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잡 크래프팅 (Job Crafting)이 조직몰입과 서비스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류수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55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잡 크래프팅(Job Crafting)이 조직몰입과 서비스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류수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관광학과 예기치 않은 코로나19(COVID-19)의 출현과 팬데믹(Pandemic) 사태의 장기화는 전 세계적으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친 광범위하고 복합적인 변화를 일으켰다. 특히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의 과제는 새롭게 변화된 시대 요구와 환 경의 패러다임(Paradigm)을 받아들이고 적용해야 할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무엇 보다 조직의 내 외부 상황에 따라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문제해결을 할 수 있는 주도적인 구성원의 필요성(Griffin & Parker, 2007)이 생긴 것이다. 또한 항공사는 업계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고, 고객의 역동적인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혁신과 탁 월한 서비스 제공을 해야 하는 환경에 있다. 이러한 현황을 극복하는 한 가지 방 법은 구성원 개인의 강점, 관심 및 동기에 맞게 직무 특성을 재정의하고 변경하 는 자기주도 프로세스인 잡 크래프팅(Job Crafting)을 활용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객실승무원의 조직에 대한 헌신을 높이고, 성과창출에 효과적인 서비스 혁신행동 참여를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잡 크래프팅(Job Crafting), 조직몰 입, 서비스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객실승무원에게 적합한 잡 크래프팅 의 구체적인 요인을 파악하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잡 크래프팅 요인의 측정항목을 도출하기 위해 1차적으로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과업 크래프팅, 인지 크래프팅, 관계 크래프팅의 3가지 요인을 설정하였다. 2차적으로 관련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델파이(Delphi) 조사를 수행 하여 항공사 객실승무원에 적합한 잡 크래프팅의 최종 측정항목을 도출하였다. 구조모형 분석결과 객실승무원의 잡 크래프팅이 조직몰입과 서비스 혁신행동 모두에 긍정적이고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과정에서 조직몰 입이 잡 크래프팅과 서비스 혁신행동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잡 크래프팅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객실승무원이 조직에 더 헌신하 고, 조직몰입이 향상될수록 서비스 혁신행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 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특성에 적합한 잡 크래프팅 척도를 분석하 고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들과는 차별화되고, 잡 크래프팅이 조직몰입 과 서비스 혁신행동을 이끌어내는 중요한 선행변수로서의 그 역할을 밝혔다는 점 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또한 항공사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잡 크래프팅, 조직 몰입, 서비스 혁신행동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여, 특히 항공 산업 내에서 과업(직 무) 설계, 동기부여 및 직원 참여에 대한 기존 이론을 확장하고 개선하는 데 도움 이 될 수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고객 만족도 향상, 직원 이직률 감소, 혁신적이 고 창의적인 인재개발로 항공사가 새로운 시대 요구에 따른 경쟁력 강화를 이루 는데 기여할 것이다. 핵심용어: 잡 크래프팅(Job Crafting), 조직몰입, 서비스 혁신행동, 자기결정성 이론, 직무요구-자원 모델, 항공사 객실승무원

      • 독서신문 제작 활동을 통한 독서교육 향상 방안 연구

        류수정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현대 사회에 있어 독서는 지식과 정보를 얻는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독서교육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높아지면서 학교 현장에서도 독서교육에 관한 연구가 꾸준하게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실제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독서교육은 본질적으로 학습자들의 독서 능력을 향상시키고, 그들 스스로가 책을 찾아서 읽도록 만들기에는 역부족이다. 독서는 본인 스스로 찾아 읽는 행위일 때 그 효과가 가장 극대화되므로 이를 위한 바른 독서 습관 형성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교사의 주도로 이루어진 기존의 주입식 수업으로는 독서에 대한 학습자들의 흥미를 이끌어 내기에 무리가 있다.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흥미를 가지고 참여할 수 있는 독서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이루어지는 독서 교육의 한 방법으로 독서신문 제작 활동을 제안하고자 한다. 독서신문이란 학습자들의 다양한 독서 감상을 편집해서 신문의 형식으로 만든 것이다. 독서신문 제작 활동은 학습자들이 스스로 작품에 대해 탐구하고 모둠 활동을 통해 작품에 대한 생각을 나누며 글쓰기, 그리기 등의 다양한 형태로 표현이 가능하여 작품에 대한 학습자의 깊이 있는 이해를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다양한 독후 활동이 포함된 독서신문 제작 과정을 적용하여 <원미동 사람들>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독서신문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이 가지고 있던 실제 수업 현장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를 개선하여 수업 현장에 무리 없이 적용할 수 있는 범용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이 제작한 실제 작품을 통해 학생들이 해당 소설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도 파악해 볼 수 있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학생들의 소설에 대한 흥미와 관심의 변화 과정을 알아보았다. 독서신문 제작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은 소설을 꼼꼼히 읽고 난 후 자신의 감상을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하고 들으며 작품을 보다 깊이 이해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독서신문 제작에 필요한 다양한 감상 활동을 통해 창의적으로 생각하고 활동하는 노력을 엿볼 수 있었으며 모둠 구성원들이 함께 협력하여 작품을 제작해 나가면서 구성원들 간의 돈독한 정이 싹트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더 나아가 독서에 대해 흥미를 가지고 다른 작품도 더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어 학습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모든 소설 단원을 독서신문 제작 활동으로 운영하는 것은 현실적으로도 어려움이 있을 뿐 아니라 신선함이 떨어져 학습자들도 흥미를 잃을 수 있고 무언가 만들어내야 한다는 부담감만 가지게 될 것이다. 독서신문 제작 활동이 교육 과정의 일환으로 포함되어 한 학기에 한두 번 정도 실시되는 것이 적당하다고 생각된다. 이렇게 창의적인 독서 표현 활동이 꾸준히 이루어진다면 학습자의 소설에 대한 관심과 흥미, 읽기 태도 등 정의적 영역도 긍정적인 변화가 있으리라 예상된다. 학습자들의 독서 태도 변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독서 표현 활동을 꾸준히 연구하고 실천해야 할 것이다. 주요어 : 독서신문, 독후활동, 원미동 사람들 Abstract These days, reading is recognized as a means of acquir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studies consistently continue as social concerns about reading is increasing. However, it is not easy that school improves students' reading ability and makes students read books by themselves. What is needed is to develop good reading habits because it maximizes the effect of reading when they find and read books by themselves. Existing cramming education is hard on eliciting students' interest in reading. It is necessary to make students participate in reading activities with great interest by themselves. Making a newspaper can be a effective way of learner-centered reading. It can make students explore literary works by themselves, share their thoughts through group activities, express their thoughts as writing and drawing, understand literary works deep, and have a great interest in reading. In reality, it is difficult to learn all of the novels as activities of making a newspaper. In addition, it can make students lose their interest and have much burden. I think it is right that the activities are conducted once or twice per semester as part of middle school curriculum. If students steadily do creative reading activities such as making a newspaper, they will also experience positive changes in reading attitude, interest in novels, and so on. In order to change students' reading attitude, consistent study and practice for reading activities are needed. Keyword : activities of making a newspaper, <People of Wonmidong>, creative reading activities

      • 아로마 등마사지가 전업주부의 스트레스 및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류수정 대전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식물의 에너지적 측면을 활용한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흡입과 마사지가 전업주부의 스트레스와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J군에 거주하는 30대 전업주부 21명을 선정하여 실험군A 7명,실험군B 7명, 대조군C 7명으로 배정하였으나, 대조군 1명의 중도 포기로 총2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처치로 실험군A에게는 강장과 가온의 속성을 가진 에센셜 오일인 로즈마리, 진저, 쥬니퍼베리 오일을 1:1:1의 비율로 블랜딩하여 거즈에 떨어뜨려 대상자에게 3분간 흡입하도록 하고, 호호바오일 20ml와 로즈마리 4방울, 진저 3방울, 쥬니퍼베리 3방울을 블랜딩하여 등마사지를 20분간 적용하였다. 실험군B에게는 차가운 속성을 가진 일랑일랑, 제라늄, 네롤리 오일을 1:1:1의 비율로 블랜딩하여 3분간 흡입하도록 한 후 호호바오일 20ml에 일랑일랑 4방울, 제라늄 3방울, 네롤리 3방울을 블랜딩하여 20분간 등마사지를 적용하였고, 대조군은 호호바오일 20ml를 사용하여 등마사지를 20분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 전과 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 처치 전 3분, 실험 처치 후 3분간 심박변이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심박변이도 검사는 자율신경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심전도 측정도구인 BIOS-Min(BioBrainInc.,Daejeon, Korea)를 활용하였으며, 심전도 측정을 통하여 심박변이도(HRV) 지표 중, SDNN(스트레스 저항도), LF(교감신경 활성도), HF(부교감신경 활성도), LF/HF(자율신경 균형도)를 산출하여 변화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Ver.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빈도분석을 하였고, 동질성 검정은 One way-ANOVA로 분석하였다. 동일집단의 처치에 따른 결과를 확인 하기 위하여 RM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의 처치에 따른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One Way-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SDNN(스트레스 저항도)는 집단 내, 집단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LF(교감신경 활성도)는 집단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집단 내 처치 결과 실험군B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HF(부교감신경 활성도)는 집단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집단 내 처치 결과 실험군A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LF/HF(자율신경 균형도)는 집단 간, 집단 내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보아 식물의 속성으로 분류한 에센셜 오일의 사용이 전업주부의 자율신경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따뜻한 속성을 가진 에센셜 오일을 활용한 등마사지가 교감신경을 적절히 자극시키고 부교감신경의 활성도를 높여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차가운 속성을 가진 에센셜오일을 적용한 등마사지는 심장의 안정과 심리적 이완을 가져와 교감신경 활성화를 감소시켜 스트레스 완화에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에너지적 측면으로 분류한 에센셜 오일과 마사지의 적용이 전업주부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대체요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직업가치와 객실승무원 직업이미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류수정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job seeking students’ occupational value and career image influence their career decision. According to Choi (2006), the occupational value and performance of company have formed complementary relationship, leading to the implication that discrepancy between them causes the problem of whole organization (Payne, 2000). The present literature-based study proposes the importance that the occupational image and value are crucial aspects for the applicants preparing to be a flight attendant. The findings of the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not only constructive information for employment education and consultation system of airline cabin service management training institutes and colleges, but also foundation by improving occupational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man resource management. To conduct an empirical study, 420 job seeking students who belong to educational institutes and colleges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South Korea were required to fill in the questionnaire. All participants are majoring and studying airline cabin service management and have completed the survey. Sixty-five invalid answering sheets were excluded and finally 355 were analyzed.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sub factors of the occupational value and career image were constructed. The data were mainly analyzed by means of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internal valid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se major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s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18.0. Besides the main analyses, using the Analysis of Moment of Structures (AMOS) 18.0,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used to verify measured variables and validity.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wo sub factors referring the occupational value, conspicuous value and open value, were identified by the factor analysis. On the other hand, 3 sub factors, including international image, competent image, and enviable image, were classified into the career decision level. There was mediation effect between 3 sub factors and the career decision level. 2. Only conspicuous value and open value on a career significantly have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Conspicuous value on a career, however,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career decision level, which means that the participants’ high-level perception of open value showed more positive influence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3. Both conspicuous value and open value on a career significantly have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international image and competent image. However, only conspicuous value has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enviable image, which means not only that the high perception of conspicuous value and open value on a career showed influence on international image and competent image, but also that conspicuous value is the only predictive factor of enviable image. 4. Regarding the career image’s influence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international image and competent image have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level. Enviable image, however, has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which means that international image and competent image are the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s of the career decision level. 5. Conspicuous value and open value on a career have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with mediation effect of competent image. On the other hand, conspicuous value has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with mediation effect of international image. The findings of the present research suggest that the proportional relation - 1) between applicants’ open value and the career decision level and 2) between conspicuous value with open value and international image. In addition, international image and competent image directly influence the career decision level, while enviable does not. 현대의 시대적 흐름에 따라 빠르게 변화하는 직업가치가 기업성과와 상호보완적인 영향관계를 이루고(최학수, 2006), 그에 따라 직업가치관이 자신의 직무와 부합하지 않는다면 기업 조직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Payne, 2000)는 문헌고찰에 기반 한 본 연구는 특히 항공사 객실승무원 취업준비생의 직업가치관과 직업이미지가 잠재적 인적자원 관리 측면에서 중요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기초자료로서의 역할을 제공함과 동시에 항공서비스 관련대학이나 승무원 양성교육기관의 진로교육 및 상담, 뿐만 아니라 향후 항공사의 인사관리에서 이직의도나 직무만족도 개선의 토대가 될 수 있다. 실증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설문지를 통한 자기기입법을 사용하였다. 서울, 경기지역 소재의 항공서비스 관련 전공대학생과 승무원 양성교육기관의 취업준비생 420명을 대상으로 총 420부 모두를 회수하였고, 수집된 자료 중 부실 및 오류기재 65부를 제외한 355부를 최종적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 하에서 직업가치와 객실승무원 직업이미지 요인의 하위요인들을 구성하였으며 기초분석으로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및 구성개념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변수들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와 더불어 가설검증을 위해 SPSS ver.18.0 과 AMOS ver.18.0을 이용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가치에 대한 요인분석으로 ‘과시적 가치’와 ‘개방적 가치’의 2개 하위요인을 명명하였고, 객실승무원 직업이미지의 ‘국제 이미지’, ‘유능 이미지’, ‘선망 이미지’ 3개 하위요인을 매개 효과로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도출하였다. 둘째, 항공사 객실승무원 취업준비생의 직업에 대한 ‘과시적 가치’와 ‘개방적 가치’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검증 결과, ‘개방적 가치’는 진로결정수준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시적 가치’는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항공사 객실승무원 취업준비생이 직업에 대한 ‘개방적 가치’를 높게 지각하고 있을수록 진로결정수준도 높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항공사 객실승무원 취업준비생의 직업에 대한 ‘과시적 가치’와 ‘개방적 가치’ 모두 객실승무원의 ‘국제 이미지’와 ‘유능 이미지’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과시적 가치’만이 객실승무원의 ‘선망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직업에 대한 ‘과시적 가치’와 ‘개방적 가치’를 높게 지각 할수록 객실승무원의 ‘국제 이미지’와 ‘유능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고, ‘과시적 가치’만이 객실승무원의 ‘선망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임을 알 수 있다. 넷째, 객실승무원 직업이미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객실승무원의 ‘국제 이미지’와 ‘유능 이미지’는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선망 이미지’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객실승무원의 ‘국제 이미지’와 ‘유능 이미지’가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예측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직업에 대한 ‘과시적 가치’와 ‘개방적 가치’는 모두 객실승무원의 ‘유능 이미지’의 매개를 통해서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를 보이고, ‘과시적 가치’는 객실승무원의 ‘국제 이미지’의 매개를 통해서만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항공사 객실승무원 취업준비생의 직업에 대한 가치 중 ‘개방적 가치’를 높게 지각할수록 진로결정수준도 높아지고, ‘과시적 가치’와 ‘개방적 가치’ 모두를 높게 지각할수록 객실승무원의 ‘국제 이미지’와 ‘유능 이미지’를 강하게 인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국제 이미지’와 ‘유능 이미지’는 진로결정 수준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나 ‘선망 이미지’는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환상동화를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柳秀姃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환상동화를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환상동화를 활용한 동극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유아들에게 환상동화를 활용한 동극활동이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혀 창의성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 방법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환상동화를 활용한 동극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1. 환상동화를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유창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2. 환상동화를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융통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3. 환상동화를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독창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4. 환상동화를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상상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양주시에 위치한 S유치원 만 5세 두 학급 유아 38명으로 실험집단 19명, 비교집단 19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전경원(2000)의 유아용 종합 창의성 검사를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기간은 2013년 9월 9일 ~ 10월 25일까지 약 7주간 주 4회 실시하였으며, 총 실험 차시는 26차시로 각 차시별 30분으로 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동극활동으로 적합하다고 선정된 환상그림책 13권으로 동극활동을 경험하게 하고, 통제집단의 유아들에게는 동화를 들려 준 후 간단히 이야기 나누기만 실험처치를 하였다. 수집된 검사자료는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검사 결과를 공변인으로 통제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환상동화를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통제집단의 유아들보다 유아 종합 창의성 검사에서 유의미한 점수를 받았다. 이를 통해 환상동화를 활용한 동극활동은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창의성의 하위요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상동화를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하위요인인 유창성은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상동화를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하위요인인 융통성은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상동화를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하위요인인 독창성은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환상동화를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하위요인인 상상력은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환상동화를 활용한 동극활동은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효과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향후 유아교육 현장에서 창의성 향상을 위한 교수방안으로 활용되어지길 기대한다.

      • 공공기관 종사자의 그릿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류수정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공공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그릿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공공기관 종사자 3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22.0와 Amos 22.0을 사용하여 변인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한 후 간접효과 유의성을 검증하여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공공기관 종사자의 그릿은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에 정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직무스트레스는 반대로 부적인 관계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자기효능감은 직무스트레스와 부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직무만족과는 정적인 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공공기관 종사자의 그릿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직무스트레스를 매개로 직무만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공기관 종사자의 그릿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공공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기효능감 증진뿐만 아니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직무스트레스를 완화시키거나 예방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Job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Job Satisfaction for Employee in Public Institution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conducted on 315 selected Employee in Public Institutions,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using SPSS 22.0 and Amos 22.0,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rit of employee in public institution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n the contrary, Job Stress was found to be a negative relationship. Next, Self-efficacy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Job Stress, an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Grit of employee in public institutions indirectly affects Job Satisfaction through Job Stress. And it was found that Grit of employee in public institution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Job Satisfaction through Self-efficacy. In addition, Self-efficacy and Job Stress were sequen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Job Satisfaction of employee in public institu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Job Satisfaction of employee in public institutions, Job Stress should be relieved or prevented so that Job Stress does not negatively affect Job- Satisfaction as well as Self-efficacy. Therefore, this study will help establish effective measures and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of employee in public institution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 초등미술에서 패러디를 활용한 김홍도 풍속화 그리기의 교육적 효과

        류수정 광주교육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교육은 시대의 변화와 무관할 수 없다. 교육을 통해 현재를 이해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미래를 열어 나가는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 미술교육에 있어서도 현대 미술의 다양한 흐름을 반영하여 현재를 이해하고, 새로운 시각을 열어 세계와 통하는 문을 열어주어야 한다. 이 연구는 전통 회화인 조선 후기 풍속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고전을 현대에 계승하기에 적합한 방법으로 현대 미술의 한 기법인 패러디를 미술교육에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이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주요 창작 방법인 패러디를 교육에 활용하여 포스트모더니즘의 가치체계를 자연스럽게 전수하고 현대 미술의 흐름을 더 깊이 있게 반영하기 위한 것이다. 마이클 뉴먼(Michael Newman)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주요 창작 방법을 트랜스 아방가르드, 저자의 죽음, 알레고리, 도취와 불가사의, 브리콜라쥬, 모조, 패러디 등 여덟 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이 중에서 초등학교 미술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기법은 패러디이다. 패러디라 하면 언뜻 모방이란 단어를 떠올리며 기생적인 것 또는 파생적인 것으로 인지되어 왔다. 혹은 패러디가 창조적 재능과 생명력 있는 독창성에 대한 교양 없는 적이라는 신랄한 비판도 받고 있다. 하지만 이 시대의 모든 예술에서 패러디 양상이 나타나고 있고, 패러디가 현재 포스트모던미술의 주요 창조 전략이라는 점에서 패러디의 성격과 기능에 대해 제고의 필요성은 충분하다고 본다. 현재에 와서는 패러디 같은 도용 미술의 영향력은 점점 커져 가고 있고, 각 미술관과 화랑들은 ‘미술가의 모방’을 다룬 전시회에 관심을 쏟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다른 화가의 작품을 부분적이거나 혹은 전체적으로 패러디한 작품의 전시회가 개최되고 있다. 또한 패러디는 미술뿐만 아니라 사진, 건축, 영화, 연극, 음악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패러디는 미술 비평가로서의 역할과 또한 미술 생산자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하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비평적 안목과 창의성을 발현시킬 수 있는 적합한 기법 중의 하나이다. 패러디는 현재의 과거와 닮은 익숙한 이미지로 변형시켜 현재와 미래의 과거로 연루시켜 놓은 재기호화 형식이다. 패러디를 통해 학생이 창조자가 되는 동시에 감상을 통한 비평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연구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한 주요 창작 방법인 패러디를 중심으로 Ⅱ장에서는 패러디의 이해와 교육적 가치를 고찰하고, Ⅲ장에서는 초등학교에서 패러디 활용정도를 교과서 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5학년 학생의 흥미와 발달단계에 맞춰 풍속화 패러디의 구체적인 수업 방안을 제시하고 적용해 보았다. 적용 결과, 패러디를 활용한 미술 수업은 다음과 같은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미적 지각이 발달하며 표현이 섬세해지고 조형의식이 발달하는 5학년 학생에게 있어 패러디 수업은 사실적 묘사만이 잘 그린 그림이라는 생각에서 벗어나게 하였다. 둘째, 확장된 미술의 개념을 이해하게 함으로써 미술표현의 다양화와 다원화를 가져올 수 있었다. 셋째, 표현 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에게 미술에 대한 흥미를 가지게 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만 있으면 얼마든지 기존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재미있고, 의미 있는 표현을 할 수 있음을 일깨워 주었다. 넷째, 자신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와 오브제를 이용하여 자신의 생각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패러디 기법은 다양한 현대 미술뿐만 아니라 전통 미술을 이해하게 함으로써 전통 회화의 계승과 발전에도 큰 도움을 주었다. 다섯째, 원작에 대한 비평 및 친구들의 작품에 대한 비평력이 향상되었다. 패러디는 체계적인 표현과 경험을 통하여 미술에 대해 자연스럽고 분명하게 이해하고 체험하게 한다. 이러한 과정은 다양한 형태의 감상과 표현, 비평을 통합한 체계적인 활동으로써 이를 통해 학생들의 조형 능력이 향상된다. 미술교과에서 전통 회화의 내용을 충분히 담아내는 것은 여러 가지 면에서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패러디 기법의 활용은 전통 미술의 우수성과 아름다움을 미술 수업 현장으로 옮겨 놓을 수 있는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Education cannot stay away from the change of the times. Education should make it possible for learners to understand their present and then open a new chapter for their future on that base. That is the case for art education as well. Art education should enable learners to understand the present based on the diverse flows of modern art, to broaden their mental horizon and to keep up with the worl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parody, one of modern art techniques, into art education in a bid to pass classical art onto the next generation and have a more extensive understanding of genre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was part of traditional painting. It's basically meant to apply parody, one of major creation methods of postmodernism, into education in a bid to reflect the value system of postmodernism and the flow of modern art in a more constructive way. Michael Newman classified the major creation methods of postmodernism into eight: trans avant-garde, the death of the auther, allegory, fascination/mystery, bricolage, imitation and parody. Out of the methods, parody is the best technique that is applicable to elementary art education. Parody is basically reminiscent of imitation, and is viewed as something incidental or derivative. Some people harshly criticize it, regarding it as an uncultivated enemy to creative talent and lively originality. However, that takes place in every sort of contemporary art field, and is one of major creation strategies in current postmodern art. In that perspective, it's worth doing to look into the nature and function of parody. Currently, Artistic steal such as parody has a growing impact, and museums and galleries pay attention to exhibitions that are concerned about the imitation of artists. In our country, some exhibitions put on display works that parody other artists' works partially or entirely. Moreover, parody is utilized in diverse art genres involving not only art but photograph, architecture, movie, drama and music. As a person who parodies an art work could serves as an art critic and art producer at the same time, that is one of the best techniques to develop children's critical mind and creativity. That is a sort of resymbolization that transforms a present thing into a more familiar one similar to what existed in the past to link the present and past. That enables students to serve as a creator and critic at the same time. This study centered around parody, one of major creation techniques of postmodernism. Chapter II looked into theories related to drawing Kim Hong-do's genre paintings by utilizing parody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study. Chapter III investigated art textbooks and the state of art education, and mapped out a teaching plan about the application of parody. After art instruction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plan, what results it produced was checked to determine the educational effect of that approach. The art instruction that utilized parody produced the following effects: First, the fifth-grade students who were marked by delicate expression and the development of aesthetic perception and formative consciousness believed in the past that realistic description was one of major prerequisites for good picture. But they cast away the idea when they received the parody instruction. Second, they were able to understand the extended concept of art, and consequently got to be more diversified in terms of art expressions. Third, those who faced difficulties in expression activities were encouraged to have interest in art, and they realized a creative idea would make it possible to make an interesting and significant work by taking advantage of existing images. Fourth, the parody technique allowed them to express what's on their mind efficiently by employing various images and objects, and that eventually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not only modern art but traditional painting by letting them understand traditional art. Fifth, they were better capable of criticizing original art works and their friends' works. Parody enabled them to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art in a natural manner and experience it in the middle of representing their ideas. And the integration of systematic activities that covered appreciation, expression and criticism stimulated the students to improve their formative abilities. It's not an easy task to deal with traditional painting sufficiently in art class. Under the circumstances, the application of parody technique would be one of effective alternatives to show the superiority and beauty of traditional art in art class.

      • 수입공여각막으로 전층각막이식술을 받은 환자에서 거부반응과 이식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류수정 한림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목적 : 수입공여각막을 이용한 전층각막이식술에서 거부반응과 이식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2004년 10월부터 2013년 7월까지 분당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수입공여각막을 이용하여 전층각막이식술을 시행한 105안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전체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18개월이었으며, 105안 중 51안에서 거부반응, 41안에서 이식 실패로 판정되었다. 각막기증자의 평균 나이는 56.64세, 술 전 이식각막의 내피세포 평균 수는 2882.63cell/mm2 이었고, 사후 보존까지의 시간은 평균 8.9시간, 보존액 보관부터 수술까지의 시간은 평균 128.6 시간 이었다. 수입공여각막 기증자의 인종, 각막내피세포수, 사망부터 보존까지 시간, 보존부터 이식까지 시간은 거부반응과 이식실패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기증자 연령과 성별은 이식거부반응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수입공여각막의 적합성에 대한 선별기준을 마련하여 안정성을 확보한다면 오랫동안 각막이식 대기중인 환자들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수입각막을 이용한 각막이식술을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D.W.Winnicott의 Squiggle을 중심으로 재혼가정 아동의 사회성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류수정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Winnicott의 Squiggle을 중심으로 한 미술치료를 통해 재혼가정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변화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도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Winnicott의 Squiggle을 중심으로 한 미술치료를 통해 재혼가정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J시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2학년 아동으로 초등학교 입학 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인성검사에서 사회성의 문제를 보였으며, 담임선생님의 관찰을 통해 또래 관계에서 적응의 어려움이 나타났고. 교사와 어머니로부터 사회성에 부정적인 모습이 평정되었다. 연구기간은 2011년 12월부터 2012년 3월까지 주 1회 회기 당 60분씩 총 16회기의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Winnicott의 Squiggle 이론에 중점을 둔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재혼 가정아동의 어떠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 보기 위해 질적으로는 첫째, 미술치료 회기별 내용요약을 Winnicott의 Squiggle 이론을 중점으로 하여 고찰하였으며 둘째, 매 회기 마다 평정척도지 항목을 나눈뒤 단계별 내용을 분석 하였다. 양적분석으로는 사회기술평정척도(K-SSRS)검사 K-HTP, LMT 검사의 사전, 사후 그림 분석으로 사회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quiggle을 중심으로 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재혼가정 아동의 회기별, 단계별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둘째, 사회기술평정척도(K-SSRS)검사, K-HTP, LMT 검사의 사전, 사후 그림 분석으로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와 같이 Winnicott의 Squiggle을 중심으로 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재혼가정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효과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계기로 재혼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Squiggle을 중심으로한 미술치료가 널리 사용되길 기대해 본다.

      • 아동권리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아동권리 보장 실태

        류수정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아동은 성인과 동등한 권리를 가진 완벽한 독립된 주체이고, 성인으로 성장·발달한다는 점에서 특별한 권리를 가지고 있다. 유아기는 성장과 발달이 왕성하고 급격히 일어나며, 도덕적 가치 판단, 자아개념, 타인에 대한 인식이 발달하고, 태도, 가치관 등이 전 생애의 발달의 기초가 이루어지는 시기로 타인의 권리도 존중할 수 있는 권리의 주체인 민주시민으로 자라기 위한 결정적인 시기이다. 또한 유아기는 교사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시기이며, 유아의 개념형성에도 교사의 가치관과 태도는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리고 아동의 권리가 존중 받는 환경을 제공하고 실천할 수 있는 사람도 교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아동의 권리에 대한 유아 교사들의 인식과 아동권리 보장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아동의 권리 존중과 중요성 인식을 높이고, 교사교육과 아동의 권리교육의 기초자료가 되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아동권리 인식과 아동권리 보장 실태 간의 차이는 어떠한가? 2. 교사 변인(연령, 자격증, 경력, 학력, 전공)에 따른 유아교사의 아동권리 인식 및 아동권리 보장 실태의 차이는 어떠한가? 3. 기관 변인(기관유형, 담당연령, 유아비율)에 따른 유아교사의 아동권리 인식 및 아동권리 보장 실태의 차이는 어떠한가? 4. 소속기관 유형(어린이집, 유치원)에 따른 유아교사의 아동권리 인식 및 아동권리 보장 실태의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의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직 중인 만 3세~만 5세 교사 524명 이었다. 본 연구의 도구는 김세진(2002), 신지현(2004), 윤진희(2006), 이지영(2011)의 연구의 설문지와 김진숙(2009)의 영유아권리존중 보육 실행수준 체크리스트를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새롭게 제작하였고, 유아교육 전문가 2인으로부터 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본 연구의 분석은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 위해 Cronbach' α 를 산출하였고,응답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하고, 교사와 기관변인에 따른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 및 권리보장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 내에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 될 경우 사후검증을 별도로 실시하였다. 또한 유아교사의 아동권리 인식과 권리보장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과 어린이집교사와 유치원교사의 아동권리 인식과 아동권리 보장 실태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PASW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권리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높았으나, 실태는 인식에 비해 낮았고, 하위권리 영역 중 보호적 측면의 권리에 대한 인식과 실태는 높았으나, 아동의 자율적 측면의 권리는 낮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변인에 따라 유아교사의 인식과 아동권리 보장 실태는 어린이집교사의 전공, 유치원교사의 자격증, 경력에서 차이가 있었고, 교사의 연령과 학력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기관의 변인에 따라 유아교사의 인식과 아동권리 보장 실태는 유치원의 담당연령과 어린이집의 교사와 아동비율에 따른 차이가 있었고, 기관유형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어린이집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아동권리전체에서는 아동권리 인식 및 아동권리 보장 실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위권리 영역 중 휴식 및 여가의 권리에서 어린이집 교사의 아동권리 인식과 아동권리 보장 실태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유아교사의 아동권리 보장 실태를 높이기 위해서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교사교육이 필요하며, 아동의 자율적인 측면의 권리 교육이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기관에서 아동권리 보장이 잘 이루어지도록 지속적으로 점검하는 제도적인 측면과 기관을 지원하는 재정적 측면의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Children have special rights for they are perfectly independent agents with equal rights as adults and will grow and develop into adults. Early childhood is a phase of prosperous and rapid growth and development that ethical value decision, self-conception, and cognition about others develop and when foundation of life development such as attitudes and values form. It is a critical period for children to grow as democratic citizens who are agents of rights that can respect others’ rights as well. Also, early childhood is a period that children are most affected by the teachers. Values and attitudes of teachers affect young children’s concept formation. Teachers are the ones who can provide and act upon an environment where child rights are respect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children's rights and practice of safeguard for children's rights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in the field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intention is to increase the perception and respect of children's rights. It is aiming to become the basis of teacher's education and children rights education.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questions. Questions 1. What is the degree of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and practice of safeguard for children's rights? Questions 2. What are the differences among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and practice of safeguard for children's rights according to the teacher variables (age, licensure, experience, education level, and major)? Questions 3. What are the differences among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and practice of safeguard for children's rights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al variables (type of organization, children's age served, teacher-child ratio)? Questions 4. What are the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and practice of safeguard for children's rights according to the type of teacher's organization (i.e., child care center and kindergarten)? The research objects were 524 teachers that teach children of age between 3 and 5 who currently work in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Busan. The research tool was newly created by the researcher while referring to the research surveys of Kim Sae-Jin (2002), Shin Ji-Hyun (2004), Yoon Jin-Hee (2006), and Lee Ji-Young (2011) and theyoung children rights respect care level checklist by Kim Jin-Sook (2009). The tool’s validity was inspected by two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following are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Cronbach’ α was calculated to test the reliability of measuring tool,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 one-way ANOVA was used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and the practice of safeguard for children's rights according to the teacher and institution variables, and posteriori tests were done whe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confirmed within variables. Also, paired t-test was used to identify children's rights perception and the practice of safeguard for children's rights by early childhood teacher and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childcare center teac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regarding children's rights perception and the practice of safeguard for children's rights. Analysis was run using the PASW 18.0 statistics program.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although the perception of teachers for young children’s right was high, the reality was low compared to the perception. In the lower rights area, although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safeguard for children's right of protective aspect was high, rights of child’s independent aspect was low.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the practice of safeguard for children's rights by early childhood teacher according to teacher’s variables such as childcare center teachers’ major and kindergarten teachers’ licensure. There was no difference shown according to teachers’ age and education level.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the practice of safeguard for children's rights by early childhood teacher according to institution’s variables such as the kindergartens’ age of children in charge and the child care centers’ratio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There was no difference shown according to the types of institution. Forth,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hildren's rights perception and the practice of safeguard for children's rights shown in the child rights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as a whole, child rights cognition and the reality of child rights guarantee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were shown to be higher in break and leisure rights of lower rights area.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practical and systemic teachers training is needed to raise the practice of safeguard for children's rights of teachers of early children and child’s independent aspect among the right education need to be more emphasized. Also, a systemic support to regularly check if the child rights are well guaranteed in the institutions and a financial support to support the institution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