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희곡 《아름다운 남자》의 무대 형상화 기법연구 : 남미정 연출의 게릴라 극장(2005년)과 아르코 대극장(2006년) 공연을 중심으로

        남미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63

        A drama <Three Beautiful Soulmates> is written in the theme awarness of Lee Yun-taek about 'The way and choice of intellectual' and in the long journey of 'The creation of today's tradition'. I made my mind for this study when I was a student of Gratuate school of Choong-ang university and directed the drama. <Three Beautiful Soulmates>- the consequence of cooperation writing by STT members who had investigated about tradition and theatre and Mr. Lee's discernment of tradition- evaluated well because of its concrete presenting of the acceptance of new tradition. I chose this theme in my reflection of identity and direction of the work and expectation of the value of research. At first time it is written for musical, so I compare the text of musical, a premiere in 2005, big theatre of Arko in 2006, little theatre of Arko in 2009 which is the latest. The premiere and the production in 2006 are the down for discussion in the main subject of the concepts and techniques of staging. Also, I pulled my opinion by seperating visual, auditory and discussed my style of direct for communicating with audience. The premiere could be explained by 'the structure of opposition in dichotomy' and 'the journey to dialectical conclusion' and these showed externally themselves, but the performance looked different because of too many simbols. It weakened the original object of the poem and speech of tradition. Nevertheless, it evaluated well about bringing the relief of the Korean classic beauty fresh and stately. The production in 2006 is 'the search of the beauty'. It was the main theme 'how' the beauty could be better showed in the part of subject and staging. Escaping the weight of tradition and notion, it was in collusion with obtaining universality. So, the aim of the production of staging was the learcabstrction, the more compreotision of the aautylity. I chose some principles 'what is the beauty' and 'who is the beauty'. I found the origial form in the features of Chuyong waving dancing and the walk of three learned priests who carried calling in their bosoms and the naturalness. In the event, <Three Beautiful Soulmate> won many prizes in Seoul Theatre Festival, especially the prize of stage art which is union of lighting, properties, make-up. It meant organic mixing of visual staging. Also, the director of music and bandsmen also won union prize of music, maybe it also added up to the value of cooperative creation and natural beauty of the performance. The techniques of staging of <Three Beautiful Soulmates> will be shown more variable. But, the production of past journey will be the basic of them. 희곡《아름다운 남자》는 이윤택의 ‘지식인의 선택과 길‘ 이라는 연극 작업의 주제 의식과 ‘오늘날의 전통을 만들어가는’ 오랜 연극작업의 연장선에서 탄생한 작품이다. 연구자는 중앙대대학원을 다니던 중 ‘우리연극의 정체성’, ‘전통에 대한 수용 관점’과 ‘관념적인 주제를 어떻게 관객과 소통할 것인가’이라는 공연목적을 세우고 이 작품을 만들게 되었다. 이윤택의 전통에 대한 통찰, 전통과 연극에 대한 지속적인 훈련과 탐구를 해온 연희단거리패 동료들과의 공동창작의 결과인《아름다운 남자》는 새로운 전통 수용의 구체적인 예시를 하였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연구자는 연출작업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돌이켜보는 이론적 근거들을 찾는 계기가 되고, 최소한 공연의 자료적 가치는 가질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에서 《아름다운 남자》의 무대형상화 기법을 정리하고 분석하는 것을 논문의 주제로 삼았다. 《아름다운 남자》 희곡은 처음에는 뮤지컬로 만들기 위해 쓰여 진 대본이었다. 그래서 뮤지컬 대본, 2005년 게릴라 극장 초연, 2006년 아르코 예술극장 대극장공연, 가장 최근의 2009년 아르코 예술극장 소극장 공연대본을 비교해보았다. 이 논문의 본론에 해당하는 《아름다운 남자》의 무대형상화기법은 크게 초연공연과 아르코 예술극장 대극장공연을 중심으로 개념과 무대형상화 기법을 설명하고 연구했다. 주제를 무대 형상화하는 과정에서 시각적 무대형상화, 청각적 무대형상화, 배우의 연기양식으로 나누어 정리해 보았고, 관객들과의 소통을 위해 어떤 연출적 배려와 장치를 했는지를 설명했다. 2005년 게릴라 극장 초연의 무대의 형상화는 ‘이분법적 대립구도’와 ‘변증법적 결론에 이르는 과정’으로 설명될 수 있고, 그것이 외형적으로 드러나는 작업이었다. 그러나 그로 인해 작품은 난해하고 많은 상징들로 채워져 원래 의도했던 전통의 ‘시’와 ‘사’가 오히려 약화되는 결과를 낳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고전미를 새롭고 장중하게 부각시키는 데에 성공했다는 평을 받았다. 2006년 아르코 예술극장 대극장공연은 ‘아름다움에 대한 탐색이었다. 제목에 붙여진 ‘아름다운’을 주제적 측면과 무대형상화의 측면에서 ‘어떻게 부각 시킬 것 인가’가 무대형상화기법의 기본개념이었다. 그것은 전통과 관념의 무게에서 벗어나서, 관객들에게 좀 더 쉽게 전달되고 공감되어질 수 있는 보편성을 획득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 했다. 그렇기 때문에 추상성을 가능한 한 줄이고 구체적인 현실로부터 이해할 수 있도록 보편성을 획득하는 것을 무대형상화의 목적이었다. 무엇이 '아름다운 것‘인가, ’아름다운 사람‘은 어떤 사람이 ’아름다운 사람인가‘의 몇 가지 원칙을 만들었다. 아름다움의 원형을 ’너울너울 춤을 추는 처용의 모습’ 에서 찾고, 선택의 길을 걸어가는 세 학승의 세상에 대한 ‘소명의식’을 목적으로, 눈에 거슬리지 않는 ‘자연스러움’을 방법으로 택했다. 결과적으로 《아름다운 남자》는 2006년 서울연극제 대상, 연출상, 남자연기상을 수상했다. 그리고 특이한 것은 무대미술상을 부분을 시각 디자인팀으로 수상했는데, 무대, 가면·분장, 조명, 소품이 하나의 팀으로 수상했다. 이것은 시각의 무대형상화가 그만큼 유기적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하는 사례일 것이다. 또, 특별상을 음악감독과 연주자들이 한 팀으로 수상했는데 이것 또한 같은 맥락이라 여겨진다. 이러한 현상은《아름다운 남자》의 연극작업이 공동의 창작물로써 가치를 지닐 수 있다는 것이고, 공연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그만큼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으로 다가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된다. 《아름다운 남자》의 무대형상화는 앞으로도 다양한 기법들을 통해 선보여질 것이다. 하지만, 적어도 주제와 관객을 목적으로 보여주었던 두 공연의 무대형상화기법의 ‘과정’은 또 다시 선보여질 다양한 기법들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고등학교 음악교사를 위한 피아노 반주법 연구 : 실용음악 어법을 활용

        남미정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악 산업의 발달과 대중매체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쉽게 접할 수 있는 현대 상황에 맞게, 고등학교 음악 수업에도 오디오, 비디오,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들이 개발되고, 음악 교과서에는 재즈, 클래식, 가요, 팝, 민요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들이 교과 내용에 포함되었다. 매체를 활용한 음악수업은 편리하고, 교사의 개인의 능력과 관계없이 음악 수업을 진행할 수도 있지만 학생들로 하여금 음악의 풍부한 정서적 함양을 기르고 음악의 심미적 체험을 전달해 주기 위해서는 교사 개인의 음악적 역량도 필요하다. 특히 음악수업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창 활동에서는 교사의 반주 능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 논자는 고등학교 교사를 위해 실용어법을 활용한 피아노 반주법을 연구하였다. 왜냐하면 실용음악은 현대 음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음악 문화 전반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 내용은 우선 실용음악 반주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화음과 반주패턴, 반주에 필요한 건반화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고 둘째, 2007년 고등학교 세 교과서를 중심으로 팝, 가요, 뮤지컬, 재즈의 각 장르별로 한곡씩 선정하여 실용음악 어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반주패턴을 제시하였다. 셋째, 제재곡들 중 멜로디만 있는 악곡들은 리하모니제이션(Re-harmonization)을 통해 곡을 새롭게 재구성하는 방법 즉, 코드구성, 즉흥 연주, 필인(Fill-in)등을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현직 고등학교 음악교사가 실용음악 어법을 활용하여 교과서 제재곡들을 보다 다양한 패턴으로 연주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음악의 다양성에 대한 긍정적인 수용과 흥미를 이끌어내기 위한 반주법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실용어법을 활용하여 리하모니제이션을 하는 과정에서 곡 전체의 화성 진행에 대한 분석력이 키워지며, 음악적 표현 영역도 확대될 것이라 기대한다.

      •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그릿, 협력적 조절 및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

        남미정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한 정서지능, 그릿, 협력적 자기조절과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5, 6학년 학생 330명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3.0 프로그램과 AMO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먼저, 측정도구의 전체 및 하위요인별 신뢰도 Cronbach α를 산출하였고, 측정변인들 간의 Pearson 상관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연구모형에 대한 적합도 검증과 직․간접 및 총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그릿과 협력적 자기조절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ootstrapping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지능, 그릿, 협력적 자기조절, 학교행복감 간의 상관의 범위는 r = .411에서 r = .662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모형의 적합도와 측정변인들의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χ2/df = 3.362, TLI = .916, CFI = .940, RMSEA = .078로 나와 모형 적합도 수용기준을 충족하여 매개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셋째, 정서지능과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그릿과 협력적 자기조절의 매개효과에 대한 bootstrapping 검증을 실시한 결과, 그릿은 BC(Biased-Corrected) 95% 신뢰구간에서(1.37, 1.4-1.59)로 나타났으며, 협력적 자기조절은 (.18, .67)로 나타나 유의수준 p < .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모형에서 알 수 있듯이 정서지능이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그릿과 협력적 자기조절의 매개효과를 보여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학교현장에서 초등학생의 학교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학생의 그릿과 협력적 자기조절 능력을 향상시킬 방안을 모색해야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주요어: 학교행복감, 정서지능, 그릿, 협력적 자기조절

      • 사고 지도(Thinking Maps)를 활용한 한국어 요약문 쓰기 수업 효과 연구 : 설명적 텍스트를 중심으로

        남미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inking maps’ as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Korean summary writing for academic purpose considering that summary writing guidance is important for the Korean learners in academic purpose, and finding how ‘strategy applied thinking maps’ effects on Korean summary writing. The explanatory text is a familiar text type for the Korean learners of academic purpose frequently confronting in university through majored publication as a major material of the class. Also, the writing of the report and exam answer sheet which is used as a major evaluation material in university is required the ability for the learners to read these explanatory texts and write with stating in other ways by understanding the text. Even though the summary writing is indispensible ability for the academic purposed learners to perform the learning in university, it is a situation that the systematic teaching about the summary writing is not accomplished yet. Thinking maps is a visual tool to help the learners to confirm the text structure explicitly and compose and write the content what they understand through this. Thus, it can be effective strategy for the academic purposed learners to write Korean summary in the aspect of helping systematic and initiative writing in addition to understand the given text based on this. For verifying how the thinking maps effects on summary writing, the research Question setting up in this research is as followings. 1. Does summary writing class applied to thinking maps effect significantly on summary writing ability of korean learners in academic purpose? 2. In case that summary writing class applied to thinking maps effects on summary writing ability of the learners in academic purpose, is it different by text structure type (enumerated structure, comparison-contrast structure, problem-solution structure, cause-result structure)? 3. Does summary writing class applied to thinking maps effect positively on the affective aspect about summary writing of the learners in academic purpose? For this research,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is composed as objected to medium (4th class) learners of various nationality who are studied in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Writing ability of two groups was verified through homogeneity test, and prerequisite summary writing test and questionnaire test was performed before summary writing class. The class was total 4 times, and performed 8 hours of summary writing class. The experiment group was performed summary writing class applied to thinking maps, and control group was performed general summary writing class finding the core content based on the reading. After that, after summary writing test and post-questionnaire test was performed as objected to experiment group.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methods such as Mann-Whitney test which is non-parametric statistics, Kruskal-Wallis, and frequency analysis using SPSS 19.0 program and Excel 2010. Also the size of the effect was analyzed by calculation in case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in statistics. The summary of the analysis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ings. First, the experiment group who participated a summary writing class applied to thinking maps was indicated high grade significantly in statistics in after summary writing tes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effect size was greatly indicated. It was known that summary writing class applied to thinking maps effected on the summary writing ability positively through this. Second, as a result of summary writing class effected by text structure type of experiment group, it was not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xt structure type.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that summary writing class applied to thinking maps was effective for all kinds of text structure.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with frequency analysis for the response of post-questionnaire test, it was confirmed that summary writing class applied to thinking maps brought positive change in affective perspective of summary writing. Also, it was confirmed that summary writing class applied to thinking maps in post-questionnaire response analysis helped to understand the text structure and to write summary initially and systematically. This research has a meaning that it is not just designing summary writing class applied to thinking maps as writing guidance measures for Korean summary which is available for the academic purposed learners, but it is verified the effect through writing class of korean summary practically. 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 목적 학습자에게 요약문 쓰기 지도가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학문 목적 한국어 요약문 쓰기의 효과적인 지도 방안으로 ‘사고 지도(Thinking maps)’를 제안하고 ‘사고 지도 활용 전략’이 한국어 요약문 쓰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설명적 텍스트는 학문 목적 학습자들이 대학에서 전공 서적 등을 통해 수업의 주요 자료로서 자주 접하게 되는 텍스트 유형이다. 또한 대학에서 주요 평가 자료로 사용되는 보고서나 시험 답안 작성은 이러한 설명적 텍스트를 읽고 이해해 자신의 언어로 환언하는 쓰기로 학습자의 요약문 쓰기 능력이 요구된다. 요약문 쓰기는 이처럼 학문 목적 학습자가 대학에서 학업을 수행하는 데 꼭 필요한 능력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요약문 쓰기에 대한 체계적인 교수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사고 지도는 학습자들이 텍스트 구조를 명시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통해 이해한 내용을 스스로 정리하여 쓸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의미 시각화 도구이다. 따라서 주어진 텍스트의 이해는 물론, 이를 바탕으로 한 체계적이고 자기 주도적 글쓰기를 돕는다는 점에서 학문 목적 학습자의 한국어 요약문 쓰기에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 사고 지도가 요약문 쓰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사고 지도를 활용한 요약문 쓰기 수업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요약문 쓰기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연구문제 2. 사고 지도를 활용한 요약문 쓰기 수업이 학문 목적 학습자의 요약문 쓰기 능력에 영향을 미칠 경우, 텍스트 구조 유형별(나열 구조, 비교-대조 구조, 문제-해결 구조, 원인-결과 구조)로 차이가 있을 것인가? 연구문제 3. 사고 지도를 활용한 요약문 쓰기 수업이 학문 목적 학습자의 요약문 쓰기에 대한 정의적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가? 본 연구를 위해 서울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다양한 국적의 중급(4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험 집단 및 통제 집단을 구성하였다. 동질성 검사를 통해 두 집단의 쓰기 능력이 동질함을 검증하였고 요약문 쓰기 수업 전에 사전 요약문 쓰기 검사 및 사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업은 총 4회로 8시간의 요약문 쓰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 집단은 사고 지도를 활용한 요약문 쓰기 수업을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은 읽은 내용을 바탕으로 중심내용을 찾는 일반적인 요약문 쓰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 후 사후 요약문 쓰기 검사 및 실험 집단을 대상으로 사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과 Excel 2010을 사용하여 비모수 통계인 Mann-Whitney 검정과 Kruskal-Wallis, 빈도 분석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경우 효과크기도 계산하여 함께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고 지도를 활용한 요약문 쓰기 수업을 한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사후 요약문 쓰기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효과크기도 큰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사고 지도를 활용한 요약문 쓰기 수업이 요약문 쓰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험 집단의 텍스트 구조 유형별로 요약문 쓰기 수업 효과를 살펴본 결과 텍스트 구조 유형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사고 지도를 활용한 요약문 쓰기 수업이 모든 유형의 텍스트 구조에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사후 설문 조사의 응답을 빈도 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사고 지도를 활용한 수업이 요약문 쓰기의 정의적 측면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후 설문 조사 응답 분석에서 사고 지도를 활용한 요약문 쓰기 수업이 텍스트 구조를 이해하고 자기 주도적이고 체계적으로 요약문을 쓰는 데 도움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학습자에게 유용한 한국어 요약문 쓰기 지도 방안으로 사고 지도를 활용한 요약문 쓰기 수업을 구상하는 데에서 그치지 않고 이를 실제 한국어 요약문 쓰기 수업을 통해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베이비부머세대의 일자리특성이 삶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남미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Currently, economic instability among older people is deepening, and the income replacement rate of public transfer income is gradually decreasing. In addition, many elderly people are employed in low-quality jobs in the service-oriented economic structure. With the baby boomer generation entering the elderly generation in earnest, the job project, which is presented as one of the main means of income guarantee for the elderly, is being pushed for meaningless top-down jobs. Therefore, the study seeks to find ways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through job projects and improve the labor market for senior citizens by identifying how job characteristics of baby boomers affect life satisfaction. To this end, we identified factors that affect life satisfaction by dividing job characteristics into earned income, working hours, physical work demands, content work demands, and job suitability, and examined the logic of whether external job satisfaction and intrinsic job satisfaction play a medium role in the process. The original data was used by the Korea Logistical Study of Ageing (KLoSA) 7th Basic Survey, which conducted multiple recursive analysis of 1,379 people who were born in 1955 to work for another person or company or who said they were employed for their own business. Summarizing the main content and results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the sub-factors of job characteristics that affect life satisfaction have been shown to be earned income and job suitability. Thi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roviding customized job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baby boomers in education and technology levels, along with the preservation function of old-age income in job policies for senior citizen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external job satisfaction, earned income and content work requirements had a (+) effect, and physical work requirements had a negative effect. In relation to intrinsic job satisfaction, earned income, content work requirements and job suitability have a hypothetical effect. Third, working hours, physical work requirements, and content work requirements were found to have no direct impact on life satisfaction. These results can be inferred that factors such as physical and content work requirements were more sensitive than those of the relatively young baby boomers compared to prior studies of older workers or working seniors. It can also be inferred that working hours showed different results from existing studies because they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baby boomers who wanted to satisfy their lives at the same time as economic activities. Fourth, existing studies have shown that working hours affect job satisfaction when looking at wage earners and self-employed people, but neither external nor internal job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in this study. Fifth, both external and internal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ages and life satisfaction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only intrinsic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uit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like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wages have been identified as an important factor in relationships with lif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has an important impact on life satisfaction. Second, institutional education and improve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 are needed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Since the existing job projects for senior citizens are centered on work that is difficult to feel great job satisfaction, they should provide high earned income, environment that can maintain attention and concentration, minimizing work utilizing the body, and providing jobs suitable for education and technology. Thirdly,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must provide a variety of jobs to reflect the job suitability of baby boomers. In other words, the job project for senior citizens, which is provided simply without considering job suitability, should be carried out in a way that can utilize the skills and knowledge that existing jobs have. In particular, discussions on expanding and revitalizing the job business for senior citizens in the private sector are needed, as there are limits to carrying out quality and diverse job projects for senior citizens alone. 현재 노년층의 경제적 불안정성은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공적이전소득의 소득대체율은 점점 감소하고 있다. 또한 서비스업 중심의 경제구조 속에서 많은 노인들이 질 낮은 일자리에 종사하고 있다. 베이비부머세대가 노인세대로 본격적으로 진입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노년층의 주요 소득보장수단 중 하나로 제시되는 일자리사업은 의미없는 하향식의 일자리로 추진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의 일자리특성이 삶의 만족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여 일자리사업 및 노인 노동시장의 개선을 통한 삶의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일자리특성을 근로소득, 근로시간, 신체적 업무요구, 내용적 업무요구, 직무적합도로 구분하여 삶의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외재적 직무만족도와 내재적 직무만족도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논리를 살펴보았다. 원 자료는 고령화연구패널(Korea Logitudinal Study of Ageing; 이하 KLoSA) 제 7차 기본조사를 사용하여 1955년 출생자부터 1963년 출생자 중 현재 수입을 목적으로 일을 하고 있는 사람 중에서 타인 또는 회사에 고용되어 임금을 받고 일하거나 본인의 사업을 한다고 답한 1,379명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내용과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삶의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일자리특성의 하위요인은 근로소득과 직무적합도로 나타났다. 이는 베이비부머세대가 은퇴 이후 참여하게 된 일자리정책을 통한 소득획득이 노인 일자리 정책의 노후소득보전기능과 함께 삶의만족도를 증가시키며 교육수준, 기술수준 등에 있어서 베이비부머 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일자리 제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 일자리특성과 외재적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근로소득, 내용적 업무요구가 정(+)적 영향을 주었고, 신체적 업무요구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적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는 근로소득, 내용적 업무요구, 직무적합도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근로시간, 신체적 업무요구, 내용적 업무요구는 삶의만족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령 근로자 또는 근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와 비교했을 때 신체적·내용적 업무요구와 같은 요인이 비교적 젊은 베이비부머세대보다 민감하게 작용했다고 유추할 수 있다. 또한 근로시간의 경우 경제적 활동과 동시에 자신의 삶을 충족시키려는 베이비부머의 특성이 반영되었기 때문에 기존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여준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넷째, 기존 연구에서는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를 구분하여 살펴봤을 때 근로시간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본 연구에서는 외재적·내재적 직무만족도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임금과 삶의만족도의 관계에서 외재적·내재적 직무만족도 모두 정(+)의 부분매개효과를 보였으며, 직무적합도와 삶의만족도의 관계에서는 내재적 직무만족도만 정(+)의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의 및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연구의 결과들과 마찬가지로 일자리특성 중 임금이 삶의만족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직무만족도를 매개로 삶의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일자리 정책의 노후소득보전기능의 강조와 동시에 단기적이고 성과중심의 일자리사업에서 장기적이고 질적으로 의미 있는 노인 일자리 사업 정책이 추진되어야 한다. 둘째, 베이비부머세대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제도적 교육과 근로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기존 노인 일자리 사업은 큰 직무만족도를 느끼기 어려운 업무내용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높은 근로소득, 주의력과 집중력을 유지할 수 있는 환경, 신체를 활용하는 업무의 최소화, 교육수준과 기술수준에 적합한 직무를 제공해야한다. 셋째, 정부와 민간에서 베이비부머의 직무적합도를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일자리를 마련해야 한다. 즉 현재 직무적합성에 대한 고려 없이 단순 제공되는 노인 일자리 사업이 기존 일자리에서 갖고 있던 기술,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한다. 특히 정부주도만으로 질적으로 의미 있고 다양한 노인 일자리 사업을 진행하는 것에는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민간분야의 노인 일자리 사업 확대 및 활성화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 영유아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남미정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영유아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영유아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더 나아가 보육교사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자 연구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영유아 보육교사의 전체적인 직무만족도는 어떠한가? 둘째, 영유아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연령, 학력, 전공학과, 경력, 근무기 관, 월급여, 유아연령, 아동비율)에 따라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가? 본 연구는 부산시에 위치한 70개 보육시설의 보육교사 25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 연구에 사용된 조사도구는 Jorde-Bloom(1989)에 의해 제작된 ECJSS(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를 기초로 하여 재구성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의해 수집된 자료는 각 문항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배경변인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처리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하여 얻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보육교사의 전체적인 직무만족도는 다소 높게 나타났다. -ⅰ- 하위변수를 보면 인관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무자체, 근무환경, 보수와 승진의 기회도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인정과 후생복지에서는 다소 낮게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 보육교사의 배경변인별 직무만족도는 25세 이하의 보육교사와 보육교사양성원 출신의 보육교사, 보육과를 전공한 보육교사, 국․공립․법인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어린 연령의 영유아를 담당하는 보육교사, 보육교사가 담당하는 영유아별 비율이 낮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영유아 보육교사의 배경변인별 직무만족도의 월급여에서는 직무만족도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 주요어 : 보육교사, 직무만족도

      • 한국어 쓰기 자동 채점을 위한 언어 자질 탐색 연구

        남미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언어 평가 환경이 대규모 쓰기 평가에서의 채점자 신뢰성을 확보하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자동 채점으로 전환되는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여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답안을 자동 채점할 때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 자질이 무엇인가를 탐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에 한국어 학습자가 작성한 문어 평가 자료를 984편 수집하여 계량적으로 측정 가능한 언어 자질을 추출하고 이를 분석하는 동시에 이 자질들이 과제 유형별, 숙달도별로 점수 예측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도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외국어 평가와 자동 채점 연구에서 채점 자질로 활용되고 있는 언어 자질들을 살펴보고 한국어 쓰기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 자질을 검토한 후,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인 언어 자질을 결정하였다. 수집한 문어 자료는 형태소 분석, 오류 분석 등 전처리를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언어 자질을 추출하고 분석 방법으로 랜덤 포레스트를 사용하여 언어 자질의 중요도를 과제, 언어, 내용의 세 가지 채점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든 과제 유형에서 과제 영역은 글의 길이 관련 언어 자질이, 언어 영역에서는 오류 관련 언어 자질이, 내용 영역에서는 글의 길이나 내용어 관련 언어 자질이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과제 유형의 장르적 특성에 따라 과제 유형별로 언어 자질의 중요도의 정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숙달도별로는 초급 학습자, 중급 학습자의 글 역시 과제 영역에서는 글의 길이 관련 언어 자질이, 언어 영역에서는 어휘 다양도나 오류 관련 언어 자질이, 내용 영역에서는 내용의 풍부성 관련 언어 자질이 중요도가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설명하는 글의 경우,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문법 난이도나 연결어미, 전성어미와 같은 글의 조직 관련 언어 자질은 중요도가 높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점수 예측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 자질의 중요도는 채점을 위한 기준과 과제 유형 및 평가 대상이 되는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 교육에서는 초기 자동 채점 연구부터 자동 채점에 적용 가능한 채점 자질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 온 반면, 국내의 자동 채점 연구는 초기 연구에서 문장 수준의 답안 채점에만 주목했다. 그러나 최근 연구는 인공지능 분야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자동 채점 모델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만 아직까지는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패턴을 찾고 이를 학습하게 되는 대상인 채점 자질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지 않다. 그러나 딥러닝을 활용한 자동 채점 모델의 경우 방대한 데이터 구축이 필수적이며, 채점 결과에 대한 해석이 어렵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비록 최근 인공신경망을 활용하는 딥러닝 방식이 가장 발전된 형태로 인식됨에도 불구하고 자동 채점 프로그램이 교육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채점 과정에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채점 자질에 대한 탐색과 연구가 보완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학습자들이 사용한 어휘나 문법 등 계량적으로 측정 가능한 언어 자질을 추출하여 측정하고 분석함으로써 한국어 쓰기 채점 점수 예측에 영향을 주는 한국어 언어 자질의 중요도를 살펴보고, 한국어 서술형 문항의 자동 채점에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향후 자동 채점 결과에 대해 학습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성역할정체감 유형에 따른 강간통념수용도에 관한 연구

        남미정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challenge 'Rape myths' in Korean society. The aims of the study are (1) ascertain the relationship between rape myths acceptance and sex role identity types; (2) assess the psychological responses to rape and sexual abuse and how these responses relate to rape myths acceptance; (3) examine gender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he rape myths acceptance by males and females and how these perceptions relate to sex role identity types; (4) assess the psychological trauma experienced by victims of violent sexual behavior. Both female and male respondents, all undergraduate university students, were given a questionnaire for collecting data. A total number of 380(females 266, males 114)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in first survey and 327(females 233, males 94)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ponses showed more males accepting rape myths than females. The data also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ape myths and masculinity and is directly linked to the difference of perceptions by sex role identity types. From this we may infer that personality traits may be important factors contributing to the belief in rape myths. The data from this research reveals the disturbing fact that 69.5% of Females housed in the university dormitory have been victims of sexual abuse. For the woman particularly, the most significant issue remains the ‘attribution of rape responsibility’. The discussion focuses on the plausible psychological processes involved between rape myths and sexual behavior.

      • 중등학교 교사들의 교단일기에 나타난 교직 탈전문화 현상 연구

        남미정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phenomena on the professionalism of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teachers through analysis of teachers' job performance and to examine the meanings that the phenomena revealed on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hint at the teaching deprofessionalization. In order to address the purpose, research questions were developed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do the teachers perform their tasks? 1-1. How do the teachers perform their teaching tasks? 1-2. How do the teachers perform their homeroom-teacher tasks? 1-3. How do the teachers perform their administration tasks? Research Question 2. What does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mean on the teaching deprofesstionalization? 2-1. How does the teachers show their professionalism while performing their tasks? 2-2. What does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revealed on the teaching performance mean on the teaching deprofesstionalization?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he diaries of teachers working o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Two kinds of diaries were used in this study. One was the published diary and the other one was the diary that posted on Internet blogs. The published diaries were 5 and the blog diaries were 8. Then 13 diaries were used in this study. Using the diaries for this study was helpful as we could read teachers' personal feelings of teaching and schools, and also we could read teachers' everyday life and routine work and their consistent attitude on teaching and schools. I divided teachers' job into three parts that are teaching lessons, homeroom teachers' tasks and other administration works. I focused on how teachers would work on each part and how they would perform their professionalism and show their expert on each part. The major findings of the diary analysis were as follows: In the part of the teaching lessons, four phenomena were revealed.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dailiness were found in classrooms. They were repetition and continuance of everyday life and the war between teachers who tried to teach students and students who don't want to learn. Second, there were obstacles of teaching in classrooms. For example, the phenomena that students refuse lessons at schools, standardized curriculum and heavy responsibility that teachers undertook were found. The third was the ways how teachers deal with the situations happened in classrooms. They were endurance, indifference and abandonment. The fourth was teachers identity confusion. In the part of the homeroom teachers' tasks, four phenomena were revealed. First one was teachers' consistent care and management of their students. Teachers felt great responsibility on their students. Second phenomenon was homeroom teachers' heavy tasks. Third, they thought that the role of homeroom teacher was ther source of delight in their teachers' lives. Fourth, they had a feeling of helplessness because of friction with schools while they perform the homeroom-teacher role. In the part of the administration work, three phenomena were revealed. They were handling a lot of official documents to be shown for others, identification as a public service worker and dual mind that they have contempt for principals and at the same time they would like to be principals. This analysis could be summarized in two sentences. First, teachers working at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were experiencing the identity confusion. The identity confusion was caused the situations that they could not teach in classrooms, that they felt delighted and helpless at the same time the role of homeroom teacher and that they experienced the confused circumstances that they should do teaching and dealing with administration things simultaneously. Second, the teachers lacked of understanding of their confused circumstances and they lived their daily lives bowing to the school system and culture. They stood on the border between trying to teach and giving up teaching. Also they stood on the border between the teacher and the civil service worker. I conceptualized these phenomena as a marginal man phenomenon of teachers. The marginal man phenomenon of teachers had some meanings on the teaching deprofessionalization in two ways. First one is teaching deskilling that is the phenomenon of teachers alienation from teaching jobs. Second deprofessionalization is the phenomenon that teachers mandate their teaching authority to other teaching instit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