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구스타프 말러(Gustav Mahler) 교향곡 제 2번 c minor 'Resurrection' 분석 및 연구

        노영훈 동의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on Gustav Mahler(1860∼1911)’s Symphony No. 2 is to help conductors achieve a highly completed and balanced performance by acquir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mposer’s musical worldview and therefore taking better advantages of his intentions. The peculiar musical features in Symphony No. 2 are closely related to Mahler’s historical background and contemporary music movement in the late 19th century, when this symphony was composed. His original features include endless variation types in the structures, which are shown in tables, extended and large scaled orchestration, quotes of motifs, vocal music applied to symphony, Lied melody arranged to orchestral music, sudden transitions, and the special melodies in the last movement; and all of these accomplishes Mahler’s transcendent characteristics. The religious motifs such as “Dies Irae”(the day of wrath), Cross motif, and Resurrection motif are elaborated throughout all the movements. To make these motifs more effective, Mahler uses many unconventional devices such as ensembles behind the stage, expansion of dynamics, and arrangement of choir and solos, which present the theme more delicately and beautifully. Mahler’s Symphony No. 2 is a spectacular piece among the frequently played. The essentials in preparing to play Mahler’s Symphony No. 2 are techniques and articulation, understanding of Mahler’s philosophical thoughts, and range of dynamics. This study helped to learn Mahler’s intentions in his commitment to this work of novel devices to express the difficult theme; therefore, this study of Mahler’s Symphony No. 2 has academic significance because it reflects an artistic style and theme that has vision. Not a lot of research on Mahler’s Symphony No. 2 has been done,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performances of it. I hope there will be more research. 이 논문은 구스타프 말러(Gustav Mahler, 1860∼1911)의 <교향곡 제 2번>에 대한 연구이다. 말러의 <교향곡 제 2번>을 연구한 주된 목적은 작곡가의 음악적 세계관을 이해하고 작곡가의 의도를 잘 파악함으로써 오케스트라 지휘자가 보다 완성도 높은 연주를 할 수 있도록 기여하기 위함이다. 그의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이론적 배경에서 말러의 생애를 찾아보고, <교향곡 제 2번>을 작곡한 시대적인 배경을 통해 작곡이 이루어진 배경을 소개하고, 말러가 작곡한 교향곡 전체의 구조를 표로 서술한다. 말러의 특징이라고 말할 수 있는 확장된 관현악 편성과 모티브의 인용, 교향곡에서의 성악 인용들을 소개하고, 또한 가곡선율을 관현악곡으로 편곡한 것과 작곡기법이 전통을 탈피하려는 시도 즉 예비 없이 바로 전조되는 것과이 곡의 표제적 성격을 띤 마지막 악장의 선율적 특징과 여러 모티브들을연구 하였다. 진노의 날 모티브, 십자가 모티브, 부활 모티브 등의 종교적인 모티브가 전 악장에 걸쳐서 인용되었음을 보았다. 이와 같은 모티브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말러는 무대 뒤의 앙상블, 음량의 확장, 합창과 독창의 적절한 배치 등의 혁신적인 장치들을 사용함으로써 주제가 더욱 섬세하고 아름답게 표현 되었다. <교향곡 제 2번>은 오늘날 많은 오케스트라가 연주를 시도하는 스펙터클한 교향곡이다. 이 곡을 연주하기 위해 연주자들에게 요구되는 것은 다양한 테크닉과 섬세한 표현력, 말러의 철학적 사고에 대한 이해, 그리고 능숙한 다이나믹 등이다. 말러가 어려운 주제를 택하여 오랜 시간 고민하며 여러 가지 혁신적인 장치들을 시도했음을 알게 됨으로써 작곡가의 의도를 이해할 수 있었다. 그런 점에서 예술적 측면이나 주제 면에서 다분히 미래지향적이었던 말러의 <교향곡 제 2번>에 대한 연구는 학문적 의의가 있다. 지금까지 말러 <교향곡 제 2번>이 많이 연주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작품에 대한 연구는 부족 했다. 앞으로 보다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 인공지능 기반 자연어 처리를 이용한 자동 학술 영문 교정 방법론

        노영훈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공지능 기반의 자연어 처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자연어 처리 기술을 접목한 컴퓨터 보조 언어 학습 연구가 진행되었다. 실제로, 이러한 연구들은 사용자가 에세이, 이메일 비즈니스 문서 및 학술 논문과 같은 영어 문서를 작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영문 교정은 일반적인 영어 문장을 기반으로 연구되어, 격식을 갖춘 문체 사용과 전문적인 기술 용어를 사용하여 정확하고 명확하게 문장의 의미를 표현해야하는 학술 영문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교정 결과를 제공한다. 또한, 다수의 기존 연구는 문장의 문법적 완성도 향상을 위한 연구로서, 교정을 통한 문장 전달력을 향상 시킬 수 없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전문적인 기술 용어 사용을 기반으로 문장의 명확한 의미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학술 영문을 위한 자동 학술 영문 교정 방법론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론은 오탈자 교정과 문장 전달력 개선 두 가지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오탈자 교정 단계에서는 입력된 오탈자와 문맥에 따라 적합한 교정 단어를 제공한다. 문장 전달력 개선 단계에서는 원문과 교정문의 쌍으로부터 학습할 수 있는 양방향 Recurrent Neural Network(RNN) Automatic Post-Editing(APE) 모델을 기반으로 입력된 문장의 전달력을 개선한다. 제안 방법론의 유효성을 증명하기 위해 실제 교정 데이터를 이용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을 통해 제안 방법론의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제안 방법론은 학술 영문 작성 중 발생하는 오탈자 교정과 불명확한 문장의 전달력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학술 영문 작성의 어려움을 가진 학술 연구자가 효율적인 학술 영문 작성과 완성도 높은 학술 논문을 작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y, computer-aided language learning research incorporat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y has been conducted. These studies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users write English-language documents such as essays, email business documents, and academic manuscripts. However, the existing English proofreading services are researched based on general English sentences, so they provide correction results that do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English, which must accurately and clearly express the meaning of sentences using formal style and technical terms. In addition, since a number of existing studies are researched for improving the grammatical completeness of sentences, there is a limit in that sentence fluency cannot be improved through proofreading.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n automatic academic English editing methodology for academic English for the purpose of delivering clear meaning of sentences based on the use of technical terms. The proposed methodology consists of two phases: editing misspells and improving sentence fluency. In the misspelling correction phase, an appropriate correction word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input typo and context. In the fluency improvement phase, the fluency of the input sentence is improved based on the Bidirectional Recurrent Neural Network (BRNN) Automatic Post-Editing (APE) model that can learn from the pair of the original sentence and the edited sentence.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ology,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actual English editing data, and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methodology was verified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The proposed methodolog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edit typos that occur during academic English writing and improve the fluency of unclear sentences.

      • 흉부영상에 있어서 산란광자 제거 간접형 평면검출기의 효율성 평가

        노영훈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Evaluation of anti-scattered CsI image detector in chest radiographyName : Young Hoon RohDepartment : Bio-convergence EngineeringThesis Advisor : Prof. Jungmin Kim, Ph. D.Scattered radiation is the main reason for the degradation of image quality and the increased patient exposure dose in diagnostic radiology. In an effort to reduce scattered radiation, a novel structure of an indirect flat panel detector has been proposed. In this study, a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novel system in terms of image contrast as well as an estimation of the number of photons incident on the detector and the grid exposure factor were conducted using Monte Carlo simulations. The image contrast of the proposed system was superior to that of the no-grid system but slightly inferior to that of the parallel-grid system. The number of photons incident on the detector and the grid exposure factor of the novel system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parallel-grid system but lower than those of the no-grid system. The number of photons that were incident on the detector was calculated for each system under the same exposure conditions. The number of photons for the no-grid system was 1.55 times higher than that for the proposed system, and it was 2.98 times higher than that for the parallel-grid system. The incident photon number of the proposed system was 1.92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parallel-grid system. The grid exposure factor was calculated as the reciprocal of the number of photons incident on the detector and was normalized by that of the no-grid system. The grid exposure factor of the parallel-grid system was 2.98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no-grid system, while the grid exposure factor of the proposed system was 1.5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no-grid system. As the simulated number of photons incident on the plane of the detector included the scattered radiation and the primary radiation, it must be divided to derive the scattered and primary radiation rates. On the basis of a previous study [6] that determined the scatter fraction for each system, we estimated the ratio of the primary and scattered photons that were incident on the plane of the detector under the same exposure conditions The total number of incident photons for the no-grid system was approximately twice that of the proposed system. However, the primary photons that are arriving at the detector are equivalent in both the systems under the same exposure conditions. Furthermore, the total number of incident photons in the parallel-grid system was the lowest, with fewer primary and more scattered photons than those of the proposed system. Therefore, the proposed system can maintain a stable number of primary photons even if the total number of incident photons is reduced; it can also reduce the number of scattered photons more effectively than the parallel-grid system under the same exposure condit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system is advantageous for reducing the radiation exposure dos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proposed system can benefit the patient in terms of reducing the exposure dose while maintaining image quality. The proposed system exhibited the potential for reduced exposure dose without image quality degradation; additionally, can be further improved by a structural optimization considering the manufacturer’s specifications of its lead contents.

      • 軍事機密 保護와 국민의 情報公開請求權

        노영훈 高麗大學校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역사적으로 한 국가의 군사기밀을 포함한 국가기밀이 적국 및 잠재적 적대국에 유출되었을 경우 그 피해는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심각하다. 물론 국가존립 자체에도 심대한 악영향을 주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온전히 보전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불상사를 예방하기 위해 모든 국가에서는 군사기밀을 보호하기 위한 법적인 근거 마련 등 만반의 대책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군사기밀 보호법」을 제정하여 비인가자의 군사기밀 탐지ㆍ수집과 그 취급자의 누설 등 범죄에 대해 처벌토록 규정하고 있다. 군사기밀 보호 못지않게 중요한 국민의 기본권은 알권리이다. 이를 위해 정부에서는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공공기관이 보유ㆍ관리하는 정보를, 국민의 알권리 보장을 위하여, 모든 국민에게 적극적으로 공개토록 하고 있으며, 아울러 정보공개를 청구하는 모든 국민의 권리가 존중될 수 있도록 공공기관에 의무를 부여하고 있다. 또한, 「군사기밀 보호법」상 국민의 정보공개 청구 시에도 공개가 가능하다. 군사기밀을 지정한 자는 군사기밀로서 계속 보호할 필요가 없게 된 때에는 지체 없이 그 지정을 해제토록 규정되어 있고, 국방부장관 또는 방위사업청장은 자발적으로 1) 국민에게 알릴 필요가 있을 때, 2) 공개함으로써 국가안전보장에 현저한 이익이 있다고 판단될 때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군사기밀 공개가 가능하며, 일반 국민들도 군사기밀의 공개를 국방부장관에게 문서로써 요청할 수 있다. 이처럼 군사기밀의 보호 측면과 공공정보의 공개 측면은 상호 법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마치 창과 방패와 같이 어떤 측면으로 보면 공개하느냐 보호하느냐라는 상호 상충된 모순 속에 있는 듯하다. 문제점은 양자 모두 이러한 법적인 체계가 구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군사기밀은 지속 유출되어 국가안보를 위협하고 있고, 언론과 국민들도 국민의 알권리라는 명분하에 만족하지 못하고 좀 더 많은 군사정보를 지속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군사기밀 보호와 국민의 정보공개청구권이라는 양자 모두의 중요성을 인식한 가운데, 법적ㆍ제도적 취약점을 비롯하여 관련 논문, 행정자치부 연차보고서, 군사기밀 유출 및 공공정보 공개 현황ㆍ사례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한 국가의 존립과 국민의 생명ㆍ재산에 직결되는 군사기밀의 보호는 마땅히 보호되어야 마땅하다. 그러나 군도 국민의 정당한 절차에 따른 정보공개 요청 시 군사기밀이라는 이유만으로 검토조차 하지 않는 것은 부당하다. 해당 비밀이 과도하게 비밀로 지정되었는지를 비밀생산 부서 실무자에게 의견을 묻고 외부 공개 시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 비밀의 해제 등을 검토하여 국민에게 공개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방산업체 관계자 및 일반 국민들 또한 정상적인 절차에 따라 해당 군사기밀에 대한 요청을 할 수 있으나, 국방부에서 해당 군사기밀의 비공개 결정에 불복하여 불법으로 군사기밀을 탐지ㆍ수집하는 등의 국가안보 근간을 흔드는 행위를 지양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국가안보라는 큰 틀에서 군사기밀 보호의 중요성을 인식한 가운데 장병 및 방산업체 관계자를 비롯한 일반 국민들의 보안의식이 확립되어야 한다. 아울러 군도 주요 군사작전 상황 발생 시 공개해도 되는 정보는 국민의 알권리 해소를 위해 적극적인 공보활동을 전개하여 불필요한 오해나 안보불안감을 조성하지 않도록 노력하는 등 올바른 군 공보정책 수립ㆍ시행이 필요하다. 언론사 기자들 또한 특종의식과 한탕주의로 취재한 군사기밀을 특종으로 보도하거나, 추측성 왜곡ㆍ과장된 보도로 인해 대군 불신을 유발하는 행위를 근절해야 한다. 변화하는 정보화시대에 발맞추어 장병들을 비롯한 일반 국민들의 철저한 안보의식 확립과 함께, 국방부에서도 과도하게 지정된 군사기밀은 검증을 통해 국가안보에 문제가 없는 내용은 공개하려는 노력이 상호 조화를 이룰 때 군사기밀 보호와 국민의 정보공개청구권은 상충된 문제가 아니라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발전할 것이다.

      • 심장 중재적 시술에서 진단참고수준 산출 및 의료진의 피폭선량 관리에 관한 연구

        노영훈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대인의 의료수준이 발전함에 따라 대한민국 국민 1인당 연간 피폭선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9년 기준, 대한민국의 1인당 연간 의료 피폭 방사선량은 2.4 mSv로 2016년 1.96 mSv보다 22.4% 증가하였으며, 의료방사선 평균 검사 건수 또한 2016년 6.1건에서 2019년 7.2건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방사선 중재적 시술은 총 의료방사선 검사 건수의 9.4% 수준의 검사 건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피폭선량은 25.5%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방사선 검사 항목 중에서도 중점적인 환자선량 관리가 필요한 검사이다. 카테터 기반의 중재적 시술은 1930년대에 도입되었으며, 수술에 비해 작은 침습성으로 통증감소, 입원 기간 단축, 비용 절감 등의 장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관상동맥을 진단하는 시술은 대퇴동맥(Femoral Artery: FA) 또는 요골동맥(Radial Artery: RA)을 천자하여 카테터를 삽입하고 조영제를 주입하여 질환을 진단하며, 풍선 확장 또는 스텐트 삽입과 같은 시술로 질환을 치료한다. 이러한 시술 중에 발생하는 일차선과 산란방사선에 의해 환자와 의료진 모두 방사선에 피폭된다. 또한 방사선 중재적 시술은 환자의 국소부위에 지속적으로 방사선을 조사하고 그 산란선이 의료진에 전달되는 구조이므로 환자선량 관리와 더불어 의료진의 선량관리가 필요하다. 중재적 시술의 피폭선량은 환자의 병변의 복잡성, 의료진의 숙련도, 혈관조영장치의 촬영조건, 개인 보호구 착용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환자와 의료진의 피폭선량이 좌우될 수 있기 때문에 타 방사선검사와 비교하여 방사선 피폭선량 관리가 중요시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심장 중재적 시술에 대하여 환자 및 의료진의 선량관리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 번째 환자 피폭선량 관리를 위한 연구로, 심장 중재적 시술의 대표적인 시술에 대한 진단참고수준(Diagnostic Reference Level: DRL)을 도출하였다. 심장 중재적 시술의 대표적인 시술인 심장조영술(Coronary Angiography: CAG)와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시술을 대상으로 국내 9개의 심혈관센터의 1,071건(CAG 792건, PCI 279건)의 시술 데이터를 활용하여 진단참고수준을 도출한 결과 CAG 시술의 75% 진단참고수준은 47.0 Gy·cm2, PCI 시술은 171.3 Gy·cm2으로 확인되었다. 두 번째, 의료진의 선량 관리 연구로 임상환경에서 의료진이 노출되는 방사선량을 팬텀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실제 환경에서 의료진이 노출되는 선량은 여러 요인을 통제한 팬텀 실험으로 정량화하였고, 시뮬레이션으로 의료진의 방사선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중재적 시술에서 의료진의 선량에 관여할 수 있다고 예상되는 혈관 천자법, 시술 시 환자에게 조사되는 엑스선관 각도, 개인 보호구(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착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팬텀 실험 및 시뮬레이션에서 혈관 천자법에 따른 선량 분포를 확인한 결과, 대퇴동맥 천자법(Femoral Artery Puncture: FAP)이 요골동맥 천자법(Radial Artery Puncture: RAP)보다 10% 낮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심장 중재적 시술 중 환자에게 조사되는 엑스선관 각도에 따라 의료진 선량을 가장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는 각도는 좌전사위(Left Anterior Oblique: LAO)와 머리쪽(Cranial, CRAN) 각도였으며, 개인 보호구 착용에 따른 의료진의 방사선량을 분석한 결과, 납 안경, 갑상선 보호대, 방사선 방호용 앞치마 등의 개인 방사선 보호구를 착용했을 때의 의료진의 피폭선량이 개인 보호구를 사용하지 않는 것보다 84.5% 감소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혈관조영장치의 촬영상태 관리기능(Modality Performed Procedure Step: MPPS)의 환자선량 출력값으로 의료진의 선량을 추정할 수 있는 환산계수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심장 중재적 시술의 환자 및 의료진의 방사선량 관리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첫 번째로 환자 피폭선량을 관리방안으로 심장 중재적 시술의 진단참고수준의 제정과 활용이다. 방사선 시술 및 검사에 대한 진단참고수준은 질병관리청 가이드라인으로 발행하고 있지만 심장 중재적 시술에 대한 진단참고수준은 누락되어 관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진단참고수준이 활용된다면, 환자 피폭선량 수준을 파악하고 개선하는 지표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두 번째로 방사선 중재적 시술에서 환자와 의료진의 방사선 방호를 위한 실행계획(action plan) 사용을 권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실행계획을 지킴으로서 환자와 의료진 모두의 선량 저감화에 기여할 수 있다. 세 번째로 DICOM을 활용한 선량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환상계수를 활용한다면, DICOM RDSR에서 추출한 환자 정보만으로도 추가적인 측정 없이 의료진의 선량을 추정하고 관리 할 수 있는 시스템 구현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심장 중재적 시술에서 환자선량 데이터 분석, 팬텀 실험 및 시뮬레이션을 바탕으로 환자 및 의료진의 피폭 방사선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물이 의료방사선의 효율적 관리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As modern medical level advancements, the annual medical radiation exposure dose of Koreans continue to increase. As of 2019, the annual medical radiation exposure dose per capita in Korea was 2.4 mSv, up 22.4% from 1.96 mSv in 2016, and the average number of medical radiation exams also continues to increase from 6.1 in 2016 to 7.2 in 2019. In particular, the radiation intervention exam is 9.4% of the total number of medical radiation exam, but the exposure dose accounts for 25.5%, so it is one of the radiation exam that require intensive patient dose management. The catheter-based interventional procedure was introduced in the 1930s and has been widely used because of advantages such as small malignant invasive, reduced pain and risk, shorter hospitalization and reduced cost compared to surgery. Coronary angiography is a techniques after contrast agents have been injected via a catheter through femoral or radial artery, and perform procedures such as balloon dilation or stent insertion. Such procedures inevitably expose the radiation to patients and medical staff. In addition, since radiation intervention procedures continuously irradiate the patient's local area and its scattered radiation is transmitted to the medical staff, occupational exposure management is strictly required with patient dose management. The radiation exposure dose for interventional procedures depends on various factors such as the complexity of the patient's lesion, the proficiency of the medical staff, the exposure conditions of the angiography device, and the wearing conditions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he management of radiation exposure dose is emphasized compared to other radiation exams. Therefore, the study on dose management of patients and medical staff was conducted in cardiac interventional procedure. First, as a study for patient exposure dose management, the diagnostic reference level(DRL) for coronary angiography(CAG) and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PCI) was calculated using patient radiation exposure data of 1071 examination (CAG 792, PCI 279) collected from 9 Korean cardiac centers The 75th percentile DRL of the total KERMA area were 47.0 Gy·cm2 and 171.3 Gy·cm2 in CAG and PCI. Second, occupational exposure for medical staffs in the clinical environment was analyzed through phantom experiments and simulations. The occupational exposure in the clinical environment was quantified by a phantom experiment, and the factors that increase the occupational radiation dose were analyzed by simulation stud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occupational exposure such as artery puncture position, X-ray tube angle, wear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were analyzed. According to artery puncture position, occupational radiation dose at femoral artery puncture position was 10% lower than that of those at radial artery puncture position. The major angle to increase scattered radiation were left anterior oblique(LAO) and crania(CRAN). and when wear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uch as lead glasses, lead apron and thyroid protector, occupational radiation dose was 84.5% compared to when not worn. In addition, a conversion factor that estimates the occupational radiation dose was derived from the patient air KERMA of modality performed procedure step(MPPS). In this study, radiation dose management methods for patient and medical staff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First, determination and utilization of DRL in cardiac interventional procedures in the each medical facilities for patient radiation management. The DRL for interventional procedures and radiation exams is issued under guidelines of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but the DRL for cardiac interventional procedures is omitted. Therefore if the DRL for cardiac interventional procedures determinated in this study is used, it can be used as index to identify and improve the level of patient radiation management. Second, the action plan for radiation protection of patient and medical staff was recommended cardiac interventional procedure. By complying the action plan in clinical field, it can contribute to reduce the patient and occupational exposure. Third, radiation dose management system using DICOM RDSR was proposed. Occupational exposure can be calculated and managed without additional measurement only with patient dose information extracted from DICOM RDSR using the results in this study, and if the radiation management system for medical staff and patient is managed by government agencies, medical radiation lifetime management for entire nation is possible. This study aim to present the effective method for managing radiation exposure of patients and medical staff based on patient dose data analysis, phantom experiments, and simulations in cardiac interventional procedure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advance of medical radiation management.

      • 탈주체 전략으로써의 '비-장치' 개념에 관한 작품연구

        노영훈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힘들과 관계하고 있는 주체에 대한 탐구로, 현대의 주체를 불확정성과 우연으로부터 비롯된 불안을 기반으로 설립되었음을 밝히며, 장치 개념의 사유를 통해 예술 권력과 제도를 비판한다. 오브제의 사용과 관련하여 연구자의 작품은 레비-스트로스의‘지적 브리꼴라주’와 동류 개념으로써 객관적 우연과 만남이 사건을 유발하는 생성으로 이해하는 과정이 된다. 불안의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키에르 케고르로부터 프로이트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삼아 심리적 불안이 각각 자유의지에서 오는 절망감과 에고자체를 불안의 원천으로 기술한 점에 주목했다. 또한 볼프강 조프스키가 질서의 무질서화로 인한 불확정성을 사회적 불안의 원인으로 지목하고, 지그문트 바우만이 언급한 파생적 공포가 사회에서 소비되는 메타공포로 확장됨을 밝혔으며, 연구자의 작품에서 보이는 조형적 불안이 주체의 심리적이고 사회적인 불안과 고통을 개념적으로 전유하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주체와 관련하여 서구적 주체가 형성되는 과정의 역사적 기술을 통해 이성과 합리성에 대한 절대적 신뢰가 현대적 주체에게서는 파괴되는 양상으로 드러나고 있음을 밝혔다. 이와 관련하여 푸코가 주체를 지식과 권력의 그물망에 갇혀 있는 주체로 구상하여 자기배려라는 사회적 실천의 영역으로 이끌었다는 점에서 연구자가 논의하고 있는 주체가 이론적 분석의 고려 대상일 뿐만 아니라 현실과 관계한 주체임을 명확히 하였다. 이와 비교하여 브르디외는 아비투스를 체화된 무의식적 주체의 원인개념으로 보았는데 예술도 같은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아서 단토의 예술계와 조지 디키의 예술제도론을 기술한 연구자는 권력과 장치를 한 쌍으로 취급하여 연구자의 조형작업에서 비판의 대상으로 삼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연구자의 작품에서 주체는 자신도 모르게 응시에 포획되는 힘에 의해 ‘허구적 주체’로 변용되고 있다. 한편으로 힘들의 관계에 대한 감응의 방식으로 신체를 해석한 니체로부터 연구자는 힘의 개념을 예술 창작의 내적 원동력으로 파악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아감벤으로부터 푸코를 사유하여 권력과 지식, 종교와 정치가 인간을 배치하고 분류하는 그물망으로써 장치개념에 포괄적으로 적용되어 인간주변을 배회하는 모든 것이 장치가 될 가능성을 기술하였다. 연구자는 반-장치라는 전략적 의도를 통해 장치에 포획된 주체가 비-장치로 이행하며 연구자의 작품에서 무기라는 소재가 주체를 자각하게 만드는 비-장치로 사용되었음을 명시하였다. 한편으로 메타 픽션의 요소를 연구자의 작품에 적용한 지점이 금속거울을 통해 주체가 분리되는 지점이었고, 이를 통해 작품에 현전하는 주체를 허구적 주체로 규정할 수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 연구자가 전유로부터 재-전유를 분리시켜 사용하는 것은 예술권력의 사적사용을 공통의 사용으로 돌려 장치의 권위를 무화하려는 연구자의 전략임을 밝혔다. 특히 시간적 지연을 토대로 한 현기증적인 거리 두기가 관람자를 반성적 영역에 속하게 하여 매 순간 주체를 포획하고 있는 조형장치로부터 탈주시킬 가능성을 열어두었으며, 예술의 내재성과 외재성의 확장 가능성을 동시에 용인하고 있음을 기술하였다. 결론적으로 연구자가 작품에서 허구적 주체를 견고한 세상으로 복귀시키려는 끊임없는 시도를 비-장치 개념의 층위에서 사용하고 있음을 본고를 통해 규명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