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老舍와 金裕貞의 短篇小說 比較研究 : 1930年代 幽默小說을 中心으로

        류지은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本論文是研究三十年代中國小說家老舍與韓國小說家金裕貞的幽默短篇小說作品對比。老舍與金裕貞是以動蕩的三十年代爲起點,在中國與韓國各自形成了獨特的文藝風格。旨意是在以沒有互相影響並且具有共性題材和創作特徵的幽默短篇小說基礎,尋繹東樣文學之普遍性與特殊性所在。至今爲止,在中國與韓國文學研究和對比中,占主導地位的是對古典文學的研究對比,而對現代文學,尤其是門戶開放以來的研究對比遠遠落後於此。這是因爲對比文學只有是有影響關系的才能有對比的固定觀點。在些情況下,對三十年代韓中兩位作家的幽默短篇小說進行研究對比,將對兩國的現代文學及文化交流起到一定的推動作用。 1930年的中國處於半殖民地․半封建國家的動亂的時期,同時期韓國也處於日本統治的殖民地時期。這一時期兩國傑出的作家老舍與金裕貞對當時面臨的社會現象,所影響,並且真實的采取當時現實生活中經常發生的社會現象爲寫作。 本論文主要考察了關於兩國作家對於三十年代現實生活的社會現象都采取了什麼相同的題材,並且兩位作家共同編寫的旨意是什麼。其結果,兩位作家的作品中表現的具有共性的題材及主題可分爲以下四點。 第一,下層民的生活桎梏。此時的兩國的社會動亂,其中,最大的犧牲者是民眾。 第二,近代人間性喪失。此時剛剛進入了西歐的資本主義思想。這個思想給人們帶來了不少的副作用。其中最大的影響是人間性喪失。 第三,女性的生活悲劇。此時的兩國,雖然已進入近代化社會。但根深蒂固的封建意識依然存在於社會的各個角落。雖然兩國的民族與國籍不同,但卻有共同的命運,因爲一直受儒教文化殘存意識的影響,人們被剝奪了正常生活權利而過著被扭曲的生活。 第四,知識人階層的懦弱。那時已經有不小的人受到了先進文學教育。但他們根本不能發揮自己的能力。因爲社會意識還差的遠,所以落後的社會視角和先進的知識人的意識不太和諧。 如上所述現代中韓兩國作家老舍與金裕貞的幽默短篇小說,雖然沒有直接地互相影響,但是可以看出主題內容方面都具有共同性或者類似性。因爲鄰近的中韓在很久以前就已經有了共同的東方思維觀念,並且同一時期吸收了西方文化,從而得出這樣的結論。 本論文除了采取題材以外的內容還要考察了兩國作家類似的創作特徵。老舍與金裕貞的短篇小說裏具有共同幽默性。並且老舍與金裕貞的小說敘述方法極爲特殊,他們都采用口語體文章或方言來敘述小說。另外還有一個獨特的特徵是他們繼承了傳統文藝的。 通過以上考察,找出1930年代老舍與金裕貞的短篇小說中所體現的當代社會現象的共同性和區別性。從而,提取了這一時期兩國現代文學的普遍性和特殊性。但是,因爲只側重找出老舍與金裕貞的短篇小說的普遍性,相對忽略找出其特殊性。這些不足以是尚待研究課題。

      • 귀인의 인과적 차원과 호감도 간의 상호영향에 관한 연구

        류지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귀인(attribution)은 관찰을 통한 사건이나 현상의 인과추론과정으로, 특정 연예인에 대한 개인적 호감도가 귀인유형을 결정하고, 결과적으로 태도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연예인 우상화라는 표현이 생겨날 정도로 그 위상과 영향력이 커진 오늘날, 연예인 연루 사건이 발생했을 때, 사건발생의 원인에 대한 심리적 귀인유형을 실증해 보고자 하였다. 다시 말해서, 본 연구는 호감도에 따른 Weiner의 3차원적 귀인차원을 검증하고, 연예인 호감도 변인에 의한 영향력을 귀인후의 과정까지 전반적으로 검증해 보는데 주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특정연예인에 대한 사전호감도는 사건발생 이유에 대한 인과적 차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사건 발생 이유에 대한 원인의 인과적 차원은 호감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별 가설을 상정하였다. [가설 1-1-1] 특정연예인에 대해 호감도가 높은 사람은 그 연예인과 관련된 부정적 사건의 원인을 외적 귀인하는 경향이 강할 것이다. [가설 1-1-2] 특정연예인에 대해 호감도가 높은 사람은 그 연예인과 관련된 긍정적 사건의 원인을 내적 귀인하는 경향이 강할 것이다. [가설 1-2-1] 특정연예인에 대해 호감도가 높은 사람은 그 연예인과 관련된 부정적 사건의 원인을 불안정한 요인으로 경향이 강할 것이다. [가설 1-2-2] 특정연예인에 대해 호감도가 높은 사람은 그 연예인과 관련된 긍정적 사건의 원인을 안정적인 요인으로 귀인하는 경향이 강할 것이다. [가설 1-3-1] 특정연예인에 대해 호감도가 높은 사람은 그 연예인과 관련된 부정적 사건의 원인을 통제 불가능한 요인으로 귀인하는 경향이 강할 것이다. [가설 1-3-2] 특정연예인에 대해 호감도가 높은 사람은 그 연예인과 관련된 긍정적 사건의 원인을 통제 가능한 요인으로 귀인하는 경향이 강할 것이다. [가설 2-1-1] 부정적 사건발생 이유에 대한 내적귀인성이 높을수록 사건에 연루된 연예인에 대한 호감도 변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1-2] 긍정적 사건발생 이유에 대한 내적귀인성이 높을수록 사건에 연루된 연예인에 대한 호감도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2-1] 부정적 사건발생 이유에 대한 안정성 귀인이 높을수록 사건에 연루된 연예인에 대한 호감도 변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2-2] 긍정적 사건발생 이유에 대한 안정성 귀인이 높을수록 사건에 연루된 연예인에 대한 호감도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3-1] 부정적 사건발생 이유에 대한 통제성 귀인이 높을수록 사건에 연루된 연예인에 대한 호감도 변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3-2] 긍정적 사건발생 이유에 대한 통제성 귀인이 높을수록 사건에 연루된 연예인에 대한 호감도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러한 가설 검증을 위해 남?녀 고등학생 및 대학생 402명을 대상으로 부정적/긍정적 사건 메시지를 조작하여 설문지를 제시하고, Weiner의 3차원적 귀인이론에 따라 귀인양식을 평가하도록 했다. 또한 각각의 사건메시지에 호감도가 미치는 영향을 밝혀내기 위해 사전호감도와 사후호감도를 측정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들 중 384명에게서 얻은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으며 연구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정 연예인에 대한 호감도가 높으면 부정적인 사건이 발생했을 때 사건의 원인을 ?외적?으로 귀인하며, '불안정'한 요인으로 귀인함과 동시에, '통제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했다. 반대로 특정 대상에 대한 호감도가 낮은 경우에, 즉 싫어하는 경우에 부정적인 사건이 발생했다면 사건의 원인을 '내부적'으로 귀인하며, '안정적'인 요인에 의한 것으로 귀인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인식했다. 둘째, 긍정적인 사건이 발생했을 경우, 호감도가 높을수록 '내적' 귀인, '안정적' 요인, '통제 가능'으로 귀인했다. 반면, 호감도가 낮을수록 '외적' 귀인, '불안정'적 요인, '통제 불가능?\' 요인으로 귀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Research Issue 1]의 모든 가설은 지지되었다. 셋째, 부정적인 사건이 발생했을 경우, ‘사전호감도’‘내적귀인성'‘안정성'‘통제성’의 4가지 변인 중 '사전호감도'와 '통제성'변인이 호감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인이었는데, 이중 ‘통제성’ 변인이 호감도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부정적인 사건의 경우 '내적귀인성'과 '안정성'은 호감도 변화를 설명하지 못했다. 넷째, 긍정적인 사건이 발생했을 경우, ‘사전호감도’‘내적귀인성’‘안정성’‘통제성’의 4가지 변인 중 호감도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 변인은 '사전호감도'와 '내적귀인성', '통제성'변인이었다. 긍정적인 사건메시지에서 호감도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사전호감도'였으며, 이어 '내적귀인성','통제성'순이었다. 원인의 인과적 차원중에서는 '내적귀인성'이 긍정적인 사건의 경우, 호감도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부정적인 사건에서와 마찬가지로 ‘안정성’ 차원은 호감도 변화를 설명하지 못했다. 이로써 각각의 차원들이 호감도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문제 2]의 6개 연구가설 중 [가설 2-1-2], [가설 2-3-1], [가설 2-3-2]의 3가지만 지지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주변에서 흔히 듣게 되는 수많은 연예인 관련 기사를 수용할 때 우리가 얼마나 감정적인 요인에 의해 주관적으로 해석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단순히 대상에 대한 호감도가 높으면 부정적인 사건 발생의 원인을 본인(내적 귀인)이 아닌 다른 이유(외적 귀인)로, 혹은 돌발적인 변수(불안정 귀인)로 인한 불가피한 상황(통제 불가능)으로 귀인한다는 식으로 이들에게만 사건 본질의 왜곡 가능성이 있는 것이 아니라, 대상에 대한 호감도가 낮은 사람들 역시 마찬가지의 위험성이 있음을 실증하는 결과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호감도가 낮은 사람들은 호감도가 높은 사람과 각 차원의 귀인 행태에 있어 완전히 상반되는 결과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즉, 호감도가 높은 사람뿐 아니라 낮은 사람 역시 왜곡된 사건 해석을 할 소지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에서 그 어떤 대중들도 자유롭지 못하다는 점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공통적으로 ‘통제성’은 호감도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안정성’은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대상에 대한 사전호감도가 고정된 것이기 때문에 특정 사건 메시지로 인한 호감도 변화를 꾀한다면 부정적인 메시지에서는 ‘통제성’ 측면을, 긍정적 메시지에서는 ‘내적귀인성’과 ‘통제성’ 측면의 부각이 필요함을 암시한다. Attribution is a process of casual inference for events or phenomena,. Especially in case of a certain entertainers, personal liking decides the type of attribution and consequently may have an influence on attitude change. Thus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ypes of psychological attributions for causes of an entertainment scandal, reflecting on today that entertainers have more influence on adolescents and develop idolization syndrome. More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s overall process of influence by personal liking on a certain entertainer on the basis of the Weiner's three dimensional attribution theory. To do this the study sets 12 hypotheses as follows: [Hypothesis 1-1-1] A person who has more liking on a certain entertainer may have a tendency to attribute a negative event related with him to external causes. [Hypothesis 1-1-2] A person who has more liking on a certain entertainer may have a tendency to attribute a positive event related with him to internal causes. [Hypothesis 1-2-1] A person who has more liking on a certain entertainers may have a tendency to attribute a negative event related with him to unstable causes. [Hypothesis 1-2-2] A person who has more liking on a certain entertainers may have a tendency to attribute a positive affair related with him to stable causes. [Hypothesis 1-3-1] A person who has more liking on a certain entertainer may have a tendency to attribute a negative scandal related with him to uncontrollable causes. [Hypothesis 1-3-2] A person who has more liking on a certain entertainer may have a tendency to attribute a positive affair related with him to controllable causes. [Hypothesis 2-1-1] An internal attribution about the causes of a negative event may negatively influence liking change on a certain entertainer. [Hypothesis 2-1-2] An external attribution about the causes of a positive event may positively influence liking change on a certain entertainer. [Hypothesis 2-2-1] A stable attribution about the causes of a negative event may negatively influence liking change on a certain entertainer. [Hypothesis 2-2-2] A stable attribution about the causes of a positive event may positively influence liking change on a certain entertainer. [Hypothesis 2-3-1] A controllable attribution about the causes of a negative event may negatively influence liking change on a certain entertainer. [Hypothesis 2-3-2] A controllable attribution about the causes of a positive event may positively influence liking change on a certain entertainer. To prove the hypotheses, this study first creates two types of events related to a certain entertainer and then asks a total of 402 male/female se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undergraduates to evaluate their attribution style according to Weiner's three dimensional attribution theory. At the same time, it measures prior/posterior liking on a certain entertainer in order to examine its influence on attribution types when the created news was delivered to them. Consequently questionnaires of 384 have been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person who has higher liking on a certain entertainer has a tendency to attribute causes of negative news to external factors, and to attribute them to unstable factors and to recognize them as factors beyond control. On the contrary, a person who has lower liking on a certain entertainer has a tendency to attribute the causes to internal factors, and to attribute them to stable as well as controllable factors. Second, it is found that in case they encountered positive news, a person who has higher liking tends to attribute it to internal, stable or controllable factors, while a person who has lower liking tends to attribute it to external, unstable or uncontrollable ones. Third, only prior liking and controllability are shown to be significant variables to influence liking change in case of negative news; especially controllability is found to be most important factor. Fourth, prior liking, internal attribution and controllability are discover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to influence changes of favorable impression in case of positive news; especially prior liking seems to be most important variable. In the causal dimensions, internal attribution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n case of positive news. Accordingly only three hypotheses such as [H 2-1-2], [H 2-3-1] and [H 2-3-2] seem to be supported among the latter six hypotheses. The above results seem to imply that people are likely to interpret news about entertainers subjectively depending on their own emotional factors. Thoughts that higher liking may be a variable to attribute causes of bad news to other reasons such as external attribution rather than to internal attributions, or to inevitable situation(uncontrollability) due to accidental variable(unstable attribute) notwithstanding could not be reasonable. On the contrary, they might result in another fact that a person who has lower liking may be influenced as well because it was shown that the person has an opposite result, comparing the person who has higher liking. It is supposedly predicted that controllability would be a commonly significant variable to influence liking change even though it may depend on the type of messages. But stability seems not to be an important variable. Since the prior liking on an object is an unmovable factor, it is conclusively suggested that negative news should contain controllable factor while positive one should contain internal attribution and controllability, if certain news is intended to change a liking.

      • 미용실고객의 라이프스타일이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류지은 대구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Lift style factors affecting customer satisfaction was in order convenience-oriented, Appearance-oriented, Price-oriedted. In revisiting the factors affecting customer satisfaction, the higher the customer satisfaction respondants re-visited Therefore, Revisit rates and customer satisfaction was higher the more proffesional and high income earners. The beauty salon to become strategic helpful in terms of industrial competitiveness, by increasing the service g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reby, revisit oppor tunities occur.

      • 한국판 사이버 데이트 폭력 척도(K-CDVI) 타당화

        류지은 이화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 데이트 폭력 경험을 측정하기 위하여 Morelli et al.(2018)이 개발한 사이버 데이트 폭력 척도(Cyber Dating Violence Inventory; CDVI)를 국내 20-30대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원척도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한국판 척도를 제작하고, 요인구조를 확인하였으며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가 진행된 절차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척도의 11개 문항을 번역 및 역번역 과정을 거쳐 번안하여 한국판 예비척도를 제작하고, 타당화 과정에 필요한 척도들을 포함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전국의 성인 남녀 43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자료를 제외한 408명의 자료를 204명의 두 그룹으로 무선할당하였다. 우선 첫 번째 그룹을 대상으로 문항 분석을 실시하여 문항의 양호도를 검증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예비척도의 요인 구조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척도의 요인구조는 2요인 결과로 나타나 원척도와 같았다. 둘째, 두 번째 그룹인 204명의 자료에서 사이버 데이트 폭력 경험이 전혀 없는 49명을 제외한 155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문항 분석을 실시하여 문항 양호도를 검증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본 척도의 요인구조는 원척도의 2요인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판 사이버 데이트 폭력 척도(K-CDVI)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하위요인별 내적합치도(Cronbach’s α)값을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이를 통해 본 척도의 문항들이 신뢰롭게 구성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준거관련 타당도 중 동시타당도(Concurrent validity)를 검증하기 위해서 Straous et al.(1996)의 갈등책략척도-Ⅱ(CTS-Ⅱ)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판 사이버 데이트 폭력 척도의 하위요인 2가지 모두 갈등책략척도와 정적 관계를 나타내어, 본 척도의 동시타당도를 검증할 수 있었다. 다섯째, 준거관련 타당도 중 예측타당도(Predictive valtidity)를 검증하기 위해서 본 척도와 한국판 우울척도(CES-D), 한국형 대인관계문제척도(KTTP-SC), 자존감척도(RSES), 복합 외상후장애 면접지(CPTSD-I) 간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이버 데이트 폭력 피해 경험이 우울과 대인관계 문제, 자존감, 복합 외상후장애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사이버 데이트 폭력 피해 경험이 높은 우울, 높은 대인관계 문제, 낮은 자존감, 높은 복합 외상후 장애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사이버 데이트 폭력 피해 경험을 심리적, 관계적 차원에서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번안하고 타당화하여 국내의 20-30대 성인 남녀에게 적용 가능하도록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기존에 사이버 데이트 폭력에 관한 국내의 연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에서, 본 연구를 통해 사이버 데이트 폭력 피해 경험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개발되어 사이버 데이트 폭력에 관한 후속 연구의 가능성을 열 수 있다. 본 척도는 오프라인 데이트 폭력과의 높은 상관을 보이고, 오프라인 데이트 폭력 피해가 일으키는 여러 부정적 영향들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데이트 폭력 상담 실제에서 더 심각한 수준의 데이트 폭력 위험성을 평가하는 도구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yber Dating Violence Inventory (K-CDVI). A CDVI was developed by Morelli, M., Bianchi, D., Chirumbolo, A., & Baiocco, R. (2018) to measure the experience of cyber dating violence. To validate CDVI in Korean, item traslation, item anayl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were conducted with 204 male or female adults who have experienced dating in study 1. From this, 2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items. Next,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as performed on 155 people who remaining, with the exception of 49 who have no experience of cyber dating violence among 204 people.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supported the two factors and all two factors showed adequate internal consistency. The criterion validity was good with other related scales (CTS-Ⅱ, CES-D, KTTP-SC, RSES, CPTSD-1). In conclusion, the Korean version of the Cyber Dating Violence Inventory is a valid measure of cyber dating violence experiences in Korean population. The implications, limitation and future directions are discussed.

      • 심리적 불안을 가진 결혼적령기 미혼여성의 미술치료 사례연구

        류지은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심리적 불안을 가진 결혼적령기 미혼여성에게 어떠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사례연구이다. 2009년 2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주 1~2회, 회기 당 50분으로 사전, 사후 만남과 미술치료 프로그램 16회기를 실시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회기별 이야기, 행동, 그림과 단계별 불안 행동 변화를 분석하고 풍경구성법(LMT), 불안 척도(BAI), 상태불안 척도(STAI-X-1)를 사전, 사후에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이 나타났다. 첫째, 미술치료는 회기별 이야기, 행동, 그림의 변화와 단계별 변화를 보아 미혼여성의 불안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회기별 이야기, 행동, 그림 변화와 단계별 변화에서 미술치료 초기에는 그림 그리기를 거부하거나 활동을 주저하고 소극적이며 자신을 비하하는 태도를 보였다. 또한 그림에서는 전반적으로 구도가 불안정하며 현재 상태의 불만이 반영된 그림을 그렸으나 후기로 갈수록 긍정적인 자아상이 반영된 그림을 그리고 그림에 적극성과 자신감을 보이며 안정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둘째, 미술치료는 풍경구성법(LMT)의 사전, 사후 그림을 비교해 본 결과 미혼여성의 불안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풍경구성법을 통한 그림의 변화에 있어서 사전의 그림보다 사후의 그림이 풍경구성이나 색채, 완성도, 아이템에 있어서 안정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셋째, 미술치료는 불안 척도(BAI)의 사전, 사후 검사를 비교해 본 결과 미혼여성의 불안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검사 결과 점수가 32점에서 19점으로 20.6% 하락하여 불안이 감소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넷째, 미술치료는 상태불안 척도(STAI-X-1)의 사전, 사후 검사를 비교해 본 결과 미혼여성의 불안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검사 결과 점수가 64점에서 43점으로 26.3% 하락하여 상태 불안이 감소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결론을 통해 미술치료가 심리적 불안을 가진 결혼적령기 미혼여성이 치료과정에 대한 감정과 지각을 표현하고, 미술이라는 매체를 통해 대화함으로써 자신이 가진 불안의 원인을 알고 이해하며 감소시키는데 효과를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on art therapy to the unmarried woman of a marriageable age with a mental anxiety.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art therapy the influence on reducing the unmarried woman's anxiety. To examine therapeutic effect, the participant's story, behavioral modes and illustrational expression per session, the LMT(Landscape Montage Technique), the BAI(Beck Anxiety Inventory), the STAI-X-1(State-Trait Anxiety?Inventory) as projection tests were carried out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for the chan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effects of art therapy on anxiety found in art activities per session in the unmarried woman, the participant's story, behavioral modes, illustrational expression found in activities per session were shown to be positively changed in the unmarried woman with over session. Second, for effects of art therapy on anxiety in the unmarried woman based on the LMT test, illustrational expression and behavioral modes found in the LMT test were shown to be positively changed in the unmarried woman over sessions. Third, for effects of art therapy on anxiety in the unmarried woman based on the BAI, the score of the BAI decreased from 32 to 19 suggesting a 20.6% reduction in the unmarried woman. Fourth, for effects of art therapy on anxiety in the unmarried woman based on the STAI-X-1, the score of the STAI-X-1 decreased from 64 to 43 suggesting a 26.3% reduction in the unmarried woman. Therefore, according to the study, art therapy would be effective for the anxiety of the unmarried woman.

      • 대졸 신입사원의 노동시장 이행 과정에서의 진로타협 유형화 연구

        류지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대졸 신입사원의 노동시장 이행 과정에서의 진로타협 특성을 진로타협 요인별 상대적 중요도와 진로타협 요인별 타협 수준에 따라 유형화하고, 진로타협 유형별 노동시장 이행 후 결과 특성의 차이를 분석하며, 각 유형과 노동시장 이행 전 심리 특성, 전공 특성 및 부모 특성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에 있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4년제 대학 졸업 후 처음으로 취업한 일자리에서 근무하고 있는 입사 2년 미만의 대기업과 중소기업 신입사원 전체이다. 대졸 신입사원의 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이 연구에서는 기업규모별 경력 2년 이하의 대졸 취업자 비율을 고려하여 대기업 신입사원 120명, 중소기업 신입사원 480명 등 600명을 유의표집 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진로타협 유형, 심리 특성, 전공 특성, 부모 특성, 결과 특성,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구성된 조사도구를 활용하였다. 자료의 배포와 수집은 2018년 10월 13일부터 10월 23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총 600부 중 527부가 회수되어 87.8%의 회수율을 보였다. 회수된 527부 중 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55부를 제외한 472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① 진로타협 유형화 단계, ② 진로타협 유형별 노동시장 이행 후 결과 특성 차이 분석 단계, ③ 진로타협 유형과 노동시장 이행 전 심리 특성, 전공 특성 및 부모 특성 관계 분석 단계의 3단계로 진행되었다. 진로타협 유형화 단계에서는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하였으며, 모형검증치와 유형수별 진로타협 특성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유형수를 가진 최적 모델을 선택하였으며, 도출된 유형을 토대로 이후 단계에서 집단 간 차이분석과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와 그에 따른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졸 신입사원들은 노동시장 이행 과정에서 타협을 경험하며, 이들의 진로타협 양상은 그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중요 요인(흥미·적성) 추구형, 모든 요인 추구형, 모든 요인 포기형, 중요 요인(흥미·적성) 포기형 등 네 가지 진로타협 유형은 각 진로타협 요인에 대한 타협 수준 뿐 아니라, 직업을 선택할 때 중요하게 고려했던 요인의 타협 여부 측면에서도 구별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네 가지 진로타협 유형 중 노동시장 이행 후 결과 측면에서 보다 긍정적인 성과를 얻는 유형은 중요 요인(흥미·적성) 추구형으로, 중요 요인(흥미·적성) 추구형은 다른 유형에 비해 경력 몰입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반적으로 모든 진로타협 요인에 대해 타협 수준이 낮은 모든 요인 추구형보다 중요 요인(흥미·적성) 추구형의 경력몰입 수준이 높게 나타난 결과는 단순히 타협을 하지 않는 것보다 전략적으로 타협하는 것이 보다 긍정적인 성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긍정적인 결과를 얻는 방향으로 타협하는 데에는 노동시장 이행 전 개인의 다양한 특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개인의 진로정체감, 취업스트레스, 전공만족, 전공에 대한 지지, 부모의 성취 기대, 부모의 경제적 지지가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후속연구 측면에서 연구대상의 다양화, 종단적 연구방법의 활용, 보다 정교한 연구 설계, 다양한 진로타협 결과 지표 활용, 진로타협과 개인의 특성 간 직접적인 영향 관계 분석, 진로타협의 직접적인 원인 구명, 진로타협 수준 측정방법 간 비교에 대한 사항을 제언하였다. 연구결과의 활용 측면에서는 개인의 진로정체감 향상 및 취업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지원, 전공 교육에 대한 질적 관리 및 학습문화 조성, 진로타협 유형에 따른 차별화된 조직적응 전략에 대한 내용이 제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career compromise of Korean university graduate newcomers according to relative importance and the level of compromise in school-to-work transition by career compromise factor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result characteristics after school-to-work transition regarding the types of career compromise, and to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major and parents characteristics before school-to-work transition regarding the types of career compromise. The parent population of this study included all new employees who have been employed for the first time after graduating from an university and have worked for less than two years. Since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identify the number of newcomers, it is used the method of collecting the 600 newcomers in the compan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career compromise type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major characteristics, parent characteristics, result characteristic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ata was collected from October 13, 2018 to October 23. Of the total 600 questionnaires, 527 were collected, showing a recovery rate of 87.8%. Of the 527 questionnaires recovered, 47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except 55 that were not suitable for analysis. Collected data had been analysed with three steps of ① classifying types of career compromise, ② analyzing difference of resul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s of career compromise, ③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career compromise and psychological, major, and parent characteristics. Classifying types of career compromise had been carried out according to LPA(Latent Profile Analysis) process. The optimal model with most suitable number of types had been chosen by considering Model Verification Index derived from the process and career compromise characteristics regarding each number of types. Then Inferential statistics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derived types. The main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newcomers experience a compromise in school-to-work transition, and their career compromise patterns are divided into four different type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Second, the four types of career compromise, such as ‘important factors(interest and aptitude)-oriented type’, ‘all factors-oriented type’, ‘all factors abandoned type’, ‘important factors(interest and aptitude) abandoned type’ are distinguished not only by the level of compromise but also by the compromise of factors that were considered improtant when choosing a job.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ul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s of career compromise. In particular, ‘important factors(interest and aptitude)-oriented type’ got positive results, such as high level of career commitment. Fourth,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career identity and job-seeking stress, major characteristics such as academic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major support, and parent characteristics such as parental achievement expectation and financial support from parent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ypes of career compromis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research subjects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and to identify similarity of career compromise in school-to-work transition regardless of research subjects. Second, it is necessary to use longitudinal research methods. Third, it is necessary to design research more elaborate. Fourth, more diverse indicators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the outcome of the career compromise. Fifth,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identify the direct impact of person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career compromise. Sixth,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confirm the direct cause of career compromise. Seventh,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confirm whether a consistent level of career compromise is derived from various measuring methods of career compromise. Additionally, suggestions for applying the researched work are as follows: First, in career guidance and career counseling for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measures should be taken to improve individual career identity and reduce job stress. Second, in terms of four-year university departm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ppropriate learning culture along with qualitative management of major educ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utilize differentiated organizational adaptation strategies according to each type of career compromise.

      • 정서자각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정서표현, 정서수용,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류지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Based on the review of literatures on emotional aware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ories of emotion-focused therapy, this study aims to examine a sequential mediation model that assumes the mediating roles of emotional expression, emotional acceptance, and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ware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xamine the significance. To address the goal, this researcher collected data by carrying out a selfreporting online survey constructed with the scales of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emotional acceptance, self- compa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o adult Korean males and females at the age of 19 or older. 393 sheets finally selected went through analysis for mediating effects by using SPSS 26.0 and PROCESS Macro 3.5.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ed up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ware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lfcompassion indicated partial mediating effec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ware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emotional acceptance and self- compassion’s sequential mediating effect was observed.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ware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emotional expression, emotional acceptance, and self-compassion’s sequential mediating effect was not found.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dditional verif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ware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emotional expression’s regulating effect was discovered.Based on the findings above, this researcher discusses the significance,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정서자각과 심리적 안녕감에 관련된 선행연구와 정서중심치료 이론을 토대로 정서자각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정서수용, 자기자비의 매개역할을 가정한 순차 매개 모형을 설정하고 유의성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만 19 세 이상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정서자각, 정서표현, 정서수용, 자기자비, 심리적 안녕감의 척도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393 의 자료를 SPSS 26.0 과 PROCESS Macro 3.5 를 활용하여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자각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정서자각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수용, 자기자비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정서자각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정서수용, 자기자비의 순차매개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넷째, 추가 검증 결과 정서자각과 정서수용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 임상적 함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Machine Learning 기반 졸음사고 위험구간 선정방법론 개발

        류지은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에서 발생하는 졸음사고가 운전자의 연속주행에 따른 피로도에 따라 사고 경향이 나타날 것이라 가정하고 고속도로의 졸음사고와 연속주행시간 간의 관계를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구축하여 고속도로의 졸음사고 발생 위험구간을 선정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머신러닝 기반 분석 방법론은 종속변수의 범주 개수가 두 개인 경우, 즉 이항형 문제일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계학 모형인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형 알고리즘을 구축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따라서 졸음사고에 가장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되는 피로도를 졸음사고 발생 위험 구간 선정에 사용하려 했지만 잠재변수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피로도는 관측하거나 측정하기 어려운 지표이기 때문에 피로도와 밀접한 연속주행시간을 사용하기로 하였다. 각 구간별 연속주행시간을 산출하기 위하여 2017년 6월부터 2018년 5월까지 1년(각 월에서 7일씩 총 84일)간의 T-map 네비게이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또한 졸음사고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판단한 굴곡도, 교통량, 평균속도, 지체도, 콘존길이, 연속주행시간 지수(FSI), CVaR1%를 독립변수로 사용하여 머신러닝 기반의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종속변수인 졸음사고 발생 위험구간을 선정하는 방법을 사고이력 기반, 사고이력 및 연속주행시간 기반, 연속주행시간 기반으로 분류해 총 3가지 기준을 사용하였다. 이때, FSI와 CVaR1%는 네비게이션 데이터가 수집되어야만 산출할 수 있는 변수이므로 추후 다른 지역이나 다른 시간범위에 적용하기 어려워 활용성이 낮다는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연속주행시간 지수(FSI) 및 CVaR1%을 포함한 7개의 독립변수와 제외한 5개의 독립변수로 구분하여 총 6개의 모형을 구축하여 예측력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모형에서 5개의 변수만 사용한 모형보다 7개의 변수를 사용한 모형이 더 높은 적중률을 보였으며 종속변수로 사고이력과 연속주행시간 기반으로 선정한 위험구간을 사용하고 7개의 변수를 모두 독립변수로 사용한 모형의 적중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졸음사고는 연속주행시간 이외에 피로, 산소부족, 음주/약물, 도로환경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이러한 요인은 인적 요인이므로 졸음사고 예측에 반영하기 어려울 것이라 예상된다. 그러나 동일한 신체적 조건과 상황이라도 도로 선형이나 교통류 상황에 의해 졸음사고 발생 가능성은 달라지므로 이러한 요인들을 반영한 졸음사고 위험구간 선정 모형의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resent study assumes that the drowsy driving accidents on highways would have a certain pattern associated with the driver’s fatigue degree caused by their continuous driving. Therefore we established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drowsy driving on highways and continuous driving time, thus developed the selection methodology of highway sections with higher risk of drowsy driving. Logistic regression model algorithm was performed for the analysis methodology based on machine learning, as it is the statistic model generally used for two dependent variables, or binomial distribution. Fatigue is regarded to have the greatest impact in drowsy driving accidents , but its degree is the factor of latent variable and too complex to be observed or measured. Therefore continuous driving time which wa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fatigue degree was used in the present study. One-year data of T-map navigation were collected from June of 2017 to May of 2018, seven days of each months and 84 days in total, in order to calculate the continuous driving time of each section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machine learning was performed with independent variables which accounted for drowsy driving accidents, including degree of sinuosity, traffic flow, average speed, degree of delay, length of conezones, FSI, and CVaR1%. Three categories based on the following were used for selecting high risk sections as dependent variables; accident history, continuous driving time, and both. In particular, FSI and CVaR1% required navigation data to be computed therefore were disadvantageous to be applied to other regions or time period in further studies. Accordingly, predictive powers were compared between the six models established, with all the seven in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FSI and CVaR1% and the those without these two factors. As a result, compared with the model with five factors, the model with seven factors demonstrated higher accuracy rate in every models. The highest accuracy rate was observed in the model with seven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with high risk section selected upon the accident history and continuous driving time as dependent variables. In addition to continuous driving time, drowsy driving accidents occur as a result of various factors such as fatigue, lack of oxygen, alcohol or drugs, or road circumstances. Because of their human factor features, they are seldom anticipated to be reflected in predicting drowsy driving accidents. Nevertheless, despite of equal physical condition and circumstances, incidence of drowsy driving accidents may change due to road alignments or traffic flow. Hence it is essential to study the selection model of high risk for drowsy driving accidents concerning for all these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