, the emergence of original melodies highlights original songs. Musical instruments is organized as a chamber orchestra scale with Daegeum, Piri, Haegeum, Daeahjaeng, Geomungo, 12-string Gayageum, and Janggu. As for melodies of accompaniment, chorus and most sounds repetitively played perform a role to enrich the sounds and expose the feeling of traditional music through the timbre of Gukak musical instruments. Choral way of <Don’t be Afraid> was arranged as solo and 4-part chorus. The performing style is in ways of solo, chorus, solo-chorus rotation, and chorus in unison of all parts. In case of solo, melodies of the original songs are quoted. In case of chorus, stability is provided by putting the original melodies on one of 4 parts and highlighting the original songs through common use of fundamental chords. In case of solo-chorus rotation, melodies of solo give the effect of echo resonating to 4-part chorus. Musical instruments is organized as a chamber orchestra scale with Daegeum, Piri, Haegeum, Daeahjaeng, Geomungo, and 12-string Gayageum and synthesizer is added. As for melodies of accompaniment, chorus and most sounds repetitively played perform a role to enrich the sounds. In case of solo, accompaniment of the only 12-string Gayageum highligh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song of Gayageum Byeongchanggok. Synthesizer with wider register than Gukak musical instruments is accompanied to form harmony with chorus. The choral way of <Aeruhwa DoongDoong Hallelujah> way is arranged as 4-part chorus. The performing style is in ways of chorus in unison of all parts, solo-chorus rotation, and chorus. In case of chorus in unison of all parts, melodies of the original song are quoted. In case of chorus, intervals among 4 parts of using consonant interval harmony give a bright and ebullient mood. In addition, the key of A♭at the key of E♭ shows an uprising musical mood. Musical structure of this song can be divided into 3 movements of ?-?-?’. The part of ?, ?’ as a newly added melody highlights the part of ? quoted from melodies of the original song. Pentachord initiative method is used for scale of chorus. To expose the timbre of traditional music, Instrumental accompaniment is arranged with a piano. In case of chorus, as the left hand part of piano is for Gungpyeon of Janggu and the right hand part is for the beating side, rhythm patterns of Janggu beat are performed. The pentachord is symbolically arranged for prelude or connection part and arpeggio is performed to reveal the timber of traditional music. The choral way of <Thanksgiving Song> way is arranged as 4-part chorus. The performing style is in ways of solo, solo-chorus rotation, and chorus. In case of solo and chorus in unison of all parts, melodies of the original song are quoted. In case of chorus, intervals among 4 parts are used for consonant interval harmony. They are arranged in ways of progress, semi-progress, and scale sequence of unison among 4 parts. Musical structure of This song can be divided into 3 movements of ?-?-?’ with various musical moods revealed. In addition, as G♭ in E♭at the part of ?’ is preluded, an uprising musical mood is revealed. At the part of ?, Gutgury rhythm is changed into Whimori to expose another musical mood. Pentachord initiative method is used for scale of chorus. To expose the timbre of traditional music. Musical instruments are organized with a piano, 25-string Gayageum 1·2, and Janggu with Gukak instruments and Western ones mixed. 25-string Gayageum 1 and the piano are harmonically played for abundant choral melodies. 25-string Gayageum 2 is played to add agrements to choral melodies just like accompanying folk songs and reveal traditional feelings by using Sigimsae, such as vibrato, chuseong, etc.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ranges shown from each hymn are as follows. Based on the melody of the original song, 4-part chorus of <Joy to the Lord>, <Don’t be Afraid> composed by Kim Huijo mainly used primary chords and Gukak instruments were arranged. 4-part chorus of <Aeruhwa DoongDoong Hallelujah>, and <Thanksgiving Song> composed by Ah Hyungjeong mainly used the change of melodies, such as unison type among parts and anti-progress structure, and traditional elements were integrated with the piano arrangement.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bove, original 4 songs of <Joy to the Lord>, <Don’t be Afraid>, <Aeruhwa DoongDoong Hallelujah>, and <Thanksgiving Song> are folk feeling was integrated with the Gayageum Byeongchang hymns. Arranged 4 song are arranged in common by changing choral ways and musical instrument organization. As for chorus, Western choral system of 4 parts is used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church choir and involve characteristics of church music. Instrument accompanying with a synthesizer and a piano is arranged for harmony with chorus. Additional organization of Gukak instruments increases traditional color through the timbre of the instruments and Sigimsae. It is expected that more Gukak hymns like those above will be composed by integrating church music based on traditional elements and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players, composers, and arrangers of Gukak hymns to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of those so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