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호사가 지각하는 조직의 윤리풍토 및 직무스트레스와 경력몰입과의 관계연구

        남지은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 요약 본 연구는 간호사가 지각하는 조직의 윤리풍토 및 직무 스트레스와 경력몰입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간호조직의 효율적인 인적 자원개발과 조직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장기적인 전략수립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소재 공공병원 1곳, 사회복지법인 종합병원 1곳, 기업병원 부속 검진센터 1곳, 대학 부속병원 1곳에 근무하는 간호사 201명을 편의 추출하여 구성하였고, 자료 수집은 자의로 설문수집에 동의한 간호사의 경우, 서면동의서를 받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 및 수거하였다. 설문지수는 해당기관의 협조를 얻어 201부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201부, 총100%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자료수집은 2009년 9월21일 ~ 2009년 10월 9일 사이로 총 19일이 소요되었다. 조직의 윤리풍토는 Victor와 Cullen(1987, 1988, 1993)에 의해 제시된 ECQ(Ethical Climate Questionare)를 본연구자가 수정·보완한 도구로 측정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는 한국형 직무스트레스 도구(장세진 등, 2004)로 측정하였고, 경력몰입은 Gardner(1986)의 경력몰입 측정도구(measure nurses career commitment)를 Mrayyan(2008)이 사용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대상자의 99%가 여성이고, 연령은 36세 이상이 33%로 가장 많았고 평균연령은 32.90±7.45세로 나타났다. 결혼 상태는 기혼이 51.7%로, 학력은 전문대졸이 52%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 임상경력은 5-10년이 30%로, 현 근무지 고용형태는 정규직이 30%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위는 일반 간호사가, 현 근무병동은 일반병동이 가장 많았다. 이직경험 유무로는 이직한적 있음과 이직한적 없음이 각각 50%로 같게 나타났고, 이직 횟수는 평균 1.58±.816회이고 부서이동 경험은 평균 2.66±.816회로 나타났다. 직속상사의 부하직원 수는 11-15명이 35.6%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연구대상자가 지각하는 조직의 윤리풍토는 우정이 평균 3.51±.50점으로 가장 높게 지각되었고, 회사수익은 평균 2.77±.41점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는 총점평균 45.81±8.50점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보상부적절이 평균 74.90±20.37점으로 직무스트레스가 가장 높았고, 가장 낮은 항목은 대인관계갈등으로 평균 34.21±13.57점으로 나타났다. 경력몰입의 총점평균은 33.58±5.49점으로 나타났다. 3)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 윤리풍토 차이를 확인한 결과, 연령에 따라 회사수익 윤리풍토(F=2.821, p=.040), 우정(F=3.573, p=.016), 개인 도덕성(F=3.114, p=.027), 사회규칙(F=3.474, p=.017), 법과 코드(F=3.479, p=.017)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결혼상태에 따라 회사수익(t=3.051, p=.003), 효율성(t=2.121 p=.035), 팀 이익(t=2.512, p=.013), 우정 (t=2.727, p=.007), 개인 도덕성(t=2.458, p=.015), 사회적 책임(t=2.502, p=.013), 사회규칙(t=2.636, p=.009), 법과 코드(t=3.023, p=.003)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최종학력에 따라 우정(F=4.020, p=.019), 법과 코드(F=3.201, p=.043)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는 연령(F=4.306, p=.006), 결혼상태(t=-2.389, p=.018)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몰입은 연령(F=8.020, p=.000)과 결혼상태(t=2.997, p=.003), 최종학력(F=3.849, p=.023)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조직의 윤리풍토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임상경력에 따라 회사수익 윤리풍토(F=2.960, p=.013), 우정(F=2.827, p=.017), 법과 코드(F=2.982, p=.013)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위에 따라 우정(F=3.763, p=.025), 사회규칙(F=3.669, p=.027), 법과 코드 (F=4.106, p=.018)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부서이동 경험유무에 따라 자기 이익(t=2.205, p=.029), 효율성(t=2.050, p=.042), 사회규칙(t=3.024, p=.003), 우정(t=2.024, p=.044), 개인도덕성(t=2.305, p=.022), 법과 코드(t=2.379, p=.018)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직경험유무는 팀 이익(t=-2.933, p=.004)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는 임상경력(F=3.308, p=.007)과 직위(F=7.923, p=.000), 부서이동 경험유무(t=-2.405, p=.017)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몰입은 임상경력(F=4.549, p=.001)과 직위(F=8.151, p=.000), 부서이동 경험유무(t=3.316,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연구대상자가 지각하는 조직의 윤리풍토와 직무스트레스, 경력몰입의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자기이익(r=-.200, p=.002), 우정(r=-.208, p=.001), 팀 이익(r=-.184, p=.005), 사회적 책임(r=-.308, p=.000), 개인도덕성(r=-.465, p=.000), 회사규칙(r=-.429, p=.000), 법과 코드(r=-.430, p=.000)는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자기이익(r=.283, p=.000), 우정(r=.278, p=.000), 팀이익(r=.209, p=.000), 사회적 책임(r=.268, p=.000), 개인 도덕성(r=.337, p=.000), 회사규칙(r=.382, p=.000), 법과 코드(r=.375, p=.000)는 경력몰입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연구대상자들은, 자신이 속한 조직의 윤리풍토 중 '우정'을 가장 강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반면 '회사수익'에 대해서는 가장 약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대상자가 '자기이익', '우정', '팀 이익', '사회적 책임', '개인도덕성', '회사규칙', '법과 코드' 등의 윤리풍토를 강하게 지각할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아지며, 이들을 강하게 인식할수록 경력몰입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윤리풍토 관련 간호교육프로그램개발, 실무 능력 향상을 위한 계속 교육, 직장내 네트워크형성, 전문직 실무표준 마련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간호조직의 윤리풍토를 보다 건전한 방향으로 강화하여 이를 통해 임상간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고 경력몰입은 높여, 재직의도를 높이고 이직을 낮추는 전략을 모색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중·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 분석 및 교과 연계 방안 연구

        남지은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 세계적으로 중국의 영향력이 확대되며 중국어 학습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중·고등학교에서 중국어를 선택하여 학습하는 학생들의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학습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중국어 교과를 연계적으로 구성해야 하고, 이에 학습과정의 핵심도구인 교과서의 연계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생활 중국어』 교과서 6종, 고등학교 『중국어Ⅰ』 교과서 5종 총 11종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교과서 연계성에 대해 검토하고 중·고등학교 중국어 교과 연계를 위한 교과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우선 연구 동기 및 목적을 밝히고, 중·고등학교 교과서 분석 및 연계성 이론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고찰한 후 본 연구에서 진행할 연구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교과서 편찬의 근거가 되는 교육과정의 현황 및 변천을 살펴보고, 2009 개정 교육과정을 기준 삼아 교과서의 형식적 내용인 차례와 구성 체제, 언어적 내용인 발음, 어휘, 의사소통 기본 표현, 문화적 내용의 문화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교육과정을 잘 반영하였는지, 내용의 구성은 어떠한지, 교과서 연계성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종합적인 분석 결과를 통해 중·고등학교 중국어 교과 연계를 위한 교과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몇 종의 교과서를 대상으로, 몇 가지 영역의 분석을 진행했던 기존의 연구에서 한 단계 발전하여 중·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 11종 전체를 대상으로 형식적·언어적·문화적 내용으로 분류하여 다양한 요소를 연계적으로 분석하고, 교과 연계를 위한 구체적이고도 실질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새로운 교과서 보급 및 사용을 앞두며 그간 사용되었던 2009 개정 교육과정 중·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새 교과서에 대한 제안을 미리 해 보며 앞으로의 교과서 편찬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e interest in learning Chinese has increased as the influence of China and its growth expanded throughout the world. Such steadily increasing trend is shown from the students in Republic of Korea selecting Chinese as second language in middle and high school. In order to increase its learning effect, Chinese textbooks must be composed in a gradual manner, which inevitably requires connection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mprovement plan by developing its linkage of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by examining 11 types of Chinese textbooks in middle and high school. Above all, this study has determined its research motive and purpose, considered by and large of the linkage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and proposed its research progress plan. Next, it further examined the current and changes of the curriculum. Furthermore, it observed whether it reflected well based upon 2009 amended curriculum in regards to: contents, setup of organization, pronunciation, vocabulary, communication, cultural backgrounds, education courses, content construction, and linkage of textbooks. Finally, through complement analysis result, it adduced to help improve the connection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Contrary to the earlier study, which analyzed few types of textbooks, this study approached by referring to complete 11 textbooks and determined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into structural, verbal and cultural content. Through such classification, linkages between the textbooks were analyzed along with detailed and practical improvement for successive textbooks. Having 2015 amended curriculum and its newly produced textbooks ready to be supplied shortly, this study inclusively analyzed the former amended curriculum from 2009 and concluded its study by offering and hoping to give practical assistance in upcoming Chinese textbooks in middle and high school.

      • 경력개발지원이 조직몰입과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남지은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직장 및 직업에 대한 조직과 조직 구성원의 인식이 변화함에 따라 경력 및 경력개발에 대한 개념도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경력개발지원이 조직몰입과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경력개발지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것으로, 경력개발지원의 구성요소가 조직몰입 즉,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 각각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하며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둘째는 경력개발지원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것으로 경력개발지원의 구성요소가 경력만족과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하며 차이가 있는가의 두 가지이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조직에 속하는 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66부를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 결과 분석을 위해 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 t검정과 ANOVA 분석 등의 통계 기법을 사용하였고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개발지원은 지속적 몰입과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속적 몰입에 이어 규범적 몰입, 정서적 몰입의 순으로 관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경력개발지원의 구성요소 중 전략체계, 성장기회, 상사지원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정서적 몰입에도 전략체계, 성장기회 그리고 상사지원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적 몰입에는 상전략체계, 운영체계 그리고 성장기회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규범적 몰입에는 경력개발의 구성요소 전체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력개발지원의 구성요소 중 성장기회와 상사지원이 경력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고용가능성에는 모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경력개발관리 전체를 체계적으로 실시하고 현실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운영하여야 한다. 둘째, 경력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보여주고 상사가 경력 상담 및 코칭을 할 수 있도록 교육제도를 정착시켜야 한다. 셋째, 조직 구성원의 경력개발목표가 회사의 전략 및 비전과 일치하여 조직과 구성원 모두 발전할 수 있도록 교육훈련제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As the recognition of organization and its members about job and occupation has been changed, the concept about career and career development has been changed. Hereupon, this study aimed to grasp the influence that career development support ha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ubjective career. Research problems to achieve the research goal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problem is about the influence that career development support ha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ther words, first research problem refers to grasping the influence that components of career development support hav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t is emotional commitment, continuous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Second research problem is about the influence that career development support has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In other words, second research problem refers to grasping the influence that components of career development support have on career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Questionnaire survey for members of various organizations was conducted to solve research problems and then 266 copies were use f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 of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 of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continuous commitment had highest correlation with career development support followed by normative commitment and emotional commitment. Second, it was revealed that strategy system, growth opportunity and supervisor suppor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motional commitment. It was revealed that strategy system, operation system and growth opportunit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ontinuous commitment. It was revealed that all components of career developmen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normative commitment. Third, it was revealed that growth opportunity and supervisor suppor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satisfaction but they did not influence employabilit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career development management should be executed systematically and practically. Second, education system that provides continuous interest and support for career development and in which supervisors give career counseling and coaching to subordinates should be established. Third, training system that aims to develop both organization and its members by harmonizing career development goal of members with vision and strategy of company should be arranged.

      • 장편영화 <특종: 량첸살인기> 제작보고서 : 사운드 디자인을 중심으로

        남지은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논문은 2015년 10월22일 한국에서 개봉한 장편영화 <특종:량첸살인 기> 의 제작 과정 중에서 사운드 제작 과정을 프리 프로덕션, 포스트 프로덕션을 거쳐 개봉하기까지 과정을 상세히 기록하였다. I 장에서는 작품 기획의 배경과 보고서의 서술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II장 프리 프로덕션(Pre-Production) 에서는 감독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앞으로 작업 하게 될 사운드 디자인의 전체적인 개요와 사운드 작업 일정을 대략적으로 설명 한다. III 장 포스트 프로덕션(Post-Production) 에서는 본격적으로 각 파트별 작업이 진행되는 과정을 소개한다. 먼저 작업 시작하기전 필요한 데이터에 대한 목록을 시작으로 준비된 그림, OMF, 음악을 보면서 씬에 대한 사운드 디자인 목표를 세우고 사운드 스파팅(Spotting)을 통해 기술적, 연출적으로 씬 분석을 하여 작업방향을 제시한다. 이후 각 파트별 대사(Dialogue), 후시녹음(ADR), 효과(Sound Effect), 엠비언스(Ambience), 폴리(Foley), 음악(Music) 주요 작업 과정을 소개하고 다음단계로 넘어가 프리믹싱, 믹싱을 거쳐 상영까지 이루어 지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IV 장에선 앞에서 소개한 작업과정 속에서 생겼던 문제점과 문제에 대한 필자의 견해와 해결 방법, 그 안에서 느꼈던 반성, 이 모든 경험으로 앞으로를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한 생각을 서술한다. This study records the details of the sound production process of a Korean film, The Exclusive: Beat the Devil’s Tattoo, 2015), released on October 22, 2015 in South Korea, including the pre-production, post-production and until public release. Chapter 1explains the background of the film planning and report description purpose. Chapter II, Pre-Production, is based on the communication with the film director to overview the general outline of future sound design process and work schedule. Chapter III, Post-Production, introduces work progress process in each part of the task. First, before starting work, a list of necessary data for the task is needed to refer to long with prepared MOV files, OMF, and music. And by looking at such materials, sound design goals are established. Scenes are analyzed in terms of technique and direction through sound spotting. Based on these procedures, work direction is presented. Then, main work procedures of each part such as dialogue, ADR, sound effect, ambience, foley and music. Following procedures are described in depth such as Pre-mixing, mixing and to film releases. Chapter IV deals with the problems in the afore-mentioned work procedures and the researcher’s opinion on and solution to them, reflection in this process, and thoughts on how to prepare for future based on all of these experiences.

      • 중장년층 거주자의 주거만족도 및 주택선호도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남지은 한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d influences of characteristics of household and asset structures and factors of housing preference including demand for housing and awareness of residence on satisfaction with residence that predict selection of residence by ascertaining factors of housing preference after surveying middle aged people residing in Busa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ople aged 46 to 64 residing in Busan surveyed in this study had a spouse, adult children and educational attainments equal to and lower than those of high school graduates and earned income of five million won or less and good health. People surveyed in this study had total assets of about 500 million won but debt ratio of over 50 percent. Real estate assets accounted for a great part of their assets. People surveyed in this study had lower level of preparation for their later years. Second, when analyzing a difference in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assets structure according to age group of those surveyed, it was ascertained that among people aged over 55, percent of people who had a high level of education and did not have a spouse was slightly higher. Among people aged over 55, percent of people who had adult children, earned income of five million won or more and disease was relatively higher. People aged over 55 surveyed in this study were higher than those aged under 55 in assets of over 500 million won, debt ratio of over 50 percent, portion of real estate assets of 70% or less, portion of housing assets of 70% or less and residence in rent house. Third, when verifying an influence of demand for housing among middle aged people residing in Busan on satisfaction with residence, it was ascertained that demand for housing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residence and among factors of demand for housing influencing satisfaction with residence, size of housing had the greatest influence followed by possession of housing, location of housing and shape of housing. When examining an influence of control variables on satisfaction with residence, it was ascertained that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spouse, level of education, health condition, portion of real estate assets and portion of housing assets had a positive significant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residence. Fourth, when verifying an influence of awareness of residence among middle aged people residing in Busan, it was ascertained that awareness of residenc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residence. It was found that among factors of awareness of residence influencing satisfaction with residence, pursuit of pastoral wellbeing life had the greatest influence followed by pursuit of convenient access, pursuit of space for family, pursuit of social value and pursuit of practical investment. When examining an influence of control variables on satisfaction with residence, it was ascertained that age group, level of education, age group of children, earned income, total assets, debt ratio, portion of housing assets and level of preparation for later years had a positive significant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residence. Fifth, this study verified a difference in answers to awareness of residence according to groups of demand for housing by using independent sample t-test in order to find out correlation between demand for housing and awareness of housing. It was found that for pursuit of space for family, average of apartment houses was higher than detached houses/other houses and average of 60m2 or more was higher than 61m2 or less. For pursuit of practical investment, average of own houses was higher than rented houses and average of downtown was higher than suburbs/rural districts. For pursuit of convenient access, average of downtown was higher than suburbs/rural distric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found suggestions which are useful in establishing policies by examining relations and influences considering preference for housing and satisfaction with residence and household and assets structure factors caused by a change in income, assets, and family structure of middle aged generation that are main consumers for housing. It is advisable to make good use of findings of this study in establishing urban development and housing policy preparing for a change in socio-economical structure and consider quality of life and desire for residence. 본 연구는 부산지역 중장년층세대 거주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가구․자산구조 특성과, 그에 따른 주택수요 및 주거의식 등 주택선호요인을 파악하고, 이들 요인이 주거선택을 예측하는 주거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인 부산지역 46~64세 중장년층 거주자의 특성은 가구주 기준으로 배우자가 있고, 고졸 이하 학력에 대학생 이상의 자녀를 두고 있으며, 근로소득이 500만원 미만이고, 대체로 양호한 건강상태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자산구조 면에서는 5억 원을 전후한 총자산을 갖고 있으나 부채비율이 50% 이상으로 높고, 이중 자가로 보유한 현 거주주택을 중심의 부동산 자산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노후대비 수준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장년층의 연령대에 따른 가구특성 및 자산구조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55세미만과 55세이상 간에 55세이상이 배우자가 없는 고학력자의 비율이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은 대학생 이상의 자녀를 두고, 500만원 이상 소득이 있으며, 질환을 보유하고 있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55세이상의 연령대는 55세미만에 비해 5억 원 이상의 자산, 부채비율 50% 이상, 부동산 자산 비중 70% 미만, 주택자산 비중 70% 미만, 임대 거주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부산지역 중장년층 거주자의 주택수요가 주거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주택수요가 주거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거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택수요 요인으로는 주택규모 > 주택소유 > 주택입지 > 주택형태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제변수가 주거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배우자유무, 학력, 건강상태, 부동산자산비중, 주택자산비중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산지역 중장년층 거주자의 주거의식이 주거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주거의식이 주거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거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의식 요인으로는 전원웰빙추구 > 편의접근추구 > 가족공간지향 > 사회적가치추구 > 실용투자지향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제변수가 주거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연령대, 학력, 자녀연령대, 근로소득, 총자산, 부채비율, 주택자산비중, 노후대비수준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문제 검증과는 별도로 주택수요와 주거의식의 관계성을 살펴보고자 주택수요 집단에 따른 주거의식의 응답차이를 독립표본 t-test로 추가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가족공간지향성에 대해 단독/기타보다 아파트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60m2 이하보다 61m2 이상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실용투자지향성에 대해 임대보다 자가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교외/전원보다 도심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편의접근추구성에 대해 교외/전원보다 도심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다. 결국, 본 연구는 주 주택수요층인 중장년층세대의 수입 및 자산, 가족구조 변동 등으로 인한 가구 및 자산구조 요인과, 그에 따라 동반 변화가 예상되는 주택선호 및 주거만족을 총체적으로 고려하여 관계성과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서, 향후 주택․부동산 시장에서의 대응과 주택정책 수립에 효과적으로 이용가능한 시사점을 얻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사회경제적 구조 변동을 대비한 도시개발 및 주택정책에 있어서, 이들의 생애주기와 노후준비도, 자산구조, 노후에 주거환경을 통해 얻는 삶의 질과 주거욕구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 상징적 이미지를 통한 욕망의 표현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남지은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상징적 이미지를 통해 인간에게 내재하는 욕망의 모습을 허구적 풍경으로 표현한 본인의 작품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작품의 이론적 배경과 전개방식을 밝히고, 이에 따라 제작된 작품의 형식적 내용을 분석하였다. 인간은 욕망의 동물로, 인간이 갖는 다양한 욕망은 자아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발견된다. 이 과정은 주체가 스스로를 객체로 바라보는 시선을 통해 가능해 지는데, 이는 타인을 통해 실현된다. 연구자는 자아 정체성을 찾는 과정에서 타인의 존재가 필수적임을 깨닫게 되었고,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욕망이 생성되는 것을 목격하고 인간의 욕망에 대한 관심과 물음을 갖게 되었다. 이 관심은 작가 자신의 개인적 기억과 성장과정의 경험에서 비롯하였으며, 욕망이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지를 시각화 하는 행동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된다. 인간에게 내재하는 욕망은 일관된 방향성을 갖지 않는 불안한 상태로 존재하며, 이로 인해 자아는 외부세계의 상충된 욕망과 갈등한다. 이런 자아의 내면의 모습을 가시화함으로써 욕망의 본질의 모습을 확인한다. 작가는 자신의 바람이나 생각, 욕망을 창조물을 통해 전달한다. 연구자는 인간에게 내재하는 욕망을 회화라는 매체를 사용하여 표출한다. 연구자의 작품은 설정한 공간 위에 선택한 소재들을 연출하여 허상의 공간을 구현한다. 연구자의 작업은 시각적 안정감을 줌과 동시에 중심을 강조하는 대칭적 구도로 표현한다. 또한 욕망이란 단어와 언어적으로 연상관계가 있는 소재들을 선택하여, 욕망의 상징물로서 작품에 등장시킨다. 선택된 소재들은 연구자가 욕망의 성격과 유사한 점을 지녔다고 판단하는 것들로 일상에서 볼 수 있는 사물들로 이루어진다. 이 소재들은 비현실적이고 낯선 상황으로 연출되어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에 놓인 풍경화의 모습을 갖는다. 이처럼 연구자의 작품은 내면의 풍경을 상상하고 이미지로써 떠올리는 것으로 시작되어, 욕망의 다중적인 특성을 모순되고 평범하지 않은 상황으로 계획하고 연출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연구자의 작품을 내용적으로 분석하고 이론적 근거들을 살펴봄으로써 작품을 객관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고, 이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여 앞으로의 창작활동에 발전적 토대로 삼고자 한다. This paper is a study about the author’s work expresing the desire that inherent in humans into fictional landscape through symbolic image. In this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unfolding method of works were revealed, and formal contents of produced works were analyzed. Humans are animals of desire, and their various desires are found during proces of ego formation. This proces becomes posible through the gaze that subject loks at itself as an object, and it is realized through others. The author realized that the existence of others is esential in proces of finding self-identiy, and witnesed the creation of desire in the relationships with the others and became interested and questioned the human desire. This interest is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author’s own personal memory and growth proces and leads to the act of visualizing how desire loks like. Desire that inherent in human stays as unstable state that has no coherent direction. This causes conflict with contradicting desire of outside world. By visualizing the iner figure of this ego, the author identifies the nature of desire. Artist delivers wishes, thoughts and desire through creations. Researcher expreses desire within human using painting. The works of researcher create the space of the virtual image by directing the selected materials on the set space. The researcher’s works not only give visual stabilty but also describe symmetrical compositon emphasizing the center. In aditon, the author selected materials that related to the word desire in a linguistic ways and expresed them in the works as a symbol of desire. Selected materials were judged to have similarity with characteristic of desire by the researcher, and consisted of things that can be sen in daily life. These materials were portrayed as unrealistic and unfamilar situations, and have the apearance of a landscape that lies at the boundary of reality and unrealism. Such as this, works of the researcher begin with imagining a landscape of iner scenery and recaling as image, and apear as planing and directing multiple characteristics of desire into contradictory and unusual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orks of researcher in terms of their contents and by examine the theoretical grounds, it is to se works in objective views. Through this, the author would like to find new posibilties and make a basis for future creative activites.

      • 조선후기 화단에 관한 연구 : 강희언(姜熙彦)과 강세황(姜世晃)을 중심으로

        南芝恩 동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 미술사상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온 조선후기 회화의 대한 논의로, 당시의 대표적인 작가 담졸(淡拙) 강희언(姜熙彦)과 표암(豹菴) 강세황(姜世晃)을 비교 분석하면서 당시대의 양식적 특징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이 시대의 회화는 조선초기와 중기의 전통을 토대로 하고 새로이 전래된 명, 청대 중국회화를 섭렵하여서 당시에 풍미하였던 자아의식을 발현하여 새로운 화풍을 형성하였던 것으로 믿어진다. 이렇게 발전된 당시 회화의 대체적인 경향은 강세황의 의한 남종화이 본격적인 유행, 강희언의 남종화법을 수용하여 한국의 실경을 그린 한국적 진경산수화의 풍미, 투시도법과 음영법, 원근법을 특징으로 하는 서양화법을 사용한 그 들의 산수화의 독자적인 화풍을 이루었다. 이 두사람은 이후 19세기 활발히 활동한 중인여기화가들의 앞선 선구적인 역할을 담당하였으므로 이들의 회화는 조선후기 회화사 흐름에 대한 이해를 도와준다. 특히 서양화법을 수용하여 개성있는 화풍을 이루었던 것은 후기 화단에서 서양화법의 수용면을 보여주며, 이것은 그들의 회화의 의의를 더욱 부각시켜 준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조선후기화단에 대한 좀 더 정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이전 연구들을 통해 다루워진 내용과 화원출신인 강희언과 비화원인 강세황의 작품세계를 비교 분석하면서 각자의 개성과 시대적 요인이 작품의 변화를 이끄는 중요한 요소임을 인식하고 나아가 조선시대 후기 회화의 양식 형성과 그 특징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This study discusses paintings of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which brought epochal changes on Korea’s art history, and it looks into modal features of those days while comparatively analyzing representative artists, Damjol Hee-Eon KANG and Pyoam Se-Hwang KANG. It is believed that paintings of those days were based on tradition of early and middle stage of Chosun dynasty and ranged over newly introduced Chinese paintings of the Ming and the Qing dynasties. And they formed a new style of painting by revealing those days’ overwhelming self-consciousness. Overall trend of those days’ paintings includes popularity of the Chinese painting of the southern school by Se-Hwang KANG, and predominance of Korean real landscape painting, which accepted Hee-Eon KANG’s methodology of the Chinese painting of the southern school. These two artists who used methodology of western painting which was characterized by perspective and shade, formed independent style of painting. Paintings of these two artists help us to understand the trend of painting history of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since they performed pioneer role of middle class hobby artists who played an active part in the 19^(th) century. Particularly the fact that they formed their own style by accepting the methodology of the western paintings shows how methodology of the western paintings was accepted by Korean art circles in the latter period of Chosun, and this brought out meaning of their paintings. In this study, therefore, I will comparatively analyzing contents of the previous studies and works of Hee-Eon KANG who was a public artist and Se-Hwang KANG who was not a public artist to helpmore accurate understanding of painting circles of the latter period of Chosun. In addition, I will explain that individuality of each artist and factors of the days are the important factors to lead the changes of the works and examine the formation of the style and the features of the paintings of the latter period of Chosun.

      • 匯源果汁中國飮料市場營銷策略硏究

        남지은 성균관대학교 중국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looks at the trends and development of the beverage industry in China. At this level, it goes for the prospects of the Chinese fruit beverage market with analysis on its competitive structure. After dividing Chinese market into some segment, it firstly considered the sales distribution of the classified products in every local market, and also did its features as well. That is, the Chinese market has been classified in order of the sorts of beverages and the regional groups by its sales points, in which it studi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dustry development and its distribution, and between the industry development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Through the case of Hui Yuan, this study explore the effective strategies the company has taken under the competitive market condition. Further, it offers some suggestions for Hui Yuan to maintain sustainable growth in the future. This paper, therefore, aims to render certain contribution especially towards those people who are both incumbents and newcomers, with viewing closely the patterns of the whole Chinese market flow in beverage industry. In this study, there is a concept of‘well-being’which is being a really hot issue among our contemporaries. On the premise that, it is the Chinese fruit beverage market that surely has a great deal of economic potential. In order to make it clear, it was required to take some steps as follows: to take a look into the development of the Chinese beverage market as a whole; to divide beverage products into four categories, that is, carbonated beverage, tea beverage, fruit beverage, and water beverage; to make the whole beverage market classified by nine segments. In other words, there is an increasing concern about‘health’and‘hygiene’to lead the fruit beverage --with its fresh and healthy images-- to be in the limelight as the new magnet on behalf of carbonated beverage which had once commanded of the market. To start with the whole scale of the Chinese beverage market, this paper narrows down its points into the Hui Yuan case. Through Hui Yuan’s marketing strategies, it has been turned out what factors caused Hui Yuan to go right and what did to go wrong. At the same time, it gives effective strategic points by do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Hui Yuan and its competitors. The paper ends with those of some recommendations on Hui Yuan’s marketing strategies to let Hui Yuan set it up firmly in the competitive environment, but without repeatedly making the same mistakes. 본 연구는 중국음료산업의 현황과 발전흐름을 개괄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중국 과일음료시장의 경쟁구도분석을 통한 향후 전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지역별로 중국시장을 구분하여 각 지역시장에서의 종류별 음료상품의 판매 분포 및 특징을 알아보았다. 즉, 중국음료시장을 음료의 종류와 판매지역을 기준으로 각각 세분화하여 산업발전과 분포 간 그리고 산업발전과 외부환경 간의 상호연계성을 분석하였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후이위안의 사례분석을 통해 경쟁시장에서 기업이 취하는 유효전략에 대해 고찰해보고, 후이위안의 향후 지속적 발전을 위해 그에 상응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위에서 밝힌 연구내용과 그 의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중국의 음료시장 전체에 대한 이해는 물론 현재 그리고 미래의 동종업계 종사자들에게 적게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현대인들 사이에서 큰 화두가 되고 있는 ‘웰빙’이라는 개념을 전제로 향후 중국의 과일음료시장이 커다란 발전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결론짓고, 중국음료시장의 발전 현황, 네 가지 종류(탄산음료, 차음료, 과일음료, 워터음료)로 분류한 음료상품 각각의 특징, 그리고 아홉 개 지역으로 구분한 시장 상황을 통해 이를 분석하고 뒷받침하였다. 다시 말해, ‘건강’과 ‘위생’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과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신선함과 건강함의 이미지를 지닌 과일음료가 기존 음료시장을 주도하던 탄산음료를 대신하며 새로운 인기상품으로 점차 각광받게 된 것이다. 본 연구는 전체 음료시장이란 큰 범주에서 출발하여 중국 과일음료업계를 대표하는 후이위안의 마케팅 전략을 분석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이를 통해, 시장 경쟁과 발전 과정 속에서 후이위안이 얻은 득과 실을 고찰해보고, 동시에 경쟁업체들의 성공 요인과 비교분석 해봄으로써 실효성 있는 전략 방안을 제시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경쟁적’ 경제체제 속에서 후이위안이 전략적 과오를 되풀이하지 않고 효과적인 시장전략을 수립하는데 이바지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