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유아교육기관장의 성격강점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유아교사 성장마인드셋의 매개효과

        류여정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논 문 요 약 유아교육기관장의 성격강점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유아교사 성장마인드셋의 매개효과 류 여 정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김 소 향)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장의 성격강점, 조직효과성, 유아교사 성장마인드셋 간의 관계를 인식하고, 유아교육기관장의 성격적 특징과 조직효과성 관계 속에서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의 매개 정도를 확인하여, 유아교육기관의 조직효과성 증진 및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의 중요성을 조명할 수 있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교육기관장의 성격강점, 조직효과성, 유아교사 성장마인드셋의 일반적 경향성은 어떠한가? 2. 유아교육기관장의 성격강점, 조직효과성, 유아교사 성장마인드셋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유아교육기관장의 성격강점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유아교사 성장마인드셋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30곳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26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아교육기관장의 성격강점은 Seligman이 그의 저서 『Authentic Happiness(Seligman, 2002)』의 VIA-IS(Values in Action Inventory of Strengths)에서 제시한 6개의 핵심 덕목과 24의 하위 강점을 본 연구에서는 김인자(2006)가 번안하고 맹지현(2011)이 사용한 척도를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두 번째, 유아교육기관의 조직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진원(2010)의 학교 효과성 연구의 측정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추어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Dweck(2006)이 성장마인드셋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척도를 본 연구의 대상과 상황에 맞게 번안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Window용 SPSS 25.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유아교육기관장의 성격강점, 성장마인드셋, 조직효과성의 일반적 경향성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통하여 살펴보았고, 변인들 간의 관계는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유아교육기관장의 성격강점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유아교사 성장마인드셋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Preacher와 Hayes(2004; 2008)와 Hayes(2009)등이 개발한 SPSS PROCESS macro 2.16버전을 사용하였다. SPSS Indirect macro는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사용하며, 매개효과의 확인은 매개효과의 유의성 결과에서 나타난 신뢰구간 내의 간접효과 값에 0이 포함되지 않으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마지막으로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하여 5,000회 재표본 작업을 지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장의 성격강점에 대한 일반적 특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유아교육기관의 조직효과성에 대한 일반적 특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장의 성격강점, 조직효과성, 유아교사 성장 마인드셋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유아교육기관장의 성격강점과 성장마인드셋은 정적상관관계 임이 밝혀졌으며, 유아교육기관장의 성격강점과 조직효과성간의 관계에서는 매우 높은 정적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마지막으로,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과 조직효과성은 정적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육기관장의 성격강점과 조직효과성 간의 유아교사 성장마인드셋의 매개효과에 대해 알아본 결과, 유아교육기관장의 성격강점과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이 높을수록 조직효과성도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아교육기관장의 성격강점이 높을수록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이 높아지는 결과를 통해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은 유아교육기관장의 성격강점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이 유아교육기관의 성격강점과 조직효과성에 매개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의 중요성을 조명하고,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키워드 : 성격강점, 조직효과성, 성장마인드셋 * 이 논문은 2021년 8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8월)

      • SOLO 분류 모형을 이용한 초등학생의 지리정보 분석력 측정

        柳餘靜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23

        국문초록 SOLO 분류 모형을 이용한 초등학생의 지리정보 분석력 측정 Measurement of Analytic Abilities of Geographical Information with SOLO Taxonomy Model in Elementary Geography Education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사회과교육전공 류 여 정 지도교수 박승규 지리교육은 ‘생활 속의 지리’를 통해 지리적 사고력을 길러주는 것이 목적이다. 지금까지 사고 학습에 관한 많은 연구들은 학생들이 사고를 진행시키는 과정에서 과연 어느 맥락에서 장애가 존재하고, 혹은 사고를 이어가는 어느 과정에서 문제가 있다는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 기초적인 이해가 없었다. 여기에 SOLO 분류 모형에서 제시하는 수준별 단계는 학생들의 지리적 사고과정을 이해하는 측정도구로 적합한 틀을 제공해 주고 있다. 따라서 지리 기능의 지적 영역 중에서 ‘지리정보 분석하기’ 기능을 선정하였고,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SOLO 분류 모형을 이용하여 지리정보 분석력을 측정해 본 결과 학생들은 일반도와 주제도, 그래프의 세 영역 중에서 그래프 영역과 주제도 영역은 비슷한 정답률을 보였으며 일반도 영역의 정답률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항목별로 살펴보면 정보분석력 검사의 10개 항목에서 정답률이 가장 높은 것은 유선도이고, 다음으로 단계구분도, 꺾은선그래프, 막대그래프, 원그래프와 도형표현도, 독도 및 판독, 축척, 단계구분도와 지형도, 등고선, 등치선도 순으로 나타났으며, 항목별 문항에서 발견된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SOLO 분류 모형에 의해 측정된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사고 수준은 다중구조화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관계화 수준 사고에 어려움을 보이고 있다. 둘째, 검사 대상 학생 중 약1/3에 해당하는 학생이 순차적인 사고 단계를 거치지 못하는 non-Guttman-true types 패턴을 보였다. 셋째, 학생의 지리정보 분석력은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차이가 있다. 넷째, 지도에 대해 축소의 개념이 아닌 확대의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다. 다섯째, 제시된 지도로 인해 방위 읽기에 혼란이 생김을 알 수 있다. 여섯째, 정보유형 중 같은 값을 곡선으로 연결한 등치선도나 등고선과 같은 유형에 대한 이해가 낮았다. 이밖에도 학생의 정보분석력은 학습의 시기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과 지도에 표기된 기호를 읽으려 하지 않으며, 서로 다른 정보에서 연관성을 찾아 복합적으로 정보를 분석하는 활동을 어려워하는 하는 현상도 확인되었다. 교과서에서는 텍스트만큼이나 그림, 지도, 도표를 활용하여 많은 지리정보가 존재하지만, 분석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학생들은 그래프나 도표로 정리된 지리정보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살아있는 지리, 삶과 함께 하는 지리가 되기 위해서는 생각하는 지리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몇 가지 제안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를 편찬할 때 일반도나 주제도에서 사용되어지는 지도의 경우 신중하게 선택하여 방위에 대한 다양한 해석으로 인해 생기게 되는 혼란을 사전에 없애야 할 것이다. 둘째, 지도에 대한 학습이 학년별 수준별로 교육과정이 구성되어져야 하고, 제시되는 정보 형태도 학생의 사고수준과 학습내용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적정한 시기에 배치되어야 한다. 셋째, 교사는 지리 교수-학습에서 학생 사고 중심의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교수-학습 과정을 재구성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 지리교사에 대한 연수 프로그램이 진행되어야 한다. 넷째, 학생들이 단계적인 사고를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사고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구성에서부터 교수-학습에 이르기까지 이를 구체화시킬 수 있는 현장 연구와 교수-학습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SOLO 분류 모형을 적용하여 지리적 사고력을 측정할 수 있는 적합한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것은 지리교육의 중요한 과제이다. 뿐만 아니라 측정도구를 통해 학생들의 지리적사고 수준과 특성을 밝혀낼 수 있다면 ‘살아있는 지리교육’을 위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 지리적 사고, 지리적 기능, 지리정보, SOLO 분류 모형, 일반도, 주제도, 그래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