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의 신뢰 형성과 제도적 메커니즘의 역할에 관한 연구

        노윤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전자상거래 환경에서 제도적 메커니즘은 새로운 형태의 신뢰 대안 요소로 그 중요성이 크게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는 기존의 전자상거래 연구분야에서 역시 중요 개념으로 여겨지는 만족, 신뢰, 그리고 재구매 의도라는 선형적 관계에서 제도적 메커니즘의 다차원적 역할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사회인지이론(Social Cognitive Theory)을 바탕으로 하여, 전반적인 전자상거래 환경에 대한 제도적 메커니즘 인식(PEEIM: Perceived Effectiveness of E-Commerce Institutional Mechanisms) 개념과 특정 마켓플레이스 기반의 제도적 구조 인식(PEIS: Perceived Effectiveness of Institutional Structures)개념을 결합한 형태의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제도적 메커니즘의 역할에 대한 구분과 상황적 조건에서의 제도적 메커니즘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두개의 파트로 구분되어 진행되었다. 첫번째 파트에서는 PEEIM과 PEIS의 명확한 구분에 중점을 두고, 각 제도적 메커니즘이 온라인 업체의 신뢰 형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두번째 파트에서는 전자상거래에 내재하는 조건부적 제도적 상황에서 각각의 제도적 메커니즘의 영향력이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두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제시된 연구모형의 분석을 위하여 설문대행기관의 유료패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2018년부터 2019년까지의 오픈마켓 브랜드평가 결과에서 상위 순위와 하위 순위를 차지한 각각의 2개 온라인 업체에서 구매한 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온라인 상에서 진행되었다. 첫번째 파트는 상위 순위 온라인 업체와 하위 순위 온라인 업체를 결합한 총 467부의 데이터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두번째 파트는 상위 순위의 온라인 업체를 이용한 구매자는 제도적 상황이 긍정적인 집단으로, 하위 순위의 온라인 업체를 이용한 구매자는 제도적 상황이 부정적인 집단으로 설정하여 상위 집단에 속한 202개의 데이터와 하위집단에 속한 265개의 데이터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모형의 분석방법은 PLS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였고, 각 집단간 차이분석은 PLS-MG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첫번째 파트에서는 PEEIM과 PEIS가 각각 전체 온라인 시장 기반과 특정 마켓플레이스 기반의 제도적 메커니즘으로 작동하는지에 대해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PEEIM은 전체 온라인 거래 환경에서 PEIS는 특정 마켓플레이스 차원에서 운영되어 고객의 신뢰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PEEIM은 온라인 업체의 만족과 신뢰 관계에서 부(-)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신뢰와 재구매 의도 관계에서는 조절효과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연구의 두번째 파트에서는 전자상거래 환경에 내재하는 제도적 상황에 따라 제도적 메커니즘이 온라인 업체의 신뢰 형성과 고객유지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PEIS는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모두에서 신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한 반면 PEEIM은 이와는 다르게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에서 서로 다른 역설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위집단의 만족과 신뢰 관계에서 PEEIM은 부(-)의 조절효과를 나타내었고, 하위집단의 신뢰와 재구매 의도 관계에서는 정(+)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전자상거래 환경에서 제도적 메커니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전자상거래에서 구현되는 PEEIM과 PEIS라는 두 가지 차원의 제도적 메커니즘을 소개하였다.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이러한 메커니즘의 존재가 온라인 업체에 대한 신뢰를 구축하고 고객을 유지하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와 함께, PEEIM이 전자상거래 환경에 내재하는 제도적 상황에 따라 신뢰 구축과 온라인 거래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반면, PEIS는 어떠한 제도적 상황에서도 신뢰를 형성하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황적 조건이 부정적 영역에 처해 있는 전자상거래 환경에서 PEEIM은 고객의 신뢰가 구매의도로 연결되는 주요 영향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온라인 재구매 상황에서 만족과 신뢰 그리고 신뢰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제도적 메커니즘의 역할이 상황적 조건에 따라 다르며, 특정 마켓플레이스 차원의 제도적 메커니즘이 전체 전자상거래 환경을 아우르는 제도적 메커니즘과 연계되어 있다고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따른 이론적 그리고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노인의 사회적 지지 및 사회심리학적 요인에 따른 건강행태

        노윤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알아보고, 건강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요인 뿐만 아니라 사회심리학적 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서 노인의 건강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분포를 알아보았으며, 그 다음으로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사회심리학적 요인에 따른 건강행태를 알아보기 위해 X2-test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사회적 지지와 사회심리학적 요인이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배우자가 있는 노인에 비해 없는 노인은 흡연자의 비율이 1.906배 증가하였다. 그리고 앞으로의 생활수준 향상 가능성에 대한 주관적기대감이 높을수록 흡연자의 비율이 1.204배 증가하였다. 게다가 앞으로의 건강상태만족도가 높을수록 흡연자의 비율이 1.245배 증가하였다. 또한 사회모임에 참여하지 않는 노인은 참여하는 노인에 비해 음주자의 비율이 1.677배 증가하였다. 마찬가지로 사회모임에 참여하지 않는 노인은 사회모임에 참여하는 노인에 비해 주1회 이상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지 않는 비율이 1.400배 증가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볼 때, 노인의 사회모임활동은 적극 권장하되 친목, 여가, 동창회, 자원봉사와 같은 모임을 운동모임과 같은 성격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또한 배우자와 사별, 이혼한 노인에게 이성과의 건전한 만남주선을 통한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과 더불어 건강증진프로그램을 통해 금연에 대한 교육, 홍보, 상담 등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개인별 운동프로그램을 통한 초등학생의 健康體力 향상

        노윤호 한국체육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건강체력 향상을 위하여 12주간의 개인별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적용 전·후에 측정된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건강체력과 신체조성의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 차간의 유의성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T초등학교 5학년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각 62명과 66명씩 12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집단은 개인별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은 일상의 학교생활을 하였다. 개인별 운동프로그램은 12주의 운동 기간 동안 실시되었으며, 건강체력을 기르기 위해 줄넘기와 윗몸일으키기. 스트레칭 등을 실시하였으며 운동 전과 운동 후의 12주의 체력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얻었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인 Window/SPSS(ver. 13.0)을 사용하여 각 집단간 평균과 표준 편차를 구하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운동처치 시기별 전, 후 t-검정(t-test)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실험집단의 심페지구력, 근력과 근지구력, 유연성은 운동 전 후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실험집단의 개인별 운동프로그램 실시 전ㆍ후간 신체조성은 아주 작은 차이는 있으나 의미가 있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험집단의 줄넘기(심폐지구력) 운동 전·후간, 윗몸일으키기(근력과 근지구력) 운동 전·후간, 스트레칭(유연성) 운동 전·후간 건강체력은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험집단의 개인별 운동프로그램 실시 전·후간 신체조성은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줄넘기(심폐지구력) 운동 전·후간, 윗몸일으키기(근력과 근지구력) 운동 전·후간, 스트레칭(유연성) 운동 전·후간 건강체력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개인별 운동프로그램 실시 전·후간 신체조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개인별 운동프로그램 실시 전·후간 신체조성은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밝혀진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집단간의 심페지구력과 근력과근지구력, 유연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개인별 운동프로그램을 통한 심페지구력과 근력과근지구력, 유연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개인별 운동프로그램은 심폐지구력과 근지구력, 유연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으며, 학생들의 건강한 학교생활의기반이 되는 건강체력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ignificance between preliminary and post inspection of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nd body composition of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 by conducting individual exercise program to primary school students for 12 weeks and analyzing data of before and after applying this program.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128 students of fifth grade in Seoul T Elementary School, composing 62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and 66 in comparative group. Individual exercise program was conducted to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had routine school life. It carried out in 12 weeks of exercising period. Skipping rope , sit-up, and stretching were used for improving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nd we obtained the result by fitness test with before and after exercise. For analyzing data, we gained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group by using Window/SPSS(ver. 13.0) which is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nd executed t-test before and after exercise treatment by period in each group, and earned following result. First, cardiorespiratory fitness ,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and flexi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Second, the body composition of experimental group between before and after individual exercise program showed slight difference but resulted insignificant. Thir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of experimental group between before and after exercising skipping rope (cardiorespiratory fitness), sit-up(muscular strength and muscular endurance), and stretching(flexibility)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Forth, body composition of experimental group between before and after individual exercise program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Fifth,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between before and after exercising skipping rope (Cardiorespiratory Fitness), sit-up(muscular strength and muscular endurance), and stretching(flexibility). Sixth,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composi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individual exercise program. Seventh, body composition of both sex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individual exercise program in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With summing up above results, cardiorespiratory fitness , muscular strength & muscular endurance, and flexibility between each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tells that through individual exercise program, cardiorespiratory fitness, muscular endurance, and flexibility improved. Thus, this program brought positive effects on cardiorespiratory fitness, muscular endurance, and flexibility. And it is can be considered as capable of contributing improvement in health-related physical improvement, the basis of healthy school life.

      • 한국전쟁기 조선인민군과 중국인민지원군의 적대적 이미지

        노윤호 전남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deals with the hostile imaginations of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and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 Army in the Korean War, which was created by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S. Army. Previous studies on the Korean War have been mainly conducted from the political and social point of view. These studies are noteworthy in that they provide an analysis of war participants' behavior and cognition, but didn'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propaganda and agitation campaign. Some other related studies have examined propaganda strategies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S. Army in the Korean War, but they didn't consider how hostile targets were made or specify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and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 Army. Some previous studies featuring the similar content and theme dealt with the time period before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These critical minds need to study regarding how hostile targets were created in the Korean War. This paper aims to research the process of making up hostile targets, based on American propaganda leaflets, as well as newspapers and literary works of those times published in the Republic of Korea. Documents from both countries show differences in subject and format, but have similar represent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ose historical materials, the hostile imaginations of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and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 Army in the Korean War is able to be summarized as follows. They were represented as puppet armies run by the Soviet Union. More specifically, the two military forces were described as being armed with Soviet-made weapons and operated under the command of the Soviet Union for the realization of ‘Soviet imperialism’. In the process, both armies were downgraded to the sacrifices to the Soviet Union, and ended up being considered as puppets from slightly different times. This can be seen in the propaganda leaflets, which advertised that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became subjugated not only to the Soviet Union but also to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 Army, after the Chinese forces entry into war, saying railroads in North Korea were occupied by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 Army. Referring to both armies as puppet troops like aforementioned was meant to expel them from the nation. However, some people still recognized them common ethnic group.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S. Army, therefore, invented the armies' inhumane nature afterwards. The made-up inhumane nature of those armies was about causing damage to both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Human damage included family breakdown, death threats, and massacres of both civilians and soldiers, while the loss of material resources was expressed as plundering war goods and destroying public offices. The damage was demonstrated with quantity estimation, as well as visual imaginations. This propaganda campaign was to justify the death of those military forces. In order to prove the legitimacy, rumors saying the two armies were visited with punishment circulated; film screenings were held to provoke public outrage about them; and the viewpoint of humanity, liberty, and peace was introduced. As a result, throwing a hostile imaginations on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and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 Army in the Korean War was a cultural and political project to expel them from the nation and humanity, purpose of denying the characteristic of modern state of two countries,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nd China. This is the histor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 associated with the representation of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and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 Army, which was led by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S. Army in the Korean War. 본 논문은 대한민국 정부와 미군에 의해 만들어진 한국전쟁기 조선인민군과 중국인민지원군의 적대적 이미지를 살펴본 연구이다. 지금까지의 한국전쟁 연구들은 주로 정치 · 사회적 관점에서 시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들은 전쟁 당사자들의 행동과 인식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적이지만, 기존 연구의 선전 및 선동사업에 주목하지 않았다. 관련 연구들은 한국전쟁기 대한민국과 미군의 선전전략을 분석했지만 적대적 타자의 생산작업에 집중하지 않았거나 그 범주를 조선인민군과 중국인민지원군으로 구체화하지 않았다. 그리고, 이와 관련된 연구들은 자료의 내용 및 성격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었지만 연구 대상의 시기를 한국전쟁 이전으로 한정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들은 한국전쟁과 관련해서도 적대적 타자의 생산과 관련된 연구를 필요로 한다. 이에 본 논문은 대한민국 정부에서 생산된 당대의 신문들과 문학작품, 그리고 미군의 삐라를 활용해 한국전쟁기 적대적 타자 생산작업을 살펴보고자 한다. 양 측의 사료는 대상과 형태에서 차이를 보였지만, 표상전략과 관련하여서는 동일하였다. 이러한 사료들을 토대로 한국전쟁기에 드러난 조선인민군과 중국인민지원군의 적대적 이미지는 다음과 같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소련에 의해 움직이는 괴뢰의 군대로 재현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면, 이들은 ‘소련제국주의’의 실현을 위해 소련의 지휘를 받고, 소련제 무기로 무장한 군대였다. 이 과정에서, 양군은 소련의 희생제물로 격하되어 자신들의 괴뢰성을 지면상에 노출시켰지만 시기상에서 미세한 차이를 드러내었다. 이는 중국인민지원군 참전 이후 소련뿐만 아니라 중국인민지원군에게도 예속된 조선인민군, 구체적으로는 이들에게 북조선 철도를 장악당했다고 선전하는 삐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양군을 괴뢰의 군대로 표상한 정치적 저의(底意)는 이들을 민족(nation)의 영역에서 추방시키려는 데 있었다. 하지만, 몇몇 사람들은 조선인민군과 중국인민지원군을 같은 민족(ethnic)으로 인식하였다. 이에 대한민국 정부와 미군은 이들의 비인간성을 주조해야만 했다. 대한민국 정부와 미군에 의해 만들어진 이들의 비인간성은 인적 · 물적 피해를 유발하는 것으로 재현된다. 인적 피해는 가정의 파괴, 개개인에 대한 생명 위협, 민간인과 군인 포로의 학살로, 물적 피해는 전쟁물자의 약탈, 건물을 비롯한 공공기관의 파괴로 재현되었다는 특징을 지닌다. 그리고 이를 증명하고자 수량적 · 시각적 방법이 동원되었다. 양군을 대상으로 한 비인간화 표상의 정치적 목표는 이들의 죽음을 정당화하는 데 있었는데, 그 방법으로는 비인간적 행동의 대가로 천주(天誅)를 받았다고 이야기하는 것, 영화상영으로 이들에 대한 적개심을 유발하는 것, 인류 · 자유 · 평화의 관점에서 이들의 죽음을 정당화하는 것이었다. 결국 한국전쟁기 조선인민군과 중국인민지원군을 대상으로 한 적대적 이미지화는 이들을 근대의 영역인 민족과 인간의 세계에서 배제하는 문화정치적 작업이었고, 그 목적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국의 근대민족국가성을 부인하는 데 있었다. 이것이 한국전쟁기 대한민국 정부와 미군에 의해 나타난 조선인민군 및 중국인민지원군 표상의 역사·정치적 함의였다고 할 수 있다.

      • 자원순환형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업종간의 전·후방연관효과 분석

        노윤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1960년대 수출 진흥 정책으로 정부는 적극적으로 산업육성 정책을 펼치며 제조업을 발전시켰다. 이러한 제조업 육성은 전국에 크고 작은 산업단지들의 건설로 이어졌다. 그러나, 1980년대부터 발달하기 시작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첨단산업의 도의 전환 등으로 인하여 산업구조는 급격하게 변화하기 시작하였고, 기존에 수송비, 노동비 등 비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던 산업집적지는 산업, 기업 간의 연계효과가 핵심적인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하여 산업단지내에서도 상호간의 연계효과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약칭:산업집적법)을 통하여 산업단지 내의 산업집적효과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산업집적법의 과도한 규제와 산업단지의 노후화로 인하여 산업단지내의 산업집적효과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전·후방효과 분석을 통하여 자원순환형 산업단지 조성을 위하여 산업단지 입주업종 규제 변화의 필요성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현재 국가산업단지의 전·후방효과와 산업단지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제1업종을 분석하고, 유치업종 현황 조사를 통하여 산업단지별 현황에 대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산업연관 분석을 통하여 중분류 수준에서 업종별로 전·후방효과가 높은 산업들에 대한 분석 또한 함께 진행하였다. 이후 자원순환형 업종 유치시의 전·후방효과를 분석하였고 현재 전·후방효과와 비교분석을 통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 하였다. 현재·전후방효과가 낮게 나타나고 있는 산업단지들은 유치업종과 입주업종과의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ositive 방식의 입주업종규제를 하고있는 사업단지들은 특정 업종만의 입주를 허용하고 있어 빠른 변화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게 되며 그로인하여 전·후방효과가 낮게 나타나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Negative 방식의 입주 업종규제를 하고 있는 산업단지들은 대부분의 산업들의 입주를 허용 합으로서 산업단지내의 산업집적효과를 저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을 통하여 도출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Negative 방식의 업종규제보다는 세분화된, positive 방식의 업종규제보다는 좀 더 포괄적인 형태의 업종규제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로, 업종규제의 조정에 대한 검토를 주기적으로 시행하여 산업구조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산업구조의 변화와 발맞춰 기업들이 산업단지의 입·퇴주에 대한 제약의 완화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With export promotion policies in the 1960s, the government actively promoted industrial growth and developed manufacturing industries. The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led to the construction of industrial complexes across the country. However, the industrial structure began to change rapidly due to the development of ICT and high-tech industries that began to develop in the 1980s. Also, the industrial complex, which previously considered transportation and labor costs as a key factor, consider the linkage effect between industries and companies as a key factor. These changes have brought about the importance of the effects of mutual linkage within industrial complexes. To enhance the linkage effect between the industries, the government enacted the Industrial Aggregation Act. However, excessive regulation of the Industrial Aggregation Act and the aging of industrial complexes have been a factor that impeding the agglomeration effect in industrial cluster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need for regulatory changes on industrial complex tenants in order to create resource-cycle industrial complex, through analysis of the front and rear effects of national industrial parks. First of all, the research started with analyzing the front and backward linkage effects of the national industrial complex and the major industry, which account for the largest portion of each industrial complex,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each industrial complexes status. The analysis of industries with high forward and backward linkage effects was also carried out at the level of division by industry through the analysis of industry associations. Afterward, the front and rear effects were analyzed when the resource-circulating business was attracted,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deriv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current front and rear effects. The industrial complexes, which have a wide gap between the current linkage effect and ideal linkage effect have a huge difference between the hosting businesses and businesses with high linkage. Industrial complexes that adopt the Positive method of restricting businesses to enter complex are not able to cope with rapid changes because they allow only certain businesses to enter, which reduces linkage effect in the complex Industrial complexes with negative business regulations allow most of the industries with some exceptions, which impeding the agglomeration effect. Policy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more comprehensive forms of industry regulation are likely to be needed than positive or negative method. Second, I think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adjustment of industry regulations periodically to proa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Lastly, it is necessary for companies to ease restrictions on entering and leaving industrial parks in line with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 한국 퇴직연금제도의 유효성 증대 방안 연구

        노윤호 충북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Since the inception of ERBSA(Employee Retirement Benefit Security Act) in Korea, many companies began adopting retirement pension. Especially, the companies which have been running R.I or R.T(Retirement Insurance/Retirement Trust) are very keen to convert them into retirement pension. Due to the year-end extinction of tax-exemption which has been given to R.I and R.T, they cannot help taking the conversion into active account.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corporate pension adoption, they can keep getting tax-exemption after 2010 as same as before. That is the first reason why corporate should consider adopting retirement pension. As of June, 25. 2010, about 20% of the whole companies in Korea have already chosen corporate pension and considerably more companies are expected to newly subscribe to it until the end of this year. The scale of accumulated amount of retirement pension is predicted to reach about 25 trillion won, showing 80 percent net growth only this year. In fact, considering drastic socio-demographic change, companies need to more actively prepare for faultless retirement plan for their employees. As widely known, Korea will be plagued with the side effects resulting from low fertility rate and population aging in the forseeable future. Those two primary hurdles are attributed to the bigger necessities of more affirmative adoption of retirement pension by the corporations. Despite the magnitude of serious situation, for the past 4years since the onset of retirement pension in Korea, the companies have not optimized specific type and concrete contents for retirement pension they picked. Their mere interest lied in fulfilling the lowest legal limit imposed by the government authorities such as 8.3% contribution of annual salary and 60% external funding of DB. They were the most basic and minimum requirements forcibly conducted by legal binding. As the case stands, when we look over the reasons and the status of why and how the companies are implementing retirement pension, much remains to be corrected and added from wholly different perspective. Advancing from the minimum fulfillment of legal limit such as 8.3% contribution and formal acquisition of employee agreement, the companies ought to think how they will develop and better employee welfare by the help of retirement pension. Implementing retirement pension regardless of industry type which the company belongs to, average annual wage increase rate and service period of total employees will only result in defective employee welfare system. Breaking from the prevalent convention, the companies need to think about the real effectiveness of retirement pension implementation. To enlarge the employee welfare and morale enhancement which will bring about productivity improvement and increase of corporation value, active reflection of specific work situation should be made in implementing retirement pension. In this respect, hybrid type of retirement pension which can reflect company circumstance should be made use of along with existing DB & DC. The government, labor, and business should participate in collecting better ideas and drawing up new policies in order to lead current retirement pension system into more powerful and effective employee welfare t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