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樂記》美學思想硏究

        남석헌 山東大學 1998 해외박사

        RANK : 247631

        주희(朱熹)(1130-1200)는 송(宋) 휘주(徽州)의 무원( 源)의 사람으로, 소흥(紹興) 18년 사직에 입문하였다. 자는 회(晦), 혹은 중회(仲晦)라고 하며, 그의 호는 회암(晦庵), 혹은 둔옹(遯翁)이라 하였다. 그는 말년에 고정(考亭)을 지어 이사하고, 자양서원(紫陽書院)에서 강의를 했기에 고정(考亭) 혹은 자양(紫陽)이라고도 하였다. 주희는남송(南宋) 전기(前期)에 활동한 사람으로서, 당시는 민족, 계층간의 모순이 복잡하였기 때문에, 일 평생정치에 관심을 갖고. 대의회복에 노력하였다. 그는 군심(君心)으로 다스리면, 정치가 개선되고, 민심이 변한다는 정치적인 이상(理想)을 갖고 있었다. 그는 4개의 왕조를 거치면서, 각 왕조 통치집단의 인물들과 광범위한 관계를 가져왔으며, 말년에는 정치문제도 참여하였다. 그는 정사(政事)방면에 뛰어난 능력을 보였으나, 당시 시대를 대표하는 한 사람의 유학자로서의 본문을 벗어나지는 않았다. 그의 일생은 강론(講論), 저술(著述), 주석(註釋), 편집(編輯)에 기여하여, 학술방면의 업적이 풍부하고, 교육활동 또한 활발하였다. 향리에 거주하면서, 경(經)을 얘기하고, 강론을 하며, 학문을 가르쳤고, 백록서원(白鹿書院), 장주도원(장州道院), 악록서원(岳麓書院) 등에도 외임(外任)하는 등, 문인과 제자가 천하에 넓게 분포되었다. 주희는 북송(北宋)에서 시작한 이학(理學)의 집대성자로 그의 저서 《이락연원록(伊洛淵源錄)》, 《근사록(近思錄)》등을 통해 북송 이래의 도학발전을 계통적으로 연구, 정리하였다. 그는 이정(二程)의 《어록(語錄)》을 수집하고 편집정리 하였고, 주돈이(周敦이)의 《태극도설(太極圖說)》과, 《통서(通書)》에 주석을 달았고, 또한 장재(張載)의 《서명(書名)》에도 주석을 달았으며, 《주역본의(周易本義)》와 《역학계몽(易學啓蒙)》등을 저술하여 정이(程이), 소옹(紹雍)의 역학사상을 발전시켰다. 이는 이정(二程)학설의 기본사상을 중심으로, 주돈이의 우주도식(宇宙圖式)을 개정하고, 장재의 기화사상(氣化思想)을 흡수하며, 소옹의 상수역학(象數易學)을 융합시킨 것으로서, 북송도학의 여러 지류를 하나로 모으는 역할을 한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형성된 그의 학설은 원(元), 명(明), 청(淸)의 관료사상에 체계가 되어 긴 역사 속에서 중, 후기 중국 봉건사회에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였고, 동아시아 지역에의 광범위하게 전파되어, 근대와 고대의 동아시아문명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뿐만 아니라 그는 전체 고전문화에 대한 이해도 깊어, 일생동안 《사서(四書)》에 힘을 쏟아, 초년에 《논어(論語)》, 《맹자(孟子)》를, 말년에 《대학(大學)》, 《중용(中庸)》등에 몰입하여, 사서의 《집주(集注)》와 《혹문(或問)》을 편성하여, 사서계통의 철학으로 하여금 새로운 형태와 새로운 생명을 부여했다. 그 외에 그의 저서로는 《시집전(詩集傳)》,《주역본의(周易本義 )》, 《초사집주(楚辭集注)》, 《통감강목(通鑒綱目)》등과, 후세의 사람들이 편집한 《주문공집(朱文公集)》 등이 있다. 그리하여 사람들은 그를 백가제자(百家諸子), 불로이단(佛老異端)이라고 하여, 천문, 지리, 역학, 병가, 그의 연구하지 않은 바가 없음을 이야기하여 "무릇 시(詩), 서(書), 육례(六藝)의 문장과 공맹(孔孟)이 남긴 말, (凡詩, 書, 六藝之文, 孔孟之遺言,顚錯于秦火, 支離于漢濡, 幽沈于魏秦六朝者)"을 "깊이 그 기미를 연구하여 그 사이에 숨겨져 있는 뜻을 찾는다(極深硏幾, 深이索隱)"라고 하였다. 중국의 역사상, 어떤 철학자도 연구, 저술방면에 있어서 그를 따를 수가 없었으며, 중국전통문화와 철학방면에 대한 공헌이 높아 후세에 그를 "주자(朱子)"라고 높여 불렀다. 주자로 대표되는 송명이학(松明理學)은 중국 고대 봉건사회 후기의 통치계층의 의식형태를 이루고 있어, 혹자는 관방철학(官方哲學)이라고도 한다. 그 실질과 목적은 유학을 다시 흥하게 하고, 의리(義理)를 높게 보며, 논이를 옹호하고, 질서를 강화하여, 전제주의(專制主義)적 집권정치를 위해 봉사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오랜 세월동안 많은 이들이 철학 또는 정치문화의 각도에서 주자의 이론을 연구하였다. 한 사회에서 주류를 이루는 의식형태는 전체 사회의 심미의식(審美意識)과 심미관계의 변화에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 그리하여 당대 후기부터 점차적으로 형성되고 확립된 강유(剛柔)의 결합과 장미(壯美)와 우미(優美)가 병존하는 상황에서 유(柔)함이 주(主)가 되는 우미이상(優美理想)은 송대이학이 추구하는 일종의 심미(審美)의 경계가 되었다. 이학의 집대성자로서의 주자도 또한 그의 이론사상에도 이런 미학적 경향을 포함시키고 있다. 그는 문예(文藝)문제에 대한 논술에서, 개체의 인격수양을 제창(提唱)하고 중시(重視)함으로써 심령의 주체가 중요시하는 객체를 초월한미학의 특색을 구현하고 있다. "이일분수(理一分殊)", "월인만천(月印萬川)"은 철학에서 미학에도 영향을 미쳐서, 심(心)과 물(物)을 강조하고, 주(主)와 객(客)을 "이(理)"의 본체 속에서 서로 융합되고 관계를 갖게 하여, 주체의 자유정신을 높이고, 주체와 객체가 대립을 해소하는 기초 위에서 화해통일(和諧統一)을 이루고 있다. 주자는 자연평화(自然平和)와 심미운취(審美韻趣)를 숭배하는데, "자연(自然)"의 체험도 중시하여 일상에서 적립된 함영(涵泳) 또한 중시하였다. 이 방면으로 심미중심(審美重心)을 형상 밖 혹은 형상 위에 신운의미(神韻意味)의 전이를 나타내게 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실제 물상(物象)의 구체적인 파악을 게을리 하지 않고, 의상(意象)을 결합하고 물아(物我)를 잊었다. "자연(自然)"은 이 시기 인간이 표방하는 미학경계가 되어, 주자가 제창한 것과 직접적인 관계를 갖는다. 이러한 주자의 제창은 "의경(意境)"설을 풍부하게 하고 발전시키는데 새로운 사고의 길을 제시하여, "함영(涵泳)"과 "기상(氣象)"과 같은 미학의 범주를 제시하고, 더욱 완전하게 한다. 주자미학은 항상 어떤 개방된 이성정신을 함유하고 있다. 이는 주자의 철학 중에 이미 확연하게 드러나 있는 것으로, 주자의 유학체계는 불도사상(佛道思想)을 흡입하여, 그 이론체계를 더욱 넓혀가고, 결구 새로운 일종의 유불도(儒彿道)가 서로 상호 보완하는 이론 구조를 형성하였고, 이런 구조는 "제가(齊家)", "治國)", "평천하(平天下)"를 최종적인 목표로 삼게 된다. 그러나 이런 이론체계가 한(漢). 당(唐)의 유학과 다른 점은, "주정(主靜)", "입성(入城)", "수신(修身)"을 더하고 강조하여, 주체적인 자주정신과 객관이성에 대해 내향성사(內向省思)와 인동(認同)의 뛰어 넘도록 하는 중대한 의의를 갖는다. 이러한 외유(外儒), 내불(內佛)의 구조는 심미와 예술로 하여금 현상의 속박을 벗어나도록 하였고, 본질이성의 의의(意義)에 깊고도 두터운 흥미를 갖게 하였다. 본 논문은 주자미학이 탄생한 배경과 주자의 철학체계라는 기초에서, 미학적인 측면을 분석, 연구하였고, 논리가 상통되는 관점에서 주자의 미학범주, 미학구조, 미학이론과 그 영향 등의 문제에 대하여 본인의 관점을 논술하고, 이 논술을 통하여 주자미학사사에 대해 보다 전면적인 이해를 돕고자 한다. Roman Haubenstock-Ramati(Feb.27th 1919 in Cracow, Poland-March 3rd 1994 in Vienna, Austria) established the term "musical graphics" with the organisation of the first exhibition of his musical graphics in Donaueschingen, Germany 1959 It should be clear that his graphic art were not the basis of the so-called free and spontaneous Improvisations. To interpret such graphics, Haubenstock-Ramati demands musicians to reflect on formal progress of musik. The interpretor should, according to Haubenstock-Ramati, seek order in disorder("to perform? to realise? in doubt, never!"). My dissertation consists of two parts: Part 1 describes the important aspects of aubenstock-Ramati's musical form, especially the >mobile<, the variable form and >always something different and yet always the same< - phenomenon. Part 2 is an analysis of his vocal compositions. Both parts beginn with a general introduction to the historical compositional situation in the post-serial-phase In both topics(Music and Abstract Painting, the musicality of Language in Literature) the ineraction and the dissipation of boundaries of each art form: Music, Painting, Literature, are outlined with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