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종이끈 조형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자기조절 능력에 미치는 효과

        류미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paper string craft would improve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creativity. For the study, a creativity program with paper string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classes with regard to the creativity program procedures. In total, 71 five years old children - 39 boys and 32 girls - were selected from 'D' city, and 19 tests were implemented. The experimental group had the creativity program with paper string and the control group had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Torrence Test of Creative Thinking(TTCT) was used to measure creativity. The subordinate scope of creativity is composed of fluency, elaboration, originality, title abstractness and thinking openness. For validation of questions,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Cronbachs alpha was used to check the reliability scale of self-regulation ability. To examine difference of creativity between two groups, t-test was used. To measure self-regulation, the questionnaire of Kendall and Wilcox(1979) translated by Rye, Hye-Jung(1998)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two groups were analyzed using repeated measurement variance analysis in each testing period: pre-testing and post-testing. Simple main effect analysis was conducted as both a post analysis and a interactive effect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groups and experiment periods. In the analysis, originality and title abstractness except fluency, thinking opennessand, abstractness and elaboration were signigicant. Total confidence of the original test is .98 but the confidence of this study is .890. Subcategories of the test are 8 questions of self-control, 13 questions of impulsivity, and 11 questions of attention. In order to check relativeness between creativity and self-regulatio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Repeated Measure (ANOVA) were conducted. Empirical testing of the study was analyzed on the significant level 5% and SPSS 18.0.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reativity program with paper string was meaningful in fluency, originality, title abstractness, and thinking openn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becaus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performance on significance level .05. Second, the creativity program with paper string was meaningful in self-control and attention on significance level .05 but not in impulsivity. Therefore, the result showed creativity and self-regulation was improved after having the creativity program with paper string.

      • 실버층 라이프스타일 및 투자성향에 따른 금융상품 선택요인

        류미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Korea's aging pace is progressing faster than any other country in the world. According to the resident registration data released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n September 2017, Korea has entered an aged society of over 65% at the end of August 2017, which is one year earlier than expected. On the other hand, the increase of assets of the silver generation due to the retirement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has brought about a lot of change in the whole society and presents various issues to the senior target business. According to the National Household Financial and Welfare Survey (2017)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NSO), ages 50 to 60 have the most assets. Since retirement, each financial company also provides customized products and services to attract silver customers with retirement assets, and is actively pursuing efforts to preempt senior customers. However, discussions and research on providing financial products and asset management services for retirement asset management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customers with different needs according to changing lifestyle of silver generation and low interest rate situation are somewhat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financial institutions to establish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by analyzing the lifestyle type and investment propensity of silver generation and analyzing factors of financial product selection accordingly. For this study, the theoretical review and the empirical analysis were applied to the existing studies. An empirical survey was conducted on 500 men and women aged 50 years from August 10 to August 30, 2018, and SPSS 22.0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alysis includ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factors and lifestyle of silver gener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style among gender, age, educational background, occupation, monthly average income, financial assets and marital statu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mily members, number of employed persons, type of residence, and ownership of the home.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factors and investment propensity of silver generation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age, education, occupation, monthly average income, financial assets, number of family members, residence type, family composition type, marital statu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factors and financial product selection fact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fety, redemption, investment purpose, investment period, and tax saving among financial product selection factors, but profitability was not significant.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investment propensity according to the silver generation’s lifestyl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vestment propensity according to type in the silver generation’s lifestyle. Fif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style of the silver generation and the financial product selection factors showed that lifestyle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fety, profitability, investment period, investment purpose, and tax saving among financial product selection factor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demption. Sixth,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financial product selection factors according to the tendency to invest in the silver generation, investment propensity has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safety and redemption of financial product selection factors. However, there is a positive (+) effect on investment objectiv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of financial product selection according to the lifestyle and investment tendency of the silver generation, and suggests the index to develop silver product marketing and marketing strategy.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세계 어느 나라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행정안전부가 2017년 9월 발표한 주민등록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당초 예상보다 1년 더 빠른 2017년 8월 말 65세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14%를 넘는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한편 베이비부머 세대의 본격적인 은퇴로 인한 실버층의 은퇴 자산 증가가 사회 전반에 많은 변화를 가져옴과 동시에 실버층 대상 비즈니스에 다양한 화두를 제시하고 있다. 통계청「가계금융∙복지조사(2017)」에 따르면 50세~60세 연령층이 가장 많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직 이후 은퇴 자산을 보유한 실버층을 고객으로 유치하기 위해 각 금융기관에서도 맞춤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실버 고객을 선점하기 위한 노력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실버층 소비자의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다양한 니즈를 반영한 세분화된 고객 마케팅과 저금리 상황에 대비한 은퇴 자산관리를 위한 금융상품 및 자산관리 서비스 제공에 대한 논의와 연구는 다소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실버층의 라이프스타일 유형 및 투자성향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금융상품 선택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실버층을 유치하려는 금융기관들이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연구를 위해 기존 선행 연구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실증 분석을 병행하였다. 실증 조사는 2018년 8월 10일부터 8월 30일까지 전국에 있는 50세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통계분석을 위해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분석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버층의 인구통계적 요인과 라이프스타일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성별, 연령, 학력, 직업, 월 평균 수입, 금융자산, 결혼 상태는 라이프스타일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가족구성원, 취업자수, 거주 형태, 주택 소유 여부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실버층의 인구통계적 요인과 투자성향과의 관계에서 성별, 연령, 학력, 직업, 월평균 수입, 금융자산, 가족구성원수, 거주 형태, 가족구성 형태, 결혼상태, 건강상태 등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통계적 요인과 금융상품 선택요인 간의 관계에서는 금융상품 선택요인 중 안전성, 환금성, 투자목적, 투자기간, 절세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익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버층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투자성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실버층 라이프스타일에 유형에 따라 투자성향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실버층 라이프스타일과 금융상품 선택요인 간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라이프스타일은 금융상품 선택요인 중 안전성, 수익성, 투자기간, 투자목적 및 절세에 대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환금성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섯째, 실버층 투자성향에 따라 금융상품 선택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투자성향은 금융상품 선택요인 중 안전성과 환금성에 대해서는 부(-)의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고, 투자목적에 대해서는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는 실버층 라이프스타일과 투자성향에 맞는 금융상품 선택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실버층 대상 맞춤 상품 및 세분화된 서비스 개발하고 실버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지표를 제시하고 있다.

      •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분노표현방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류미희 경인교육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분노표현방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분노표현방식에 있어 부모애착과 자아존중감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더 나아가 분노를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근거를 제시하여 아동이 보다 더 건강하고 바람직하게 자신의 분노를 다룰 수 있도록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부모애착, 자아존중감 및 분노표현방식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생의 부모애착과 분노표현방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이 연구의 대상은 서울, 인천, 경기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389명이며 사용한 척도는 다음과 같다. 부모애착은 아동의 부모에 대한 애착을 측정하기 위해서 Armsden과 Greenberg가 제작한 부모 및 또래애착척도(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Revised Version: IPPA-R)를 옥정(1998)이 번안 수정한 자기보고형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아존중감은 Coopersmith(1967)와 Pope, McHale과 Chaighead(1998)의 연구를 참고하여 만든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초등학생 아동의 수준에 맞게 연구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노표현방식은 Spielberger와 그의 동료들(Johnson, Russel, Jacobs & Worden, 1985)이 제작한 ‘상태-특성 분노표현척도(State 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를 김백영(1997)이 번안하여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인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 부모애착은 자아존중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부모애착과 분노표출 및 분노억제는 부적 상관을 보였고, 부모애착과 분노조절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자아존중감과 분노표출 및 분노억제는 부적 상관을 보였고, 자아존중감과 분노조절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부모애착과 분노표현 방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은 부모애착과 분노표출 및 분노억제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애착과 분노조절의 관계에서는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부모애착, 분노표현방식,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및 경로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분노를 조절하여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부모와의 애착을 잘 형성하여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한다.

      • 자연환경해설 및 체험에 대한 인식 조사연구

        류미희 세종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환경부에서는 물이용부담금을 재원으로 조성되는 한강수계관리기금을 기반으로 한 한강수계 수변구역 토지매수 및 수변생태벨트 조성사업의 수질개선 정책홍보를 위해 한강수계 우수생태복원지(양평 한강생태학습장, 가평 삼회지구, 양수리 생태공원)를 조성·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위 공원 중 개장연도가 가장 오래되었을 뿐만 아니라, 누적 방문객 및 안내자 탐방인원이 가장 많은 양평 한강생태학습장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연구는 양평 한강생태학습장의 이용에 관한 사항을 파악하고 탐방객을 대상으로 이들이 자연환경해설 및 체험 프로그램에 대해 생각하는 중요도, 실제 참여 후 느끼는 만족도, 인식 등을 조사·분석하여 나타난 결과를 향후 프로그램 운영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 현황조사, 설문조사, 통계분석 등을 실시한 결과, 중요도와 만족도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므로 그에 따른 관리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높은 중요도와 낮은 만족도를 갖는 항목으로 판단된 탐방로 코스(탐방길)의 구성에 대해서는 향후 탐방로 코스(탐방길)를 다양하게 구성하는 등의 전략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자연환경해설 및 체험 프로그램의 만족도 평가요인과 전반적인 만족도의 분석결과, 자연환경해설 및 체험 프로그램 ‘구성의 세분화’와 ‘주제 및 전문성’이 가장 유의한 요소로 분석되었다. 향후 자연환경해설 및 체험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자연학습’이라는 탐방객의 방문목적에 맞추어 프로그램 ‘구성의 세분화’와 ‘주제 및 전문성’이 보완되고 탐방객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탐방로 코스(탐방길)가 개발된다면 양평 한강생태학습장의 자연환경해설 및 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탐방객의 만족도에 효과적인 영향을 불러올 수 있을 것이다.

      • James Joyce의 전기작품에 나타난 Epiphany의 예술적 기능

        류미희 경북대학교 1989 국내석사

        RANK : 247631

        James Joyce. one of the greatest figures In the psychological novel of the twentieth century. experimented with lots of new literary techniques such as stream of consciousness. interior monologue montage, free association. myth In his novels. As many critics pointed out the essence of Joyce's literature is the theory of epiphany. It was originally derived from Greek epiphainein that meant "to display, make manifest" In religion. Joyce introduced It into his literature and defined the concept of epiphany in Gtaphen Hero as" a sudden spiritual manifestation. whether in the VVlgarity of speech or of gesture or In a memorable phasa of the mind ltsalf." In Stephen Hero and A Pro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 Stephen Dedalus edentefled epiphany with claritas. the last phase of apprehension of beauty quoted from Thomas Aquinas In explaining his aesthetic theory. He also regarded epiphany as the scholastic quedditas. the whatness of a thing. The meaning of spiritual manifestation can't be expressed In n language without the symbolic association of it. When an epiphany is recorded. it gets the symbolic meaning. So many critics have interpreted epiphany from the symbolic point of view. Such critics as Robert Scholes. A. Walton Litz. Morris Beja classified "a sudden spiritual manifestation in the vulgarity of speech or of gesture" as dramatic epiphany and "a sudden spiritual manifestation in a memorable phase of the mind itself" as lyrical one.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ymbolic meaning of epiphany in detail and to investigate the artistic function of epiphany. which is divided Into dramatic and lyrical ones. In James Joyce's Dubliners and A Portrait. In the second chapter. I placed more emphases on Duliners with dramatic epiphanies. Because more dramatic apephanina ar found In Dubliners than en A Portrait.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dramatic epiphany more systematically. I divided "vulgarity of speech" Into word and dialogue and "Gesture" into charactar'n flgur and act in Dubiners. They represented polltecal. religious. national. social. moral. cultural aspects of paralysis in Dublin. Therefore the theme of paralysis In Dubliners Is presented effectively through four aspects of dramatic epiphany. In the third chapter. I placed more emphasis on A portrait with lyrical epiphanies. Because more lyrical epiphanies are found in A portrait that describes Stephen's mental growth of recognizing his real vocation as an artist. I divided the restrictions of Stephen's artistic development into sex. family. nation. religion and studied the stages of his escape from those nets. In conclusion. the technique of epiphany is the essence of understanding Joyce's works. The epiphanies which are found mostly at the end of each story In Dubliners 6rlng about the sudden spiritual manifestations of recognizing more strongly the paralysis in Dublin by complex symbolic techniques beyond realistic description. The artistic function of epiphany in Dubllners is achieved by revenllng more effectively the aspects of paralysls in Dublin through dramatic and lyricnl epiphanies. The epiphanlas in A Portrait are found mostly in the state of Stephen's mind as he grows mentally and realizes his true vocation. The artistic function of epiphany In A portrait is nchleved by revealing more effectively the progress of Stephen's spiritual growth as an artist through lyrical and dramatic eplphanlas.

      • 한국 빈민·공단지역의 아동·청소년복지사업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 공부방을 중심으로

        柳美姬 단국대학교 행정대학원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本 硏究는 韓國의 都市貧民地域과 工團周邊地域에 밀집해 거주하는 低所得淸 就學後兒童을 위한 민간차원의 자발적 복지시설인 '地域社會工夫房'에 대해서 그 필요성 및 실태를 조사·분석·정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현재 운영 중인 工夫房의 活動을 보다 체계화하고 문제점을 보완함으로써 就學後 兒童·靑少年을 대상으로한 社會福祉事業으로 활성화되고 제도적으로도 뒷받침되어 정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더불어 이들 地域의 低所得層住民들이 필요로하는 兒童·靑少年福祉서비스가 무엇인지 조사함으로써 工夫房뿐 아니라 앞으로 다양하게 강화되어야 할 低所得層 密集地域의 兒童·靑少年福祉事業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취지아래 필자는 이 분야의 자료가 많지 않은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실태 및 설문조사에 중점을 두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地域社會 工夫房은 도시빈민·공단지역에서 가난한 맞벌이 부부들을 위한 地域社會 託兒所를 운영하던 민간단체·개인들이 탁아대상인 영유아뿐 아니라 국민 학교 등에 다니는 취학아동들도 장시간 일하는 부모들로 인해 放置되기는 마찬가지라는 현실에 주목함으로써 탄생되었다. 85년 처음 등장한 공부방은 그후 單純保護에 그치지 않고 저소득층의 가장 큰 애로사항인 子女指導問題까지 더불어 解決해준다는 면에서 저소득층 주민들의 상당한 호응을 받아 급속히 확산되었다. 93년 9월 현재 전국적으로 1백12곳(필자조사)에 달하는 地域社會 工夫房은 대부분 단순한 보육서비스나 학습공간 제공에 그치지 않고 개인별·학년별 학습지도와 각종 특별활동을 통해 저소득층의 자녀교육욕구를 충족시켜주면서 일종의 지역센터역할까지 감당하고 있다. 한편 정부에서도 기왕에 존재하던 靑少年讀書室과 더불어, 지난 89년부터는 도시영세민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학습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학습지도 및 생활고충상담을 병행 실시하는 靑少年 夜間 工夫房을 설치, 운영하고 있으나 이러한 정부지원 공부방은 아직 주민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貧民·團地域 低所得層 住民들의 子女에 대한 社會福祉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민간차원에서 자발적으로 활성화된 地域社會 工夫房을 정책적으로 적극 지원해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하겠다. 필자가 전국 각지의 공부방 10곳을 선정해 공부방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父母 96명과 兒童 2백36명을 대상으로 공부방에 대한 생각 및 사회복지욕구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층 주민들은 대부분 식구 수에 비해 사용하는 방의 수가 턱없이 모자랐고 그에 따라 자녀들의 학습공간이 부족한 관계로 地域社會 工夫房의 필요성을 강하게 느끼고 있었다. 둘째, 부모들이 자녀를 공부방에 보내는 理由는 주로 低學歷인 관계로 자녀에 대한 학습지도에 자신 없는 이들 저소득층의 부모 대신 學習指導를 해주고, 多樣하게 가르치기 때문이었다. 또한 부모가 일하는 대신 保護해주거나(국민 학생의 경우) 生活指導 및 脫線豫防에 도움을 준다는(중학생의 경우)것도 큰 이유였다. 셋째, 특히 國民學校 低學年을 자녀로 둔 맞벌이부모의 경우는 공부방의 자녀교육 및 보호시간을 오후 6시 혹은 부모 퇴근시까지로 요구하는 등 託兒 서비스의 연장선상에서 必要性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부방 실무자와 부모, 아동을 대상으로 지역에 필요로 하는 社會福祉施設과 利用經驗을 조사한 결과 다수 아동의 이용경험이 있는 사회복지시설은 고작 어린이놀이터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컴퓨터·미술 등 기능교육교실과 체육·문화시설, 어린이놀이터, 도서관, 국민 학교 저학년 탁아소 등에 대한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調査結果에 입각해볼 때 政府는 민간차원에서 자발적으로 시작된 地域祉會 工夫房을 보다 活性化하고 制度的으로 定着시키기위해 기존 청소년독서실이나 청소년야간공부방, 탁아소와 마찬가지의 制度的·財政的 支援을 地域社會 工夫房에도 실시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구체적으로 工夫房 運營費·人件費 支援 또는 低所得 利用者 一部에 대한 會費(敎育費)支援과 같은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urvey and analyze the necessity and situation of the 'Community Study Room' [Chiyok Sahoe Kongbubang] which is a non-governmental, voluntary welfare facility for the young schoolers of the low-income families residing in the slum and industrial areas. This study intends to delineate the activities of the community study room and locate their problems and possibilites in order to find the ways the community study room can become a vital agency for social welfare work for the young schoolers along with administrativ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This study is also to discern the kinds of social welfare services for the youth that are demanded by the low-income residents of the slum and industiral areas to present the basic data to be used in the future social welfare projects including not only the community study room but also other social welfare works for the youth of low-income areas. The writer adopted the social survey method for this study because the existing data on the subject was scarce. Other supporting materials were also used for the supplementary information. This study first reviewed the history of the community study room in the slum and industrial area. The community study room movement emerged a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who had already operated community day-care centers for the children of poor working parents, began to realize the fact that not only babies and toddlers but also young schoolers were neglected by their parents who had to work long hours to survive. The first study room was founded in 1985. Since then, community study rooms have offered various services from simple care to structured youth education that is most deeply wanted by the low-income parents. According to the survey done in September 1993 by the writer, there are 112 community study rooms in Korea. They are not limited only in providing simple care or study space. But they also offer study guidance at both individual and class levels and meet the various educational needs of youth by operating diverse extra-curricula activities, In this way, the community study rooms function as a kind of community center for the poor. Since 1989 the government also has tried to provide study space for the youth residing in the slum areas along with the existing reading room service for them. It has provided study guidance and counseling service for the youth through the night study room project, In spite of this governmental effort, the number of the governmental study rooms is far less than satisfactory to meet the needs of poor people. Therefore, in order to satisfy the increasing needs of the low-income residents of the slum and industrial areas for their children, the study rooms founded by non-governmental, voluntary civil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must be expanded. And the government need support and vitalize the community study rooms through legislation and policy enforcement. The writer selected ten representative community study rooms throughout the country for the study and surveyed their 96 parents and 236 children. She analyzed their evaluation of the services of the community study rooms and their urgent needs for the social welare services for their childr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low-income residents surveyed are living in the rooms whose number or space is too limited to provide any study space for their children. They strongly want to have community study rooms around their residential area so that their children can use them. Second, the reason the low-income residents send their children to community study rooms is because the latter can offer study guide and teach various study subjects which they cannot do due to their poor educational background, In addtion, they think that the community study rooms protect their children from physical harms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ers) and juvenile delinquencies (in the case of high schoolers) while they are away working. Third, working parents who have elementary schoolers in particular consider the community study room to be a place for both education and protection or child-care, and they want the latter to be open until 6:00 p.m. or they return home from work. Fourth,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of staff members, parents, and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cormnunity study room on the subject of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they have experienced, the social welfare service that most children surveyed have received before is limited to the playground service. The respondents express that they want to have more social services than this: they want the social welfare services to include technical education such as computer and drawing, Physical fitness and cultural activities, creative children's playground, library, day-care center for the younger elementary schoolers, and so 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 governmental support is required for the vitalization and institutional establishment of the community study room which has been initiated at the voluntary civil level. As the government did for the existing reading rooms and night study rooms for the youth and day-care centers, it must provide the community study room with its institutional and financial support, Its concrete support must include financial aid for the management expenses and salaries of the community study room and also for the membership fees (education fees) of the low-income users (parents).

      • 동화 표현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 및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류미희 군산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교육활동의 장에서 가장 빈번한 교육 매체로 사용되고 있는 동화를 통하여 아동이 흥미로워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요즈음 사회가 요구하고 있는 ‘창의성 개발’과 ‘언어능력 향상’이란 목표에 중점을 두고 시작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동화를 듣고 난 다음 동화에 대한 유아의 동화 표현활동 및 동화 전달 경험이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능력에 어떠한 시사점을 줄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일반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의도

        류미희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research study that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by understanding their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advanced directives and intention to withdrawing life sustaining treatment. The study was conducted on 131 adults over the age of 19 living in the city B.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analyzed tate such as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Scheffé test was used for post-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ere more males 50.4% than females among subjects. Their average age was 48.89 years old. ‘Married’ in marital status 52.7%, ‘Having children’ in parental status 67.2%, and ‘Bachelor’s degree’ in educational background 42% were the majority. In addition, ‘Neutral‘ was 80.2% in perceived economic status, ’Having religion’ was 57.3% in religion, ‘Healthy’ was 45.8% i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No’ was 67.9% in current treated disease. Those who answered ‘No’ in experiences regarding discussion on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of close acquaintance was 70.2%, ‘No’ in awareness of advance directives was 50.4%, ‘Partner’ in the one to discuss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was 51.1%, ‘During medical check-up in healthy status’ in when to fill out advance directives was 48.9%, and ‘Yes’ in intention to fill out advance directives was 55%. 2. Knowledge of advance directives among subjects averaged 6.66 ± 2.07 out of 9; Intention towards advance directives 49.34 ± 4.75 out of 64; Average intention towards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was 4.13 ± 2.24. 3. Knowledge of advance directives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vary statistically by sex,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background, perceived economic condition, perceived health condition, currently treated disease, awareness of advance directives, the person to discuss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time to fill out advance directives, and the intention to fill out advance directives. 4. Attitude towards advance directives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vary statistically by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background, parental status, currently treated disease, and experiences regarding discussion on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of close acquaintance. 5. The intention towards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vary statistically by sex, age, marital status, parental status, currently treated disease, the person to discuss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time to fill out advance directives. 6. There was a weak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towards advance directives and the intention towards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r=.26, p=.003).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ublic’s knowledge level of advance directives is relatively high and attitude is positive; the more positive attitude is towards advance directives, the higher the intention towards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is. 본 연구는 일반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의도를 파악함으로써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중인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제도에 대한 이해를 돕고 제도의 바른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B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의 일반인 131명이었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사후분석은 Scheffé test를 사용하였으며,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성별은 남성이 50.4%, 평균 연령은 48.89세, 결혼상태는 ‘기혼’이 52.7%, 자녀는 ‘있다’가 67.2%, 학력은 ‘대학교 졸업’이 42%로 많았다. 지각된 경제상태는 ‘보통이다’가 80.2%, 종교는 ‘있다’가 57.3%, 지각된 건강상태는 ‘건강하다’가 45.8%, 현재 치료중인 질병은 ‘없다’가 67.9%였다. 가까운 사람의 연명의료 중단 논의 경험은 ‘없다’가 70.2%,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해 들어본 경험 대해서는 ‘없다’가 50.4%였고, 자신의 연명의료 중단에 대해 의논하고 싶은 대상으로 ‘배우자’가 51.1%였으며,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희망 시기는 ‘건강한 상태로 건강 검진 시’가 48.9%였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의지는 ‘예’라는 응답이 55%였다. 2. 대상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은 총 9점 만점에 평균 6.66±2.점이었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는 총 64점 만점에 평균 49.34±4.75점이었으며,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의도는 총 9점 만점에 평균 4.87±2.24였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은 성별, 연령, 결혼상태, 학력, 지각된 경제상태, 지각된 건강상태, 현재 치료중인 질병,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해 들어본 경험, 자신의 연명의료 중단에 대해 의논하고 싶은 대상,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희망 시기, 작성의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는 연령, 결혼상태, 학력, 현재 치료중인 질병, 가까운 사람의 연명의료 중단 논의 경험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의도는 성별, 연령, 결혼상태, 자녀, 학력, 지각된 건강상태, 현재 치료중인 질병, 자신의 연명의료 중단에 대해 의논하고 싶은 대상,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희망 시기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대상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와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의도는 약한 양의 상관관계(r=.26, p=.003)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일반인들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은 비교적 높고 태도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의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