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어 피동 표현의 담화 기능 교육 방안 연구

        남경영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한국어 학습자의 효율적인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해 담화 기능의 관점에서 피동 표현의 발화 의미를 분석하고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담화 기능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먼저 Ⅰ장에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연구 대상을 ‘-이/히/리/기-’에 의한 형태적 피동 표현, ‘-아/어지다’에 의한 통사적 피동 표현, ‘되다/받다/당하다’에 의한 어휘적 피동 표현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나서 피동 표현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의미 중심의 교육이 적극적인 문법 사용을 가져올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담화와 담화 기능을 살펴 한국어의 담화 기능과 연결시킨 후 피동 표현의 담화 기능 교육이 필요함을 밝혔다. Ⅲ장에서는 한국어 피동의 개념과 유형 그리고 지금까지의 피동 교육 과정을 살펴 앞으로의 교육 방향을 모색했다. Ⅳ장에서는 한국어 피동 표현이 담화 상황에서 발화자가 의도하는 의미를 분석해 보고 그 의미를 분류하여 의미별 담화 기능을 설정했다. Ⅴ장에서는 대학 기관 한국어 교재에 문법과 설명 그리고 문법 연습 문제에 대해 연구하고 교재의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교재 내용으로 한국어 학습자가 피동 표현의 담화 기능을 이해하며 학습할 수 있었는지를 판단해 보고 교재별 담화 기능을 정리하였다. Ⅵ장에서는 한국어 피동 교육의 상황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어 교사 설문을 통해 다년간의 교수를 통해 느끼는 교사들이 생각하는 피동 교육의 상황도 들어보았다. 또한 학생 설문을 통해 나타나는 피동 교육의 상황과 문제도 들어보았다. 피동 표현을 배운 한국어 학습자들이 그 후 작문 활동에서 피동 표현을 얼마나 사용하는지를 알아보고 그 오류를 분석하여 원인을 정리하여 그 자료를 바탕으로 Ⅶ장에서 한국어 피동 표현의 담화 기능을 위한 교육 방향을 탐구하였다. 그에 맞춰 담화 기능 교육 방안을 마련해 보았다. Ⅷ장에서는 본 연구를 통해 얻게 된 내용을 정리하고 한계점을 지적하여 결론을 내렸다. 본 연구는 한국어 문법 표현 중에서도 담화 기능이 강한 피동 표현이 아직까지도 형태론적, 통사론적으로 교수되어 실질적으로 한국어 학습자들의 사용도가 현저히 낮다는 것에 안타까움을 느끼고 담화 사용의 효율성을 위해 시작하였다. 그리고 화용적인 측면에서 피동 표현의 담화 기능을 정리하고 교수방안을 마련하였다는 데에 담화기능 교수법으로의 시작 의미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