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rocessing changes in three levels of mental representations of Korean EFL readers during repeated reading and narrow reading of L2 narrative texts

        류지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55

        담화 이해의 과정을 설명하는 주요 이론적 모델(van Dijk & Kintsch, 1983)에 따르면, 글을 읽고 이해할 때 세 층위의 정신 표상 (표면 형태, 텍스트 모형, 상황 모형)에 대해 처리하게 된다. 표면 형태에 대한 표상에서는 텍스트에서 명시적으로 사용된 단어나 통사 구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텍스트 모형 수준에서는 아이디어 단위, 즉 명제들을 논리 정연한 방식으로 묶는다. 상황 모형 수준에서는 독자가 텍스트 모형 표상에 기존에 갖고 있던 지식을 통합시켜서 텍스트에 대한 전체적인 상황을 머릿속으로 그릴 수 있게 된다. 연구에 따르면 성공적인 이해란 일관성 있는 상황 모형을 형성하는 것이다(Johnson-Laird, 1983; Kintsch, 1988). 모국어 독자들이 상황 모형을 구축하는 것이 자연스럽고 자동적인 과정이라는 것이 수많은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하지만 제2언어 능숙도가 높지 않은 많은 제2언어 독자들은 상황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Choi, 2017; Takaki, 2010, 2011). 글을 읽는 주된 목적이 성공적으로 이해를 하기 위한 것이며(Raskinski, 2006) 이는 상황 모형 처리의 결과임을 고려해볼 때, 능숙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독자에 대해 상황 모형 처리를 촉진시키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많은 연구자들에 따르면, 성공적인 이해를 막는 주요한 장애물은 하위층위 과정을 처리하는 낮은 효율이다(Laberge & Samuels, 1974). 즉, 하위층위 과정을 처리하는 데 많은 자원이 소실되어 상위층위 처리과정을 위한 자원이 거의 남아있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해와 연관되는 상위층위 처리과정으로 자원이 분배되기 위해서는 하위층위 처리과정의 자동화가 요구된다. 이는 글을 반복적으로 읽음으로 가능하다고 알려져 왔다(Laberge & Samuels, 1974; Rasinski & Samuels, 2011; Samuels, 1979, 1997). 반복에 대한 수많은 연구가 반복 읽기와 좁혀 읽기 연구로 진행되어져 왔다. 반복 읽기는 모국어와 제2언어 상황 모두에서 이뤄졌으며 ‘같은 텍스트를 여러 번 읽는 것’으로 정의되고, 좁혀 읽기는 주로 제2언어 상황에서 연구되었으며 ‘부분적으로 언어적인 변화가 있는 특정 주제에 대한 유사한 글을 연속적으로 읽는 것’으로 정의된다. 두 종류의 반복(RR에서의 완전한 반복과 NR에서의 부분적 반복 모두)이 독해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서 보고가 되어 왔다(e.g., Chang & Millett, 2013; Gorsuch & Taguchi, 2008; Gorsuch & Taguchi, 2010 for RR; Cho, Ahn, & Krashen, 2005; Kang, 2015; Kim, 2015 for NR). 하지만, 선행 연구에서는 읽기에서 수반되는 다양한 과정에 대한 확고한 이해가 없이, 즉 견고한 이론적 틀이 없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에서는 주로 단락 읽기 시간이나 오프라인으로 일반적인 이해를 측정하는 문제들과 같은 척도들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측정 방식들은 RR과 NR를 통해 읽기의 다양한 과정들이 어떻게 잠재적으로 다른 방식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는지를 조사하기에는 정교하지 않다. RR과 NR이 다양한 읽기 처리 과정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더욱 체계적으로 조사하기 위해서는, 전체 단락 읽기 시간의 변화가 아닌, 세 층위의 처리과정 각각에 대한 처리과정 변화를 조사하는 것이다. 읽기 과정을 세 층위로 구분한 것은 담화 이론을 설명하는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이론적 모델(van Dijk & Kintsch, 1983)에 따른 것이다. 각 층위의 표상에 대한 처리 과정 변화를 조사하기 위한 방법론적 틀로써 자원 할당 접근법(resource allocation approach)을 채택하였다(Graesser & Riha, 1984; Haberlandt & Graesser, 1985). 이 접근법의 주요 가정은 다양한 읽기 과정 각각은 시간을 요구하며, 읽은 시간은 다양한 읽기 처리 과정의 인지 부하 정도를 반영한다는 것이다. 이 접근법을 사용한 연구자들은 세 층위의 처리과정에 핵심적인 여러 변인들을 선정하고 추출된 문장 읽기 시간에 대해 이러한 변인들을 예측 변인으로 하는 다중회귀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독자가 이러한 처리 과정 각각에 대해 투자한 자원의 양을 알 수 있었다. 앞서 기술된 연구 부족에 기반하여, 현재 연구에서는 RR과 NR사이의 표면 형태, 텍스트 모형, 상황 모형에 대한 처리과정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읽기란 세 층위의 처리를 수반하는 것이라고 가정하는 van Dijk와 Kintsch(1983)의 담화 이해 모형을 이론적 틀로, 자원 할당 접근법을 방법론적 틀로 사용하였다. 총 91명의 영어를 외국어로 사용하는 한국인 중/상급 독자들은 반복 읽기와 좁혀 읽기 조건에 무작위로 배정되었고, 네 개의 세션을 완수하였다. 각 세션은 세 개의 글을 연달아 읽고 그에 해당하는 서면 회상 검사(recall)를 수반한다. 자원 할당 분석방법(resource allocation approach)을 사용하여 독자의 문장 읽기 시간들을 15개의 텍스트 지수를 이용하여 회귀분석 하였다. 이 텍스트 지수들은 각각 표면 형태(surface form), 텍스트 모형(textbase), 혹은 상황모형을 반영하고 있다. 각 읽기마다, 그리고 각 개인마다 수집된 표준화된 회귀계수들에 대해 삼원배치 혼합 분산분석 혹은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읽기 조건(반복읽기, 좁혀읽기), 횟수(1, 2, 3)와 능숙도(중급, 상급)에 따라 세 층위의 정신적 표상에 대하여 처리과정의 변화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조사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면 형태 처리의 경우, 전반적인 자원 할당은 숙련도에 크게 관련이 없었다. 또한, 반복읽기 조건에서 독자들은 매번 반복할 때마다 투자하는 자원의 양이 상당히 감소하였는데 반하여, 좁혀 읽기 조건의 독자들은 처음 읽었을 때에 비하여 두 번째 읽었을 때는 상당히 감소하였지만 세 번째 읽을 때는 두 번째와 유사한 정도의 많은 자원을 할당하였다. 텍스트 모형 처리의 경우, 전반적 자원 할당이 숙련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반복 읽기 조건의 독자들은 세 번에 걸쳐 읽는 동안 낮은 수준의 자원을 지속적으로 할당하였다. 반면, 좁혀 읽기 조건의 독자는 처음 읽을 때에 비하여 두 번째 읽을 때 두 배 이상의 자원을 할당하였고, 세 번째 읽을 때는 상당한 양이 감소하였다. 상황 모형에 대한 자원 할당을 살펴보면 처음과 두 번째 읽었을 때 중급자에 비해 상급자가 훨씬 더 많은 양을 할당하지만 세 번째의 경우엔 큰 차이가 없었다. 좁혀 읽기 조건의 독자는 세 번의 읽기 동안 많은 자원을 지속적으로 할당하나, 반복 읽기에서는 상황 모형 처리를 훨씬 덜 하였다. 이렇게 반복 읽기 조건에 비하여 좁혀 읽기 조건에서 훨씬 더 많은 자원을 상황 모형을 처리하는 데 사용하는 양상은 중상급 독자 모두에게 나타났다. 그러나 주목할 만한 점은, 상급자의 경우에는 두 반복 조건 간 유의한 차이 없이 많은 양의 자원을 상황 모형 처리를 하는 데 사용한 반면, 중급자의 경우에는 반복 읽기 조건에서는 상황 모형 처리를 거의 하지 않으나 좁혀 읽기 조건에서 훨씬 더 많은 양의 자원을 투자한 것으로 드러났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제2언어 읽기에 대한 몇 가지 이론적, 교육적 함의를 제공한다. 반복하여 읽는 것은 독해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제2언어 교실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반복읽기를 통해 하위층위 과정들에 대한 처리 과정이 빨라지고 그에 따른 자동화로 이어질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중상급 독자 모두에게 발견되지만 반복읽기를 통한 상황 모형처리로의 자원 재분배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는 상급 독자들에게만 국한된다는 것을 보여주면서 기존 연구 토대를 확장하고 있다. 하위층위와 상위층위 처리 기술의 균형 잡힌 발달을 위해서는, 독자들은, 특히 능숙도가 낮은 경우, 좁혀 읽기 조건에서와 같이 어느 정도 언어적인 변화를 포함하는 유사한 글을 연달아 읽음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또한, 현재 연구에서 반복으로 인하여 얻어지는 효과들을 설명하기 위해 널리 언급되는 두 이론적 모델(i.e., 자동화이론[Laberge & Samuels, 1974]과 상황-종속적 표상 모델[Raney, 2003])에 대하여 재고해보아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Reading comprehension involves processing three levels of mental representations: surface form, textbase and situation model, according to a widely accepted model of discourse comprehension (van Dijk & Kintsch, 1983). Surface form representations include individual words and syntactic structures which were explicitly used in the text. At the textbase representations, readers group idea units (or propositions), which can be derivable from the text, in a coherent manner. At the situation model representations, readers incorporate their prior knowledge with the textbase representations, thereby drawing a mental image of what the text is about. Research has shown that successful reading comprehension is to form a coherent situation model (Johnson-Laird, 1983; Kintsch, 1988) and that situation model construction is a normal, automatic process in L1 readers (Gernsbacher, 1990) whereas many L2 readers without relatively high L2 proficiency may have difficulty in monitoring situational changes (Choi, 2017; Takaki, 2010, 2011). As the major purpose of reading is successful comprehension (Rasinski, 2006) which is the product of situation model processing,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to promote situation model processing for less proficient readers. Research suggests that the major bottleneck of successful comprehension is low efficiency in lower-level processes (Laberge & Samuels, 1974). That is, resources are used up for lower level processes and few resources are available for higher-level processes. Accordingly, automatizing of the lower level processes is essential for freeing resources to be shifted for higher-level processes (related to comprehension); this has been purported to be achievable through repetition of a passage (Laberge & Samuels, 1974; Rasinski & Samuels, 2011; Samuels, 1979). A number of studies in repetition have been conducted in the form of Repeated Reading (RR; in both L1 and L2; defined as reading the same text more than once) and Narrow Reading (NR; primarily in L2 contexts; reading a series of similar texts on a certain topic with some linguistic variation). Positive effects of both types of repetition (both full repetition as in RR and partial repetition as in NR) have been reported (e.g., Chang & Millett, 2013; Gorsuch & Taguchi, 2008; Gorsuch & Taguchi, 2010 for RR; Cho, Ahn, & Krashen, 2005; Kang, 2015; Kim, 2015 for NR). However, previous studies were primarily conducted without a firm understanding of what kinds of processes are involved in reading (i.e., lack of a sound theoretical framework). These studies mainly employed crude measures for comprehension such as passage reading time and/or off-line general comprehension questions, which may not be sensitive enough to explore how different reading processes are affected by RR and NR in a potentially different manner. A possibly more systematic examination of effects of RR versus NR on different reading processes would involve looking into processing changes in each of the three levels of processing (i.e. surface form, textbase and situation model) separately, instead of changes in overall reading time; this three-level separation of reading processes is predicated upon the most widely accepted theoretical model of discourse comprehension (van Dijk & Kintsch, 1983). To examine processing changes in each level of representations, the resource allocation approach was used as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e.g., Graesser & Riha, 1984; Haberlandt & Graesser, 1985). One of the primary assumptions is that each of the various reading processes requires time and reading time can reflect the cognitive load of the reading processes. Researchers using this approach regressed sentence reading times onto several variables important for surface form, textbase and situation model processing. In this way, they could extract readers’ differential resource allocation (as reflected in reading time allocation) to each of these processes while statistically controlling the remaining variables. Driven by the aforementioned research gaps, the current study compared processing changes between RR and NR in terms of the surface form, textbase and situation model, by drawing upon van Dijk and Kintsch’s (1983) discourse comprehension model—which assumes that reading involves three levels of processing—for the theoretical framework and the resource allocation approach for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A total of 91 Korean EFL readers of intermediate and advanced proficiency levels were randomly distributed either to the NR or RR condition. They completed four sessions, each session involving reading three texts along with respective written recalls on each reading. Using the resource allocation approach, their sentence reading times were regressed on 15 textual indices, each reflecting either surface form, textbase, or situation model processing. The collected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s were entered into a series of three-way mixed analysis of variance (ANOVA) or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to examine processing changes in three levels of representations as a function of reading condition (RR, NR), trial (1, 2, 3) and proficiency (intermediate, advanc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Overall resource allocation to surface form processing was not considerably different between proficiency levels. Also, in the RR condition, the readers allocated a decreasing amount of resources with each repetition whereas those in the NR condition reduced resources from the first to the second trial but devoted as many resources on the third reading as on the second reading. As for textbase processing, overall resource alloca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proficiency levels. Those in the RR condition consistently allocated low levels of resources to textbase processing over the three readings while those in the NR condition more than doubled resource allocation from the first to the second reading, followed by a substantial reduction on the third. Resource allocation to situation model was significantly greater for advanced than intermediate readers on the first and second readings but not on the third. While those in the NR condition allocated many resources over the three trials, those in the RR condition had a considerable reduction in resource allocation to situation model processing over the trials. The trend of greater resources allocated in the NR than the RR condition was shared by both intermediate and advanced readers. However also note that intermediate readers allocated significantly greater amount of resources in the NR condition whereas they hardly allocated resources to the RR condition, while advanced readers allocated high levels of resources to situation model processing both in the NR and RR conditions. The current dissertation projects several theoretical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L2 reading. Repetition is a widely used technique in L2 classrooms to foster reading comprehension; this study extends the existing research base by showing that the beneficial effects of Repeated Reading on resource redistribution to situation model processing are exclusively limited to advanced readers while its positive effects on faster processing and its consequential automatization of lower-level processes are observed for both groups of readers. For balanced development of lower-level and higher-level skills, readers, particularly of lower proficiency levels, may benefit from reading a series of similar texts with slight linguistic variation (as in the NR condition).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two theoretical models (i.e., the Automaticity Theory [Laberge & Samuels, 1974] and the context-dependent representation model [Raney, 2003]) commonly invoked for explaining the repetition effects be revisited.

      • 국내 온라인 게임 산업의 해외시장 진입전략 : 대기업과 벤처기업의 사례비교

        류지수 영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rapid globalization of world economy as well as the rapid diffussion of IT infrastructure in the global world makes it possible for Korean companies of onkine game industry to become born-global. It is reviewed what factors affect the Korean online game firms to select a speclfic foregn market entry mode in the specific case. According to litterature review three factors are important for firms to decide a specific entry mode, which are host country environment, asset specificity and entrepreneurship. Three cases of intrnationalization are collected for case study in this study. Two of three cases are large firms, NCsoft and NHN, one is S-M ventrue company. According to the case analysis n this article some valuable results are confirmed as below. First, regulatory environment of foreign market gives some influence for online game company to select the foreign market entry mode. Second, the level fo cultural difference between host country and Korea also have some impact for firms to select foregn entry mode. Third, The Entrepreneurship gives a great influence on the decision of foreign market entry mode in more aggressive manner. Fourth, The more experience of international business the firm have the more agreessive she is in deciding foreign entry mode selection. Fifth, The larger companies will have more resources, and easily inclined to select more aggressive mode of entry, because of her absorpsive capabilty of high risk from FDI. key word : Foreign Entry Mode, Host Environment, Core Capability, Entrepreneurship

      • FDM 타입 3D 프린터 활성화를 위한 설계 방법과 기계적 물성에 관한 연구

        류지수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들어 3D 프린터가 보급화 되면서 개인이 많은 이용을 하기 시작하였고, 고가의 FDM 3D 프린터가 많이 출시되지만 개인은 고가의 장비를 구입하여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가의 보급형 FDM 타입 3D 프린터로 출력을 할 때 재료비와 시간, 내구성의 문제가 많이 나타남으로 출력 소요 시간과 재료비를 줄이기 위해 3차원 모델링은 부품을 생성한 후 어셈블리 형태로 저장하여 STL 파일로 생성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출력 소요 시간, 필라멘트 사용량, 지지대에 대해 해석을 진행하였으며, 생분해성 고분자인 PLA(Poly Lactic acid)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인장 시편을 제작하고 만능재료시험기를 사용하여 채움 방향에 따른 조형물 각도 3가지와 채움 밀도 4가지에 대해 시편을 제작하여 인장 실험을 통해 기계적 물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3차원으로 설계된 모델링은 슬라이스 프로그램인 Cura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새로운 3차원 모델링 시험편의 소요 시간과 중량은 57%, 58%가 줄어 단축 효과를 확인하였다. 인장 강도 시험 결과 조형물 각도가 90󰔆일 때 물성치가 가장 좋았다. 강도를 요하는 부분을 90󰔆방향으로 배치하면 채움 밀도를 줄이면서 강도는 더 강한 조형물을 만들 수 있으므로 3D 프린터 사용자들에게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서 3D 프린터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Recently, as 3D printers became more available, quite a few individuals have started to use them. FDM 3D printers are also released in increasing number, but many individuals find it difficult to purchase the expensive equipment. Also, as various problems arise such as material cost, required time, and durability when outputting using a low-cost entry level FDM-type 3D printer, we have saved 3D modeling in this study in assembly form after creating parts, and generated STL files in order to reduce required time for outputting and material cost. In addition, interpretations on required time for outputting, filament usage, and support stand have been carried out through simulation. The tensile specimens were fabricated using PLA (Poly Lactic Acid) filament, a biodegradable polymer, and the specimens were prepared for three sculpture angles and four internal filling densities according to the packing direction using a universal material tester before comparing and analyz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through a tensile experiment. The three-dimensional modeling was simulated with Cura, a slice program.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time and weight of the new 3D modeling test were reduced by 57% and 58% respectively, confirming the shortening effect. The tensile strength test showed that the property of the sculpture was the best when the angle of the sculpture was 90󰔆. When the portions requiring strength are placed in 90󰔆direction, stronger sculptures can be created while reducing the internal filling density.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3D printers by providing these data to 3D printer users.

      • 부모의 알코올의존이 성인 알코올의존자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분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류지수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study investigated alcoholic adult children of alcoholics' perceived parental alcohol dependence as the predictor of their life satisfaction through differentiation of self. All participants (N=378) were examined for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differentiation of self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parental alcohol dependence and alcoholics’ life satisfactio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on life satisfaction for the participants who are ACOAs (N=220) selected through screening test. Collected data was analyzed for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22.0 SPSS and AMOS 22.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58.2% (N=220) of the study subjects were found to be ACOAs, and about half of alcohol dependents were found to have a family history of alcohol dependence by their parents. Second, amo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depending on the status of ACOAs in marital status, employment statu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In marital status, the proportion of unmarried, separated, divorced, and bereaved spouses in the ACOAs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non-ACOAs. In employment status, ACOAs had the highest percentage of respondents that answered ‘job seeking’, while non-ACOAs had the highest percentage of respondents that answered ‘don't plan to work,’ so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perceived by the ACOAs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at of the non-ACOAs,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at the first drinking, whether the spouse with alcohol dependence, and the current problem depending on the status of the ACOAs. As the first drinking, the average age in the ACOAs was 18.2, lower than that of the non-ACOAs, and 75.4% of the ACOAs reported alcohol dependence of their current or former spouses and cohabitants,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n-ACOAs group (58.2%). In addition, in the current major problems recognized by alcohol dependents, alcohol dependents, who are ACOAs, were shown to regard realistic problems such as economic status, occupation, housing, and family support as the current major problems rather tha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life and differentiation of self of alcohol dependents depending on whether they are ACOAs or not, both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ifth,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s between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tiation of self of alcohol dependents has a full mediation effect between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parental alcohol dependence and their life satisfaction. Sixth, for alcoholic ACOAs, the differentiation of self between the severity of parental alcohol dependence and life satisfaction was examined, and it was found that full mediation of differentiation of self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rough the results it suggested that the practice to improve the life satisfcation of alcohol dependents, individualized services for ACOAs, supports focused on the changes in life problems such as housing, occupation, and poverty of alcoholic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alcohol dependents can improve life satisfaction in the process of changes of one’s life through self-differentiation in the influence of parental alcohol dependence, and it provides the basis of practical intervention through the differentiation of self to promote life satisfaction. 본 연구는 부모의 알코올의존 여부에 따른 성인 알코올의존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음주 관련 특성을 살펴보고 부모의 알코올의존 여부에 따른 알코올의존자의 삶의 만족과 자기분화 수준의 차이 검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더 나아가 부모의 알코올의존 여부와 부모의 알코올의존 정도가 성인 알코올의존자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분화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알코올사용장애 또는 알코올의존 진단을 받은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알코올의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총 29개 기관으로부터 378개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프로그램과 AMO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과 t-검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58.2%(220명)가 알코올의존자의 성인 자녀(Adult children of alcoholics, 이하 ACOAs로 칭함)로 나타나 알코올의존자의 절반 이상이 부모의 알코올의존 가족력을 가진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알코올의존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결혼상태, 취업상태, 주관적 건강상태에서 ACOAs 지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혼상태에서 ACOAs의 미혼 또는 별거, 이혼, 사별의 형태로 배우자가 없는 비율이 non-ACOAs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취업상태에서 ACOAs의 경우 ‘구직 중’에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고, non-ACOAs의 경우 ‘일할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여 두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ACOAs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non-ACOAs에 비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ACOAs 지위에 따라 첫 음주 시기, 배우자의 알코올의존 여부, 현재 문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첫 음주 시기는 ACOAs 집단이 평균 18.2세로 non-ACOAs 집단보다 더 낮았으며, ACOAs 집단의 75.4%가 현재 또는 이전 배우자/동거인의 알코올의존을 보고하였으며 non-ACOAs 집단(58.2%)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였다. 또한 알코올의존자가 인식하는 현재의 주요 문제에서 ACOAs인 알코올의존자는 심리정서적인 문제보다는 경제, 직업, 주거, 가족부양 등 현실적인 문제를 현재의 주요 문제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ACOAs 집단의 삶의 만족과 자기분화의 수준 모두 non-ACOAs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다섯째, 변수들 간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알코올의존자의 자기분화는 부모의 알코올의존 여부와 삶의 만족 사이에서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ACOAs인 알코올의존자를 대상으로 부모의 알코올의존 정도와 삶의 만족 사이에서 자기분화의 역할을 살펴보았으며, 자기분화가 이 둘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알코올의존자의 삶의 만족 향상을 위한 자기분화를 높일 수 있는 실천 개입과 ACOAs에 대한 개별화된 서비스, 알코올의존자의 건강, 주거, 직업, 빈곤과 같은 삶의 문제의 변화를 위한 지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부모의 알코올의존의 영향에서 알코올의존자가 자기분화를 통한 삶의 변화 과정에서 삶의 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규명하고, 삶의 만족을 촉진하는 자기분화의 역할을 통한 실천적 개입의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데 있다.

      • 직접토크제어 유도전동기의 성능 개선 및 고장허용 제어

        류지수 단국대학교 2001 국내박사

        RANK : 248639

        교류전동기의 제어방법인 직접토크제어(Direct Torque Control)는 벡터제어와 같이 자속과 토크를 분리 제어하면서도 알고리즘이 매우 단순하고 비교적 낮은 스위칭 주파수로 운전되기 때문에 특히 중대형 교류전동기의 제어기법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직접토크제어 기법에 의해 구동되는 유도전동기 제어시스템의 제어성능 개선을 위하여 기존 설계기법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였으며, 더불어 신뢰도 확보를 위해 장치고장의 검출식별시스템과 이를 도입한 고장허용제어계의 설계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제안 사항은 세가지이다. 첫째, 직접토크제어 기법 적용시 저속영역에서의 자속저하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퍼지 가변스위칭 섹터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 기법에서는 전동기의 속도에 따라 최적의 섹터이동각을 결정해주는 퍼지 알고리즘을 채택하였으며, 퍼지 알고리즘의 실시간 적용이 가능하도록 단순함수(Simple Function)에 의한 추론방법도 함께 제시하였다. 둘째, 직접토크제어계의 성능 향상을 위해 새로운 자속관측기를 제안하였다. 이 관측기는 비선형성의 극복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퍼지 이득조정 기법과 시변성 및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라미터 적응 알고리즘을 함께 도입한 구조로서, 기존의 자속관측기와 달리 설계자가 의도한 일정 수렴속도를 가지도록 설계될 뿐 아니라, 고정자 저항과 같은 전동기 파라미터 변화에 대해 강인한 특성을 가진다. 셋째, 직접토크제어되는 유도전동기 구동장치의 신뢰성 개선을 위한 장치고장 검출식별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이 기법은 고장허용 특성을 가진다. 이를 위해 속도센서 및 전류센서 고장이 각 변수 및 제어시스템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에 근거하여 이들 센서고장을 조기에 검출, 식별할 수 있는 두 가지의 관측기 기반 고장검출식별 기법을 제안하였다. 그중 하나는 다중관측기 기법으로서 고장검출식별을 위한 중복정보를 얻기 위하여 관측기 3개를 병렬로 사용하는 방법이고, 나머지 하나는 다중관측기 기법의 실현시 문제점인 계산량을 줄이기 위한 단일관측기 기법이다. 특히 단일관측기 구조의 고장검출 및 식별 기법은 실시간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고장허용 특성을 가짐으로서 직접토크제어되는 유도전동기 구동장치와 이를 포함한 많은 자동화 시스템 및 고성능 운송시스템의 신뢰성 및 성능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제안한 알고리즘들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2.2[kW]급 유도전동기에 대하여 속도제어계를 구성하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고성능 DSP를 이용한 제어보드를 개발하여 직접토크제어 및 고장검출식별 알고리즘을 도입한 후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실시간 적용의 가능성과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Direct torque control(DTC) method provides direct and independent control of the flux linkages and electromagnetic torque like the well known vector control method does. The method has been accepted as a high performance control scheme specially for high power induction motor drives because it usually operates at relatively low switching frequency. In this dissertation, some important problems of conventional DTC are analyzed and solutions for the problems, flux drooping at low speed range and difficulty of flux estimation due to nonlinearty of system dynamics, are suggested to improve the control performance of DTC based induction motor drives. Also, a new Instrument fault detection and isolation scheme(IFD1S) and a fault-tolerant control system(FTCS) with the IFDIS are proposed to enhance the functional reliability of the overall control system,. The major contributions of this dissertation are threefold. First, the fuzzy variable switching sector scheme is proposed to reduce the flux drooping. The scheme includes a fuzzy algorithm to decide optimal shifting-angle of the sector and a simple functional realization method of the fuzzy inference which possibilizes the real-time application of the variable switching sector scheme. Second, a novel flux observer with a fuzzy gain scheduling algorithm and an adaptive law to overcome time-varying properties and parameter uncertainties is proposed. Third, to improve reliability of induction motor drives, an IFDIS with which an FTCS can be constructed is proposed. The effects of speed sensor fault and current sensor fault on control performance a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analyzed results, two observer based fault detection and isolation schemes are presented. The one is the multiple observer scheme which simultaneously drives three parallel observers to get redundant informations for fault isolation. The other is single observer scheme which reduces the computational burden of multiple observer scheme while providing the same information.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proposed algorithms, the speed control system is designed for 2.2[kW] induction motor and evaluated by simulation and experimental study. Experimental setup consists of IPM inverter, and high performance TMS320VC33 DSP.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prove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schemes.

      •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운동량 측정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류지수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Today with the emerging wearable technologies increasingly becoming popular, further compacted by being used on a daily basis by millions of users, a study investigat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s provide is neede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verification of observed energy expenditure, distance, and step count of wearable healthcare device. A total of 20 participants, aged 20-29 year-old healthy, 10 male and 10 female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Each of the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walk 800m on flat ground, 534m downhill and 534 m uphill on 3 separate days. While they were walking 5 kinds wearable devices (wrist band (2), smart phone (2), a pedometer) and a portable gas analyzer were tested at the same time for a comparison analysis. The devices measured of energy expenditure, walking distance, and step count.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chronbach’s alph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showed Zikto was valid for measuring step count. Fitbit was reliable for measuring step count, and the valid for measuring distance. The android phone was reliable for measuring energy expenditure, and the valid for measuring distance. iPhone was reliable and valid for measuring energy expenditure, and the valid for measuring distance. Pedometer was not reliable and valid in all three categories.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energy expenditure measurement using iPhone was the only wearable device tested that had both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energy expenditure. All other devices need to develop their sensors to improve reliability and to develop an algorithm to improve the validity of energy expenditure measurement.

      • Effects of task complexity and planning on L2 spoken performance and attentional allocation to meaning and form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류지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resent thesis explored combined effects of task complexity (controlled through +/-here-and-now) and planning on performances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ith low-intermediate L2 speaking proficiency in two areas: spoken performances in terms of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CAF) and cognitive psychological performances of attentional allocation to linguistic aspects during planning. In this study, 40 eleventh-grad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ith low-intermediate English speaking proficiency completed four sets of picture description tasks in different conditions: simple no planning (SN), complex no planning (CN), simple planning (SP) and complex planning (CP).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udents’ planning processes, the learners were instruct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after the planned conditions (SP and C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ask complexity and planning were shown to influence diverse aspects of CAF; that is, task complexity positively influenced syntactic complexity and accuracy with solely syntactic complexity reaching a significance level, while negatively influencing lexical complexity and fluency with solely the decrease in lexical complexity be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respect to planning, syntactic complexity and fluency were considerably higher, whereas accuracy and lexical complexity were slightly negatively affected. Along with the individual effects of the two IVs, interaction effects on lexical complexity and accuracy were observed; that is, learners’ productions were positively influenced on these aspects to a substantial degree, while neither of the two factors solely had a significant impact in the two aspects. In addition to the learners’ performance scores (i.e., CAF), individual learners’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s in SP and CP provided evidence of visible changes in learners’ attentional allocation depending on tasks differing in complexity; despite their predisposition towards meaning in planned conditions, particularly in the simple planned condition (SP), learners’ attention—which was likely employed inefficiently—was successfully directed to formal aspects in the complex planned condition (CP) given the combined effects of resource-directing (i.e., +/-here-and-now) and resource-dispersing (i.e., strategic planning) dimensions in CP.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e following pedagogical implications: a) various pedagogical goals may be obtainable through differential manipulation of resource-directing and/or dispersing dimensions; b) learners should be encouraged to adopt a positive attitude toward planning to maximize the potential benefits of planning; and c) an awareness about the nature of learners’ L2 speaking performances needs to be developed to encompass multiple factors in accounting for their observed performances.

      • 슈만의《리더크라이스》 (Liederkreis, op.39)에 담긴 '모음곡 속의 연가곡' : 제2곡, 제4곡, 그리고 제7곡을 중심으로

        류지수 성신여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슈만(Robert Schumann, 1810-1856)의 많은 작품 가운데 ‘예술가곡’(Kunstlied)은 그가 기악음악에서 추구했던 ‘시적음악’을 바탕에 두고 있을 뿐 아니라, 서양음악사 성악음악 창작사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슈만은 음악적 그리고 문학적 재능을 예술가곡을 통해 아낌없이 발휘하였으며 특히 1840년 한 해 동안 138여 편의 가곡을 작곡했다. 이 시기에 나온 가곡들에는 시와 음악의 결합을 통해 슈만의 개인적인 생각을 반영시키며 특히 당시 슈만의 개인적인 감정, 즉 클라라(Clara Josephine Schumann, 1819-1896)와의 사랑을 통해 얻은 모든 영감을 바탕으로 둔 작품들도 포함된다. 본 논문에서는 그 중 클라라에 대한 많은 것 들이 담겨있다는 슈만의 글을 바탕으로《리더크라이스》(Liederkreis, op. 39)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앞서 다룬 이론적 배경 중 이 작품이 ‘연가곡’ 인지 아니면 ‘모음곡’인지를 사전적 정의와 학자들의 연구물을 바탕으로 고찰해보았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리더크라이스》를 ‘가곡모음집’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는 결과에 도달했다. 《리더크라이스》에 담긴 12곡들이 하나의 이야기로 전개되지는 않지만 아이헨도르프(Joseph Freiherr von Eichendorff, 1788- 1857)의 시상인 ‘타향’ 그리고 ‘자연’으로 구분될 수는 있다. 12곡 가운데 시인의 시상과 연결되지 않는 제2곡, 제4곡 그리고 제7곡을 본 논문에서는 클라라를 담고 있는 즉, 슈만의 개인적인 감정이 반영된 곡들로 구분하고, 이를 장견실과 김연의 연구물을 토대로 ‘모음곡 속의 연가곡’ 구성으로 분석하였다. 제2곡, 제4곡 그리고 제7곡을 ‘연가곡’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본 논문의 관점은 특히 김연의《리더크라이스》연구에서 언급한 ‘이야기 속의 이야기’라는 개념을 확장한 것이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세 곡을 슈만과 연결된 시 해석 그리고 음악적 분석을 제시했다. 또한 장견실의《리더크라이스》 12곡의 조성 구조의 유기적 관계를 본 논문에서는 제12곡을 더 첨가하여 제2곡과 제4곡 그리고 제7곡과 제12곡의 조성적 관계를 더 나아가 제2곡과 제12곡의 조성적 관계를 통해 음악적 구조를 통한 연가곡임을 증명했다.

      • 정신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류지수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정신장애인의 직업유지와 관련된 개인적 특성 요인으로는 직업적응능력, 자신의 일에 대한 가치, 취업경험 등을 변수로 설정하였으며 가족 환경 요인으로는 부모의 일에 대한 가치, 가족기능, 사회적 환경 요인으로는 고용주 및 직장동료의 지지, 직업재활 기관의 지지, 친구의 지지, 사회적 낙인을 독립변수로 선정하였다.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를 이용중인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 요인들이 6개월 이상 직업을 유지하는 집단과 2개월 이하로 직업을 중단하는 집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조사대상자 중 6개월 이상 직업을 유지한 집단은 37명, 2개월 이하로 직업을 중단 집단은 35명이었다. 각 요인별 직업유지와의 관계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과 직업유지와의 관계를 보면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성별, 직장 동료 구성형태, 고용주 및 동료의 장애사실 인식여부, 발병시기, 유병기간이 직업중단 집단과 직업유지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직장동료 구성형태와 고용주 및 동료의 장애사실 인식여부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개인적 특성요인과 직업유지와의 관계를 보면 본 연구에서는 개인적 특성요인과 직업유지여부의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선행연구에서 직업유지기간에 높은 영향요인으로 나타난 일에 대한 가치의 경우,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전체적으로 모두 높은 점수의 응답을 하여 취업에 대한 동기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에 대한 가치는 중단집단과 유지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정신장애인의 취업에 대한 동기가 높더라도 다른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직업유지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가족환경요인은 정신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가족환경요인 중 부모의 일에 대한 가치는 t-test결과 직업유지 집단과 직업중단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환경 요인과 직업유지와의 관계를 요약하면 고용주 및 동료와의 지지와 사회적 낙인이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재활기관의 지지, 친구의 지지는 직업유지와의 관련성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고용주 및 직장동료의 지지와 사회적 낙인이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고용주 및 직장 동료의 지지를 1단위 높이면 6개월 이상 직업을 유지하는 집단에 속할 확률이 3.971배 증가하는 것으로 매우 높은 영향요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사회적 낙인을 1단위 높이면 6개월 이상 직업을 유지하는 집단에 속할 확률이 72%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낙인이 클수록 직업유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재활서비스와 고용에 있어 현 직장이 자신의 욕구와 맞는지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을 존중되었는지, 이러한 것들이 직업유지와 중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고용유형별로 어떤 고용유형이 정신장애인의 직업유지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즉, 보호작업장, 지원고용, 독립취업 등의 고용상태에 따라 어떤 특성들이 나타나는지 알아보고 이에 따른 직업재활 서비스가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효과적인 직업재활서비스를 위해서는 사회복지사 이외에도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예를 들면, 임상심리사, 상담가, 의사, 작업치료사 등)과의 연계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를 위하여 직업재활서비스와 관련된 다른 전문가들과의 상호작용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job maintenance for the mental disorders. Data were collected from seventy two adults with mental disorder and collected into two groups for the comparison job maintenance group(more than 6months, n=37) and non-maintenance group(below 1month, n=35). An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relationship of three categories(individual characteristics, family environment, socio environment) and each categories were divided into some variables to the job maintenance : ⑴ Individual characteristic factors - adjustment to the work experience, past job experience, valuing of work ⑵ Family environmental factors - valuing of work of the patients' parents, family function ⑶ Socio environment - support of employer·peers, support of social worker, support of friends and labeling. Followings are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chi-square analyses indicate that the two groups(job maintenance and non job maintenance) did differ on gender, length of illness, onset date, organizational type of colleagues at work and cognition of employer·peers to the one's mental disorder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type of colleagues at work and cognition of employer & peers to the one's mental disorder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between two groups. Seco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has no significant relation with job maintenance with the mental disorders. Thir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dicates that family environment factors has no significant relation with job maintenance with the mental disorders. T-test analyses indicat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valuing of work of the patients' parents between two groups. Forth, in socio environment factor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dicates that the support of employer·peers and labeling affect on the job maintenance for the mental disorders. And there were no affection in support of social worker and friends.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proposed. First, as the support of employer·peers affecting on the job maintenance there should be intervention for employer and peers. It is necessary to educate employer·peers and advocate client with mental disorder. Second, as the labeling of mental illness affecting on the job maintenance, it is important to exert for elimination of the prejudice and myth to the mental disorders. Besides it should be fulfilled to the juggled with mental disorders of mass me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