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의사소통 활동을 통한 중국어 교수방법 연구 : 실업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남옥희 大邱가톨릭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eachers who teach at vocational high schools should consider a few factors. First, we need to think of the students' academic level.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bility i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Second, we need to consider the schools' circumstances. Vocational high schools have less time-allotted to teaching than academic high schools. Furthermore they cannot have a full term of classes because of their practicum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In these circumstances, in order to teach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eachers need to focus on several things. First, we should remake the text-book and reduce the volume of the content which students have to learn. If they are to use the same text-book as in the academic high school, which has more time allotted to learning,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cannot have the same quality of class or cannot master all the chapters. They don't have the same exposure time. Second, to teach the Chinese language more effectively, for example, teachers should teach pronunciation by using a pronunciation-drill-chart in every class. It is inappropriate that we try to master perfect pronunciation first for the low-level students and to teach Chinese sentences later. So it is a good strategy that after we teach basic pronunciation, we should train students pronunciation and communicative dialogue at the same time. Third, we should give lots of opportunities for the students to listen to the Chinese language by using classroom-Chinese, we have to use classroom- Chinese as much as possible in class. Fourth, we should make students approach the Chinese language easily and interestingly through communicative activities. In every class we can practice role plays and interesting games which students would enjoy. This way they may experience what they feel like when they speak to foreigners. And we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have confidence in speaking Chinese when they meet Chinese native speakers face to face. Lastly, by practicing communicative Chinese in class, we can increase the students' reading, writing, speaking, and listening abilities.

      • 음악 수업 개선을 위한 포괄적 학습 활동 프로그램의 적용 연구 : 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남옥희 서울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현행 초등학교 음악 수업의 문제점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진단해보고, 조사를 통하여 나타난 문제점의 개선을 위하여 학습 활동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한 사례연구(case study)이다. 연구의 대상은 본 연구자가 담임을 맡고 있는 서울 소재의 초등학교 6학년 한 학급(45명)과 사후 비교의 기준이 되는 한 학급(46명)으로, 연구반에는 포괄적 음악 교육에 근거하여 구안된 학습 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비교반에는 현행 교육과정에 의한 정상 수업을 실시했다. 또한 사전 실태 조사의 대상은 그 두 학급을 포함한 6학년 7개 학급(317명)이다. 현행 초등학교 음악수업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진단하기 위하여 먼저 선행연구의 동향을 파악한 다음, 설문지를 작성하여 6학년 학생들의 음악 관련 의식 및 실태를 조사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음악에 대한 일반적 태도, 음악 교과에 대한 태도, 수업 내용 및 교사의 수업 실태, 학생들의 음악 및 교과 선호도, 정규 학교 수업 이외의 음악 교육 경험 등으로 이루어졌다. 학습 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과 적용한 후의 학생들의 음악 관련 의식 및 실태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사전, 사후 설문지 내용은 동일하게 하였다. 문항수는 총 17개이며 다만, 정규 학교 수업 이외의 음악 교육 경험을 묻는 두 문항은 사전 조사에 한하여 파악하여도 무관하므로, 사후 조사를 위한 설문지의 문항 수는 15개로 하였다. 현행 음악수업의 문제점을 진단하기 위한 사전 실태 조사는 1999년 9월 6일에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초등학교의 6학년 31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연구자가 담임을 맡고 있는 반을 연구반으로 설정하여 학습 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또한, 사전 실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연구반과 응답 반응 분포가 비슷한 한 반을 비교반으로 설정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용 기간은 1999년 9월 7일부터 10월 16일 (6주)까지로 하였다. 연구반은 주당 음악 수업 시수 2시간 중 1시간은 음악과(科)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 내용 진도를, 나머지 1시간은 프로그램 내용 지도를 받았다. 총 6차시 중 가창과 기악 활동 중심 수업은 각각 1차시 씩, 창작과 감상 활동 중심 수업은 각각 2차시 씩 적용하였다. 한편, 비교반은 6주간 음악과(科) 교육과정에 근거한 교과서 위주의 수업만을 받았으며,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두 집단간 변화의 기준이 되었다. 포괄적 음악 학습 활동 프로그램은, 사전 실태 조사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해 영역에서 다루어진 음악의 기본 개념들이 가창 ·기악 ·창작 ·감상 활동이라는 영역에서 통합적으로 다루어지도록 하였고, 포괄적 음악교육에 이론적 바탕을 두었으며, 아동기 음악 능력의 발달 과정을 고려하여 구안된, 창의적인 학습 활동과 학습자 활동 중심의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초등학교의 말기인 5~6학년에 이르면 정신적, 신체적으로 많이 성장하여 숫자와 상징이나 음악적 기초들을 정신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추상적 사고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화음의 원리, 음향학, 악기의 구조 등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 시기에 필요한 음악 체험을 교육적으로 체계있게 제공한다면 음악적 사고력이 확대되고 어린이들의 음악적 가능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포괄적 음악 학습 활동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이러한 발달의 특징들을 고려하여 음악의 기본 요소인 리듬, 가락, 화음, 형식, 빠르기, 셈여림, 음색의 기본 개념을 중심으로 다양한 음악 체험과 창의적인 음악 활동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안하였다. 먼저, 가창 활동 프로그램에서는 음악의 기본 요소 중 화음, 빠르기, 셈여림을 지도 요소로 선정했고, 부분 2부 합창을 통하여 단음과 화음의 차이를 알며 가사의 뜻을 살려 적절한 빠르기, 셈여림을 탐색해보며, 아름다운 합창이 되기 위한 고운 목소리를 감지해 보고자 하였다. 기악 활동 프로그램에서는 음악의 기본 요소 중 가락, 셈여림을 지도 요소로 선정했고, 아름다운 단선율의 가락을 통하여 리코더 연주 기능을 익히며 아아티큘레이션을 학습함으로써 같은 프레이즈의 반복시 셈여림을 달리한 대비 효과를 느껴보도록 하였다. 창작 활동 프로그램에서는 음악의 기본 요소 중 리듬을 지도 요소로 선정했고 박, 강세, 박자 등을 신체 활동을 통하여 체득하며 리듬을 듣고 리듬카드를 선택해봄으로써 듣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리듬 문답 놀이로 창의적 활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감상 활동 프로그램에서는 음악의 기본 요소 중 형식, 화음, 음색을 지도 요소로 선정했고, 소나타 형식의 전개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곡을 악기별 음색 악보로 오선보와 동시에 제시하여 작품의 형식 및 음색을 두 개의 지각 경로 즉, 눈과 귀를 통하여 동시에 파악하도록 하고 연주되는 악기들의 화음들이 잘 어우러짐을 체험하게 하였다. 실태 조사로부터 나타난 결과 및 문제점과 포괄적 음악 학습 활동 프로그램의 적용 후 변화된 사항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음악에 대한 일반적 태도 : 노래를 함께 부르면 기분이 좋아지고 친구가 되기 쉽다고 응답한 학생은 전체 응답자의 67.2%였고 프로그램의 적용 후 사후 변화는 미미하였다. 음악과 관련된 직업이 중요하다고 응답한 학생은 56.5%에 불과하였으나, 연구반에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크게 개선된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남학생들의 의식 변화는 주목할 만하였다. 음악은 타고난 재능뿐만 아니라 노력 역시 매우 중요하다고 응답한 학생은 대부분으로 매우 긍정적인 양상을 보여주었고, 사후 응답 역시 비슷하였다. 2) 음악 교과에 대한 태도 : 학생들은 음악 교과를 단순히 정서 함양 교과의 차원에서 뿐 아니라, 생활을 위해 유용한 능력을 향상 시켜주는, 중요한 교과로 생각하게 되었다. 3) 수업 내용 및 교사의 수업 실태(1) : 음악 시간에 가장 많이 한 활동은 노래 부르기 활동, 악기 연주 활동, 감상 활동의 순이며, 창작 활동과 음악 개념의 경험은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사후에는 주요 활동의 순서가 변하지는 않았으나, 감상 활동과 더불어 음악 개념의 지도가 세 번째로 많이 한 수업 내용이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교사의 시범이 음악이해에 별로 도움이 되지 않았던 사전 실태가 프로그램 적용 후에는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바뀌어 음악적 자료 및 시범 등 다양한 음악적 체험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4) 수업 내용 및 교사의 수업 실태(2)는 각 활동 영역별로 살펴 보았다 : 첫째, 가창 활동 영역의 측면에서, 음악 시간에 교사가 거의 Tape만 틀어놓고 노래를 따라 부르게 한 부정적 수업 실태가 많았고, 합창 수업의 경험도 적었다고 응답했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이 시기의 아동들이 화음 감지력이 크게 향상되고 음악의 짜임새도 구별할 수 있는 발달 단계에 만큼, 기본 개념 중 화음을 선택하여 화음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배울 수 있도록 하고 셈여림과 빠르기에 의한 창의적 표현 활동의 일환으로, 합창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단순히 Tape를 따라 노래 부르게 하였다고 응답한 학생은 프로그램 적용 후, 크게 줄었으나 화음과 셈여림, 빠르기 등 기초 개념의 이해를 꾀한 합창 수업에 대해서는 크게 효과가 없었다. 이는 지도 시간의 부족에 기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둘째, 기악 활동 영역의 측면에서, 현행 음악 수업을 통하여 자신의 리코더 연주 실력이 우수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은 전체 응답자의 약 1/4 정도였고, 부진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약 1/5에 해당되었다. 프로그램 적용 후 아동들의 자기 평가는 약간 향상되어 나타났으나, 리코더 중주 등을 포함한 합주의 경험 유무를 묻는 문항에 관해서는 여전히 부정적인 수치를 나타내었다. 셋째, 창작 활동 영역의 측면에서, 58.0%의 학생이 현행 음악 수업을 통하여 6학년 평가 목표인 8마디 간단한 곡을 창작할 수 없다고 응답했으나, 프로그램의 적용 후 이 문항은 유의미한 발전을 보여 주었다. 넷째, 감상 활동 영역의 측면에서, 감상 수업이 작곡자와 곡명의 파악이나 사용된 악기와 악곡의 종류를 암기시키는 수업에 치중하였으나, 포괄적 음악 학습 활동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하여 청각 능력의 발달이나 음악의 기본 개념 및 구조 파악에 소홀했던 현행 감상 수업을 보완할 수 있었다. 5) 학생들의 음악 및 교과 선호도 : 학생들의 음악 및 교과 선호도의 측면에서, 음악 선호도는 50.2%, 음악 교과의 선호도는 33.4%였다. 이는 아동들이 교과서 제재곡 이외의 대중 가요, 팝 음악, 경음악 및 클래식 등을 더 좋아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프로그램 적용 후, 음악 교과에 대한 선호도의 증가보다는 음악에 대한 선호도 증가가 컸는데, 이는 포괄적 음악 학습 활동 프로그램이 아동들의 음악에 대한, 기존의 이해나 관심을 바꾸어 줄 수는 있었다 하더라도, 단기간의 프로그램 적용으로 교과에 대한 선호도까지 바꾸기는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6) 정규 학교 수업 이외의 음악 교육 경험 : 기타 항목으로 전체 응답자의 64.0%가 음악실기 개인지도를 받은 경험이 있었고, 21.8%는 특별 활동에서 합창부나 합주부 등 음악 관련 부서에 참여하여 활동한 경험이 있었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현행 초등학교 음악 수업은 가창 중심 수업에 국한되어 있고 교사의 실기 능력 부족 및 다양한 교수 방법의 부재 등의 문제점들을 드러내었다. 또한, 창의적인 학습 활동과 학습자 활동 중심의 포괄적 학습 활동 프로그램의 적용은 학생들의 음악 관련 태도 및 수업 인식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나, 일부 항목에서 별로 개선되지 못한 이유는 프로그램 적용이 단기간에 이루어졌던 제한 때문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1학기 내지는 1년 이상의 연구 보완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폭넓은 활동 속에서 음악의 기본 개념들과 기초 기능이 포괄적으로 이해되도록 하는 초등 음악 수업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유로운 음악 표현의 기회 제공과 다양한 음악적 체험이 이루어져야 함은 주지의 사실일 것이다. This thesis is a case study applied to practical lessons. At first, the problems of present Elementary School music lessons through some research were diagnosed and then music learning-activity programs were devised to improve the problems which appeared through the research.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2 classes of the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One of them, the class I charged was applied learning-activity programs based on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and the other was applied normal lessons by the present curriculum. the objects of the pre-research were 7 classes (317 students) of the 6th graders lived in Seoul with them. In order to diagnose the problems of present Elementary School music lessons, after examining the currency of previous studies, the thoughts and aspects related with music of the 6th graders were surveyed through the research. the contents of research were general attitude about music, attitude of music subject, lesson contents & teaching method, learner's preference of music & music subject and extra music experience. The contents of the pre-research and the post-research were the same to identify the change of the thoughts and aspects related with music of students. The number of questions were totally 17 but that of the post-research questions was 15 because 2 questions of extra music experience could be allowed to identify just to the pre-research. The pre-research to diagnose the problems of present music lessons, was put into force september 6th in 1999 and to the 6th grade 317 students of the school that I worked for. Then the class that I charged was set up as this study's objective class and music learning-activity programs were applied to that. Another compared class was also set up, whose distribution of the students' answers was similar with the study class's in the pre-research. The music learning-activity programs,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showed by the pre-research, was to allow music concepts to integrate the boundary of vocal, instrumental, creative and appreciative activities, based to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and considered developmental process of children musical ability, that meant the programs centered the learner's activity. The term of the program's application had been from september 7th to October 16th (for 6 weeks) in 1999. In the music lessens of 2 hours per 1 week, to the study class, one hour was given as the program's application and the other hour, as the text hook's contents by music curriculum. Of total 6 hours, a vocal and a instrumental lesson was 1 hour respectively, creative and appreciative lessons were 2 hours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o the compared class, just only the text book's contents by music curriculum were given for 6 weeks all the time, that became the standard of the change between the study class and the compared class as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s. The results of the pre-research were as follows : First, in the respect of general attitude about music, 67.296 of responders answered like this, if they song together, they feel better and it is easy to be friends. And 56.5% of them thought that the occupations which are related to music is important. In addition, most of them (93.7%) thought that not only their talents but also efforts are very important to study music. Second, in (the respect of) attitude of music subject, 58.0% of responders said that music subject is as important as main subjects like Korean, Mathematics, Social studies and Nature, and 69.7% of them regarded it as tool subject that enriches emotions and life. Third, in lesson contents, 93.1% of responders chose singing as the acting which they did in music lesson, 54.6% playing the instruments, 49.2% listening to music. Fourth, in lesson contents & aspects of teacher's lesson, 39.4% of responders said that teacher made them sing to the tape, and 27.5% of them said they learned choral studies so much; 47.6% 'a little', 24.9% 'rarely'. And in playing in concert 19.6% said 'so much', 59.3% 'a little', 21.1% 'rarely'. In addition, 73.2% said that they learned about composer and title of song when they listen to music, 70.0% the instruments which are played and sort of music, 63.7% the atmosphere at large, 17.4% basic elements of music, 56.8% feeling that the music is beautiful, and this shows that it rarely was for students to experience music concepts by appreciation lesson. And 23.7% said that it was helpful of teacher to show a good example. And regarding to playing the recorder, 25.5% said that they can play well; 56.5% on the average, 18.0% little. And 42.0% answered that they could compose a simple song which was consist of 8 measures. Fifth, in learner's preference of music and music subject, 50.2% responded that they like music, but only 33.4%, said that they like music subject. It shows that students prefer popular music, classical music and so on to songs in textbook. Finally, in extra music experience, 64.0% of responders said that they learned how to play the instruments personally, 21.8% did as a member of chorus or concert in extra curricular activities. The followings were results of the post-research (october 23th)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Learning-activity programs for the improvement of music lessons. First, in the respect of general attitude about music, that of male students got better, students came to think more importance of the occupations which are related to music but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in the question that "If they song together, the feel better and it's easy to be friends." and the other that "not only their talents but also efforts are very important to study music". Second, in (the respect of) attitude of music subject, learning-activity programs helped students to think music subject valuably of not only affective subject but also tool subject as increase useful ability for life. Third, in lesson contents & aspects of teacher's lesson, learning-activity programs could fill up present appreciation lessons which had been lacking of teaching musical basic concepts or development of auditory ability, and teacher's proper example was needed much in lessons to come. In addition, students' composing technique became better by setting in the basis to express and think creatively through experience of basis concepts as previous process for creative activities. The technique to play the recorder was advanced a little but in playing in concert with a duet, a trio and a rhythmic ensemble for feeling the harmonious match, the answer regarding to the result after the programs was almost same with the pre-research. On the other hand, students said the aspect was some what decreased that teachers made them sing to the tape but in singing together with the harmonious match or choral studies it was rarely effective to them. Finally, in learner's preference of music and music subject, the rate of increase of preference of music is larger than that of music subject and this show that it is different that preference of subject is changed than that of music in short term even though some changes of students' previous understandings about music or participations in the musical activities with joy through music learning-activity programs.

      • 葬墓制度 개선방안에 관한 조사 연구

        남옥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the graveyard system emerges as a social issue. While per capital housing area is only 4.3 pyongs, the average area of the tombs distributed throughout the nation is as wide as 15 pyongs. In other words, the area occupied by the dead is as wide as 3 or 4 times the area occupied by the alive. Thus, the graveyards account for 1%(989㎢) of the nation's land. It is estimated that there exist about 22,790 thousand tombs. 25% of them stand in cemetries, while the rest (75%) are individual tombs. About half of the graveyards can be converted into productive farms. Every year, some 200 thousand tombs are created. Namely, the area as wide as 1,080 thousand pyongs or 1.2 times the Yeouido area is turned into graveyards.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was aimed at surveying people's consciousness of and attitudes towards the graveyard system and thereby, providing for some basic data useful to reform the graveyard system, amend the relevant law and design a public relation strategy. To this end, the following study points were set up; first, people's knowledge about "Law on Funeral" would be surveyed; second, in order to survey people's consciousness of the graveyard system and their uses of tombs, a questionnaire survey would be conducted about their perception of the serious graveyard problem, their opinions about charnel houses and cemetries and their perception of the desirable graveyard system; third, the measures for public relations and enlightenment to change people's consciousness would be explored. In this study, conditions and problems of our graveyard system were analyzed in-depth, and thereby, legal and institutional systems to improve the graveyard system were suggested, together with some reform measures to establish a reasonable graveyard system in Korea. As a result of the survey, 76.9%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did not know about the Law on Funeral", and 69.7% of them said that they wanted to be cremated when dead. But only 35% of the dead are cremated, which suggests that cremation is not much widely publiciz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graveyard system, it is necessary to stage a campaign continuously to enlighten people. At the same time, people should be awakened enough to be cremated when dead. In order to establish the practice of cremation, those who use the illegal tombs should be strictly punished, while those families who cremate the dead should be subsidized by the government. In addition, the government should subsidize the families who use the charnel houses or issue general health check tickets to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