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인동력비행장치 사고사례 SHELL MODEL 분석 및 항공안전의식 개선방안 연구

        노현빈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Recently,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era, unmanned aerial vehicles, which were mainly used in limited areas such as the military area, have expanded to the civilian area. That is, in the early stage of development, unmanned aerial vehicles were mainly used for military purposes, but recently, their utilization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imaging, agriculture, and leisure is rapidly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cidents of factors that threaten safety in the oper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aviation safety awareness of unmanned aerial vehicl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accidents by applying SHELL MODEL to a total of 10 accident investigation reports reported to the Accident Investigation Committee. It was analyzed that errors caused by human factors such as insufficient confirmation, errors in judgment due to insufficient awareness of the situation by the pilot, non-compliance and lack of compliance with the pilot's complianc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pilot and visual monitor, and insufficient safety supervision by government agenci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SHELL MODEL analysis results, a survey was conducted on aviation safety awareness targeting workers and non-workers. The input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using SPSS/WIN 28.0, and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of aviation safety awareness of workers and non-workers. (1)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workers, there was a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viation safety awareness according to flight time and flight experience. Drone flight time was 5.00 over 500 hours and less than 700 hours. In terms of flight experience, 2 years or more and less than 4 years accounted for the highest share of 5.00.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on-worker's perception of aviation safety awareness improvement according to age and flight experience. Aviation safety awareness was the highest at 5.00 from 40s to 60s, and drone flight experience was the highest at 5.00 for more than 6 months and less than 2 years. (3) Aviation safety awareness has a positive (+) effect on improving aviation safety awareness. In other words, if the aviation safety awareness of workers and non-workers is high, the improvement of aviation safety awareness also increases. Nex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through detailed questionnaire analysis (type of accident, unauthorized flight, unqualified flight) of workers and non-workers' aviation safety awareness. Among the two groups in the questionnaire on accident type, workers answered that it was an unauthorized, unapproved flight by an unqualified person, and non-workers answered inexperienced piloting as the highest type of accident. During the questionnaire on ineligible flight, both groups responded with some level of ineligible flight experience. Non-employees had at least one unqualified flight experience, and employees had a lower level of unqualified flight experience.Among the surveys on unauthorized flights, 62% of workers experienced unauthorized flights at least once, and 71% of non-workers experienced unauthorized flights at least once. 최근 제4차 산업시대의 도래와 함께 군사영역 등 제한적인 영역에서 주로 사용되던 무인항공기가 민간영역으로 확대되었다. 즉, 개발 초기 무인항공기는 군사용으로 주로 활용되었지만 최근 영상촬영, 농업, 레저 등 다양한 목적으로 그 활용도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인항공기 운용에 있어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들의 사고를 분석하고 무인항공기 조종자 항공안전의식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고조사위원회에 보고된 총 10건의 사고조사보고서를 SHELL MODEL의 적용하여 사고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 공통적인 사고원인은 규정을 따르지 않은 부적절한 조종행위, 안전문화 의식부족, 관계자와의 확인 미흡, 조종자의 상황인지 미흡에 따른 판단 오류, 조종자 준수사항 미준수와 부족, 조종자와 육안감시자 간의 의사소통의 부재, 정부기관의 안전감독 미흡 등 인적요인으로 인한 오류가 원인이 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SHELL MODEL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종사자 및 비종사자를 대상으로 항공안전의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입력된 자료는 SPSS/ WIN 28.0을 사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라서 분석하였으며 통계기법은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방법이 활용되었다. 종사자 및 비종사자 항공안전의식 통계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종사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항공안전의식은 비행시간, 비행경력에 따라 정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드론비행시간으로는 500시간이상 700시간 미만 5.00 비행경력에서는 2년이상 4년미만 5.00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2) 비종사자의 항공안전의식개선에 대한 인식은 나이, 비행경험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항공안전의식은 40대에서 60대까지 5.0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드론 비행경험은 6개월이상 2년미만에서 5.00으로 가장 높았다. (3) 항공안전의식이 항공안전의식개선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즉, 종사자 및 비종사자의 항공안전의식이 높으면 항공안전의식 개선도 증가한다. 다음은 종사자 및 비종사자 항공안전의식 세부 설문분석(사고유형, 무허가비행, 무자격비행)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사고유형에 대한 설문 중 두 그룹 중 종사자는 무자격자에 의한 무허가, 미승인 비행이라고 응답했고 비종사자는 조종미숙을 가장 높은 사고유형으로 응답했다. 무자격 비행에 대한 설문 중 두 그룹 모두 일정 수준의 무자격비행 경험을 응답했다. 비종사자는 1회이상 무자격비행경험 하였고 종사자로 더 낮은 수준의 무자격비행경험을 가졌다. 무허가 비행에 대한 설문 중 종사자는 무허가 비행을 1회이상 경험했다는 비율이 62%로 나타났고 비종사자는 무허가 비행을 1회이상 경험했다는 비율이 71%로 나타났다.

      • 3차원적 어깨뼈 운동에 따른 어깨뼈 근육 활성도 및 비율 비교

        노현빈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muscle activity and ratio of scapular muscles during three-dimensional scapular exercises. Methods: The sample size was 15 with 95% power, 0.4 effect size, and 0.05 significance. Maximal isometric voluntary contraction was performed to standardize muscle activity in all participants. Study participants performed overhead arm raise (OAR), overhead arm raise on elbow flexion (OAREF), and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scapular and arm patterns. The activities of upper trapezius, lower trapezius, and serratus anterior were measured while scapular exercises were randomly performed. All exercises were performed for 5 seconds, and the average value was used for data analysis for 3s excluding the first and last 1s. Results: Upper trapezius activity and upper trapezius/serratus anterior ratio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OAR and OAREF than that in PNF-AP and PNF-SP. Lower trapezius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AREF than that in PNF-AP. The upper trapezius/lower trapezius rati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AR and OAREF than that in PNF-SP. Conclusion: PNF-AP can be used to selectively strengthen the serratus anterior, and PNF-SP can be an exercise to selectively strengthen the serratus anterior and lower trapezius.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3차원적 어깨뼈 운동을 수행하는 동안 어깨뼈 근육의 활성도 및 비율을 비교해 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 수는 검정력 95%, 효과크기 0.4, 유의수준 0.05로 설정한 결과 15명으로 산출되었다. 모든 대상자의 근 활성도를 표준화하기 위해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maximal isometric voluntary contraction, MVIC)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머리위 팔 들어올리기(overhead arm raise, OAR), 팔꿉굽혀 머리위 팔 들어올리기(overhead arm raise on elbow flexion, OAREF),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어깨뼈 패턴(scapular pattern, SP), 그리고 팔 패턴(arm pattern, AP)을 무작위로 수행하는 동안 위등세모근(upper trapezius), 아래등세모근(lower trapezius), 앞톱니근(serratus anterior)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운동은 5초간 수행하였으며, 처음 1초와 마지막 1초를 제외한 3초간 평균값을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위등세모근의 활성도는 OAR과 OAREF가 PNF-AP와 PNF-SP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아래등세모근의 활성도는 OAREF가 PNF-AP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위등세모근/앞톱니근 비율은 OAR과 OAREF가 PNF-AP와 PNF-SP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위등세모근/아래등세모근 비율은 OAR과 OAREF가 PNF-SP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 PNF-AP는 앞톱니근의 선택적 강화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PNF-SP는 앞톱니근 및 아래등세모근의 선택적 강화를 위한 운동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 On optimal computations and the d-Lefschetz property of graded algebras

        노현빈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6 국내박사

        RANK : 248623

        Bayer and Stillman showed that the regularity of generic initial ideals equal the regularity of theoriginal ideal with respect to the reverse lexicographic order. We show that rlex is the unique monomial order satisfying this property. This result shows that rlex is the unique optimal monomial order for Grobner basis computation. We also show that generic initial ideals can fully characterize monomial orders. We introduce a poset structure of monomial ideals. For a fixed homogeneous ideal I, consider ideals of the form I+(f) where f is a polynomial of degree d. If we restrict to ideals of the form in(I+(f)), then the relations in the poset are defined by the vanishing of particular Pluckercoordinates. We introduce the d-Lefschetz property of graded algebras and show that every graded algebra has the d-Lefschetz property in high degrees. We also show that for general f, I+(f) has a fixed initial ideal. We introduce the d-Lefschetz property of graded algebras, which is a generalization of the weak and strong Lefschetz property. Our main theorem is that every graded algebra has the d-Lefschetz property in high degrees. Also, we introduce applications of this theorem on the Eisenbud-Green-Harris conjecture. Bayer와 Stillman은 t=rlex인 경우 reg(I) = reg(gin(I))임을 보였다. 우리는 그 역을 보였는데, reg(I) = reg(gin(I))이면 단항식 순서 t = rlex라는 것이다. 이는 Grobner 기저를 계산할 때, rlex가 유일한 최적의 단항식 순서임을 보여준다. 또한 우리는 두개의 단항식 순서로 계산한 모든 아이디얼 I에 대하여 gin(I)가 같다면 두 순서가 같음을 보였다. 이는 gin의 계산 결과가 단항식 순서를 알려준다는 것이다. 우리는 단항식 아이디얼의 반순서 집합을 소개한다. 고정된 아이디얼 I와 차수가 고정된 동차다항식 f가 있을 때, I+(f)의 형태를 갖는 아이디얼들을 생각하자. in(I+(f)) 형태의 단항식 아이디얼들의 관계가 있다면, 그 관계는 특정한 Plucker 좌표의 해로 주어진다. 우리는 d-Lefschetz 성질을 소개하고 모든 등급 대수가 높은 차수에서 이 성질을 가짐을 증명한다. 또한 I+(f)의 형태를 갖는 일반적인 아이디얼들은 같은 초기아이디얼을 가짐을 증명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