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스포츠 스타가 청소년의 스포츠 가치관과 스포츠 활동에 미치는 영향

        동현정 원광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 스타가 청소년의 스포츠 가치관과 스포츠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전주, 익산 청소년 3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스포츠 스타가 스포츠 가치관과 스포츠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 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와 기타 참고 문헌을 기초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t-test,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주성분 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첫째, 스포츠 가치관은 남학생이 이론적 가치관, 사회적 가치관에서, 여학생은 종교적 가치관에서 높게 나타냈으며, 심미적 가치관과 정치적 가치관, 전체 가치관의 남녀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스포츠 참여 요인은 수업 외 참여 경험이 있는 것이 높게 나타났으며, 참여 경험에 남자 76.4%, 여자 43.4%, 미 참여에는 여자 56.6%, 남자 23.6%로 각각 높게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스타에 대한 인식은 외모 평가가 남자보다 여자가 높게 나타났으며, 운동수행능력, 운동감각 인식에 대한 남녀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고, 스포츠에 의미는 스포츠가 좋아지고 더 많은 관심이 생긴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 가치관은 스포츠 스타의 운동수행능력이 높으면 이론적, 운동수행능력과 운동 가각 인식이 높으면 심미적, 사회적, 정치적 가치관이 높았고, 운동수행능력, 평가 인식이 높으면 경제적, 외모, 운동수행, 평가인식이 높으면 종교적 가치관이 높았다. 다섯째, 스포츠 스타가 청소년의 스포츠 참여에 미치는 영향은 인지적 참여, 정의적 참여, 행동적 참여 모두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how sports stars effect on the sports values and activities amongst juveniles. Three hundreds eighty juveniles in jeonrabukdo jeon-ju and ik-san province activities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includes three types of question. The data were evaluated using by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pearson's correlation,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the five followings; Firstly, male juveniles tend to have higher ratings on theoretical and social values, while female juveniles have very high rating on religious values. There was no distinc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on the aesthetic, political and overall values. Secondly, it was shown that more juveniles do attend extracurricular sports activities. Followings by gender, more male students are involved sports activities than the female. In sports activities pattern, it turned out that both male and females juveniles are more engaged in general activities than professional activities. Thirdly, in the recognition of sports stars, female juveniles had higher ratings in the recognition of appearance and appraisal on sports stars,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juveniles in the recognition of sports stars' exercise performance ability or their kinesthetic recognition. Fourthly, the data showed that the better sports stars' exercise performance ability is, the sports affect on theoretical values among juveniles. Also, the more sports stars exercise performance ability and kinesthetic recognition were understood, the more sports stars affect on the values of aesthetic, social and political ones. Besides, juveniles who had better understanding of sports stars exercise performance ability and kinesthetic recognition had higher ratings on economic values, while they have ratings in religious values with better understanding of sports stars' appearance, exercise performance ability and appraisal recognition. Fifthly, it was shown that male juveniles were more affected by sports stars than the female in very term; cognitive, defini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In conclusion, we were able to determine by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at the sports stars effects positively to the juveniles physically, mentally, and social wise. therefore, there should be more support towards sports stars in taking a part in juveniles sports activities and exercise performance ability study as a role model.

      • 동화를 통한 총체적 언어 학습법의 효과 : 읽기 장애 아동을 중심으로

        동현정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Whole Language Method through fairy tale on reading comprehension and word retrieval ability of the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designed for three 3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who have retarded more than half an year than their actual grade. Experiments were made by Multilple Baseline Design Across Students and composed of baseline stage, mediation stage and maintenance stage. The improvement on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nd word retrieval ability after the Whole Language Method through the fairy tale was graded and graph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Whole Language Method through fairy tale has effected positively on word retrieval ability of the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y. Their pronunciation became clear after mediation stage and their learning attitude improved to more academic and active trying to understand a word which they don't know from other sources even if there exists an individual difference between students. Second, the Whole Language Method through fairy tale has effected positively on reading comprehension of the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y. Average comprehension ability of 3 students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of word retrieval ability during baseline stage, however the gap was very slight between 20 and 30 points.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 improved steadily after mediation stage. In addition, students got interested in reading books and their attitude have improved. These results shows the positive effect of the Whole Language Method. I suggest some points to be conside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limited to 3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needs to be measured more objectively with more students in the special class or special school. Second, more various and standardized methods need to be developed to select and evaluate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y Third, various study about the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n Whole Language Method must be carried out. Fourth, Whole Language Method needs to be studied in connection with other literary works in Korean subject as well as fairy tale of this study. Fifth, this study is limited to reading. Therefore the study needs to be widen to writing, speaking and listening to apply the Whole Language Method. Sixth, this study needs the continuous and consistent guidance in connection with home. 본 연구는 동화를 통한 총체적 언어 학습이 읽기 장애아의 낱말 재인능력과 독해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현재 초등학교 3학년이면서 기초학습기능검사에서 자신의 학년보다 1.8년 이상 지체된 읽기 학습장애아동 3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실험 설계는 중다기초선 설계(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tudents)로 하였으며, 실험은 기초선 단계·중재 단계·유지 단계로 구성하였다. 이 때 동화책을 매개체로 총체적 언어 학습 접근법을 실시하여 읽기 학습장애아동의 낱말재인능력과 독해력의 향상 정도를 점수화하여 그래프로 결과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책을 이용한 총체적 언어학습법은 읽기학습장애아의 낱말 재인 능력에 효과가 있었다. 아동들 간에 개인차가 있었으나 중재 이후 발음이 또렷해졌고 문자를 변별하고 모르는 단어를 여러 가지 자료를 이용해 적극적으로 찾는 등 학습 태도가 학구적으로 변화된 것으로 보아 동화책을 이용한 총체적 언어 학습이 낱말의 재인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동화책을 이용한 총체적 언어학습법은 학습장애아의 독해력에 효과가 있었다. 기초선 기간에 세 아동의 독해력의 평균이 낱말재인 능력의 평균보다 높았다가 중재 이후에 낱말재인 능력의 평균이 독해력의 평균보다 높아졌으나 그 차이가 20~30점 정도로 극히 미미하였으며, 중재가 시작된 이후 꾸준히 독해력의 정답 적중률이 향상되었다. 또한 책을 읽는데 흥미를 느끼게 되었고, 지문의 내용을 잘 파악하기 위해 반복해서 읽는 등 학습태도가 좋아진 것으로 보아 동화책을 이용한 총체적 언어 학습이 독해력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몇 가지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 아동은 3명밖에 되지 않았으므로 특수학급이나 특수학교에서 많은 인원을 연구 대상자로 하여 실천하여 보다 확실하고 객관적인 검증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읽기장애아에 대한 선별 및 평가에 어려움이 없도록 보다 다양하고 표준화된 도구가 보급되어야 한다. 셋째, 총체적 언어 교육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가 있어야한다. 넷째, 본 연구에 이용한 동화뿐만 아니라 국어과의 다른 문학 장르를 연계한 총체적 언어접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이 연구는 읽기에만 국한하였는데 종속변인을 확대하여 쓰기와 말하기, 듣기 영역으로 넓혀 총체적 언어학습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적용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여섯째, 본 연구의 실천으로만 종결되지 않고 총체적 언어학습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추수지도와 가정과의 연계지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학습자 중심 미술교육공간 활성화 방안

        동현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양질의 학습자 중심 미술교육공간을 국공립 일반계 고등학교에 활성화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재 우리나라 고등학교 미술교육 현장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미술교육 과정과 교육과정 운영 사이에 마찰이 관찰되고 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교육과정에 대응하지 못하는 교육공간이 있었다. 따라서 학습자 중심 미술교육 과정이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실천되기 위해서는 학습자 중심 미술교육공간에 대한 이해와 공간 실천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천적 개선 방법의 탐색을 위해 다중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학습자 중심적 교육관을 가지고 그것을 반영한 미술교육공간 조성 경험이 있는 현직 고등학교 미술 교사를 대상으로 연구참여자를 모집하였다. 최종적으로 3명의 미술 교사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고 2개 학교에 현장 답사를 진행하였다. 인터뷰에는 자신이 재직하고 있는 학교의 교직 문화와 공간 맥락 안에서 미술교육공간을 조성한 과정 및 결과 그리고 개인적 경험에 대해 묻는 반구조화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내용은 현장 답사 중에 찍은 사진, 연구자가 작성한 노트, 녹취, 학교 홈페이지 자료, 연구참여자가 제공한 자료, 신문기사 등이다. 수집한 내용을 규합, 분석하여 학습자 중심 미술교육공간 구성요소 결정내용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학교에 학습자 중심 미술교육공간이 구성되는 원리를 정리하였다. 사례를 통해 본 학습자 중심 미술교육공간의 구성요인은 총 14가지였으며 이는 다시 정의적 영역, 제도적 영역, 환경적 영역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학습자 중심 미술교육공간은 미술교사의 의지와 관리자의 협력, 행정실의 조력을 통해 구성되는 것이었는데, 이는 학습자 중심 미술교육공간 구성요인들의 복잡한 상호작용 결과였다. 특히, 학교 공간에 관계하는 구성원의 성격과 미술에 대한 인식 같은 질적 요인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의 배경에는 첫째, 미술 및 미술 교과에 대한 학교 구성원들의 이해와 인식 부족, 둘째, 구성원의 인식이나 가치관, 성격 같은 질적 요인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공간의 질적 격차를 예방할만한 국가 수준 규정안의 부재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 중심 미술교육공간이 국공립 일반계 고등학교에 일반화되기 위한 두 가지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학습자 중심 미술교육과정에 대응하는 고등학교 미술과 교구 및 시설·설비 규정안 마련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각 시·도 교육청에서 별도로 학교급별 미술과 교구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나 미술교육공간에 대한 시설·설비기준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에 필자는 기존의 교구 종목을 기초로 하여 부족하다고 여겨지는 내용을 보강한 새로운 교구 종목 기준표를 작성하였고, 각 영역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서울시교육청 기준 53개였던 교구 종목의 개수를 167개로 구체화할 수 있었다. 또한, 회화, 서예, 조소, 판화, 디자인 영역의 교구 종목들을 효율적으로 미술 활동에 끌어올 수 있는 이상적인 공간면적과 시설·설비 기준을 그림과 표로 자세히 제시하였다. 둘째, 학습자가 참여하는 미술공간 구현을 통한 학교 구성원 인식개선이다. 이를 위한 실천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각 사례학교의 공간 맥락에 따라 실제로 적용 및 응용할 수 있는 학습자 참여 미술공간 조성 방법과 수업계획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미술실은 학습자가 시각기호로 타인과 대화하며 사회를 이해하고 삶의 의미를 생성하는 관계적인 예술공간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관계를 통해 새로운 공간 의미가 생성되는 것을 경험할 때 미술과 미술교과에 대한 진정한 공감과 인식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미술교육공간의 개념미술화는 학교가 학습자 중심 미술교육 공간을 환영하고 지속적인 협력 안에서 발전할 수 있게 하는 현실적인 실천방안이 될 수 있다. 학습자 중심 미술교육공간은 시각편향 시대에 학습자가 다양한 물성을 이용한 표현과 감상 활동을 하면서 사회와 관계하는 방법을 배우는 ‘시각기호’와 ‘감각’의 훈련장이다. 이곳에서 학습자는 몸의 다양한 감각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미술 활동을 통해 세계와 소통하고 그 과정에서 자신을 절제하는 자유로운 인간으로 성장한다.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삶’과 ‘앎’의 통로로서의 미술교육공간을 조성하려는 미술 선생님들에게 이 연구가 부족하나마 힘이 될 수 있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lan to improve and revitalize a high-quality learner-centered art education space in national and public high schools. At present, in the art education field of Korean high schools, a conflict is being observed between the learner-centered art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operation, and at the center of the conflict, there is an educational space that cannot properly respond to the curriculum. Therefore, in order for the learner-centered art curriculum to be effectively practiced in school fields,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learner-centered art education space and its spatial practice. To explore practical improvement method, a multi-case study approach was used in this study.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incumbent high school art teachers who have learner-centered educational viewpoint as well as experience in creating an art education space. Finally, three art teach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field trips to two schools were conducted. In the interview,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ask the teachers about the process and result of creating an art education space as well as their personal experiences within the context of the teaching culture and space of their school. The contents of collected data included photos taken during the field trip, notes written by the researcher, recordings, data on school website, data provided by research participants, and newspaper articl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derive the components of the learner-centered art education space, and based on this, the principle to compose the learner-centered art education space in the school was established. A total of 14 components of the learner-centered art education space were found through case studies, and they were categorized into the affective domain, institutional domain, and environmental domain. The learner-centered art education space was composed through the will of the art teacher, the cooperation of the manager, and the assistance of the administrative office, which was the result of the complex interaction among the components of the learner-centered art education space.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qualitative components such as the personality of people related to the school space and their perception of art had a large interaction. The reasons for this phenomenon includes; First, the lack of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school members about art and art subject, and second, the lack of national-level regulations that can prevent the qualitative gaps of space that may occur depending on the qualitative components such as the school members' perception, values, and personality.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two improvement plans were proposed to generalize learner-centered art education space to national and public high schools. The first plan is to prepare regulations for high school art education tools and facilities in line with the learner-centered art curriculum. In Korea, each municipal and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eparately proposes standards for art education tools by school level, but there are no standards for facilities in art education spaces. Therefore, based on the existing list of tools, this researcher prepared a new list of art education tools that reinforced the insufficient contents, and verified their validity through consultation with the experts in relevant fields. As a result, the number of art education tools, which was 53 based on standards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could be increased to 167 in more detail. In addition, the ideal art education space and standards for facilities that can efficiently use the art education tools in the fields of painting, calligraphy, sculpture, engraving, and design for art activities were presented in detail in figures and tables. The second plan is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school members through the realization of an art space where learners can participate. In order to explain the practical method for this, the method of creating a learner-centered art space that can be practically applied according to the spatial context of each school as well as the lesson plan was presented in detail. The art room can be a relational art space in which learners can understand society and create a meaning of life while communicating with others with visual symbols. When the learners experience the creation of a new spatial meaning through the relationship, they can have true empathy with art and art subject and their perception can change. In this context, the conceptualization of art education space can be a practical plan for schools to welcome learner-centered art education space and develop it in continuous cooperation. The learner-centered art education space is a training space for “visual signs” and “senses” where learners learn how to relate to society while doing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ctivities using various physical properties in this era of visual bias. Here, the learners communicate with the world through art activities that use various senses of the body and, in the process, grow into free human beings who can control themselv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of small help to school teachers who are trying to create an art education space that can serve as a channel for “life” and “knowledge” of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