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디지털 중소기업 정보화 서비스의 성공요인에 관한 분석적 연구

        류연우 한성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Small-Medium Enterprise(SME)-based information service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reas of study to emerge m information science in the past several years. The SME-based information service is, in broad terms, a computerized service that allows a community of users to obtain a coherent means of access to an organized, electronically stored repository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The information resources and technologies embodied by the web site are now accepted as the primary example of the SME-based information service. The need exists for a means to measure user success in the SME-based information service environment. Because a SME-based information service environment involves two functions-l) information search and retrieval and 2) interactivity with and through the medium-this research posits that measures of both of these functions will show positive correlation with user utilization. The current research utilized as its target populatio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ho are current users of a SME-based information service in medium to large-sized universities in Korea. The research revealed the five dimensions and three dimensions by studying the two constructs within the context of the SME-based information service user population.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nd with four dimensions retained as components of a Comprehensive Model. It was determined that these four dimensions-Content Intrinsic Interest, Control, and Timeliness-are significant predictors of user success. The Comprehensive Model was validated, and it is therefore suggested as a basis for further study of user success indicators in the SME-based information service environment.

      • 정보 교과의 도구교과로의 당위성 연구 : 학생과 대학의 수요 요구 내용을 기반으로

        류연우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제7차 교육과정의 정보 교과에서는 컴퓨터를 도구로 활용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면, 2009개정 교육과정은 실생활의 다양한 문제를 Computational thinking로 관찰·해결하는 능력과 정보 윤리적 소양을 기르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중·고등학교에서 정보교육은 단순한 컴퓨터 활용 교육이 아니라, 컴퓨터 과학 교육의 도구교과로서 그 필요성을 강조하며 ‘정보’ 교과의 내용 체계를 영역별로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정보’ 교과는 다른 교과 학습을 돕는 도구교과로서 독립적인 내용 요소를 가지며, 대학에서는 ‘정보’ 교과를 이수한 대학생들에게 ICT활용 도구와 정보논리적 사고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고등학생들도 교육과정에서 ICT활용 도구뿐만 아니라 정보 논리적 사고를 포함한 내용을 ‘정보’ 교과 교수-학습의 핵심요소로 인식하고 있다. 특히, 정보 논리적 사고의 핵심은 주어진 문제를 알고리즘으로 해결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아이디어와 기술을 적용하여, 컴퓨터 과학을 기반으로 하는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향상에 있다. 그러므로 대학에서 필요로 하는 ICT활용 능력과 정보 논리적 사고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체계적으로 연계된 심화 과정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정보’ 교과는 다루는 학습 내용이 다른 교과 학습활동에 활용되고, 사고를 정보로 표현하며, 문제해결 능력의 기반이 되는 도구교과이며, 둘째, '정보‘ 교과는 도구교과인 동시에 다른 교과에서 다루지 않는 고유한 내용을 가르치고, 배우는 내용중심의 교과적 특성을 지니므로, 셋째, ’정보‘ 교과는 대학에서 필요로 하는 보편적 학습 도구교과로서 다른 교과의 연계 학습을 위한, 독립된 필수 교과로 운영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