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dvanced Super-IPS 모드를 이용한 단일 셀 갭 형 반투과형 LCD 전극 구조 제안

        류수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AS-IPS(Advanced Super-In Plane Switching) LCD 전극 구조를 이용한 단일 셀 갭 형 반투과형 LCD(Single cell gap transflective LCD) 전극 구조를 제안하고 3차원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투과 및 반사 특성을 해석하였다. 하나의 구동 회로로 반사부와 투과부를 구현하기 위해, AS-IPS 전극의 구부러진 전극 구조를 이용하여 반사부와 투과부 액정의 회전 방향을 다르게 하였다. 또한 대칭적인 AS-IPS 전극 구조가 아닌 비대칭 적인 AS-IPS 전극 구조로, 반사부와 투과부에서의 액정 회전 방향뿐만 아니라 액정 회전 정도를 다르게 하였다. 반사부에 reflector인 mirror와 mirror 상단에 quarter-wave plate를 설계하고, 투과부에 half-wave plate를 위치시킴으로써, 투과부와 반사부의 최종 위상 지연을 동일하게 하였다. 반사부와 투과부의 액정 및 광학 필름의 초기 조건은 Stokes parameter와 Mueller matrix를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이 조건들을 바탕으로 3차원 시뮬레이션에 의한 액정 셀의 투과 및 반사율을 계산하였다. 광 특성 해석을 위하여 확장된 존스 방법을 사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3차원적 시뮬레이션 수행은 상용 시뮬레이터인 TechWiz LCD를 사용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반사부와 투과부에 동일한 전압 9V를 인가 해 주었을 때 투과부의 각도는 58°, 반사부의 각도는 38°에서 각각 최대 투과율이 나옴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바이올린 특기·적성교육을 위한 초급교재 모형 연구

        류수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람들이 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녀들에게도 다양한 예능활동의 기회를 제공하여 심미적 체험을 얻고 정서적인 안정을 도모하고자 한다. 이에 정부는 방과후 활동으로 특기·적성교육을 시행하여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였고, 이는 점차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중 기악활동의 경우 교습비가 저렴하여 많이 수강되고 있으며 특히 바이올린 특기·적성교육은 유치원에서도 정규과정으로 개설될 정도로 활성화되어 있는 분야이다. 그러나 현재 바이올린 특기·적성교육을 위한 교재와 연령이 어린 아동들이 사용하는 교재가 개발되어있지 않아 학습자는 연령과 교습방법에 관계없이 일률적인 초급 교재를 사용하고 있다. 현재 출간된 바이올린 초급 교재는 연주의 기능적인 면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어 이론적인 면은 그 비중이 미비하다. 특히 이론적인 면은 사진과 그림을 많이 활용하지 않고 긴 서술형의 글로 구성되어 있어 연령이 어린 학습자는 그 내용을 인지하기 어렵다. 또한, 바이올린의 운지 이론에 관한 이론이 제시된 교재가 개발되지 않아 학습자는 운지 이론이 무지한 상태로 악기를 연주하여 암기식 수업 형태를 벗어 날 수 없는 상태이다. 이는 아동의 음악 활동에 있어 흥미를 저하시키게 되어 궁극적으로 심미적 체험을 통하여 인성을 기르자는 취지에서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교재 연구자들은 새로운 교재를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어린 아동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자신의 수준에 맞는 교재를 선택하여 심미적 체험을 경험할 수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운지 이론을 기재하며 연령이 어린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교재를 개발하여 아동이 그들의 연령에 맞는 교재를 통하여 흥미를 가지고 기악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우선 특기·적성교육의 의미와 목표를 문헌을 통하여 고찰하였으며, 기존 교재를 비교·분석하여 교재의 문제점을 진단하므로 새로운 교재 모형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는 V장에서 5∼8세의 아동을 대상으로 교재 모형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학습자의 연령이 브루너의 인지발달 이론에 따르면 영상적 단계의 학생들임을 착안하여 색상을 사용한 음표와 운지 이론을 제사하였으며, 사진과 그림을 다양하게 사용하여 아동들에게 바이올린 악기에 대한 이론적 서술을 제시하였다. As people's interest in the art grows, many parents wants to have their children experiencing esthetic beauty and thus achieving the balance of their children's emotion through many different arts activities. To satisfy these parents' appetite, the government has developed many different after-school activities like special-aptitude educations, and this police was succeeds. From many special-aptitude educations, instrument music education is being used the most due to the economical reasons. Especially, violin lessons seem to be the most popular ones, which is even taught in kindergartens as a regular course. However, because there are no tailor-made textbooks for younger students, all beginners are using the same textbooks regardless of their ages or teaching methods currently. Most of the published textbooks are focused more technical parts over the theoretical parts. Specially, the most of textbooks use long narration to explain theoretical parts instead of pictures and photographs. This makes a lot harder for the younger students to grasp the theoretical parts of the contents. Also, there are no textbooks published at all explaining the fingering theory currently. This leaves the students no other choice but relymemorizing to grasp its contents. By using this method, it naturally leads the younger students to loose their interest in music activities and it could only results in failure to our original goal of developing students'human nature through experiencing esthetic beauty of instrument music activities. Therefore, effort of developing tailor-made textbooks should be continued to help given a chance to experience the esthetic beauty by each and every students. It is the goal of this thesis that tailor-made textbook with fingering theory for younger students by using its own characteristic feature to help enjoy the instrument music activity. To achieve this goal, the thesis will be focusing on developing a tailor-made suitable textbook model for the younger students by studying the problems in the current textbooks and the means and goals of the special-aptitude education through the already existing literatures.

      • “Art Won't Let You Down” : The Effect of Fluency in Art Consumption on Status Inference

        류수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역사적으로 미술은 부의 상징이었으며 그로 인해 호화를 내포하게 되었다 (Mandel, 2009). 이러한 연관성은 주로 원본 미술 작품의 소비에서 파생되었는데, 최근 연구에 따르면 원본의 소비뿐만 아니라 미술 작품을 상품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지각된 호화가 높아진다고 한다 (Hagtvedt & Patrick, 2008a). 이러한 결과는 미술의 다른 소비 형태도 과시적 소비로 이어질 수 있음을 암시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술이 언제 그리고 왜 과시적 소비가 될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이를 위해 두개의 미술 소비 형태, 즉 미술의 인쇄본 (art print; 실험 1) 과 전시 관람 (실험 2) 이라는 두개의 맥락에서 가설을 확인한다. 본 연구는 낮은 유창성 (i.e. 처리하기 어렵고 이해하기 어려운) 의 미술을 소비하는 것이 소비자에 대한 특정한 자질들을 암시한다고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소비자가 낮은 유창성의 미술을 소비할 때, 관찰자는 그에 대해 높은 취향과 높은 지위를 유추할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한다. 이는 ‘문화적으로 공유되는 취향’ (Reber, 2012)에서 비롯된 논지로, 같은 사회 계급의 구성원들이 특정한 취향을 공유하고 자신에게 가해지는 기대치를 이해하고 있다는 점에 근거한다. 높은 사회 계급이 ‘고상한’ 취향을 갖고 있다는 것은 (Bourdieu, 1985) 널리 알려진 신념이다. 따라서 유창성이 낮은 미술을 소비하는 것은 미적 감상에 있어서의 숙달을 의미하며, 높은 취향과 그에 따른 높은 지위를 암시한다. 또한, 이 효과는 관찰자가 자신의 미적 능력에 근거하여 비교하여 유추하는 것으로, 관찰자가 높은 미술 전문 지식을 갖고 있을 때 약화될 것으로 예상한다. 제시된 가설은 두 번의 실험을 거처 입증되었다. 실험1 (N = 140) 에서 실험참가자들은 미술 작품이 포함된 한 개인의 인스타그램 게시물을 보고 그에 대해 지각한 취향과 지위를 판단했다. 실험 결과는 제시된 가설과 같이, 낮은 유창성을 갖는 미술 작품의 소비는 더 높은 취향과 지위에 대한 유추로 이어짐을 증명했다. 그러나 관찰자가 미술 전문 지식 수준이 높을 때 이 효과는 줄어들었다. 실험2 (N = 72) 는 본 효과에 대한 대안 가설 두가지를 확인한다. 개방 결합 실험에서 많은 실험참가자들은 유창성이 낮은 미술을 소비하는 개인에 대해 창의적일 것이라고 유추했다. 이런 현상에 대응하여, 실험2에서는 지각된 창의성을 확인했다. 분석 결과, 창의성은 제시된 모형에서 유효하지 않게 나와서 대안 가설을 기각할 수 있었다. 또한 작품 별 친숙도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올 수 있다는 대안 가설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2에서는 단일 자극물을 사용하여 유창성을 다르게 프레이밍(framing)하였다. 본 실험은 미술 소비가 언제 그리고 어떻게 지위를 나타내게 되는지에 대한 새로운 결과를 도출했다. 미술이 일반적으로 호화롭게 지각되는 것을 고려하였을 때, 본 실험의 결과는 미술을 마케팅에 활용할 때 각 목적에 더 걸맞는 미술의 형태와 특징을 제안할 수 있다. Art has historically been a signal of wealth and therefore gained a connotation of luxury (Mandel, 2009). While such connotation stems mainly from purchase of original artworks,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incorporating art in a product increases the perceived luxury of the product (Hagtvedt & Patrick, 2008a). Such finding highlights the potential of different art consumption modes as a means of conspicuous consumption.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when and how art becomes a form of conspicuous consumption. In doing so, two modes of art consumption, possession of art prints (study 1) and exhibition visit (study 2), were observed. The current research proposes that consuming art with low fluency (i.e. difficult to process and difficult to understand) could imply certain attributes about the consumer. Specifically, it is hypothesized that when a consumer consumes fine art of low fluency, others will infer refined taste and high financial status of the person. Such is hypothesized, because there exists a 'culturally shared taste' (Reber, 2012), indicating that members of the same social class share certain taste and understand what is expected of them. The fact that members of the upper class have "refined" taste (Bourdieu, 1985) is a widely accepted lay belief. Thus, consumption of fine art of low fluency will imply proficiency in aesthetic comprehension, thereby implying taste levels and respective status. In addition, this effect is expected to be attenuated when the observer's expertise is high and the consumed art is of low fluency. The proposed mechanisms were tested in two studies. In Study 1 (N = 140), participants rated perceived taste and status of an individual based on the individual's Instagram post of an art print. Results support that low fluency art consumption leads to heightened inference of taste and financial status. However, when observer of high expertise observed art with low fluency, the effect diminished. Study 2 (N = 72) addressed two alternative hypotheses. In an open association study, many participants inferred higher creativity for lower fluency art consumption. To address this phenomenon, creativity measure was added in study 2 and was proven as insignificant. In addition, to rule out an alternative hypothesis of familiarity, a single stimulus was used with different framing in study 2. This research provides novel findings on when and how art consumption becomes a status signal. Regarding the fact that art has been associated with luxury percep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which art is more suitable for such purpose and why.

      • 박태원의 고현학적 창작 기법 연구

        류수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1930년대 박태원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고현학적 창작 기법을 그 대상으로 한다. 박태원의 30년대 작품에 대한 평가는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과 《천변풍경》 을 중심으로 전재되어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자들은 두 작품이 가지는 작가 의식의 연속성보다는 단절에 더 초점을 두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는 박태원이 자신의 창작 방법론으로 제시한 고 현학을 30년대 작품에 꾸준히 반영하고 있음을 간과한 결과이다. 따라서 기존의 박태원 연구들은 그의 작품에 나타난 기법적 특성에 주목하면서도, 정작 그가 창작 기법으로 제시한 고현학에 대해서는 본격적인 논의를 진행하지 못했던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로 인해 그의 대표작인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과 《천변풍경》 이 고현학을 통해 풍부하게 해석될 수 있다는 가능성은 박태원 연구에서 소외되어 왔다. 이에 본고는 고현학에 대한 세밀한 분석을 통해,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과 《천변풍경》 의 내적 연관성을 밝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을 사소설적 경향이 드러난 심경소설로, 《천변풍경》은 청계천변이라는 일상적 세계를 세밀한 묘사로 담아낸 세태 소설로 평가하는 기존의 견해는 재고되어야 한다. 본고는 고현학을 새로운 준거의 틀로 삼아, 두 작품에서 드러나는 작가의식의 접점을 찾아내고자 한다. 이는 박태원에 대한 기존의 견해를 발판으로 삼아, 작품 해석에 풍성함을 더하는 것으로 진행될 것이다. 우선 2장에서는 박태원의 핵심적인 창작 기법으로서의 고현학의 기원을 찾아고자 했다. 또한 그것이 박태원에게 어떤 방식으로 수용되고 굴절되었는가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는 고현학을 단순히 사소설적인 경향의 일부로서 파악하는 기존의 견해가 박태원이 고현학을 수용한 당대의 논의가 아니라, 후대의 재해석 과정에서 나온 것임을 전제로 한 것이다 따라서 박태원 작품에 나타난 고현학에 대한 논의의 출발은 그 기원에서부터 다시 재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관동대지진 이후 출현한 고현학이 다분히 리얼리즘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지만, 동시에 당시에 출현했던 모더니즘을 애호하는 신감각파와도 일정한 관련을 지니고 있었음을 주목하였다. 이러한 고현학의 출생 배경은 박태원 작품이 모더니즘의 실험과 리얼리즘적 경향을 모두 갖고 있는 것에 대한 해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3장에서는 <적멸> 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박태원이 고현학을 어떤 경로를 통해 받아들이고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했다. 본고는 <적멸> 이 많은 부분에서 일본의 추리소설 작가인 에도가와 란뽀(江戶川亂步)의 작품을 수용하고 있음을 주목하였다. 그것은 에도가와 란뽀가 고현학적 방법이 드러난 작품을 창작한 대표적인 작가로 평가받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란뽀의 작품과 <적멸> 의 영향 관계는 박태원이 어떤 경로에서 고현학을 수용하였는지를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박태원에게 있어서 고현학은 일본과 달리 좀더 복잡한 양상을 띠고 나타났다. 그것은 박태원의 고현학은 모더니즘 실험의 일환으로 전개되었기 때문이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에서 구보는 끓임었이 경성의 거리를 관찰하고자 한다. 하지만 구보의 시선은 번번이 모던하지 못한 경성의 풍경에 좌절한 채, 내면세계로 되돌아오고 만다. 결국 구보는 관찰 당하는 관찰자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역설적으로 구보를 관찰하는, 서술화자로서의 작가 자신의 고현학을 성취되는 이중적 성격을 갖게 된다. 4장에서는 박태원의 고현학이 어떤 방식으로 완결되고, 굴절되는가를 파악하고자 했다. <거리> 를 통해 박태원은 마침내 내면의 객관화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내면의 주관성을 그대로 인정하는 방향으로 선회한다. 이것은 마침내 이 작품에서 참다운 의미의 고현학적 관찰자인 '양약국 젊은 점원'을 창조할 수 있게 만드는 원동력이 된다. 주관성의 인정이 역설적으로 자유로운 객관적 관찰을 가능하게 했던 것이다. 이러한 관찰자는 《천변종경》 의 재봉이를 통해 강화된다. 그러나 박태원은 친변이라는 공간을 재봉이 한 사람의 시선만으로 형상화하지는 않는다. 거기엔 또 다른 관찰로서 다양한 사람들의 관찰의 결과물인 '수다'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수다와 재봉이의 관찰이 함께 진행되면서, 천변이라는 공간은 그 공간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꿈틀거리는 욕망과 함께 형상화되었다. 《천변풍경》 의 이러한 장점이 《속천변풍경》 으로 이어지지 못한 채, 좌절되어 버렸다는 사실은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제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을 심경소설로, 《천변증경》을 세태소설로 규정하던 오류는 정정되어야만 한다. 이 두 작품은 박태원이 고현학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산출한 동일한 작기의식에 기반한 이란성 쌍둥이임을 주지해야만 한다. 오히려 박태원이 꿈꾸었던 것은 내성과 외면 어느 한쪽에 기우러지지 않은, 내성과 외면이 함께 분출됨으로써 총체성이 확보되는 소설적 세계였다. 임화의 지적대로,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과 《천변풍경》 은 각각 하나의 중하로서의 의미만을 남기고 매듭지어진 것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것은 하나의 실험을 끊임없이 지속했던 작기정신이 새로운 방향으로 전환되기까지의 의미 있는 실패로 읽혀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intends to reveal the method of Modernology on Park Tae-Won's novels in 1930's. Many reviewers have especiatly estimated <A day of the Novelist 'Goo-Bo') and 《The landscape around Brook》. Most of them focused on severance instead of continuity between the two. They overlooked that Park Tae-Won steadily reflected Modernology in his 1930's novels. Because existing studies of Park Tae-Won' novels didn't pay attention to Modernology, there is not yet serious discussion about it. Therefore possibility, which (A day of the Novelist 'Goo-Bo') and f《The Landscape around Brook》 could analyze through Modernology, were neglected. This thesis intends to analyze Modernology detailedly, and then clarify inner relation between <A day of the Novelist ‘Goo-Bo’> and 《The Landscape around Brook》 . For this, this thesis reconsiders established studies of his novels which apt to oversimplify <A day of the Novelist 'Goo-Bo'> as the mental novel and 《The Landscape around Brook》 as the prevailing novel. This thesis focuses to find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A day of the Novelist 'Goo-Bo'> and 《The Landscape around Brook》 by Modernology. Of course, it still depends on established studies, but progresses to add abundant explanation on Park's novels. In chapter 2, 1 try to find the beginning of Modernology, and then understand how to be accepted and refracted on his novels. 1 opposed to existing opinions which grasp Modernology as the tendency of autobiographical novels, because those opinions are not the day's discussion when Park accept it, but after ages's. Therefore we need tostart discussion of Modernology from its origin. At first, this thesis focuses on conflictive characters on Modernology. When Modernology appeared after Kantou grand earthquake, it had mostly realistic characters, at the same time, was also related to new Sensitive School which was fond of Modernism. Through such an appearance, we guess the reason how to be reflected modern experiments and realistic tendency in Park's novels. In chapter 3, 1 endeavor to understand Park Tae-Won how to accept Modernology by analyzing into <the Silent Ruin>. I observe that <the Silent Ruin> is under the influence of Edogawa Ranpo who is an japanese mystery novelist. Edogawa Ranpo is estimated one of the representative novelist who reflected Modernology in his works. It makes us to know Park how to accept method of Modernology. In Park Tae-Won's work, however, it came out a complex aspect different from Edogawa Ranpo. The reason is that he used Modernology as one of Modern experiments. In <A day of the Novelist 'Goo-Bo'> , Goo-Bo continuously try to observe Gyongsung street. But he get ruined and his eyes come back to the inside, because landscape isn't able to be modern in Gyongsung street. Finally Goo-Bo become the abserver who is observed. It makes paradoxically park's Modernology to succeed while Goo-Bo is observed. In chapter 4, 1 strive to grip Park's Modernology how to conclude and be refracted. Park gave up attachment that he objectively try to observe the inside in <A Street>. Eventually he turned round to admit subjectivity of the inside. It became motive power to create 'Young Clerk in a pharmacy who is a pure observer for Modernology. When Park admitted subjectivity, he could create a liberal observer. it was strengthened to be Jai-Bong in 《The Landscape around Brook》. Park, however, didn't form 'Brook' just by?Jai-Bong's eyes There were 'Talkativeness' which was the result of various people's observation. People's desires was quaking with Brook in 《The Landscape around Brook》 because of Jai-Bong and Talkativeness. For the first time, Park accomplished pure Modernology in 《The Landscape around Brook》. It is to be regretted that his modernological merit get ruined in 《'The Landscape around Brook's sequel》. This thesis suggest to correct existing mistakes which provide <A day of the Novelist 'Goo-Bo'> as the mental novel and 《The Landscape around Brook》 as the prevailing novel. We also should recognize that these two works are like biovular twins from identical process of seeking Modernology. Park preferably wished fictitious world which secure the whole to emit the inside and the outside together. As Lim Wha said about <A day of the Novelist 'Goo-Bo'> and 《The Landscape around Brook》, each one may have value of low middle. Nevertheless we interpret them as a significant failure until changing writer's intention which had constantly sought one experiment.

      • 우리나라 공모형 PF사업의 성격변화 분석 : 공모지침서 내용변화를 중심으로

        류수연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1년 시작된 공모형 PF사업은 공공과 민간 양측 모두에게 큰 효용가치로 인해 비약적으로 증가하는 시기를 거쳐 현재는 일부 사업을 제외한 대다수의 공모형 PF사업장이 사실상 진행 중단된 상태에 있다. 이는 경기침체로 인한 부동산 시장의 악화를 주요인으로 볼 수 있으나 이 외에도 면밀한 사업성 분석 없이 상업시설을 과다하게 공급하고, 리스크 분담과 참여자간 역할 분담이 미흡하며, 사업 전반에 대한 체계적 관리가 미비한 이유도 크다. 그러나 사업규모가 크고 사업기간도 길어 리스크가 높은 공모형 PF사업의 특징을 고려할 때 본 사업을 주도해 나갈 민간사업자의 선정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공모지침서는 사업수행능력이 있는 민간사업자를 선정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하는 수단으로서 부동산 시장의 흐름에 따른 공모형 PF사업의 동향 변화를 반영하며 지속적으로 변화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난 10여년의 기간동안 공모형 PF사업의 공모지침서 내용 변화를 분석하여 그 특성에 따라 시기별로 분류하고 각 시기의 공모지침서 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공모형 PF사업의 공모지침서가 갖고 있는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모형 PF사업에 대한 예비적 고찰을 실시하였고 각 사업의 특성이 명확하게 공모지침서에 담겨있어 분석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공모형 PF사업 공모지침서 사례 25개를 선정하여 크게 4가지 부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공모지침서 분석을 통해 추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모지침서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도출하고자 전문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밝혀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모형 PF사업의 공모지침서는 지난 12년간 변화를 거듭해 왔으며 그 변화의 내용에 따라 크게 도입기, 성숙기, 쇠퇴기 3개의 시기로 분류할 수 있었다. 도입기는 공모형 PF사업이 처음 시작되어 정착되기까지의 시기로 2001년도에서 2005년도에 공모된 사업들의 공모지침서는 내용상 유사한 특성을 보였다. 공모형 PF사업이 양적으로 증가하여 민간사업자간의 경쟁이 과열되는 2006년도에서 2009년도까지는 공모형 PF사업의 성숙기로 이 기간의 공모지침서의 내용 역시 서로 유사한 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2008년 말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어 기존 공모형 PF사업이 연기․중단되고 신규 공모형 PF사업은 유찰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자 2010년도부터는 성숙기와 다른 공모지침서의 내용 및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현재까지를 공모형 PF사업의 쇠퇴기로 분류하였다. 둘째, 사업신청자격 부문에서 그 시기의 각각의 특성을 살펴보면, 도입기에는 사업신청자격에 대해 별다른 제약조건이 없었으나 성숙기에는 공모지침서상 각 사업에 따라 발주처가 원하는 조건이 뚜렷이 나타나 사업참여조건이 엄격하고는 지나치게 복잡해지는 양상을 보였다. 이후 쇠퇴기에 공모되는 공모형 PF사업의 공모지침서에서는 사업신청요건이 전반적으로 완화되는 추세를 보였다. 셋째, 평가부문을 살펴보면, 도입기에는 사업계획서 평가배점이 70%, 토지가격 평가배점이 30%수준이었으나 성숙기에는 토지가격 평가배점 비중이 최대 50%까지 상향되었으며 쇠퇴기에는 20~30%수준으로 다시 하향조정 되었다. 또한 도입기에는 없었던 가점제도가 성숙기에는 비현실적인 요건에 가점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생겨났으나 쇠퇴기에는 사라지거나 현실적인 가점요건으로 변화하였다. 넷째,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및 사업협약 체결 부문에서는 보증금 규정이 성숙기에는 그 기한과 종류가 강화되었다가 쇠퇴기에는 보증금 제출의 기한이 연장되고 금액도 낮아졌다. 또한 민간사업자의 책임준공을 보증하기 위한 담보물 제출요건도 도입기에는 제출에 대한 단순한 명시 수준에서 성숙기에는 위약금 등의 강력한 규제를 두었다가 이후 쇠퇴기에는 공모지침서상 담보물 제출 조항이 삭제되는 특징을 보였다. 다섯째, 프로젝트회사 설립 부문에서는 자본금 규정이 개선되어 단계적으로 출자하는 방식으로 성숙기에 변화하였으며 쇠퇴기에는 공모지침서상 자본금 규정이 삭제되었다. 출자자 구성 및 지분율 변경요건도 성숙기에는 강화되었던 요건이 쇠퇴기에는 추후 사업협약 시 정하도록 하여 공모지침서상에서는 그 내용이 사라졌다. 이러한 공모지침서상 여러 요건들이 완화되는 추세는 민간사업자의 참여를 활발하게 도모하고자 하는 공공기관의 노력의 일환으로 보이나, 이는 오히려 공모형 PF사업의 성공적 완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부동산 시장의 침체로 사업진행의 리스크가 클수록 민간사업자의 사업수행능력은 더욱 까다롭게 평가되어야 한다. 또한 보다 많은 민간사업자의 참여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다른 무엇보다도 합리적으로 역할과 책임을 분담하고자 하는 공공의 의지가 공모지침서상에 표명되어져야 한다. Open competition-type PF project which had started in 2001 has developed enormously with the great utility value for both the public and private spheres at the beginning, but, as of now, except for some specific cases, works of most of open competition-type PF sites are actually suspended. The major reason for such work stoppage probably is the deterioration of the real estate market caused by slow economy. But it is also derived from the lack of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overall business such as oversupply of commercial facilities without meticulous analysis of business profitability, lack of risk sharing and role sharing among participants. However, considering the risky characteristics of open competition-type PF whose business scale is big and business period is long, it is the most important to choose private partner who will lead the project. PF subscription guide is the means to suggest criteria in selecting private partner who has capacity to perform the project, and it reflects changes of open competition-type PF projects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the real estate market. It has changed continuously. Conscious of it,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changes of PF subscription guide contents during the past decade, classify them into different periods, and extract characteristics of the guide in each perio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oblems the PF subscription guide has, and suggest a way to improve it. To achieve such a research objective, this study first performed preliminary examination of open competition-type PF projects, and selected 25 PF subscription guides which clearly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n competition-type PF projects and, thus, seemed to be valuable to be analyzed. This study categorized 25 guides into four parts. And, to get help in finding out problems those guides had and suggesting the ways of improving them, it conducted in-depth interview to an expert.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PF subscription guides of open competition-type PF projects have gone through continuous changes during the past 12 years, and those change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periods: introduction period, maturity period, decaying period. The introduction period is the time when open competition-type PF projects were tried and settled down. PF subscription guides for the projects recruited from 2001 to 2005 showed similar characteristics in their contents. The period from 2006 to 2009 is the maturity period when those guides also showed similar characteristics. when financial crisis of late 2008 led to the slump of real estate market, causing postponement and suspension of existing open competition-type PF projects, and cancelling new projects. so, since 2010, contents of PF subscription guides have shown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maturity period. Thus the time from 2010 to now is categorized as the decaying period of open competition-type PF projects. Second, in terms of qualifications for applying the projec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different periods. In the introduction period, there were not specific conditions limiting application of projects. But, in the maturity period, depending on projects, the conditions clients want participants to satisfy got clear, strict, and overly complicated. and the guides of the open competition-type PF projects in the decaying period became looser than those in the previous period. Third, in terms of evaluation, there have also been changes over time. In the introduction period, the proportion of the project plan was 70%, and that of land price was 30%. But, in the maturity period, the proportion of land price went up to 50%, at the largest. But, in the decaying period, it went down again to 20~30%. In addition, bonus points, which had not been in the introduction period, was adopted in the maturity period to give on unrealistic conditions. But, in the decaying period, those points have been eradicated or given on more realistic conditions. Forth, regarding the parts of selection of preferred bidder and signing of project contract, the terms on deadlines and kinds of deposit were strengthened in the maturity period. But, in the decaying period, the deadline for putting deposit has been extended, and the deposit amount has also become smaller. In addition, the terms of submitting collateral to guarantee the responsible construction of private company have changed from simple indication of collateral in the introduction period, to strong regulations by for example penalty for breach of contract in the maturity period, to the disappearance of the clause on collateral in the PF subscription guides in the decaying period. Fifth, in the part of establishment of a project company, the rules on capital were improved to allow partners to invest step-by-step in the maturity period. But, in the decaying period, the rules on capital were eradicated. Strong requirements in terms and conditions on investors composition and change of share rates among investors in the PF subscription guides in the maturity period have also disappeared n the decaying period. Such a trend where various requirements in the PF subscription guides seems to reflect the efforts of public organizations to stimulate active participation of private companies. But, such loosening of requirements can have negative effects on success of open competition-type PF projects. The riskier the project becomes because of slow real estate market, the more meticulously the project performing capacity of a private company should be evaluated. Furthermore, to tempt more companies to participate in such projects, the willingness of the public sphere to rationally share roles and duties with private partners should be expressed in the PF subscription guides. Key words: open competition-type PF project, PF subscription guide, project company

      • Edward Elgar의 가곡에 대한 연구 : Sea pictures op. 37을 중심으로

        류수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Edward Elgar(1875-1934) reputed as the most influential composer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struggled to reinstate the British music depressed since Henry Purcell(1659-1695) only to enhance its position. His music may belong to Romanticism respecting the Classical modes, and therefore, is characterized by rich and beautiful melodies and solemn and affluent creativity. Moreover, his music does not show any trace of having been affected by folk songs, as well as any technical attribute that seems to be derived from the folk music tradition. His typical melodic line - wide leap and descending flow - and British accent patterns may characterize his music as a genuine British music. Elgar's true goal was to write large-scale orchestral works instead of vocal pieces. His autobiographic author Percy M. Young says that Elgar was not interested in combination of piano and voice, but earlier in 1980's, Elgar composed song works, and published choral pieces and songs until 1931. Although he wrote some 60 songs, their themes seemed to be poor, much less conformity between poems and music. However, his song cycle 'Sea Pictures Op.37' consisting of 5 songs for alto and orchestra shows a harmony between orchestra and vocal parts, which proves his potential as song composer. As shown well in its title of the song cycle, this work unfolds each story as if 5 poems were unfolded into pictures with the theme of sea, while sharing the theme with each other or varying it only to achieve a unity as a whol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iece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vocal part consists of long breathing and fluent melodies. Second, a word painting technique is frequently used to describe scenes. Third, accompaniment and vocal part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t the end of the passage to be associated with each other closely. Fourth, rhythms of the poems are well revived for unity between music and poems as well as for conformity between story and music. Lastly, it is characterized by a rich harmonic color sense. Such characteristics shown in 'Sea Pictures Op.37' seem to have been affected by late Romanticism, and in this regard, it is reputed as his model work starting late Romanticism in the United Kingdom together with his other two great works ‘Enigma Variations Op.36’ and ‘The Dream of Gerontius Op.38’. 20세기 전반 영국의 가장 영향력 있는 작곡가로 손꼽히는 엘가(Sir Edward Elgar, 1857-1934)는 퍼셀(Henry Purcell, 1659-1695) 이후 침체되어있던 영국 음악의 국제적인 명성을 되살려내는 데 혼신의 힘을 쏟아 그 위상을 한층 드높인 작곡가이다. 그의 작풍은 고전 양식을 존중한 낭만파 계통에 속하며 풍요롭고 아름다운 선율과 함께 장엄하고 풍부한 창의성이 깃들어 있다. 또한 민요와 접촉한 흔적도 없고, 민족적 음악 전통으로부터 나온 것으로 보이는 어떠한 기술적 특성도 지니고 있지 않으나, 그의 전형적인 선율선-넓은 도역과 하강흐름-과 영국 언어의 억양 패턴과의 유사성에 기인하여 그의 음악에서는 영국적인 소리가 난다. 엘가의 진정한 목표는 성악곡이 아닌 대규모 관현악 작품을 쓰는 데 있었다. 그의 전기 작가인 영(Percy M. Young, 1912-2004)은 엘가가 피아노와 성악의 결합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었다고 남겼으나 초기 창작기라 할 수 있는 1890년대에 그는 많은 성악곡들을 작곡하였으며 1931년까지 꾸준히 합창곡과 가곡을 발표하였다. 본 논문은 잘 알려지지 않은 엘가의 가곡 및 성악작품을 소개하고 가곡 중 가장 뀌어난 작품인 알토와 관현악을 위한 연가곡 ‘Sea Pictures Op.37'의 5개의 가곡-'Sea Slumber-Song', ‘In Haven', 'Sabbath Morning at Sea'. 'Where Corals Lie', 'The Swimmer'-을 중심으로 그의 가곡 세계를 연구한 것이다. 또한 원래 관현악 반주이나 본 논문에서는 피아노 반주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Sea Pictures Op.37'에서 엘가는 음악과 시의 긴밀한 연관성을 통한 가사와 음악의 일치, 색채적인 화성과 호흡이 길고 유려한 선율의 사용, 반음계적 기법과 비화성음의 조심스러운 사용과 함께 잦은 전조를 보이며 후기 낭만주의적 작곡방식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수학사와 실생활 소재를 활용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 고등학교 확률 단원을 중심으로

        류수연 전남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확률과 통계 중 확률 단원을 중심으로 교과서에 활용된 수학사적 내용의 실태를 분석하고, 수학사와 실생활 소재를 활용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수학 수업에서 수학사의 활용은 학생들에게 흥미나 동기유발이라는 정의적 영역뿐만 아니라, 수학적 개념의 형성이나 이해에도 도움을 준다. 그러나 교과서에 제시되고 있는 수학사의 내용은 대부분 간단한 이야기 소재로 제시되고 있어 실제 수업에 활용되고 있는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어서 수학의 본질적인 원리와 수학의 중요성 및 필요성에 대한 자료 개발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current status of application of the mathematics history in the probability unit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o develop teaching-learning materials based on mathematics history and real-life resources. Applications of mathematics history in classes helps students understand the basic concepts of mathematics and promotes students’ interest and motivation. However, due to the fact that currently there is a lack of practical application of mathematics history in classes, the author feels the need to develop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the essential principles of mathematics.

      • 박태원 소설의 창작기법 연구

        류수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일반적으로 1930년대 후반기란 “카프 해체(1935년)에서부터 󰡔문장󰡕지 폐간(1941년)”에 이르는 시기를 가리키는데, 이는 리얼리즘 문학에서 모더니즘 문학으로 변모한다는 데 주목한 시대 구분이다. 그런데 실제로 1930년대 후반기 문학양상을 주도했던 것은 바로 소설의 통속화였다. 이는 이념 중심 문학의 퇴조, 매체의 상업화라는 한국 문화의 전반에 걸친 다양한 변화 속에서 야기되었지만, 보다 본질적인 요인은 폭넓은 독자층을 확보하지 못한 ‘근대문학의 위기’라는 내적인 측면이었다. 박태원은 다양한 통속적 코드를 취향의 문제가 아닌 창작기법의 문제로까지 격상시킨 작가였다. 박태원은 그 누구보다도 기법에 많은 관심을 기울인 작가였다. 그에게 있어서 기법은 단지 내용을 담는 형식이 아니라, 그 자체로 내용이고 형식이었다. 따라서 박태원에게 있어서 기법은 그의 문학관이자 그의 철학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런 그가 내세운 창작기법은 바로 고현학(考現学)이었고, 그것은 박태원 소설을 이해하는 가장 분명한 출발점이 된다. 고현학이란 현대의 도시를 천착하고자 하는 의식이 반영된 일본식 조어로, 눈앞에 펼쳐진 현재의 삶을 그 관찰 대상으로 한다. 그런데 박태원의 서사는 사실 ‘고독’이라는 인간의 내면에 대한 탐색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따라서 박태원의 서사는 이중적인 층위를 지니게 된다. 지식인 주인공이 고현학이라는 방법론을 통해 풍속에 대한 외면 관찰을 수행하는 사이에, 작가 박태원은 그러한 주인공의 내면을 면밀하게 관찰하는 것이다. 인간 내면에 대한 그의 지향과 외면을 관찰하고자 하는 고현학은 실제로 모순적이다. 이러한 이중의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박태원은 다양한 기법을 차용했고, 통속적 코드까지 능동적으로 수용하게 된다. 외면에 대한 관찰을 통해 내면에 대한 관찰을 수행하는 이중적 과제를 독자에게 가장 손쉽게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은 바로 독자와 ‘코드’를 공유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는 박태원 소설의 다양한 기법실험과 1930년대 후반기 통속화를 그의 대표적인 창작기법이라 할 수 있는 ‘고현학’과의 관계 속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고현학은 ‘관찰’의 그 메커니즘으로 하는 방법론이다. 그것은 눈앞의 현실을 숨김없이 기록하고자 하는 태도이다. 그런데 박태원의 고현학은 그 관찰을 억압하는 식민지 파시즘의 억압 아래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절망적인 현실감각이야말로 ‘공공적 글쓰기’로서의 소설에 대한 박태원의 인식이 보다 확장될 수 있었던 계기가 된다. 정치적 억압은 역설적으로 문학의 공공적 성격을 강화시켰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본고는 구체적인 작품분석을 통해 박태원의 창작기법으로서의 고현학이 어떤 변모과정을 거치게 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고는 고현학을 바탕으로 박태원 소설에 드러나는 다양한 기법 실험들—카메라의 시선, 산책, 수다, 통속적 코드, 사소설적 요소들에 주목한다. 고현학은 극도의 객관성을 요구하는 방법론이다. 그러나 그의 소설에서 보다 뚜렷하게 드러나는 서사는 풍경이 아닌 고독한 인물의 내면이다. 박태원은 고현학이라는 외부 세계에 대한 객관적 관찰을, 인물의 내면이라는 지극히 주관적 세계에 적용하고 있는 것이다. ‘카메라의 시선’은 이러한 ‘객관화된 주관’과 이중 관찰을 수행하는 가장 능동적인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카메라를 통한 극단화된 ‘보여주기’는 때로 ‘보이지 않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장치가 되기도 한다. 그 부재를 환기하는 것이 바로 ‘소리’이다. 박태원은 다양한 방식으로 청각적 이미지를 소설 속에 구체화시킨다. 그 중에서도 ‘수다’는 서사를 구성하는 중요한 기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카메라가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을 드러내 준다면, 수다는 보이지 않는 것을 기억하게 만드는 것이다. 이를 통해 박태원의 소설은 ‘파노라마적 풍경의 반영’을 넘어 동시대를 반영하는 사회성까지 내포하게 된다. 그러나 박태원의 고현학은 1939년을 기점으로 주춤하게 된다. 노골적으로 전쟁야욕을 드러내기 시작한 일제말의 시대상황 속에서, 내면과 풍경에 대한 객관적 관찰이라는 그의 서사적 목표가 현실적인 벽에 부딪친 것이다. 이는 그의 소설적 페르소나인 구보가 소실되게 만들었고, 그로부터 서사적 추락이 야기된다. 그러나 박태원의 고현학은 바로 그 지점에서 새로운 출발을 맞이한다. 소설이 반영할 수 있는 삶의 폭이 좁아졌다면, 역으로 더 깊게 삶을 반영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게 된 것이다. 사소설로 완성된 그의 ‘생활의 고현학’은 공공적 글쓰기로서의 소설을 끝까지 추구하고자 했던 박태원의 서사적 대응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본고는 1930년대로부터 1930년대 이후까지의 박태원 소설을 하나의 정신사적 입장 위에서 해명하기 위한 기초적인 작업이라 할 수 있다. 고현학은 그가 1930년대 전체를 관통하며 작품 창작에 꾸준히 반영하고자 했던 창작기법이며, 곧 문학에 대한 그의 철학적 입장이기도 했다. 더 나아가 그 안에는 해방 이후 그의 변모를 예상하게 하는 자질들이 숨겨져 있다. 이에 본고는 1930년대 후반기 그의 소설들을 박태원 문학사에 복원함으로써, 그의 1930년대 작품들이 지니는 문학사적 의미를 되짚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