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인문계열 학생의 흥미 유발을 위한 교수 학습 지도안 개발 : 고등학교 생명 과학 I 방어 작용 단원을 중심으로

        노지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등학교 생명 과학 Ⅰ의 교육 목표는 생명 현상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이다. 이 목표를 실천하기 위해 건강, 질병, 병원체에 대한 방어 같은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실질적인 문제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를 수행했다. 즉, 학생들이 생활 속에서 겪는 면역 현상을 쉽게 이해하도록 실험, 관찰, 토의 같은 다양한 활동을 고등학교 교사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를 수행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문계열 고등학교 학생들은 건강과 관련한 주제를 어려워하는데, 숙주와 병원체의 관계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이 주제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 유발을 위한 교수 학습 지도안을 개발하게 되었다. 특히 Karplus에 의해 고안된 5E 순환 학습 모형을 이용해 연구를 했다. 관여, 탐색, 설명, 정교화, 평가로 구성된 5E 순환 학습 모형은 고등학교에서 과학 개념을 배우고 개념을 발전시키는데 적절하다고 알려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여 실험, 토의, 과학 자료를 활용한 5차시 분량의 교수 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또한 교수 학습 지도안에 맞춘 학생 활동지도 함께 제시하였다. 첫 번째 교수 학습 지도안 프로그램은 병원체중 하나인 세균에 대해 다룬다. 두 번째는 또 다른 병원체인 바이러스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세 번째와 네 번째는 각각 비특이적 면역과 특이적 면역 반응에 대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게 했다. 마지막으로 혈액형 판정 원리와 항원-항체 반응이 기본이 되는 면역 원리를 배우게 된다. 연구한 교수 학습 지도안 프로그램이 수업시간에 학생들이 기본적인 면역 반응을 이해하는데 도움 될 뿐 아니라 현장에서 고등학교 선생님들이 즉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학생들은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생명 과학에 대한 호기심, 흥미, 심도 있는 이해를 얻게 될 것이라 기대한다. 궁극적으로 인문계열 고등학생들이 얼마나 생명과학이 유용하고 재미있는 과목임을 알기를 바란다.

      • 에바 헤세(Eva Hesse) 작품에서 나타난 자아 정체성 탐구

        노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에바 헤세(Eva Hesse, 1936-1970)의 작품을 자아 정체성의 탐구라는 측면에서 바라본 연구이다. 헤세가 1970년 34살의 나이에 병으로 요절한 이후, 그녀의 죽음은 그녀에게 '비운의 작가'라는 신화적인 타이틀을 부여하였다. 이것은 나찌 지배 하의 독일 탈출, 어머니의 자살, 남편과의 이혼 등 그녀의 범상치 않은 삶의 이력들로 인하여 더욱 가속화되어, 헤세의 작품을 '숭고'의 영역으로 몰고 가는 움직임마저 낳았다. 본 고의 일차적 목표는 그녀의 개인사로부터 유용한 정보들을 취하되, 작품 해석의 초점을 '비극성'이 아니라 그것의 진정한 가능성과 의미를 밝혀내는 데에 둠으로써 헤세의 주위에 조성된 감상적 신화를 제거하는 것에 있다. 헤세는 미니멀리즘이 성행하던 1960년대 중, 후반 뉴욕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작가로 흔히 미니멀리즘, 혹은 후기 미니멀리즘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어 왔다. 헤세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사각형, 그리드(grid), 큐브(cube)와 같은 기하학적 형태들의 반복은 미니멀리즘과의 연계를 보여준다. 그러나, 동시에 나타나는 유기체적이고 표현적인 형태들, 그리고 반복적 구성 안에 내재한 변이 등은 그것을 명백하게 넘어서고 있다. 이러한 특성들로 말미암아 헤세의 추상 형태들은 털, 머리카락, 가슴, 남근 형상 등을 환기하면서 인간의 신체이미지를 연상케 하는데, 이는 살의 질감과 피부의 감촉을 불러일으키는 라텍스, 유리섬유 등의 재료들의 사용과 맞물려 더욱 강화된다. 필자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고, 신체 이미지를 통하여 그녀의 작품을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고자 하였다. 신체는 주체가 세계와 접촉하여 관계를 형성하는 매개체이며, 내가 감지하고 경험하는 것들이 일차적으로 각인되는 장소이자 실제적 행위를 통해 '나(the Self)'를 드러내는 도구로서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신체는 정체성을 발현하는 일차적인 사이트라 할 수 있다. 필자는 이러한 점과 더불어 헤세가 여타 미니멀리즘 작가들과는 달리 작품을 손수 제작함으로써 자신의 손끝을 통하여 작품에 사적 경험들과 주관성을 불어넣었다는 점과 그녀가 삶과 미술은 함께 하는 것임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는 점, 그리고 그녀가 남긴 일기와 메모에서 삶의 상처와 고통들을 자아 정립의 과정을 통하여 넘어서고자 한 흔적이 뚜렷이 발견된다는 사실에 근거를 두고, 헤세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신체 이미지가 자아 정체성 탐구의 장임을 제기하고자 한다. 헤세가 작품을 통해 자아를 드러내고 탐구하는 방식은 매우 양면적이다. 이는 일련의 사건들을 통하여 삶의 모순성, 나아가 이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자아의 양면성을 인식한 데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지는데, 헤세는 이를 상처 입은 신체 이미지를 통하여 자신의 정신적인 상처를 표현하는 한편, 이를 통해 상처를 직시하고 그것의 치유 방안을 모색하는 것, 가슴, 자궁 등의 여성 신체 모티프에서 나타나는 결핍과 충만의 이미지를 통하여 자신의 여성으로서의 실체를 파악하는 것, 인간 관계를 암시하는 줄 모티프의 침투와 유대의 속성을 통하여 인간 관계 속에 내포된 이중성을 탐구하는 것, 대립되는 추상 형태 요소들의 혼용을 통하여 삶의 모순을 표출하는 것 등, 작품에 양면적인 요소들을 도입함으로써 구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헤세의 작품은 기하학적 형태와 같은 견고한 추상 형태 속에 신체 이미지를 함축하여 자신의 구체적인 경험과 자전적 삶을 표출하는데, 이것은 추상 형태 안에 구상적이고 암시적인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자, 작품에서 외현적 의미를 제거하여 냉정하고 이성적인 미술을 표방하는 기존 미니멀리즘을 넘어선, 보다 확장된 영역의 미니멀리즘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삶의 상처와 고통을, 그것을 추상 언어에 힘입어 예술 작품으로 승화시키고, 작품을 통해 자아의 정립을 추구함으로써 넘어서고자 하는 이러한 시도는 예술이 작가의 상처 치유와 자아 정체성 확립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데, 이러한 점들로부터 헤세의 미술이 가지는 특성과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approaches the works of Eva Hesse(1926-1970) as expressions of the artist's search for self-identity. When disease took the life of Hesse at the age of 34, Hesse was given the legendary title of "the Unfortunate Artist." This title gave way to various interpretation of her works as "sublime" in association with her extraordinary life; her escape from the Nazi regime, her mother's suicide, divorce from her husband etc.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btain necessary information from Hesse's personal life and approach her works not as an expression of her "tragic" life but to as an expression of some truer, deeper meaning not necessarily "legendary." Hesse's works were categorized as both Minimalist and post-Minimalist, having produced works in the 1960's in New York when Minimalism was the main trend. The repetition of geometric forms such as squares, grids and cubes show her engagement with Minimalism. But the organic and expressive forms and variations of repetitive units/structures show that Hesse had transcended the norms of Minimalism adding a very personal character to the works. Because of this, Hesse's abstract forms implicitly depict parts of the human body- hair, breast and phallus and recall the human body. This is then reinforced by her use of materials such as latex, glass fiber which can be associated with the touch of human skin. The fact that the human body appears as the main theme in most of her works from her early period to her most active period of production also provides great persuasiveness to this assumption. With this point in focus, this thesis seeks to interpret Hesse's works and her depiction of the human form in a new perspective. The human body is the medium in which a persona forms relationship with the world. It is also the primary location where one's experiences are impressed and the tool that is used in the expression of Self. Therefore, one could say the body is the primary site through which the one's self identity is manifested. In addition to this understanding of the body, this thesis proposes the human body in Hesse's work as being the arena in which the artist searches for her self identity based on the following facts: Unlike other Minimalist artists, through personal involvement in the production of her works, Hesse added to them her individual experiences and subjective opinions; To Hesse, art and life was one and the same. In art was life embodied; Hesse's diary and memos provide vivid examples of her efforts to transcend life's hardships and pain through redefined self-identity. Hesse implements in her works a double-sided method in her search and expression of Self, a probable result of the recognition and acceptance of the Self's contradictions along with life's absurdity through a series of incidents. Through the wounded body motifs, Hesse not only expresses her mental injury but also tries to find a way to come to terms with the pain. One can find this conflation of contradictory ideas and the search for newer understanding in the following motis also; 1. The expression of both the lack and abundance of the female body motif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female self. 2. The penetrating and bonding powers of the string motif to delve into the contradictions of human relationships. 3. Mixing contrasting abstract forms to depict the absurdity of life. Hesse's abstract forms of geometric shapes depict her personal experience and autobiographical understanding of life by implicit association with the human form. Hesse's methods open the possibility of endowing abstract forms with concrete and implied meanings: a post-Minimalistic suggestion that transcends the rational, clear-headed depiction of life advocated by Minimalist. The sublimation of pain and injury into Art, the acceptance of Self through the production of the art and the efforts to achieve this all contribute to the distinct quality and significance of Hesse's works.

      •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반응에 따른 자녀의 정서표현 신념과 정서표현 양가성

        노지영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의 정서표현 양가성과 정서표현에 대한 신념의 발달적 관련변인으로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유형을 살펴보고, 부모의 반응이 자녀의 정서표현 양가성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를 살펴보기 위해 이 둘 간의 관계를 정서표현에 대한 신념이 매개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지역 초등학교 6년 및 중학교 2,3년 418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AEQ-K), 정서표현에 대한 신념 척도(BEE),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유형 척도(CCNES-회고형)를 포함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유형이 자녀의 정서표현 양가성과 정서표현에 대한 신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부모의 비지지적 반응은 자녀의 정서표현 양가성과 정서표현 신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그 중 처벌이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정서표현에 대한 신념이 정서표현 양가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구체적으로, 관계-정서적 신념이 정서표현 양가성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셋째,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유형과 자녀의 정서표현 양가성의 관계를 정서표현에 대한 신념이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통해, 부모의 정서관련 사회화 행동 변인이 자녀의 역기능적 정서관련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능한 하나의 기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초등학교 교사의 수업전문성 발달 저해 요인 연구

        노지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사의 수업전문성 발달에 요구되는 조건에 비추어 초등학교 현장에서 교사의 수업전문성 발달을 저해하는 요인을 탐색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설문 및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연구는 교사의 수업전문성 개념 이해와 관련된 문헌 탐구, 수업전문성 발달 이해를 위한 합리적 접근, 반성적 접근, 공동체적 접근 관련 문헌 탐구, 수업전문성 발달에 요구되는 조건을 도출하기 위한 관련 문헌 탐구 등으로 이루어졌다. 설문 및 면담 절차는 다음과 같다. 설문은 350여명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수업전문성 발달 저해 요인’에 관한 견해를 단답식으로 적어 달라고 요청하였다. 면담은 서울시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원 21명(교사 18명, 교감 2명, 교장 1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이들과 수업전문성에 대한 인식에서부터 수업전문성의 발달 경험, 수업전문성 발달 조건, 수업전문성 발달 저해 요인 및 그것의 개선을 위한 노력 등에 관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관련 문헌을 검토한 결과, 수업전문성 발달에 요구되는 조건으로 교직문화 차원, 학교 조직‧행정 차원, 제도적 차원, 외부사회 차원에서 11개의 조건이 도출되었다. 첫째, 교직문화 차원의 조건은 ‘수업개선을 지향하는 문화’, ‘교사정체성과 도덕적 책무성을 키우는 총체적 문화’, ‘개별 교사들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개방적 문화’, ‘공동탐구가 활성화되는 협력적 문화’이다. 둘째, 학교 조직・행정 차원의 조건은 ‘학교의 학습공동체화’, ‘수업 실행·개발·연구를 포괄하는 수업연구조직화’, ‘학교장의 수업개선 리더십’이다. 셋째, 제도적 차원의 조건은 ‘수업개선을 위한 전문적 수업진단 정보의 일상적 지원’, ‘전 생애 발달 관점의 수업전문성 지원 정책의 강화’이다. 넷째, 외부사회 차원의 조건은 ‘수업전문성에 대한 존중과 발달에 필요한 자원 제공’, ‘디지털 네트워크 연결성 강화 및 협력적 파트너십 구축’이다. 수업전문성 발달에 요구되는 조건에 비추어 설문과 면담을 분석한 결과, 다음의 네 차원에서의 초등학교 교사 수업전문성 발달 저해 요인을 범주화할 수 있었다. 첫째, 교직문화 차원의 수업전문성 발달 저해 요인은 ‘낮은 수준으로 설정된 수업 실천 기준’, ‘저경력교사의 성장가능성을 억제하는 동료문화’, ‘수업개선과 관련된 개방적인 소통의 부재’로 범주화되었다. 둘째, 학교 조직‧행정 차원의 수업전문성 발달 저해 요인은 ‘우선순위에서 밀려 소홀하게 여겨지는 수업연구’, ‘학교관리자의 소극적인 수업개선 지원’로 범주화되었다. 셋째, 제도적 차원의 수업전문성 발달 저해 요인은 ‘수업역량 강화에 실패하는 연수와 장학 제도’, ‘형식적으로 이루어지는 수업 관련 평가 방식’, ‘교사를 압박하고 불안하게 하는 업무기제’으로 범주화되었다. 넷째, 외부사회 차원의 수업전문성 발달 저해 요인은 ‘교사의 수업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결여한 학부모’, ‘교사정체성과 수업몰입을 저해하는 과도한 대외 파트너십’으로 범주화되었다. 논의에서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수업전문성 발달 저해요인들이 교사들의 발달에 대한 의지와 열정을 꺾는 심리적인 측면이 있음에 대한 주목하여 논의하였고, 둘째, 교사의 수업전문성 발달 저해에 관하여 네 차원에서 저해요인과 발달 조건을 대조해가며 종합적으로 논의하였으며, 셋째, 교사들의 세대 변화에 따라 전체 교사의 절반에 이르게 된 이른바 MZ세대라는 새로운 교사들이 갖는 특성 및 면담에서 드러난 그들의 요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요구되는 수업전문성 발달 접근방법의 필요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 미술 감상을 통한 창의력 발상지도 프로그램 연구 : 초등학교 3학년 학생 중심으로

        노지영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술 감상을 통한 창의력 발상 지도를 통해 학생들은 표현활동에서 국한되었던 자기생각을 감상활동에서도 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고, 지루한 작품설명이 아니라 자기 주도적으로 수업에 임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개별 활동과 조별활동을 병행함으로써 학생들이 보고 느끼고 생각한 것을 토론하고 발표함으로써 다양한 생각을 공유하여 더 풍부한 상상력과 참신한 아이디어들을 표출할 수 있었다. 앞으로 미술감상 수업은, 학생이 자발적으로 탐구의 자세를 지닐 수 있도록 창의적 사고를 확장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또한 미술 감상을 통한 창의력 발상 수업설계는 학생들의 자기표현으로 곧 더 넓은 미술에 대한 시각으로 풍부해질 수 있도록 자극 되고 고무되어야 할 것이다.

      • 외국의 사례 분석을 통한 초등영어 몰입교육 적용 방안 연구

        노지영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mmersion education means to teach and learn subjects through a foreign language and the purpose of immersion education is to acquire foreign language skills and the context of the subject matter. Among all the languages of the world we especially try to perform English immersion education in our schools because English is the international language and greatly benefits our economical and political agendas. Immersion education provides a natural environment for acquiring a non-native language and helps develop cognitive flexibility, creativity and proliferating of thoughts through developing language skills. Immersion education has validity theoretically, in that it can develop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However, there is skepticism in regards to introducing immersion education. While there is an opinion that public English education will be beneficial through immersion education, there is also the opinion that we will enlarge the private English education market due to the inability of our teachers to teach completely in proper English and the students inability to fully understand. There is also the opinion that by simply placing English majors as teachers into the elementary school system, we will have enough English teachers. But in effect this will destroy our education system because we will be putting people who are only skillful in English and who do not possess the necessary qualifications to understand the students and their learning needs into the role of teacher. This debate can be seen as an opposition to the new education policy due to a general lack of understanding about immersion education, a poor school environment which is not ready for the new policy and no public consensus on the matter. Therefore, prior to the introduction of the new education system you have to draw a public consensus through collecting enough opinions from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We have to create an actual environment in which we can conduct immersion education through analyzing and adjusting our national curriculum. Furthermore it is essential to provide continual education and support to improve and maintain our teachers’ fluency in English. We call our world a global community.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are not the only skills we need to live in harmony with the rest of the world. We have to realize that not only do we need a mouth and ears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but also an open mind towards the rest of the world. We need to create for the students an immersion education system that is interesting to the students. In this way immersion education can be truly successf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