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 수학 교과서 삽화 분석 : 2, 4, 6학년 수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노미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서 개발된 초등 수학 교과서 2, 4, 6학년의 수와 연산 영역에 제시된 삽화를 내용과 역할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초등 수학 교과서 삽화의 교수·학습적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시하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수학 교과서에 수록된 학년별 삽화의 제시 비율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 수학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삽화의 종류에 따른 삽화 분포 경향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 수학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삽화의 내용에 따른 삽화 분포 경향은 어떠한가? 넷째, 초등 수학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삽화의 역할에 따른 삽화 분포 경향은 어떠한가? 다섯째, 수와 연산 영역의 초등 수학 교과서 삽화가 적절하게 제시되었는가?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초등 수학 교과서 5권(수학 2-1, 수학 2-2, 수학 4-1, 수학 4-2, 수학 6-1)의 수와 연산 영역의 삽화를 분석하였다. 삽화의 종류를 4가지(그림, 도표, 그래프, 사진)으로, 삽화의 역할을 5가지(동기 유발, 활동 안내, 자료 제시, 개념, 확인의 역할)으로, 초등 수학 교과서의 삽화 내용을 3가지(필수적인 내용, 보조적인 내용, 장식적인 내용)으로 나누어서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뿐만 아니라 수학 교과서의 삽화가 학습 내용과 역할에 대하여 적절한지 알아보기 위해서 표현상의 오류, 삽화 표현의 오류, 아동 생활상의 문제, 소재의 잘못된 선정에 따라 판단하여 적절한가 여부를 O, X로 기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삽화의 제시 비율이 학년군이 올라감에 따라 줄어들었다. 이는 아동 발달 단계를 고려할 때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서 언어적인 독해력과 추상적 사고력이 발달되어 수학적인 지식과 문제 상황을 이해함에 있어서 삽화를 이용한 시각적인 방법보다는 문자 언어를 이용한 방법을 이용하였기 때문이다. 둘째, 삽화의 내용을 장식적인 내용의 삽화, 보조적 내용의 삽화, 필수적 내용의 삽화로 분석할 결과 보조적인 내용의 삽화, 필수적인 내용의 삽화, 장식적인 내용의 삽화 순으로 제시 비율이 많았다. 초등 수학 교과서의 학년, 학기별 삽화 내용은 특징적인 변화는 없었지만 2학년이나 4학년의 수학 교과서의 필수적 내용의 삽화 비율보다 6학년 수학 교과서에서는 필수적 내용의 삽화 비율이 많이 줄어들었다. 셋째, 삽화의 역할을 동기 유발, 활동 안내, 자료 제시, 개념, 확인의 역할으로 분석한 결과 동기 유발 역할의 삽화, 자료 제시 역할의 삽화가 가장 많이 제시되었다. 학년별로 삽화의 역할을 분석해본 결과 확인 역할의 삽화의 비중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동기 유발 역할의 삽화의 비중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대체적으로 높이지는 경향을 보이며, 6학년 수학 교과서 삽화에서는 활동 안내 역할의 삽화와 개념 역할의 삽화는 전혀 제시가 되지 않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삽화가 적절하게 잘 제시되었나를 분석한 결과 삽화에서 표현상의 오류, 삽화 표현의 오류, 아동 생활상의 문제, 소재의 잘못된 선정 등과 같은 오류가 발견되었다. 삽화가 우리 생활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사물을 사실과 달리 표현하였거나 중심이 되는 사물을 명확하게 표현하지 못하거나 학습 문제와 삽화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나 삽화의 내용이 아동의 실제 생활과 뚜렷한 관계가 없거나 아동들이 쉽게 이해하고 활동하기 어려운 내용을 담고 있는 삽화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삽화의 내용적 측면에서 필수적인 내용, 보조적인 내용, 장식적인 내용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초등 수학 교과서의 삽화의 대부분이 학습 개념이나 원리와 학습 활동에 필수적이거나 언어적인 이해를 뒷받침하는 보조적인 내용의 삽화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필수적 내용의 삽화의 비율을 늘려 수학 삽화가 수학 학습에 주는 영향력을 높이고 수학 교과서가 학습 자료 및 활동 자료로서 역할을 하도록 하여야한다. 수학 교과서의 삽화의 제작과 제시에 있어서 아동 발달 단계를 순차적으로 고려한 수학 교과 관련 전문가와 아동 발달 전문가, 삽화 전문가에 의한 삽화의 내용 구성과 제시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둘째, 초등 수학 교육이 학생들의 동기를 유발하기 위해 실생활 중심 소재를 활용하고 구체적인 자료를 통하여 직접 조작해보는 활동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동기 유발 역할의 삽화와 자료 제시 역할의 삽화가 가장 많이 제시되었다. 또한 학생들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추상적 사고력과 언어 이해력 그리고 독해력이 발달하기 때문에 활동을 통한 활동적 표상이나 그림과 같은 영상적 표현보다는 언어와 같은 상징적인 표상으로 개념이나 활동 방법을 나타내었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동기 유발 역할의 삽화 비중은 대체적으로 높이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것이 수학 교육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더 나아가 초등 수학 교육에서 수학 교과서 삽화의 역할 즉, 동기 유발, 활동 안내, 자료 제시, 개념, 확인 역할의 삽화 중 어느 유형의 삽화가 더 학생들에게 적절한 효과를 미치는가에 대한 수학 교육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초등 수학 교과서 2, 4, 6학년 수와 연산 영역의 삽화 중 수학 교과 내용과 방법에 있어서 오류를 가지고 있는 삽화는 총 6개의 삽화가 있어 수정할 필요가 있다. 수학 교과서에서 제시한 학습 내용이나 실제 문제 상황과 삽화가 일치하지 않아 학생들이 개념을 이해하거나 문제를 해결할 때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아동 생활상의 문제, 수학적 표현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삽화들도 있었다. 따라서 삽화 제작 시 편집과 디자인 측면뿐만 아니라 수학 교과 내용과 아동 발달을 고려하여 수학 교과 관련 전문가와 아동 발달 전문가, 삽화 전문가에 의한 삽화 제작 및 선정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교과서의 삽화는 교과 내용, 학습 목적, 아동의 발달 단계 등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 내용,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삽화마다 가지는 역할과 내용이 다양하므로 학습 내용에 적합한 삽화를 다양하게 선정하여 제시해야할 것이다. 또한, 정확한 수학적 지식과 아동 학습 심리학 등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수학 삽화가 제시되어야한다. 삽화 전문가 이외에도 수학 교과 전문가, 아동 발달 전문가, 현장 교사 등 여러 관점의 전문가가 참여하여 의미가 있는 초등 수학 삽화가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and role of the illustrations and to improve the teaching and learning effects of illustrations in the number and operation field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developed by the 2007 revised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subject matter is set as follows;    First, what frequency is the content of the illustration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Second, what kinds of illustrations are included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Third, what frequency is the role of the illustration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Fourth, has the illustration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in number and operation field been presented correctly? To find out, the illustration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Mathematics 2-1, Mathematics 2-2, Mathematics 4-1, Mathematics 4-2, Mathematics 6-1, and Mathematics 6-2) was analyzed. There are three kinds of illustrations(pictures, diagrams, graphs, photographs), the three contents of illustrations(Essential contents, assistance contents, decorative contents) and the five role of illustrations(motivation, activity guide, inforamation presents, concepts, and identification). In addition, to analyze the appropriateness of the illustrations, it is described as O, X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judg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this study. First, the rate of illustrations decreased as the grade group increased. This is because, considering the stage of child development, language literacy and abstract thinking have been developed. Secondly, the contents of the illustrations are presented in the order of the decorative contents, essential contents and assistance contents as the grade increased. The rate of illustration of essential contents in the sixth grade mathematics textbooks was much lower than that of the second and fourth graders. Third, most of the illustrations of the role were shown as motivational role and information presents role. As grade rises, the proportion of illustrations in identification roles tends to decrease, while the proportion of illustrations in motivational roles tends to increase. And illustration of the activity guide and the concept role are not presented at all in six grade textbook. Fourth, analyz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illustrations, errors such as expression errors, errors in illustration expressions errors, problems in children 's life and incorrect selection of materials were fou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illustrations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re essential and assistance. However, by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illustrations of essential content, the influence of illustrations should be increased. And experts in mathematics curriculum, child development specialist, and illustrator should construct the contents of illustrations. Second, since the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emphasizes real-life-oriented materials and direct manipulation, the illustration of the motivation and th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role are shown most. In addition, since students develop abstract thinking and language comprehension, they have shown concepts and activities as symbolic representations. The proportion of illustration of motivation role tends to increase as grade rises, so the effect of this on mathematics education will need to be studie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study mathematical education about the role of illustrations of mathematics. Third, there are 6 illustrations that have error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The textbooks presented illustrations which do not match the actual problematic situations and this can cause students to confuse concepts or solve problems. In addition, there were also examples of problems in children's life and mathematical expressions. Therefore, illustrations should be made by experts in mathematics subjects, child development specialists, and artworks experts. As we have seen in the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illustrations of the textbooks in various kinds, contents, and methods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textbook, the purpose of learning, and the stage of development of the child. It is necessary to select various illustrations suitable for the learning contents. In addition, mathematical illustrations should be presented based on expert knowledge.

      •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문화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노미란 청주교육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사의 전문성 개발과 신장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교사역량과 전문성 개발을 위한 지원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져왔다. 그 한 예로 신규임용 교사 연수, 자격 연수인 1·2급 정교사 연수, 직무연수, 학위 취득 대학위탁 및 해외 유학 등을 지원하는 특별 연수와 장학 위주의 전통적인 접근 방법이라 할 수 있고 이러한 방법은 교사의 역할을 학교교육에 필요한 지식을 전달하는 것으로 인식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의 수업은 교사가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학습자가 수업에 주체적으로 참여하여 학습자 모두의 인지과정이 중요하게 인정받는 구성주의 관점으로 변화해 가고 있고, 여기서 교사의 역할도 학생들이 스스로 지식을 구성해 가는 것을 지원하고 안내하는 촉진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처럼 지식과 학습, 수업에 대한 관점이 변화하게 되면서 교사 전문성 개발과 신장의 방식도 인식이 바뀌게 되었다. 그것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 교사학습공동체가 대두되었고, 관심 또한 높아지게 되었다.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주로 교사의 전문성 개발이나 수업 개선에 초점을 두었다면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실태를 알아보고,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문화에 대한 참여 교사의 인식 수준을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재-문화화’ 방안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문화에 대한 참여교사의 인식 수준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재-문화화’ 방안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설문지를 이용하여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실태와 참여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고 좀 더 자세한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문화를 알아보기 위해 면담을 하였다. 설문은 종이설문을 통해 이루어졌고, 충청북도 청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를 운영하고 있는 9개 학교를 표집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총 333명의 응답 자료 중 실제 319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총 40문항으로 교사의 기본사항,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참여교사의 운영실태,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문화에 대한 인식,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문화 개선 및 발전 방안을 측정하는 4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사의 기본사항과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참여교사의 운영 실태는 기술통계를 내었고,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문화에 대한 참여교사의 인식 수준은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재-문화화’ 방안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은 복합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참여교사의 면담은 코딩범주를 한 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충청북도 청주시 지역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9개 초등학교 모두가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참여율은 70% 이상이 되었다. 활동 주제는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예체능을 중심으로 하는 교과 탐구 전문적학습공동체와 교과 통합 및 교육과정 재구성 전문적학습공동체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주 1회, 회당 1시간 이상에서 2시간 미만으로 운영되는 학교가 대부분이었다. 본인의 역할을 묻는 문항에서는 적극적인 참여자가 제일 많이 응답했고, 소극적인 참여가 다음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충청북도 청주시 지역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9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5개 문화 요인 각각 평균을 내보니 의사소통 과정은 4.64, 의사소통 규약은 4.69, 의사소통 태도는 4.59, 전문성 신장은 4.61, 자율성은 4.34로 나타났다. 평균이 높은 순으로 다시 나타내보면 의사소통 규약, 의사소통 과정, 전문성 신장, 의사소통 태도, 자율성 순으로 문화 요인이 나타났다. 전체적인 결과를 살펴보니 N2초등학교는 5개의 문화 요인 모두에 높은 수준을 보였고, S1초등학교는 2개의 문화 요인 즉 전문성 신장과 자율성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다. S3초등학교는 4개의 문화 요인 즉 의사소통 과정, 의사소통 규약, 의사소통 태도, 자율성 수준이 높았고, G3초등학교는 의사소통 과정, 의사소통 규약, 의사소통 태도, 전문성 신장의 4개 문화 요인에서 수준이 높았고, J초등학교는 1개의 문화 요인인 의사소통 태도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다. 충청북도 청주시 지역 9개 초등학교별로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따라 문화 요인은 각각 평균과 표준편차, 사후검증 결과가 다르게 도출이 되었고, 이는 충청북도 청주시 지역 9개 초등학교별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에 따라 5개 문화 요인은 참여 교사들이 다르게 인식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충청북도 청주시 지역 9개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재-문화화’를 가장 원하는 문화요인은 전문성 신장이며, 이것은 성별, 직급, 교직경력, 담당학년, 학교특징에서 높은 결과가 나왔고, 또 방관자를 제외한 모든 역할에서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재-문화화’ 방안에서도 전문성 신장에 대하여 외부기관의 도움을 받고 싶은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이것은 성별, 직급, 교직경력, 담당학년, 학교특징, 교사의 모든 역할에서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문가의 연수 지원 및 조력등을 필요로 했다.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재-문화화’에 대한 방안은 협력적인 활동을 위한 시간과 공간 확보, 운영의 개방과 체계화, 관리자와 구성원들의 인식 제고, 단위학교 차원의 교사학습공동체 연수, 교직원간 의사소통·자율성·협력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협력적 활동을 위한 교육청의 행정적, 재정적 지원등의 의견을 기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충청북도 청주시 소재 대규모 초등학교에서는 대부분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를 운영하고 있고, 구성원들의 참여율도 대부분 높았다. 면담을 통해 높은 참여율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니 교사학습공동체 직무연수 학점화를 신청한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는 참여율이 높았다. 현재 운영하고 있는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대부분이 정해진 정규 모임 횟수와 시간이 일정표 상에 있었고, 이는 정해진 시간과 장소와 교사학습공동체 직무연수 학점화가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문화를 활성화하는데 일정 부분 기여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운영 리더가 자발적 운영자거나 적극적인 참여자일 경우에 의사소통 과정, 의사소통 규약, 의사소통 태도, 전문성 신장, 자율성의 모든 문화요인에서 만족도가 높았다.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문화의 활성의 시작뿐만 아니라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재-문화화’가 되기 위해서는 리더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연구대상이 된 충청북도 청주시 지역 9개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는 같은 학교문화라도 의사소통 과정, 의사소통 규약, 의사소통 태도, 전문성 신장, 자율성과 관련하여 학년마다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학교문화가 같더라도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는 학년별로 다른 문화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같은 학교라 하더라도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문화가 다름을 인지하고, 그것에 대한 구체적으로 연구할 이유가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교의 ‘재-문화화’로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재-문화화‘는 함께 고려해야 할 대상임을 알 수 있다. 넷째,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재-문화화’하기 위해서는 학교 내의 시간과 공간의 확보, 관리자의 인식 제고,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운영과 관련된 매뉴얼 개발, 교육청의 행정적·재정적 지원등이 함께 해야 한다. 다섯째,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재-문화화’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은 단위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끼리 협력하고 소통하고 서로 배움으로써 가능하다. 하지만 면담을 통해 알아 본 결과 단위학교내의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는 다른 학년과 서로 소통이 거의 없었다. 종합적으로 살펴 볼 때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재-문화화’는 학교의 ‘재-문화화’와 학교 내의 다른 교사학습공동체 ‘재-문화화’와 같이 맞물려서 가야하고, 협력하고 소통하는 문화가 되어야함이 기본전제이다. 또 후속연구로서 단위학교 내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끼리 배움의 장을 마련하고, ‘재-문화화’ 하기 위한 프로토콜 연구나 구체적인 ‘재-문화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보인다.

      • Hypopigmentation effects of Melissa officinalis in vitro

        노미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15

        레몬밤은 다량의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허브의 한 종류로 항산화 활성과 플라보노이드류를 다량 함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레몬밤식물체에 자외선를 조사하여 2차대사산물의 합성을 증가시켜 비교실험 한 Chapter 2와 다른 추출방법을 이용한 레몬밤 추출물 (Chapter 3)의 미백효과를 평가 하였다. 우선, Chapter2에서는 자외선를 조사한 레몬밤 (HFMOE) 과 레몬밤 (MOE) 을 80% 에탄올 추출하여 그 차이점을 비교하고 미백효과를 실험하였다. 2차 대사산물의 일종인 플라보노이드류와 레몬밤 자체의 항산화능력을 비교해 보았을 때는 자외선이 조사된 레몬밤 추출물에서 약 10%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였고 항산화활성은 두 추출물에서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양성조절자인 vitamin E와 유사한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본 레몬밤 추출물이 미백에도 효과가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버섯유래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 측정에서 HFMOE와 MOE 모두에서 효소활성을 억제하는 되는 것으로 보여졌다. 또한 이 두 추출물을 쥐의 멜라닌 생성 세포인 B16세포에 적용하여 독성 구간은 MTT 법을 통해 보았는데, 200 ??g/ml 이하에서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분자 수준에서 HFMOE와 MOE의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효과는B16 멜라닌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세포내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은 유의적으로 줄어들었다. 레몬밤은 유전자 수준에서도 멜라닌 합성관련 효소인 tyrosinase, TRP-1, TRP-2의 발현이 감소시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단백질 합성에 서도 위에서 언급한 효소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레몬밤이 멜라닌 합성을 저해함을 본 연구를 통하여 발견 하였으며, 이 억제 효과는 레몬밤이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을 직접적으로 저해함과 동시에, 유전자 발현 및 단백질 합성에 또한 영향을 줌으로써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Chapter 3에서는 멜라닌 세포에 열수로 추출한 레몬밤 추출물 (MOWE)과 에탄올 추출한 레몬밤 (MOE) 추출물을 처리하여 미백 효과를 평가하였다. 두 추출물 모두 항산화 효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버섯유래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을 억제시킬 수 있었고, 세포에 처리 후 독성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두 추출물을 세포에 처리 후 세포 내 멜라닌 합성을 측정하였는데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멜라닌 합성량도 억제되었다. 또한 레몬밤을 세포에 처리 후, 멜라닌 합성 관련 유전자인 tyrosinase와 tyrosinase의 전사조절자인 MITF의 발현이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레몬밤의 멜라닌 합성 저해는 타이로시네이즈 효소 활성 억제 및 유전자 발현 조절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관련 단백질도 조절됨으로써 향후 화장품 산업에서 미백물질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Melissa officinalis, which contains variety of bioactive and antioxidant compounds may have skin-protective and hypopigmentation effects. In the part 2, to assess the inhibitory performance of wild type Melissa officinalis extracts (MOE) and UV radiated (high flavonoids) Melissa officinalis extracts (HFMOE) on melanogenesis, in vitro studies were conducted on B16 murine melanocyte. Flavonoid and antioxidant contents in extracts and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 extracts on the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were measured spectrophotometerically. Cells were treated with the extracts to determine cellular tyrosinase activity, melanin content, cell viability followed by gene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related to the melanogenesis. HFMOE showed 11% higher flavonoid content than MOE. Cytotoxicity was not found for MOE and HFMOE up to 200 ??g/ml, which reduced the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by 20% and 23%, respectively. MOE and HFMOE treatments on cell reduced cellular tyrosinase by 27% and 45%; while melanin content by 34% and 51%, respectively. The gene expression levels were inhibited in tyrosinase by 14% and 43% and in TRP-1 by 33% and 20% for MOE and HFMOE, respectively. Protein expression levels were reduced in tyrosinase by 70% for MOE and in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by 71% for HFMOE. In the part 3, the anti-oxidative and anti-pigmentation effects of Melissa officinalis extract (MOE) and its water extract (MOWE) were investigated in B16 murine melanocytes. The MOE and MOWE had potent anti-oxidative capacity and inhibited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in cell free system. In addition, the MOE and MOWE did not have cytotoxic effects in B16 melanocyte. The melanin contents and tyrosinase activit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26% and 69%, respectively, at 800 ??g/ml of MOE. However, MOWE with less extent both of Melissa officinalis extracts treatment on B16 cells modestly altered the mRNA expression of enzymes related to melanogenesis. The tyrosinase and microphthalmia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were reduced by MOE (37% p<0.05) and MOWE (31%). These suggest reduced tyrosinase expression by MOE may be achieved by suppression of MITF expression. Our results suggested that Melissa officinalis extracts maybe applied as hypopigmentation agents in functional cosmetics. We concluded that Melissa officinalis extracts showed antagonistic effects on melanogenesis and could provide ingredients for functional cosme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