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OVID-19 전담병원 간호사의 직무가치와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남지혜 공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55

        국 문 초 록 COVID-19 전담병원 간호사의 직무가치와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남지혜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간호학전공 본 연구는 COVID-19 전담병원 간호사의 직무가치, 회복탄력성, 직무만족도를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COVID-19 전담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충남지역 소재 4개 지방의료원 감염병 전담병원인 COVID-19 전담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61명이었다. 일반적 특성, 직무가치, 회복탄력성,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구조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2년 4월 12일부터 29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악하면 다음과 같다. 1. COVID-19 전담병원 간호사의 직무가치는 5점 만점에 평균 평점 3.16±.67점, 회복탄력성은 5점 만점에 평균 평점 3.28±.55점, 직무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평점 3.01±.42점이었다. 2. COVID-19 전담병원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가치의 차이는 성별(t=-1.99, p=.049), 근무형태(t=-2.30, p=.023), 근무부서(t=5.07, p=.026), COVID-19 사전지식 정도(F=4.90,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COVID-19 전담병원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은 연령(F=3.18, p=.026), 근무형태(t=-3.23, p=.001), COVID-19 사전지식(F=4.81, p=.001) 정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COVID-19 전담병원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근무형태(t=-3.08, p=.002), COVID-19 사전지식 정도(F=8.18,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COVID-19 전담병원 간호사의 직무가치, 회복탄력성,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는 직무만족도와 직무가치(r=.60, p<.001), 회복탄력성(r=.57, p<.001)간은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회복탄력성과 직무가치(r=.68, p<.001)간은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6. COVID-19 전담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은 직무가치(β=.39, p<.001), 회복탄력성(β=.26, p=.002)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1.7%(R2=.417)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COVID-19 전담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는 직무가치, 회복탄력성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COVID-19 전담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직무가치와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 방안이 필요하다.

      • 결혼이주여성의 양육경험 : 사회적지지, 문화적응과 양육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남지혜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양육경험을 파악하고자 결혼이주여성이 지각하고 있는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의 감소 뿐 아니라 심리적 안녕을 돕는 중요한 자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문화적응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변인임을 주목하여 이들이 양육스트레스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결혼이주여성들의 자녀양육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심리적 건강 및 지원, 다양한 교육프로그램과 제도 등에 유용한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와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수는 정보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평가적 지지인 ‘나를 인격적으로 존중해 준다고 생각한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정보적 지지에서 ‘내가 중요한 선택을 해야 할 때 충고와 조언을 해줄 것이다’와 ‘내가 현실을 이해하고 잘 적응할 수 있도록 건전한 충고를 해준다고 생각 한다’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결혼이주여성들이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가 무엇인지를 알 수 있는 결과로 자신을 인격체로 대해주고, 자신이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사람으로부터 존중과 인정, 조언을 받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문화적응은 중앙치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문화적응 문항 중 ‘한국 사람들은 나에 대해 편견을 가지고 있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한국에서 사용되는 낯선 언어 때문에 어려움이 많다.’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문화적응과정에서 겪게 되는 정서는 향수병, 죄책감, 차별감으로 말할 수 있으며, 문화적응과정에서 경험하는 편견, 차별, 언어장벽은 외국인인 결혼이주여성에게는 당연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이주민과 자국민 쌍방 간이 노력이 필요한 부분이다. 양육스트레스는 일상적스트레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자녀가 태어나면서 모가 주 양육자가 되면서 양육부담이 커지고 일상생활에서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음을 말해준다. 이러한 다양한 스트레스는 경제적 심리적인 부담뿐만 아니라 매일 반복되는 양육으로 인해 일상적인 개인생활에 여유를 갖지 못하게 되고 휴식 시간이 줄게 되면서 스트레스가 누적되기 때문에 육체적 피로감과 정서적 불안감을 갖게 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가족과 주변 사람들이 돌봄을 나눠서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는 학력, 출신국가, 한국어 능력, 월수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서 출신국가 일본과 중국이 집단 간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각 나라의 문화적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사회적 지지와 문화적응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출신국가_중국인 경우와 한국어를 잘 못하는 경우가 양육스트레스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의 순서는 문화적응, 출신국가_일본, 사회적 지지의 순으로, 문화적응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적응이 큰 차이로 가장 영향력이 큰 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가 지각하고 있는 사회적 지지는 기쁨과 따뜻함, 위로감, 기분좋음, 든든한 의지처, 뿌듯함 등의 긍정적 감정을 느끼며, 좁게는 가족으로부터 넓게는 사회로부터 수용받는 느낌을 주어 존재감을 느끼게 해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준다. 사회적 지지는 행복감을 갖게 하는 것으로 가족의 건강성, 생활만족도, 결혼만족도 등을 증진시키고 가족관계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고 보기 때문에 결혼이주여성에게 한국 사회적응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관계증진프로그램이나 교육 등을 통해서 강화시켜야 한다. 둘째, 조사대상자가 지각하고 있는 사회적 지지가 한국어 능력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결과는 결혼이주여성에게 한국어 능력이란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고 상대의 생각을 알아보는 중요한 수단으로 타국 생활 적응에서 중요한 변수임을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어 능력이 부족하다고 지각하면서 느끼는 정서는 답답함과 고립감에서 자녀가 성장함에 따라 한국어가 유창하지 못함에 대한 중죄인의 감정을 느끼면서 우울감을 갖게 된다. 즉 불안감, 무능감, 죄책감, 자책감, 무력감, 자괴감, 걱정, 우울 등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은 생을 우울하게 만드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일상생활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자신의 적응보다도 아이들을 잘 키우고 싶은 모성이 더 크게 작동하여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당사자들이 필요성을 절감하여 배우려고 하고 적극적 동기를 갖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효율적인 한국어 습득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선이 요구된다. 셋째, 학력, 출신국가, 한국어 능력, 월수입이 양육스트레스에 의미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양육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주요 변수들의 부족함을 보완할 수 있는 대책이 요구된다. 부모역할과 양육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한국어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학습동기를 유발시키고 효과적인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출신국가에 따라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대처가 다르게 나타났으므로 각국의 장단점을 찾아서 살릴 수 있는 것도 하나의 시너지적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부모역할 수행과 자녀와의 상호작용에서 생기는 일상적인 스트레스가 주요 생활 사건보다 더 주요한 스트레스 근원으로 아동문제와 부모의 정신건강 그리고 가족 기능에 더 많은 영향을 준다고 보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도록 부모자녀관계 교육이나 효율적인 의사소통교육 등이 강화되어야 한다. This research through understanding marriage migrant women parenting experiences focusing on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marriage migrant women as an important resource to not only reduce stress but also help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s a variable that directly affects acculturation with the purpose of finding out how they contribute to parenting stress.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provide useful implications by seeking ways to reduce the stress of raising children by marriage migrant women such as psychological health and support,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nd systems etc.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n interview were conducted in parallel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ub-variables of social support appeared in the order of informational support, evaluative support, emo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I think I’m respected personally', an evaluative support, was highest, and in the informational support, 'I‘m given an advice and guidance when I have to make an important choice' and 'I think I’m given a sound advice so that I can understand the reality and adapt well' appeared high. These results show that marriage migrant women are able to understand what social support they perceive to be, treat themselves as a person and receive respect, recognition, and advice from people they can trust and rely on. Acculturation showed higher score than the median. Among the cultural adaptation questions, ‘Korean people have a prejudice against me’ was the highest, and ‘I have many difficulties because of the unfamiliar language used in Korea’ was the lowest. The emotions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acculturation can be said to be homesickness, guilt, and discrimination. Prejudice, discrimination and language barriers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acculturation can be seen as natural for married migrant women who are foreigners thus a part that requires both efforts between migrants and the local citizens. As for parenting stress, daily stress showed the highest level and as the mother became the primary caregiver after the birth of a child, the burden of child rearing increased and brought about many changes in daily life. It can be seen that these various stresses are not only economical and psychological burdens because stress accumulates as the daily routine of personal life is not relaxed due to repeated daily parenting and the rest time is reduced thus leading to physical fatigue and emotional insecur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llow family members and those around them to share the care. The differences in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al background, country of origin, Korean proficiency, and monthly income. Here, the countries of origin Japan and China showed a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nd is interpreted as reflect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on on parenting str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parenting stress was higher in the case of country of origin_China and the case of not fluent in Korean. In the order of influence on parenting stress, cultural adaptation, country of origin_Japan,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Acculturation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with a large difference. The discussion based on thes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shows an important factor that makes them feel positive emotions such as joy, warmth, comfort, good feeling, strong support, pride and a feeling of being accepted by the family narrowly and by the society broadly and giving them a feeling of presence. Social support is believed to promote a sense of well-being and improves family health, life satisfaction, marital satisfaction, reduces family relationship stress, etc. and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programs and training. Second, the result that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the research subjects differs according to their Korean proficiency indicates that Korean language proficiency is an important means of conveying one's thoughts to married migrant women and recognizing the other's thoughts and it cannot be overemphasized that it is an important variable in adjusting to life in a foreign country. The emotions that marriage migrant women feel when they perceive that they lack Korean language skills are from a sense of frustration and isolation, and as their children grow up, they feel depressed as they feel the feelings of a felon for not being fluent in Korean. In other words, negative emotions such as anxiety, incompetence, guilt, shame, helplessness, self-destruction, worry, depression, etc. have a depressing effect on life and therefore have a great impact on daily life. However, since there are many people who want to learn Korean because mothers want to raise children more than their own adaptation, it is necessary to make the parties feel the need to learn and have an active motivation. In addition, improve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effective Korean language acquisition is required. Third, educational background, country of origin, Korean language ability, and monthly incom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variables in parenting stress.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parenting stress, measures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major variables are required. It is necessary to motivate learning and implement effective education in order to strengthen education on parenting roles and childrearing, and to improve Korean language skills. Coping with parenting stress differs depending on the country of origin, so find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country can also bring about a synergistic effect. In addition, since it is believed that daily stress from parental role performance and interactions with children is a more major source of stress than major life events, it has a greater impact on children's problems, parents' mental health, and function of the family. Education on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effective communication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for this to be achieved.

      • 20-30대 여성이 선호하는 향조 및 향수 구매 행동

        남지혜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As we wear our clothe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ime and location, so we put on the perfumes differently by specific moods, occasions, etc while looking for the distinctive ones for one's own. As the consumers' patterns to purchase perfumes are changing like this way, so the criterion to select the products becomes diversified and sophisticated. Also, the existing perfume shops established in department stores are getting professional in circulation, and stores which sell the perfumes only are increasing. Based upon this trends, this study aims at figuring out the device of development of domestic perfume marke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checking the kinds of perfumes which Korean women prefer, and as a basic data for the developing domestic perfume market by providing the overall knowledge on the patterns of consumption and circulation of perfumes in the market. Moreover, It shall be meaningful as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on the marketing method of perfume under research now. 237 sets of questionnaire sheets for this study have be distributed and collected at random: amongst them, 200 sets have been used for the analysis except for 27 sets of which responding contents were insincere and unfaithful. The questionnaire was performed in March, 2007. The result of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examination on the perfume preference of four(4) representative notes(floral, fruity, powdery, marine-watery notes) amongst perfume for women, It was found out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re were their preferred ones in the test perfume; fruity note and marine-watery note were popular. As for the age categories, it was indicated that women in their 30s showed the same preference for the four(4) notes while women in 20s preferred the fruity: To be more specific, women in 20s most preferred fruity note(42.5%) and marine-watery note(32.5%) to other notes. It was also indicated that women in 30s rather than ones in 20s preferred the powdery note. In addition, the respondents preferred the green note perfume most besides the four(4) notes. Second, as a result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y possess the perfume of similar feelings with each other, it was indicated that they had fruity note, floral note, marine-watery note, and powdery note in order. Difference by ages was indicated most strikingly in fruity note. It was figured out that women in 20s showed higher degree in possession of perfume than women in 30s, which corresponds to the notes which women in 20s most preferred as shown in the above result. As for the question for which is the one they had experienced to use most frequently amongst the four(4) notes, they answered that it was floral note, fruity note, marine-watery note, and powdery note in order. It was indicated that women in 20s had more experience to use fruity note than women in 30s; for women in 20s, it was floral note, fruity note, powdery note, marine-watery note in order while it was floral note, marine-watery note, fruity note, and powdery note in order for women it 30s. Accordingly, it was figured out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preferred perfume and the used one. Third, as a result to examine the purchase intention for perfume, it was indicated that it was fruity note, marine-watery note, powdery note and floral note in order: there was no much difference by ages, which was the same result with the one of examination on the preferred notes. So far as the intention was concerned in case of being presented with perfume, they answered that it was fruity note, floral note, marine-watery note, and powdery note in order. Therefore, it could be seen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intention to use according to the routes to acquire the perfume. In particular, the intention to use in case of being presented with floral note was indicated as much different than in case of purchasing it by oneself; which was because it was the perfume that women could most easily use while not preferring it. Moreover, it was indicated that in case of being presented with perfume, the intention to use it became high even though it was not one's preferred one. Fourth, as for the evaluation of perfume emotional factors by ages, it was expected at first that there would be somewhat remarkable difference in emotional factors in perfume. But, it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feeling of perfume while there was no big difference by ages. Accordingly, it was figured out that there was not specific criterion by ages for the objective evaluation on perfume based upon the emotional factors of perfume. As examining the emotional factors of each perfume, it was indicated that the floral note was feminine and cool feeling: fruity note was feminine, young, sweat, and fresh feeling, and powdery note was feminine, soft feeling. Finally, as for marine-watery note, the representative emotional factor was cool, fresh, modern, and urban feeling. Fifth, the examination was conducted on the real situation of perfume use and purchase behavior for women in their 20s and 30s. It was figured out that the users, who used perfume because they considered it as diversion, self-satisfaction, and self-expression rather than as a luxury, were increasing, and about 80% of women used perfume. It was also indicated that most of women used perfume for diversion, which was the same result with the preceding studies. From the fact that 80% of women had experienced to purchase perfume by themselves, it can be figured out that they have increasingly selected perfume by their own tastes rather than merely being presented with it. 15% of women considered the brand recognition of it when purchasing perfume, and half the women purchased the imported perfume: therefore,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domestic perfume. Also, many a respondent thought the price of it was expensive, and it was indicated that they usually bought the perfume of which price was below 50,000~70,00KRW, which indicates that there is still a tendency to regard perfume as a luxury. Sixth, as for the questioning items of "I feel satisfied as using preferred perfume" and "I will keep using it if the presently using perfume is likable." amongst the items for purchase behavior, they showed the high recognition: which was in conformity with the diversion and self-satisfaction which was the reason to use perfume in the above examination. From this, it can be said that women shall feel satisfied by them by using perfume, and also feel diverted and happy by the good perfume. 장소 및 시간에 따라 옷을 달리 입듯이 향수도 무드나 특정한 시간, 행사 등에 따라 구별하여 사용하며, 자기만의 독특한 향을 찾고 있다. 이처럼 소비자들의 구매 패턴이 변함에 따라 상품 선택의 기준도 다양화·세련화되고 있다. 또한 유통에 있어서도 백화점에 개설되어 있는 기존의 향수 매장이 점차 전문화되고 있고, 향수만을 취급하는 개별 향수 전문점도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바탕으로 국내 향수 시장의 발전을 모색하는 방법을 본 연구에서 진행하려 한다.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여성들이 선호하는 향수의 종류를 확인하고 제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며, 더불어 향수 제품의 소비와 유통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발전하고 있는 국내 향수시장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그리고 현재 연구되고 있는 향기 마케팅에 관한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한다는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설문지는 20대 여성과 3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무작위로 237장이 배부, 회수되었으며 이 중 불성실하거나 무성의한 설문지 37부를 제외한 200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설문은 2007년 3월에 걸쳐 시행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여성 향수 중 대표적인 네 가지 향조(플로랄, 프루티, 파우더리, 마린계열)의 향수 선호도 조사에 있어 시향한 향중에서 선호하는 향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프루티계열과 마린워터리계열이 인기가 있었다. 연령별로는 30대 여성은 네 가지 향조에 동등한 선호도를 20대 여성이 프루티 향조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20대 여성은 프루티계열(42.5%), 마린워터리계열(32.5%)에 가장 선호를 하였다. 그리고 30대 여성이 20대 여성보다 파우더리계열을 더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네 가지 향조 외의 선호하는 향은 그린계열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비슷한 느낌의 향수의 소유를 알아본 결과, 프루티계열, 플로랄계열, 마린워터리계열, 파우더리계열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차이는 프루티계열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20대 여성이 30대 여성보다 높은 소유정도를 보이고 있었다. 이것은 위 결과인 20대 여성이 가장 선호하는 계열과 일치하는 현상을 보인다. 네 가지 향조 중 여성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 경험이 있는 향수의 계열은 플로랄계열, 프루티계열, 마린워터리계열, 파우더리계열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20대 여성이 프루티계열에 사용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여성은 플로랄계열, 프루티계열, 파우더리계열, 마린워터리계열의 순이었고, 30대 여성은 플로랄계열, 마린워터리계열, 프루티계열, 파우더리계열의 순이었다. 앞서 본 선호하는 향과 사용하는 향의 결과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구입 의향을 조사 한 결과 프루티계열, 마린워터리계열, 파우더리계열, 플로랄계열의 순으로 조사되었고, 이 결과는 연령별로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것은 선호향조 조사 결과와 같은 결과를 보였다. 선물을 받았을 경우의 사용 의향은 프루티계열, 플로랄계열, 마린워터리계열, 그리고 파우더리계열의 순서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취득경로에 따라 사용의향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플로랄 계열을 선물 받았을 경우 사용의향이 직접 구입할 경우보다 큰 차이를 보였다. 그 이유를 선호하지는 않지만 여성들이 가장 무난하게 사용하는 향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향을 선물 받았을 경우 자신이 선호하는 향이 아닐지라도 사용 의향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연령대에 따른 향기 감성요인 평가에 있어서 향기 감성요인이 어느 정도 차이가 두드러질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그러나 향의 느낌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났으나, 연령별로는 크게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향기 감성요인을 바탕으로 향을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것은 연령별로 어떤 기준이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각 향의 향기 감성요인을 알아보면 플로랄계열은 여성적인, 시원한 느낌이 프루티계열은 여성적인, 젊은, 달콤한, 신선한 느낌, 파우더리계열은 여성적이며, 부드러운 느낌이, 마지막으로 마린워터리계열은 시원한, 신선한, 현대적이고 도시적인 느낌이 대표적인 감성요인이었다. 다섯째, 20대 30대 여성을 대상으로 향수 사용 실태와 구매 행동 향수를 사치품보다는 기분전환과 자기만족, 자기표현으로 생각하여 사용하는 사용자가 많아지고, 사용도도 여성의 약 80%가 사용하고 있었다. 여성들이 기분전환을 이유로 가장 많이 향수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앞선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였다. 그리고 직접 구입을 경험한 여성들도 80%에 달해 선물로 받기보다는 자신의 취향에 따라 향을 선택하는 경우가 늘었다. 그리고 향수 구매 시 브랜드 인지도를 고려하는 여성이 15%에 달하고, 수입향수를 구매하는 여성들이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아 국산 향수의 발전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가격면에 있어서 비싸다고 생각하는 여성이 많았고, 5~7만원 미만의 향수를 구입한다고 조사되었다. 이 결과는 향수를 사치품으로 생각하는 풍조가 있음을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구매행동에 관한 문항 중 “좋아하는 향수를 사용하면 만족감을 느낀다”와 “사용하던 향수가 마음에 든다면 계속 사용하는 편이다”라는 항목에 높은 인식을 보여주었다. 앞서 조사한 향수를 사용하는 이유인 기분전환과 자신의 만족과 즐거움의 이유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이로 보아 여성들은 향수를 사용함으로써 자기만족을 느끼고, 좋은 향에 의해 기분 전환과 즐거움도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군 병원 간호장교의 재난 인식과 태도, 의사소통능력이 재난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남지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군 병원 간호장교의 재난 인식과 태도, 의사소통능력 및 재난간호역량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재난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설문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2021년 11월 기준 전국 12개 군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장교 중 자발적 참여 의사를 표현한 대상자 191명을 편의 표집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재난 인식은 이영란 등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재난 태도는 Moabi의 도구를 박혜영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의사소통능력은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를 사용하였으며 재난간호역량은 Emergency preparedness information questionnaire를 기반으로 노지영이 개발한 도구를 도구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재난 인식은 평균 평점 3.65±0.37점으로 나타났으며, 재난 대비에 대한 태도는 평균 평점 3.35±0.35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의사소통능력은 평균 평점 3.86±0.42점으로 나타났으며 재난간호역량은 평균 평점 3.52±0.51점으로 나타났다. 2.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재난간호역량은 근무 경력(t= 3.22, p=.024), 재난 간호 교육 여부(t=4.08, p<.001), 재난간호 참여 경험(t=3.539, p<.001), 재난간호 교육 시기(t=3.39, p=.036)와 유의한 관계가 있었으며 재난 태도는 행동 기반 교육과(t=2.14, p=.036)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이는 행동 기반 교육이 재난 태도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근무 경력이 높을수록, 재난간호 참여 경험이 있을수록, 실무직전 재난교육을 받았을수록 재난간호역량이 높았다. 3. 재난 인식은 재난 태도(r=.32, p=.002), 의사소통능력(r=.46, p<.001), 재난간호역량(r=.40,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재난 태도는 의사소통능력(r=.28, p<.001), 재난간호역량(r=.19, p=.008)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의사소통능력은 재난간호역량(r=.50,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재난 인식, 재난 태도, 의사소통능력을 독립변수로 투입하여 다중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F=13.96, (p<.001), 재난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사소통능력(β=.41, p<.001), 재난 인식(β=.28, p=.003), 재난교육 경험(β=.25, p=.001), 재난간호 참여 경험(β=.17, p=.022) 근무경력 (β=.16, p=.033) 순이었다. 이는 재난간호역량의 35%를 설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disaster perception, disaster attitude, and communication skills on disaster nursing competence among nurse officer in armed forces hospital. For this descriptiv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191 nurse officers at armed forces hospitals in Korea from November 16, 2021 to November 22, 2021,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1. Participants were mostly female (86.4%). Participants‘ years of working were 4.58±3.27 years. 78% of the participants had experience in disaster education, and the most number of education type(24.8%) was simulation education. The time when the participants were educated consisted of university education(66.2%), external education(22.3%), and training course(11.5%). The most number of education type(39.6%) that participants wanted to be educated additionally was disaster training with Standardized Patient. 22.5% of the participants had experience in disaster nursing work. The highest rate(58.1%) of disaster nursing work type was nursing COVID-19 patients(or suspected). 2. The average scores for variables were as follows: 3.65±0.37 scores for disaster perception, 3.38±0.35 scores for disaster attitude, 3.83±0.42 scores for communication skills, and 3.52±0.51 scores for disaster nursing competence. 3. Participants who have worked for 6-9 years had high scores for disaster nursing competence. Participants who had experience in disaster education had high scores for disaster nursing competence. Participants who had experience in disaster nursing work had high scores for disaster nursing competence. Participants who were educated at training course had high scores for disaster nursing competence. 4. The disaster percep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isaster attitude(r=.32, p=.002), communication skills(r=.46, p<.001) and disaster nursing competence(r=.40, p<.001). The disaster attitud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ommunication skills(r=.28, p<.001) and disaster nursing competence(r=.19, p=.008). The communication skill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isaster nursing competence(r=.50, p<.001). 5.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participants' disaster nursing competence. Factors influencing nurse officers’ disaster nursing competence were: communication skills(β =.41, p<.001), disaster perception (β=.28, p=.003), experience in disaster education (β=.25, p=.001), experience in disaster nursing work (β=.17, p=.022) and working experience (β=.14, p=.033). In summary, disaster nursing competence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ecognition of communication skills, disaster perception, experience in disaster education, and experience in disaster nursing work.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system which promotes communication skills and disaster perception would be proposed increase disaster nursing competences by nurse officers at armed forces hospitals in Korea.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to inform researchers to develop measures for the disaster nursing competences.

      • 전문대학 졸업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남지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전문대학 졸업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진 로적응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 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전문대학 졸업생의 진로준비행동, 진로적응성 및 직무만족과의 구 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전문대학 졸업생의 진로준비행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전국의 2-3년제 전문대학 졸업생 28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총 397부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총 286부가 최 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 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최대우도법 (Maximum Likelihood Method)을 사용하여 모수를 추정하였고, 부트스트 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통해 진로준비행동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진 로적응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준비행동, 진로적응성, 직무만족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 로준비행동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진로준비행동은 직무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진로적응성을 완전매개로 하여 직무만족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전문대 학생들이 일과 관련된 환경과 자신을 이해하고, 탐색, 결정, 실행에 관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행동은 예측 가능한 직업세계뿐만 아니라 예측 불가 능한 미래에 대해서도 적응능력을 향상시켜 직무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Savickas(1997)는 진로스토리를 이야기하는 것을 통해 과거, 현재, 미래와 관련된 진로적응성을 향상시킨다고 하였다. 따라서 상 담사는 상담에서 내담자 개개인의 진로스토리를 공유함으로써 깊이 있는 자기탐색을 도와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 수업 중 자기탐색과 직업세계에 대해 필수로 다룰 수 있도록 개입이 필요하며, 다양한 프로그램과 특강을 통해 진로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과 기술을 익히고 진로목표를 설정하여 달성하기 위한 적극적인 행동을 돕는다면 급변하는 진로환경에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증진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취업 후 직무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 졸업 후 취업자를 대상으로 직·간접적으로 직무만 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켰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그 동안 진로준비행동을 높이는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면, 진로준비 행동이 다른 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 다. 마지막으로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비해 전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미비한 현실에서 연구 대상을 확장시켰다는 점에 의 의가 있으며, 당장의 취업에서 나아가 취업 후 직업적응과 직무만족에 대 한 중요성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verify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of College Graduates.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in this study: First, what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adap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of college graduates? Second, what is the medium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in the effec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job satisfaction for graduates of junior colleges? To that end, 286 2-year colleges and universities nationwide were surveyed and collected online to collect data, and a total of 286 of the 397 collected question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The frequency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used, and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was used as a parameter estimation method. In addition, this study verified the bootstrapping metho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stants showed tha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adap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all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career adaptability was complet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Therefore, it was found tha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id not directly affect job satisfaction, but had a direc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by making career adaptability completely indirect.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has expanded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that affect job satisfaction,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It is also meaningful that i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enhan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has been discussed the effects of career preparation actions on other factors. Finally, it is meaningful that the research of college students was expanded to include those who worked after graduating from college, and that it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importance of job application and job satisfaction after employment.

      • 대학생의 진로불안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그릿에 의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남지혜 한양사이버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진로불안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 대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지 살펴보고, 그릿이 진로불안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296명을 대상으로 진로불안 척도, 진로준비행동 척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 그릿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 for SPSS 3.5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불안과 진로준비행동,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상관이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진로준비행동과 그릿은 유의하지 않은 상관을 보였으며, 진로준비행동과 그릿의 하위 요인 관심의 일관성은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고, 노력의 꾸준함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진로불안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확인 하였으며, 이 때 진로불안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또한 유의하여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진로불안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그릿의 조절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릿의 조절 효과는 검증되지 않았지만, 그릿 하위 요인 중 관심의 일관성은 진로불안과 상호작용하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대해 부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력의 꾸준함은 진로불안과 상호작용하여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진로불안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으로 인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아 그릿의 하위 요인 2가지를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그릿의 하위 요인 관심의 일관성과 노력의 꾸준함에서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시사점,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포워더와 실화주간 포워더 선정 요인의 중요성과 만족도 분석(IPA) 연구

        남지혜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나라는 무역의존도가 높은 국가로 세계 경제상황 및 무역상황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프레이트 포워더는 실화주와 선사와의 징검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실화주는 운송의 효율성, 정시성,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이러한 조건에 충족되는 프레이트 포워더 선정이 중요하다. 이와 더불어, 포워더 역시 화주의 요구 및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는 여러 요인을 고려한 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더 많은 화주 유치에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IPA 매트릭스 분석을 통해 실화주와 포워더 간 어떤 요인으로 프레이트 포워더를 선택하는지에 대해 비교·분석하고 선정 요인에 대한 중요성 및 만족도 차이를 상호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포워더 경쟁력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PA 매트릭스 분석을 통하여 재무 안정성, 업무 직원들과의 의사소통, 총 비용의 경쟁력, 서비스 ROUTE의 다양성, 정보의 제공능력, 화물 추적 서비스 및 클레임 대응 항목은 실화주와 프레이트 포워더 모두 중요도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프레이트 포워더는 지속적으로 노력하여 높은 수준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그리고 글로벌 네트워크 수 항목에 대해 실화주는 중요도는 높으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프레이트 포워더는 COVID-19로 느슨해졌던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과 더불어 기존의 해외 파트너의 내실을 다지는 전략을 세워야할 것이다. 프레이트 포워더 선정 시 운임뿐만 아니라 서비스 ROUTE, 정보제공 등의 서비스 제공과 더불어 인적자원 또한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실화주와 프레이트 포워더를 대상으로 설문 진행을 하였으나 수도권 및 부산 지역에 한정되어 설문을 진행한 한계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향후 보다 광범위한 표본 집단을 대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As a country highly dependent on trade, Korea has a characteristic that changes from moment to moment depending on the global economic and trade conditions. In this situation, the freight forwarder is acting as a stepping stone between the shipper and the carrier.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select a freight forwarder that satisfies these conditions in consideration of transport efficiency, punctuality, and stability. Forwarders are also essential to attract more shippers by providing services that consider various factors that can improve shippers' needs and satisfaction.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factors that select the freight forwarder between the shipper and the forwarder through the IPA matrix analysis, and mutually analyzed the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 selection factors. Based on this, implications for enhancing forwarder competitiveness were presented. Through the IPA matrix analysis, financial stability, communication with staff, competitiveness of total cost, diversity of service ROUTE, ability to provide information, cargo tracking service and management system of users’ claim have high importance and satisfaction for both the shipper and the freight forwarder. Therefore, the freight forwarder must work continuously to maintain a high level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nd for the number of global networks is shown high importance but low satisfaction. Freight forwarders will need to establish a strategy to strengthen the stability of existing overseas partners along with the expansion of the global network that has been loosened due to COVID-19. When selecting a freight forwarder, not only the ocean freight, but also the provision of services such as service route and information provision, as well as human resources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Although the survey was conducted on shipper and freight forwarders, it is necessary to analyze a wider sample group in the future because the survey was limited to the metropolitan area and Busan area.

      • 국내 MICE 산업의 구조적 변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남지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MICE 산업에서 조직일탈, 조직갈등, 조직지원인식, 조직침묵 등에 관한 조직연구는 기존에도 존재해 왔다. 다만 중요한 것은 이들 연구가 코로나–19 이전의 대면 시대에서의 조직연구였다는 점이다. 현재 국내 MICE 산업은 코로나-19로 인해 맞이한 구조적 변화에서 생존하기 위하여 어떠한 산업보다 더 빠르게 적응해나가고 있다. 이는 기존의 인적자원관리가 현재의 국내 MICE 산업 종업원들에게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비대면 환경에서 MICE 산업에 대한 조직연구를 수행함으로써, 현 시대에 맞는 인적자원관리의 방법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나아가 이를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국내 MICE 산업의 구조적 변화로 인한 MICE 산업 종업원은 조직갈등이 조직일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직지원인식에 대한 장기적인 전략 등이 필요하다. 향후 MICE 산업 종업원의 조직갈등으로 인한 조직침묵이 조직일탈을 막을 수 있는 연구에 활용되며, MICE 산업 에 큰 시사점을 제시해줄 것이다. 비대면 시대를 맞이하여 MICE 산업 종업원의 조직일탈을 방지하는 연구에 대한 활용에 그 방향성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MICE 산업의 구조적 변화에서 MICE 산업 종업원의 조직갈등에 대한 초기 연구라는 것에 의의가 있다. Organizational studies on organizational deviation, organizational conflict,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tion, and organizational silence have already existed in the MICE industry. Importantly, however, these studies were organizational studies in the face-to-face era before Corona-19. Currently, Korea MICE industry is adapting faster than any other industry to survive the structural changes greeted by Corona-19. This means that the exist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cannot be applied as is to the current Korea MICE industry workers.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find a method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suitable for the present age by conducting organizational research on the MICE industry in such a non-face-to-face environment. In addition, we tried to provide practical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through this. Due to the structural change of the Korea MICE industry, the MICE industry employees are affected by organizational conflicts and organizational deviations, so a long-term strategy for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tion is required. In the future, organizational silence due to organizational conflicts of MICE industry employees will be used for research that can prevent organizational deviations, and will provid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MICE industry. As we enter the non-face-to-face era, we will be able to show the direction of utilization for research to prevent MICE industry employees from deviating from the organization.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s an initial study of the organizational conflicts of MICE industry employees in structural changes in the MICE industry.

      • 중등 특수학급 교사의 국어과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남지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Narrative Inquiry into the Experience of Secondary Special Class Teacher's Reconstruction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secondary special class teachers’ experiences on reconstruction of Korean language by narrative inquiry and investigate how they could have their growth or change through them. To do this, narrative inquiry was conducted on 5 secondary special class teachers who had served more than five years in special class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wo subjects, four higher categories and 14 sub-categories were drawn. To sum up the results is as follows : First, secondary special class teachers relatively understand well how important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and also have a view that reconstruction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not an optional but essential. Second, secondary special class teachers had been burderned down with the tasks that they should satisfy very different students, improve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and also revis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nually. They felt uneasy, hollow and so on about their reconstruction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ird, secondary special class teachers thought that it is singnificant for student's Korean language skills to have been improved through reconstruction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said that students play a role as a mirror of reconstruction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when evaluated if it goes well. Fourth, secondary special class teachers told that they themselves are making a great effort to have reconstruction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to be carried out, and through that they would be more expertise and could strengthen their identity and self-esteem as a special teac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