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코로나(COVID-19)로 인한 원격강의의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에 따른 학습성과 연구 : -미용 전공 교과를 중심으로-

        류소현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견된 신종감염병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는 빠른 속도로 감염자의 호흡기 및 침방울(비말)에 의해 전파되어 교육 분야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교육 분야에 새로운 방식의 교육 체제를 도입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미용교육은 실기의 비중이 크고 실습교육이 중요하지만 국가정책에 따라 전환된 원격강의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더불어 실기가 주를 이루고 있는 다양한 학문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반면에 미용 전공 교과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로나(COVID-19) 발생 이후 시행된 원격강의를 수강한 미용 전공 대학생 또는 졸업생들의 교수실재감 및 학습실재감과 학습성과 간의 연관성을 살펴봄으로써 미용 전공 학습자들의 학습성취도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함과 동시에 미용 전공 교과 교수자들의 교육과정을 개선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미래역량을 제고하고 교육과정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코로나(COVID-19) 발생(2020학년도 1학기) 이후 시행된 원격강의를 한차례라도 수강한 국내 대학의 미용 전공 대학생 또는 졸업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는 2022년 2월 25일부터 2022년 3월 6일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설문 문항을 수정·보완하여 본 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조사는 2022년 3월 7일부터 2022년 4월 5일간 진행하였으며 최종 수집된 자료 중에서 자료 정리를 거쳐 373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고 연령은 20대,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강 원격강의 유형은 비실시간 동영상 강의 유형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둘째, 교수실재감, 학습실재감, 학습성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실재감(인지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모두 교수실재감과 유의미한 정의 상관이 있었다. 학습성과(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향)는 교수실재감, 학습실재감 모두와 유의미한 정의 상관이 있었다. 셋째, 교수실재감이 학습실재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수실재감의 하위요인 중 학습촉진만 학습실재감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실재감이 학습실재감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인지적 실재감은 교수실재감의 학습촉진과 교수 설계와 조직화가 높을수록 인지적 실재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적 실재감은 교수실재감의 학습촉진이 높을수록, 교수 설계와 조직화가 낮을수록 감성적 실재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실재감은 교수실재감의 학습촉진이 높을수록 사회적 실재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실재감의 사회적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 순으로 학습성과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실재감이 학습성과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학습만족도는 학습실재감의 사회적 실재감과 인지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이 높을수록 학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지속의향은 학습실재감의 사회적 실재감과 감성적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이 높을수록 학습지속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수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수실재감의 학습촉진만 학습성과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실재감이 학습성과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은 교수실재감의 학습촉진이 높을수록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다. 교수자는 학습자가 코로나 발생 이전의 강의와 온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원격강의에 대한 큰 차이를 느끼지 않고 학습상황이나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 지식 창출, 감정 인식과 표현, 감정 관리, 동료 학생들과 상호작용 등을 높이 인식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전략을 구성해야 한다. 본 연구는 코로나(COVID-19) 발생 이후에 시행된 미용 전공 교과의 원격강의를 수강하는 학습자들의 교수실재감, 학습실재감, 학습성과 관의 연관성에 대해서 파악하여 미용 전공 교과의 미래역량을 제고하는 교육 방향성을 모색하고 교육과정 발전에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이를 통해 미용 전공 학습자들에게 긍정적인 학습결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novel COVID-19 that first broke out in Wuhan in December of 2019 was an airborne disease that quickly spread through droplets which heavily impacted the education sector. The virus laid the foundation for Korea to seek for new education methods and systems. In that vein, the government has rolled out policies to transition to distance lectures and such transited distance lectures have many difficulties as cosmetology education programs especially focus on technical skills it is difficult to make such transition. Moreover, cosmetology is a subject that is not as actively researched or studied compared to other academic disciplines. Thus, this study aims to help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among cosmetology majors, provide guidance on how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curriculum for educators in the future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ing presence,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 of students who took distance lectures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Data was collected based on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s majoring in cosmetology at Korean universities who took at least one distance lecture conducte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the first semester of the 2020 school year). The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25, 2022 to March 6, 2022, and based on the results, revisions were made to the survey that was used for this study. This survey was conducted for 5 days from March 7, 2022 to April 2022, and after sifting through the data, 373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or this survey are as follows: In terms of sex, more females than males participated, in terms of age, most were in their 20s, and in terms of academic level, most had a high school diploma. As for the type of distance lecture, recorded (non-real-time) video lectures were the most surveyed. Secon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eaching presence,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 as follows: The learning presence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presences) all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teaching presence. Learning outcome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persistenc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both teaching and learning presences. Thir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 of learning presence from teaching presence are as follows: Among the sub-factors of teaching presence, it was found that only learning promo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learning presenc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eaching presence on sub-factors of learning presence, cognitive presenc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rning promotion and instructional design and organization of the professor's teaching. As for emotional presence, it was found that the stronger the teaching presence’s learning promotion and the weaker the instructional design and organization, the stronger the emotional presence. As for social presence, the stronger the teaching presence’s learning promotion, the higher the sense of social presence. Fourth,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 of learning presence on learning outcome are as follows: From strongest to weakest, it was found that social, cognitive, and emotional presences had an influence on learning outcom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learning presence on sub-factors of learning outcome, learning satisfac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cognitive, and emotional presences. As for the learning persistence, it was found that the stronger the social, emotional, and cognitive presences, the stronger the learning persistence. Fifth,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 of teaching presence on learning outcome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only the learning promotion of teaching presenc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learning outcom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eaching presence on sub-factors of learning outcome, it was found that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rning promotion of teaching presenc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induced as follows: Instructors should organiz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so that learners can understand learning situations or learning content, accumulate knowledge, express and recognize emotions, manage emotions, and interact with fellow students without feeling much difference between distance and face-to-face lectur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by gras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presence,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 of learners taking distance lectures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lead to positive learning results for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 스포츠와 레저 현장의 응급처치 분석을 통한 스포츠 응급의료체계 개선방안 모색

        류소현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스포츠 레저 활동 현장에서 발생하는 환자들에 대한 응급처치의 자료를 비교·분석하여 스포츠 응급의료체계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08년 7월 1일부터 2010년 6월 30일까지 서울특별시 소방서 산하 119안전센터에서 출동하여 응급처치한 구급활동일지와 심폐정지환자 응급처치 세부상황표 등의 기록자료 1,108건을 수집하여 이중 “스포츠 레저 활동 중 발생한 심정지 환자군(n=73)”, “스포츠 레저 활동 중 발생한 손상 환자군(n=102)”, “일반 심정지 환자군(n=100)”, “일반 손상 환자군(n=108)”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자발순환 회복군”, “자발순환 미회복군”으로 구분하여 집단군간 요인들의 특성과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인구통계학적 요인에서 성비는 스포츠와 레저 활동 중 발생한 심정지 환자군에 있어서는 남성이 78.1% 여성이 21.9%, 일반 심정지 환자군에 있어서는 남성이 79.2% 여성이 20.8%, 스포츠와 레저 활동 중 발생한 손상 환자군에 있어서는 남성이 73.5% 여성이 26.5%, 일반 손상 환자군은 남성이 61.7% 여성이 38.3%로 모든 집단에서 남성 대 여성의 성비가 75.4% 대 24.6%로 남성이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분포 비율은 스포츠와 레저 활동 중 발생한 심정지 환자군의 경우 50, 40대, 일반 심정지 환자군은 70, 50대, 스포츠와 레저 활동 중 발생한 손상 환자군은 20, 40대, 일반 손상 환자군은 13세 이하, 70세 이상의 순으로 많은 것으로 분석 되었다. 환자 발생장소는 스포츠와 레저 활동 중 발생한 심정지 환자가 자주 발생하는 곳은 스포츠시설·공공기관에서, 스포츠·레저 활동으로 발생한 손상환자는 스포츠 시설·학교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일반 심정지 환자의 경우는 주택 및 공공기관에서 주로 발생되었으며, 일반 손상 환자의 경우 주택 및 도로에서 많이 발생되었다. 환자가 많이 발생하는 스포츠 레저 종목으로는 심정지 환자군에 있어서는 육상, 축구, 산악 순이었으며, 손상 환자군에 있어서는 사이클, 산악, 축구 순으로 나타났다. 최초 목격자(신고자)를 살펴보면 스포츠와 레저 활동 중 발생한 환자군은 발생장소 관계자와 동료·친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 심정지 환자군은 가족이 최초 목격하고 신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황적 요인 특성 중 병인을 살펴보면 스포츠와 레저 활동 중 발생한 심정지 환자에 있어서는 질병과 부주의에 의한 사고가 가장 높았으며, 손상 환자의 경우 부주의에 의한 사고가 가장 높았다. 일반 심정지 환자는 질병이 가장 높았으며, 일반 손상 환자의 경우 부주의에 의한 사고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최초 목격자 심폐소생술을 실시한 경우를 보면 스포츠 레저 활동 심정지군에서는 26.0%, 일반 심정지군에서는 20.0%가 실시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고 현장으로 출동한 1급 응급구조사의 경우 스포츠 레저 활동 심정지군(69.0%)이 일반 심정지군(81.1%) 보다 출동 비율보다 낮게 나타났다. 구급대 신고접수에서 출동 시간(분)인 큐 타임(Q time)은 1분 이내 출동 소요시간의 경우 스포츠 레저 활동 심정지군(49.3%)이 일반 심정지군(78.8%)에 비해 우수하지 못한 결과를 보였으며, 또한 환자의 뇌사를 막기 위한 기준 시간인 출동에서 환자가 있는 현장에 도착까지 시간이 5분 이내인 경우가 스포츠 레저 활동 심정지군(37.0%)이 일반 심정지군(57.0%)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나, 이로 인해 많은 심정지 환자들이 뇌사나 무수축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현장 도착에서 처치까지의 시간과 처치완료에서 병원도착까지 걸린 시간에서도 스포츠 레저 활동 심정지군 환자가 일반 심정지군 환자보다 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스포츠 및 레저 현장에서 발생된 심정지 환자들의 뇌사를 방지할 수 있는 시간이 지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스포츠 레저 활동 심정지군의 출동에서 현장 도착(환자접촉)까지 평균 6.8분(중위수 6.0분)은 일반 심정지군의 평균 5.4분(중위수 6.0분)보다는 오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레저 활동 심정지군은 일반 심정지군에 비해 현장 도착에서 처치완료까지 1.9분, 처치완료에서 병원도착까지 2.3분이 더 걸렸으며, 심정지 환자 나이는 10.6세가 높아 스포츠와 레저현장 내에서의 응급의료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스포츠 레저 활동 손상군도 일반 손상군에 비해 출동에서 현장 도착까지 평균 5분, 현장 도착에서 처치완료까지 4.1분, 처치완료에서 병원도착까지 4.6분이 더 걸렸으며, 출동에서 현장 도착까지 2.5km가 멀었고, 심정지 환자 나이는 평균 10.7세가 낮았다. 자발순환 회복군과 미회복군 간 비교에서 발생장소는 자발순환 회복군은 스포츠시설, 미회복군에서는 가정·주택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목격자의 경우 자발순환 회복군은 발생장소 관계자와 동료·친구가 가장 많았고, 미회복군은 가족이 가장 많았다. 또한 자발순환 회복군은 출동에서 현장 도착까지 평균 2.9분, 현장 도착에서 처치완료까지 평균 2.0분, 처치완료에서 병원도착까지 평균 5.1분이 더 소요된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응급의료체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좀 더 효과적인 응급의료시설의 재배치와 제도개선이 필요하며, 구급대원이 현장에 도착하기 전에 많은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스포츠·레저 시설 및 현장 인근에 구급대가 배치되어진다면 많은 심정지 환자의 소생률을 높이고 손상 환자의 심각한 상태악화를 방지 할 수 있을 것이다.

      • 대구치 치근융합의 발생빈도와 분포 및 성별과의 관련성 조사

        柳昭現 全北大學校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cidence and distribution of root fusion as well as its sex-linkage in maxillary and mandibular molars. One hundred fifty patients who had eight maxillary and mandibular molars (third molars excluded) were consecutively selected for the study subjects. The subjects provided a total of 1200 molars, i.e., 600 maxillary and 600 mandibular molars. A decision about root fusion was made on the radiographic examination. If a molar had one root and/or roots fused at any part in the root surface, it was considered as having root f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1) 14.1% of the maxillary molars and 5.8% of the mandibular molars had a fused root, (2) the prevalence of root fusion in the male was 33% and 56.4% in the female, (3) 60% in the male and 48.8% in the female had bilaterally paired root fusion, (4) the root fusion was most frequently observed in the maxillary second molar position, but none in the mandibular first position in this study. Within limitations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in management of molars with a furcation problem, treatment options such as hemisection and root amputation should be chosen after careful evaluation of root fus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a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root fusion and periodontal disease progression.

      • 고성능 그리드 응용프로그램을 위한 분산 객체지향 가상 컴퓨팅 미들웨어

        류소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DOVE-UMS(Distributed Object-oriented Virtual computing Environment with Unified Grid Management Service)라 불리는 그리드 환경 지원을 위한 가상 프로그래밍 미들웨어를 소개한다. DOVE-UMS는 그리드 상에서 분산 객체지향의 프로그래밍 모델 뿐만 아니라 통합 그리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DOVE-UMS는 stub-skeleton 구조를 이용한 독자적인 분산 객체 모델과 다양한 병렬화 기법을 제공하는 통신 런타임 시스템을 제공한다. stub-skeleton 객체는 XML기술을 이용한 객체 저작도구를 통해 자동적으로 생성되며 객체 호출 메시지에대한 marshalling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통해 DOVE-UMS 분산객체는 그리드 환경과 같은 이기종 분산환경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게된다. 또한 DOVE-UMS는 효과적인 그리드 환경 이용을 지원하기 위해 통합 그리드 관리 서비스인 GEM(Grid environment manager) 및 자원 할당, 데이터 이송, 자원정보관리등의 기초 그리드 서비스의 클라이언트를 encapsulation한 그리드 서비스 객체를 제공한다. GEM은 그리드 자원을 DOVE-UMS의 객체를 활용할 수 있는 DOVE-UMS 가상공간으로 할당시키는 역할을 한다. DOVE-UMS 가상공간 내의 각 그리드 자원에는 객체 생성 및 naming 서비스 수행을 통해 투명한 객체 관리 구조를 구성하는 관리서비스 객체가 생성된다. 이것은 GEM을 통해 각 자원에 자동적으로 생성되며 이과정을 통해 그리드 자원은 DOVE-UMS 가상공간으로 초기화 된다. GEM은 또한 PQRM(Policy quorum based resource management system)이라 불리는 향상된 그리드 정보서비스를 이용하여 객체 할당 제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같은 서비스 제공을 통해 DOVE-UMS는 객체의 조합과 상호작용을 이용해 고성능 가상 컴퓨팅환경을 그리드 환경상에 구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This thesis presents a new virtual programming middleware for Grid computing environment, called DOVE-UMS (Distributed Object-oriented Virtual computing Environment with Unified Grid Management Service), which provides distributed object-oriented programming models on Grid and unified Grid management services. DOVE-UMS has its own distributed object model which consists of stub-skeleton architecture and communication runtime system to support various parallelism enhancement schemes. The stub-skeleton object of DOVE-UMS which is automatically generated by object authoring tool based on XML technology provides marshalling service for sending its invocation messages. Therefore DOVE-UMS distributed objects well support interaction with each other on heterogeneous distributed environments like Grid environment. In order to efficiently use the Grid environment, DOVE-UMS provides an unified Grid management service system, called GEM(Grid environment manager) as well as Grid service objects which encapsulate Grid service clients such as resource allocation, data transfer and resource information services. GEM is used to allocate and initiate a set of Grid resources as a DOVE-UMS virtual space which constitutes a domain for DOVE-UMS objects. Each Grid resource in DOVE-UMS virtual space has a management service object which carries out object creation and naming service on Grid environment to provides transparent object management service. It is executed automatically by GEM on each Grid resource, and these resources are initiated as a DOVE-UMS virtual space. GEM also provides object allocation control service by using the enhanced Grid information service, called PQRM(Policy quorum based resource management system). Therefore, DOVE-UMS can provide a unified Grid execution environment by object interaction, and achieves high performance virtual computing environment by enabling users to build a parallel program as a collection of DOVE-UMS objects.

      • Development of Ozone Generator and Hydrogen Generation from the Dissociation of Water using Microwave Palsma : 오존발생기 개발과 마이크로웨이브 플라즈마를 이용한 물 직접분해 수소제조

        류소현 Handong Global University 2006 국내박사

        RANK : 247615

        본 연구에서는 오존발생기와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수소개발장치에 대해 연구하였다. 오존의 강한 산화력과 환경친화적인 성질로 인해서 오존발생기는 많은 산업분야에 응용되고 있으며 상용화된 12.5[wt%] 이상의 고효율의 오존발생기를 목표로 하였다. 오존은 DBD를 이용하여 발생되었다. 오존농도를 결정하는 변수에 따른 실험을 통해 주파수가 높을수록, gap size가 작을수록, gas flow가 작을수록 오존농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시스템을 최적화 함으로서 고농도 오존발생기를 구성할 수 있었다. 또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 받고 있는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수소발생장치가 제안되었다. power전달을 위해 TE10 mode의 waveguide가 구성되었다. 이waveguide를 관통하는 방전관에 공급된 증기화된 물이 분해되어 수소가 생성되었다. Langmuir probe를 이용하여 플라즈마의 특성을 확인하고 OES(Optical Emission Spectroscopy)를 사용하여 수소의 발생을 확인하였다. RGA(Residual Gas Analyzer)를 이용하여 얻은 수소의 분해율과 공급된 에너지를 통해 에너지 효율을 계산하였고 이 시스템이 수소발생장치로서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present the development of high efficiency ozone generator and hydrogen generation system. Ozone is a strong oxidizer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Therefore, ozone generator has been used many industrial applications. Our goal is the development of high concentration ozone generator over 12.5[wt%], which is commercially available. The ozone is generated by DBD. In experiments, we confirmed that the concentration becomes higher as the higher frequency, lower gap size, and smaller gas flow. As a result, we developed the ozone generator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Besides, we propose the hydrogen generator which will be useful as a new energy source. It is based on industrial application of microwave and use the vaporized water. To transfer the power, we built TE10 waveguide. The hydrogen is generated from water dissociation in discharge tube. For diagnostics, Langmuir probe, OES (Optical Emission Spectroscopy), and RGA (Residual Gas Analyzer) are used. In conclusion, we can see the high efficiency of this system, and believe that it will be commercially eff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