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강원지역 일반 다중이용시설과 취약계층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측정과 비교에 관한 연구

        나현민 가천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강원지역 일반다중이용시설과 취약계층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측정과 비교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최근 공기질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일반아동이 주로 이용하는 실내공간과 취약계층의 아동이 이용하는 실내공간에서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일반아동이 주로 이용하는 시설과 취약계층아동이 주로 이용하는 시설 간의 실내공기오염 정도와 원인에 관하여 비교 분석을 하기 위해 강원지역 다중이용시설 총 20개소(일반다중이용시설 10개소, 취약계층 다중이용시설 10개소)를 선정하여 실내공기질을 측정하고 시설 유형별 실내공기질의 차이점과 원인에 대한 유의미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두 비교그룹별로 실내공기질을 측정하고, 시설의 현황과 특징,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한 노력(공기청정기, 실내 인테리어 등) 등에 관한 사항을 파악하여 상관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일반아동 이용 다중이용시설은 실내공기질 측정 모든 항목에서 적합판정을 받은 반면, 취약계층아동 이용 다중이용시설은 4개 시설 5개 항목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부적합 판정이 나왔다. 이에 대한 상관성 분석에서는 아동 1인당 사용면적이 작을수록 TSB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1인당 사용면적의 증감에 따라 PM10과 HCHO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농도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실내 인테리에 여부에 의해 HCHO의 항목값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시설의 개별적 현황을 살펴보면 2개 항목에서 기준치를 넘는 부적합 판정을 받은 B6의 경우 일반적 시설현황에서는 별다른 특이점이 없었으나, 비록 공기청정기가 있지만 아동들의 주 활동공간에 창문이 없어서 환기가 어렵다는 점이 특이사항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단순 면적보다는 1인당 사용면적에 따라 두 비교그룹간 차이점을 찾아볼 수 있었고, 건물수명보다는 실내 인테리어와 공기청정을 위한 개별적 노력이 더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A Study on the Measurement and Comparison of Indoor Air Quality between General Multi-use Facilities and Vulneralble Multi-use Facilities in Gangwon Province Hyunmin, Ra National Safety Management in the Department of Administrative Science Gach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Poli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multiuse facilties used by ordinary children and those used by vulnerable children amid the growing public interest in air quality.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n indoor air quality and causes of the two groups, a total of 20 sites (10 general use facilities and 10 facilities for the vulnerable class) were selected to measure indoor air quality. The study methods measured the indoor air quality in each of the two comparison groups and identified the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acilities, and the items related to efforts to improve indoor air quality (air cleaner, interior, etc.). As a result, general multi-use facilities for child were judged to be acceptable in all categories of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while those of the vulnerable multi-use facilities were found to exceed five categories over the standard values in four facilities.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smaller the use area per child, the higher the TSB is, and the higher the use area per person, the higher the variation in PM 10 and HCH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concentrations.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smaller the use area per child, the higher the TSB was, and the PM 10 and HCHO showed changes in concentration depending on the areas used per person. And thi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P > 0.005. In addition, there was a large change in the value of HCHO, depending on whether or not it has been a renovation. Looking at the individual status of the facility, there was nothing unusual about the general status of the facilities for B6, which was judged to exceed the standard values in two categories. But it was noted that children's main activity areas had no windows, making ventilation difficult.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fi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mparison groups depending on the size of each person used rather than the simple area. and individual efforts for indoor interior design and air purification ar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building age.

      • 조동사 Will/Would 의미 분석 : 미국교과서와 한국 영어교과서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나현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제 7차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1학년 과정의 영어교과서 속에서 사용되는 조동사 will과 would의 빈도와 의미별 분포를 살펴보고 이를 미국교과서와 비교 분석하여 교과서간 공통적인 특징이나 차이점을 발견하고, 조동사 will과 would가 한국 영어교과서에서 영어권 국가의 사용경향에 따라 잘 사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의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바탕으로 교과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첫째, 한국 고등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와 수준이 비슷한 미국교과서를 선택하고 이 교과서 본문에 나타난 모든 will과 would를 spoken text와 written text로 구분하여 의미 기준표에 따라 의미별로 분석하였다. 둘째, 한국 고등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 5종 역시 교과서에 나타난 모든 will과 would를 spoken text와 written text로 구분하여 의미 기준표에 따라 의미별로 분석하였다. 셋째, 미국교과서와 한국 영어교과서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둘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한국 영어교과서에서의 조동사 will은 spoken text에서 미국교과서와 동일하게 중립적 미래, 의도, 의지, 추정의 네 가지 의미로 사용되고 있어서 전체적인 의미 사용 경향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세부적인 측면에서 살펴 볼 때, 미국교과서와는 달리 한국 영어교과서에서는 추정의 의미에 비해 의도의 의미가 지나치게 많이 사용되는 편중된 모습을 보였다. 둘째, will은 written text에서 대부분 중립적 미래와 추정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will은 미국교과서의 written text에서 중립적 미래의 의미가 66.67%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그 뒤를 추정의 의미가 잇고 있었으나, 한국 영어교과서에서는 추정의 의미가 73.65%로 지나치게 많이 사용되었다. 또한 미국교과서에서는 나타나지 않은 의지의 의미가 한국 영어교과서에서는 사용되고 있었다. 셋째, spoken text에서의 would는 미국교과서와 한국 영어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요청의 의미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미국교과서에 비해 한국 교과서에서는 의지의 의미가 지나치게 적게 사용되고 있었고 반대로 가정법의 의미는 지나치게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넷째, written text에서의 would는 미국교과서와 한국 영어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추정의 의미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미국교과서에서는 조동사 would가 중립적 미래, 의도, 의지, 고집, 가정법의 의미, 그리고 I wish 뒤에 사용되는 경우로 다양하게 쓰이고 있었으나, 한국 영어교과서에서는 추정, 요청, 가정법의 의미로만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미국교과서에서는 요청의 의미는 전혀 사용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영어교과서에서는 30% 넘게 사용되고 있으며 가정법 의미도 미국교과서에 비해 지나치게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교과서 비교분석을 바탕으로 한 will과 would의 쓰임을 살펴볼 때, 대부분의 한국 영어교과서에서는 미국교과서의 will과 would의 사용경향을 잘 반영하고 있지 못했다. 이 연구를 통해 드러난 문제점들은 교과서 개선에 대한 중요한 자료로 삼을 수 있을 것이고 교사들이 학생들을 가르치는데 있어서 유익한 자료가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uses of the two modal auxiliaries, "will" and "would", in the first grade textbooks of Korean High School English and find out if they are properly used in these textbooks by comparing the uses of the modal auxiliary verbs in Korean English textbooks to the uses of the modal auxiliary verbs in an American textbook.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the two modal auxiliary verbs in an American textbook were classified into the spoken text and the written text and were analysed based on a table that assorts the meanings of "will" and "would". Then, Korean textbooks were analysed along the same lines as the American textbook. Finally,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he American textbook and the Korean o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the "will" used in spoken texts of Korean textbooks has the meanings of "neutral futurity", "intention", "willingness", and "predictability" and this well reflects the tendency to use the "will" appeared in spoken text of the American textbook. But the frequencies of the meaning of "intention" are much higher than in the American textbook. Second, the "will" shown in written texts of the Korean textbooks and the American textbook is mainly used to express "neutral futurity" and "predictability". However the use of "predictability" in the Korean textbooks is much higher than in the American textbook and the meaning of "willingness" which does not appear in the American textbook is employed in the Korean textbooks. Third, the "would" represented in spoken texts of the American textbook and the Korean textbooks is chiefly used to signify the meaning of "request". But unlike the American textbook, the Korean textbooks employ much less meaning of "willingness" and much more meaning of "subjunctive". Fourthly, the "would" appeared in written texts of the American textbook and the Korean textbooks carries the most frequent meaning of "predictability". However the "would" in the Korean textbooks is used in more limited meanings than the American textbook. That is, the former includes only three meanings such as "predictability", "request", and "subjunctive", but the latter employs the following meanings : "neutral futurity", "intention", "willingness", "insistence", "subjunctive", and "after I wish". Also the frequencies of the meanings of "request" and "subjunctive" are much higher than in the American textbook. In conclusion, most of the Korean high school textbooks analysed does not properly reflect the tendency to use the two modal auxiliaries, "will" and "would", appeared in the American textbook.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will be helpful in improving Korean English textbooks and be a good data for teachers to teach students the two auxiliary verbs effectively.

      • 기초자치단체 노인종합복지관 민간위탁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정치·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나현민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2018년 현재 우리나라의 노인인구 비율은 약 14%를 넘어섰다. 이러한 노인인구의 증가는 노인복지의 수요의 증가와 각종 노인문제들을 발생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기초자치단체들은 다양한 정책들을 통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종합적인 노인복지서비스를 일선에서 제공하고 있는 노인종합복지관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노인종합복지관은 민간위탁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민간위탁은 해당 자치단체 재정의 효율성과 민간부문의 전문성 활용, 민간부문의 활성 등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 노인종합복지관의 경우 해당 지역의 노인인구와 재정의 여건 등이 고려되어야 하며, 특히 시설의 운영을 민간위탁 방식을 결정할 때에는 민간부문의 경쟁을 통한 예산의 효율성과 서비스 질의 제고 등의 목적에 부합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초자치단체 노인종합복지관의 민간위탁 결정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우리나라의 23년간의 지방자치가 지역정치로 자리를 잡아감에 따라 정치적 영향력이 커진 시민단체, 즉 비영리단체의 영향력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기초자치단체의 노인종합복지관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인구·재정적 요인으로 노인인구비율, 노인인구밀도, 공무원 1인당 노인인구 수, 사회복지예산비율을 변수로 설정하였고, 정치·사회적 요인으로 단체장의 공약들과 단체장의 출신, 그리고 해당 지역의 비영리단체 비율을 변수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종속변수로서 민선6기 기간 동안 노인종합복지관의 민간위탁 채택 수를 설정하였다. 분석방법은 기초자치단체(시·군·구)별로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먼저 기초자치단체 시의 경우 공무원 1인당 노인인구 수와 비영리단체 비율이 노인종합복지관의 민간위탁 채택 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리고 기초자치단체 군의 경우 비영리단체 비율만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기초자치단체 구의 경우 모형의 유의수준은 무의미하게 나타났다. 지방자치시대에 있어 비영리단체의 활동은 민주주의 측면에서 바람직한 현상이라 할 수 있지만 종합적인 노인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인종합복지관의 민간위탁 결정에 비영리단체의 정치적 또는 사회적 영향력은 부정적인 측면으로도 논의될 수 있다. 비영리단체의 활동 등은 주로 비공식적인 형태를 가진다. 해당 지역의 비영리단체들은 자신들의 요구 등을 정책에 반영하기 위하여 민간위탁 과정에 비공식적인 방법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한다. 이러한 비영리단체의 영향력은 자칫 민간위탁 본연의 목적인 예산의 효율성 저해와 다른 민간부문의 진입 방해 등과 같은 부정적인 문제들을 야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노인종합복지관의 민간위탁 결정에 있어 비영리단체의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가 필요하다. 더 나아가 민간위탁 결정 후 운영 과정과 평가 등에도 비영리단체의 순기능적 역할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공무원 1인당 노인인구 수가 많을수록 이들의 업무가 과중해지기 때문에 민간부문을 활용하는 민간위탁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위탁 운영 방식에서 공무원의 주요 역할은 모니터링과 점검 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한 전문성 제고를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기초자치단체 노인종합복지관의 민간위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있어 지방자치와 민주주의의 핵심요소라 할 수 있는 시민단체, 즉 비영리단체의 영향력에 주목하였다는데에 의의를 갖는다. 앞으로 노인종합복지관의 민간위탁 결정에 있어 지역의 비영리단체의 영향력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보다 효율적인 노인종합복지관의 민간위탁 운영을 위한 방안이 논의될 필요성이 있다. 주제어: 민간위탁, 노인종합복지관, 비영리단체 As of 2018, Korea's elderly population exceeded about 14 percent. This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is a major factor contributing to the increase in the demand for welfare for the elderly and problems for the elderl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primary governments are working to resolve the issue through various policies. In particular, the role of senior citizens' general welfare centers providing comprehensive senior citizens' welfare services at the front line is very important. Most senior welfare centers in Korea are operated by contracting-out. The purpose of the contracting-out is to utilize the financial efficiency of the local government, expertise of the private sector, and activities of the private sector. In the case of senior citizens' general welfare centers, the elderly population and financial conditions in the area should be considered, especially when determining the method of contracting-out the operation of facilitie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budget and quality of service through competition by the private sector.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decision of the contracting-out of the senior citizens' general welfare centers of primary governments. In particular, it noted the influence of the nation's politically influential civic groups, or non-profit organizations, as the nation's a 23-year period of local autonomy has been established as regional politics. And the ratio of the elderly population, the density of the elderly population, the number of elderly population per civil servant, and the percentage of the social welfare budget were set as variables for the population and financial factors, and the pledge of the group leader, the origin of the group leader, and the proportion of non-profit organizations in the area were selected as variables for political and social factors. And the number of contracting-out adopted by the elderly general welfare center during the period of the 6th civil election as a dependent variable. The analysis method performed correlation and multi-return analysis for each local government(city, county, and district). First of all,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per civil servant and the proportion of non-profit organizations in the cities of local governments had a static influence on the number of contracting-out adopted by senior citizens. and In the case of county governments, only the proportion of non-profit organizations has static effects. However, the significance level of the model appeared meaningless in the case of district governments. The activities of non-profit organizations in the era of city government are desirable in terms of democracy, but their political or social influence can be discussed in a negative light in the decision to the contracting-out of senior welfare centers. The number of elderly citizens per civil servant was having a static impact only on the city government. This shows that as the number of senior citizens per civil servant increases, the contracting-out of senior welfare center will be given more consideration. And the analysis by local governments and the city and county governments shows that the proportion of non-profit organizations influences the decision to the contracting-out of senior welfare center. The activities of non-profit organizations are largely informal. Non-profit organizations in the region exert their influence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process of contracting-out to reflect their needs in policy. The influence of these non-profit organizations could cause negative problems such as undermining the efficiency of their original budget and hindering entry into other private sect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n institutional mechanism to induce participation of non-profit organizations in the decision of contracting-out of senior welfare center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institutional devices for the net functioning of non-profit organizations in the process of operation and evaluation after making decisions on the contracting-out. Also, the more senior citizens per official, the more they work, the more they consider using the private sector. The main role of civil servants in the contracting-out operation is monitoring and checking. Thus, there is a need for institutional mechanisms to enhance professionalis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noted the influence of civic groups, or non-profits, on factors that affect the contracting-out of primary governments and the senior citizens' welfar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local non-profit organizations in determining the contracting-out of senior citizens' welfare institutions and to discuss ways to operate more efficient senior citizens' welfare centers. Keywords: contracting-out, citizens' welfare centers, Non-profit organization

      • 중학교 국어과·영어과 품사 교육 내용과 간섭 내용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 교과서와 교육방송 내용을 중심으로

        나현민 이화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바야흐로 조기 영어 교육의 대 유행 시대에 접어듦에 따라 영어를 처음 접하는 연령대는 점점 낮아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학습자들은 국어 문법 지식을 처음 접해보기도 전에 영어 문법 지식에 노출된다. 영어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환경에서 살아가다 보니 모국어 문법의 필요성과 그 이해는 뒷전이 되고 만다. 이렇게 영어에 익숙한 학습자들이, 특히 영어의 품사의 분류에 익숙해진 학습자들이 국어 품사를 접했을 때 혹은 국어 품사를 접해본 적이 없는 학습자가 처음으로 국어와 영어의 품사를 동시에 접하게 됐을 때 일어날 수 있는 혼란 가능성을 본고는 살펴보기로 했다. 품사 지식은 문법의 근간이 되는 지식이다. 우리가 언어를 가지고 구사하는 ‘문장’은 ‘단어’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단어’에 대한 분류의 개념이 바로 품사 지식이기 때문이다. 정확한 품사 지식은 정확한 문장 구사 능력을 쌓는 데 가장 필요한 지식이다. 형태, 기능, 의미에 따른 품사 분류는 학습자들의 변별적인 사고를 기르는 데 도움이 되며 이 지식을 바탕으로 학습자들은 문장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구조적 사고를 기를 수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품사 지식은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문법 지식 중에서도 아주 중요한 기본적 지식이 된다. 이렇게 중요한 품사 지식의 이해에 간섭을 받아서 많은 학습자들이 혼동을 느낀다는 것은 문제 상황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각 과목에서 지도하는 내용 중 어떠한 내용상의 설명 방식이 간섭을 일으키는지 자세히 살펴보기에 앞서, 본고는 Ⅱ장에서 간섭 현상에 대한 이론적 배경에 대해 논하였다. 간섭 현상이 학습자들의 이중언어 사용 상황에서 발생하는 것임을 밝히고, 그동안 이루어진 선행연구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해 혼동의 유형을 분석했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수식언, 용언, 그 외의 몇 가지 부분에서 혼동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국어와 영어 과목의 교과서에서 품사를 어떻게 설명하는지 찾아서 분석하고 이어서 교육방송의 강의에서는 어떤 식으로 설명하는지 그 내용을 전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교육과정에 따라 중학교 학습자들은 1학년이 되면서 국어의 품사와 영어의 품사를 동시에 처음으로 접하는 환경에 놓여있기 때문에 두 과목에서 배우는 내용이 서로 간섭할 수 있다.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수식의 기능이 강조되는 영어의 형용사 때문에 국어에서 수식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관형사를 형용사로 오해할 수 있다. 둘째, 국어의 형용사를 관형사로 오해하는 이유는 국어의 형용사가 활용 가능한 용언이라는 것을 간과하기 때문이다. 셋째, 국어의 서술격조사 ‘-이다’는 용언에 해당하는데 이를 동사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영어에서 ‘-이다’로 해석이 되는 ‘be동사’ 때문이므로 서술격조사를 지도할 때 ‘이것은 조사이지만 용언이다’는 것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국어에서 ‘-게’로 끝나는 말을 전부 부사로 오해하는 경우는 영어의 부사를 설명할 때 많은 경우가 ‘-하게’로 해석되는 단어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 때문이다. 영어의 부사가 국어의 부사와 동일하게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설명해야 한다. 다섯째, 학습자들이 품사와 문장성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 용언의 활용형을 접했을 때 영어의 품사 내용이 간섭하면서 큰 혼란을 겪게 된다. 위 분석 내용을 통해 구체적으로 어떠한 부분의 설명이 학습자들의 이해에 간섭을 일으키는지 살펴보았다. 따라서 Ⅳ장에서는 분석 내용을 토대로, 국어와 영어 품사 이해의 간섭 가능성을 고려한 교육내용 구성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내용을 통합 교육적 관점에서 바라보았다. 교사의 수업 담화를 통해 국어의 관형사와 형용사를 영어의 형용사와 혼동하지 않도록 기본형을 설명하는 방안, 국어의 부사를 설명할 때 영어의 부사를 안내하는 방안, 연계성을 갖추어 서술격조사를 포함한 활동을 제시하고 영어의 be동사를 안내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들이 학습을 함에 있어서 1차적으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매체인 교과서와 교육방송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각각의 내용을 들여다보고, 새롭게 통합적 교육 관점에서의 교육내용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품사의 이해에서 더 나아가 품사와 문장성분에 대한 내용에 심도 있는 접근을 하지 못했다는 점이 한계점이다. 이와 같은 내용을 보다 깊이 있게 다루는 후속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Ever since the dawning of a new era in English education as a cultural sensation, the average age group of the first time learners has been dropping consistently. In such an environment with so much emphasis on English education, the native Korean learners’ exposure to English grammar likely predates the one to their mother tongue, thus neglecting its prominence and understanding. This p aims to examine the potential confusion among the learners in the following scenarios: those already accustomed to the English classification of Parts of Speech (a.k.a. POS) learning Korean grammar for the first time, or those who have no prior knowledge of Korean grammar yet simultaneously exposed to both. The knowledge of POS makes the root of all grammar; the reason being that a “sentence” formed in a language consists of "words," hence this concept of classification being the parts of speech. The classification of POS based on its form, function, and meaning helps to enhance not only the learners' distinctive thinking but also their structural thinking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entence. The knowledge of POS proves to be the foundation of all the other remaining components of grammar. And for this very reason, it triggers confusion for the native Korean learners influenced by their prior knowledge of the English classification of POS. Before taking a good look at which approach of explanation covered in each school subject influences the learners this way, this paper further discussed the theory behind such influence in chapter Ⅱ. It first suggested that the influence is validated in bilingual setting situations, followed by the specific patterns of confusion studied through a series of meta-analysi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As an outcome, it was shown that the learners were experiencing confusion in dealing with modifiers, predicates, and several other grammatical aspects. In chapter Ⅲ, the different approaches of explanation on POS in the Korean and English textbooks were analyzed. In comparison, the approach of explanation on POS in lectures on educational channels were also demonstrated. According to the Korean middle school curriculum, first graders are bound to cover POS in both languages for the first time. Learning them as two separate subjects end up influencing one another. The studied outcome is as follows: I. Due to the modifying nature of the English language, the native Korean learners can mistake a determiner – which also has a modifying function – for an adjective. II. An adjective in the Korean language can be mistaken for a determiner because the learners often overlook that it can function as a predicate. III. The Korean postpositional particle “–이다” is often predicative, confusing the learners with a verb. The corresponding terms in English are the "be verbs," therefore when teaching postpositional particles, there needs to be extra emphasis on it being both a particle and a predicate. IV. The words ending in “–게” in Korean can often be considered as adverbs, for the Korean approach of explaining English adverbs mostly uses a word ending in “–하게” as an example. Instructors must clarify that the English adverbs and the Korean adverbs are not always corresponding. V. The learners, lacking understanding of POS and other syntax components, experience confusion when taught the usage of predicates. Their prior knowledge of the English POS influences them. Throughout the course of research as stated above, this paper thoroughly studied which aspects of explanation influenced the learners’ understanding of Korean grammar. Consequently, in chapter Ⅳ, a brand new series of configuration methods for educational contents concerning the learners' understanding of Korean and English POS and their influence on one another was suggested. The materials to be covered in classes were observed in an educational perspective. The suggested methods are as follows: to use infinitive forms in the instructor’s discourse to prevent confusion between Korean adjectives and determiners and English determiners, to introduce the learners to English adverbs when explaining Korean adverbs, and with concern notion of consistency, to incorporate class activities on postpositional particles while informing the learners about the English "be verbs." It is significant in a way that a compare and contrast analysis on two of the primary learning resources – textbooks and lectures on educational channels – has been covered, and subsequently, the educational contents from the integrated educational perspective were suggested. Nevertheless, not only the core understanding of POS but also exploring them and other syntax components in further depth were unfulfilled, proving this paper vulnerable to a certain extent. Henceforward much profound research on the following subject is anticipated.

      • 공무원의 개인 상황 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나현민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에서 경제적인 활동을 하는 모든 근로자들에게 그들이 일하는 이유를 묻는다면 일이 좋아서, 자신이 속한 조직에 대해 애착심을 가지고 있어서, 또는 복지가 좋아서 등의 다양한 대답들이 나올 것이다. 하지만 이들의 대답들의 이면에는 자신, 또는 자신의 가정에 대한 책임감이 상당 부분 차지할 것이다. 이들 모두 한 개인이기 전에 먼저 사회의 기본단위인 한 가정, 가족의 구성원이기 때문이다. 행정학의 주요 연구대상 가운데 하나인 공무원도 이러한 가정, 가족의 구성원이라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다. 조직성과의 극대화를 궁극적 목표로 하고 있는 조직 관리에 관한 연구들은 주로 직무특성과 구조적인 특성 등에 주목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벗어나 공무원을 한 개인으로 보며, 한 가정 또는 가족의 구성원이라는 전제하에 이들이 각각 상이하게 처해 있는 개인 상황 특성이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독립변수로서 그 동안 대부분의 연구들에서 통제되어온 개인적 특성 또는 인구통계학적 변수 가운데 성별, 연령, 학력을 개인특성변수로 선정하였으며, 한국의 가족주의를 고려한 가족구조의 가장 기본적 단위인 부모와 결혼, 자녀와 관련된 가족특성, 그리고 경제적인 상황을 고려한 소득수준, 노후준비, 주택소유형태의 경제특성으로 크게 3가지로 구분하여 총 9개의 독립변수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종속변수로 조직에 대한 애정측면의 정서적 조직몰입, 경제적인 측면의 지속적 조직몰입, 당위성과 의무측면의 규범적 조직몰입인 조직몰입의 3요소로 선정하였다. 조직몰입을 종속변수로 사용한 다수의 연구들은 일반적으로 정서적 조직몰입만을 사용한 경우가 많으나 본 연구는 조직몰입의 3요소 모두를 측정에 사용하였다. 그 이유는 모든 조직에는 애정, 경제적, 당위성 측면의 조직몰입이 모두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3가지 조직몰입의 유형을 모두 파악하여 각 몰입을 유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조직관리가 이루어진다면 조직 관리의 궁극적 목표인 조직성과를 제고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분석 결과 개인 상황적 변수들 가운데 성별은 정서적, 규범적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연령은 경제적인 측면의 지속적 조직몰입, 학력은 당위성 측면의 규범적 조직몰입, 결혼형태는 지속적, 규범적 조직몰입, 자녀수는 정서적 조직몰입, 그리고 주택보유형태는 정서적, 지속적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변수들은 직무특성이나 구조적 특성 등과 같은 요인들에 비해서 단시간에 변화를 주기 어렵다. 즉, 장기간의 관심과 관리가 필요하며, 특히 인간 관계적이고 정서적인 관리가 주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조직 관리와 조직성과 제고를 위한 직무특성과 구조적 특성에 대한 고려와 더불어 또 하나의 조직 관리적 기반을 제공하였다고 생각한다.

      • 『고도를 기다리며』형상화를 위한 라이트모티브(Leitmotiv) 활용 연구

        나현민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문요약 『고도를 기다리며』형상화를 위한 라이트모티브(Leitmotiv) 활용 연구 본고의 연구는 바그너의 라이트모티브(Leitmotiv)를 학문적으로 탐구하고 형상화하여 라이트모티브(Leitmotiv)메소드가 실제 연기에 쓰임가능성을 확인하는 연구이다. 그래서 필자는 연기행위가 연기예술로 승화되어가는 과정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고자 연기학적 연구를 시도해 보았다. 요즈음 현시대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연기방법들은 스타니슬라브스키(Konstaintin Stanislavski)의 사실주의 연기메소드를 시작으로 여러 연기메소드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나오기 시작하였다. 이는 분명 스타니슬라브스키가 정립한 연기메소드 이론에서 파생 된 것이다. 이처럼 과학적인 연기접근방법연구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알 수 있다. 그래서 필자는 지금까지 이뤄지고 있는 연기행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메소드의 연구중요성과 필요성의 가치를 깨닫고 배우들의 폭넓은 연기적 활용을 위하여 먼저 위 와 같은 연구를 위해 라이트모티브(Leitmotiv)의 정의와 오늘날 활용에 관하여 알아보고, 바그너가 라이트모티브(Leitmotiv)를 창시한 역사적 배경에 대하여 조사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라이트모티브(Leitmotiv)의 반복적 특성 형식을 담고 있는 사뮈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고도'라는 무엇 혹은 누군가를 기다린다는 화두로 하여 1막과 2막은 순환, 반복적인 형태를 지니고 있고 작중 인물들 또한 반복적인 대사와 형태로 '고도'가 무엇인지, 누구인지도 확인을 못한 체 작품은 막을 내린다.)를 실제 적용함으로서 성과분석을 통해 활용가능성을 알아보겠다. 이를 통해 라이트모티브(Leitmotiv)기법을 구체적으로 연기에 도입하여 ’라이트모티브메소드’를 연기학적으로 정립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필자가 연구한 ‘『고도를 기다리며』형상화를 위한 라이트 모티브(Leitmotiv)활용 연구’로 앞으로 배우들이 역할창조를 하는데 있어서 보다 쉽게 인물을 감각화 할 수 있는 연기메소드가 되기를 소망한다. ABSTRACT A study on the adoption of "Leitmotiv" for S. Beckett's "Waiting for Godot" Na Hyun min Department of Film Art Sejong University This research has explored Wagner's Leitmotiv and confirmed the use possibility in actual performance of the Leitmotiv method. The writer has attempted a performance studies research for acting to sublimate to performance art. The performance method used in modern times has started from Konstaintin Stanislavski's realism performance method and has came out exponentially. This was derived from the performance method theory established by Konstaintin Stanislavski. We can know how important is the scientific approach method research. So the writer has realized the method's research importance and need's value and looked over the Leitmotiv's definition and today's use for the study as above and performer's wide performance use. Starting from investigation about the background Wagner established Leitmotiv, we will examine the use possibility through result analysis by applying Samuel Beckett's 'waiting for Godot' that includes Leitmotiv's repetitive character form - 'Godot' has the subject of waiting for someone or something and has a circulation and repetitive form in first and second act and people has the repetitive speech and form and the work drops the curtain by not confirming who and what is altitude. Through this, we have introduced the Leitmotiv technique in performance and established the 'Leitmotiv Method' in performance studies. In conclusion, through the 'Performer's Expression Method Development Research through Leitmotiv', we wish it will become a performance method that can sense the people easily for performer's role creation.

      • 카본 나노 튜브 복합체 기반 신체 기능기 구조 모사 인장 센서 연구

        나현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피부내에 존재하는 여러가지 기계수용체 중에서 인장인지에 관여하는 루피니 소체를 구조적, 기능적으로 모사하여 인장센서를 제작하였다. 인장센서의 주재료로는 CNT 와 부가형 경화 러버 폴리머인 Ecoflex를 사용하였다. 진공 필터링으로 제작한CNT sheet 내에 폴리머를 충진시켜 루피니 소체에 존재하는 신경 다발과 유체와 유사한 내부 조성 및 소체를 감싸는 슈반 세포의 역할을 각각 부여하였다. 제작된 센서의 인장에 대한 응답특성 및 진동에 관한 특성을 고찰하였다. 제작된 루피니 모방 센서는 70%의 넓은 인장범위와 38의 Gauge Factor, 그리고 높은 선형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12000회의 인장을 10000초 동안 장시간의 사용시에 저항 데이터의 안정성에 대해서도 우수한 결과를 보여줌으로써 매우 안정적인 구조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응용 부분으로서는 센서를 손가락 관절에 부착하여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안정적이고 정량적인 응답 특성을 확인하여 e-skin등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제시하였고, 눈 깜빡임, 턱의 움직임, 상박(팔뚝)의 근육 수축 시 부착된 센서가 넓은 주파수 영역에서 작은 인장변화에도 충분히 반응하여 경련 등 순식간에 빠르고 작은 크기로 발생하는 생체 징후를 포착하는 분야에도 응용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피부의 기계수용체인 루피니 소체를 구조적, 기능적으로 모방했기 때문에 주위 환경에서 발생하는 인장에 관한 물리적 자극에 대해 더 인간친화적으로 안정적으로 받아들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인간과 그 주변 환경을 상호친화적으로 이어주거나 인간과 유사하게 인장을 인지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VR, AR, health monitoring과 같은 분야에 유용하게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조선후기 영양향교 노비 · 전답마련과 관리 : 영양향교 소장 고문서를 중심으로

        나현민 韓國學中央硏究院 2018 국내석사

        RANK : 247615

        本論文は、慶尙北道の英陽に位置する英陽郷校に所蔵されていた古文書を中心として、郷校財政に関する文書の分析を基づく、朝鮮後期の郷校経営の実態を研究したものである。 朝鮮時代の寧海都護府の属県であった英陽は、主邑から不当に待遇されたり、貢賦の負担も深刻であった。その上、山に囲まれていたため、他の地域との交通が不便であった。その影響で、英陽の士人たちは英陽を独立の県にするために復邑を求めた。結局、1683年(粛宗9)に英陽は独立の県になった。その後、英陽邑内には英陽郷校が設立された。さらに、郷校経営に必要な要素である奴婢と田畑などは政府に要請したり、形で自ら調達・管理した。 まず、郷校の奴婢は英陽県監であった朴崇阜が作った『郷校奴婢案』(1687)を通じて郷校の奴婢充員手続きを把握することができた。八件の文書で構成される『郷校奴婢案』は、国家に対する奴婢の要請と劃給・頉下の過程を文書化したことを改めて謄書した文書案である。この文書によると、郷校の奴婢が劃給された過程をについて調べるのができた。 郷校田畑の場合、田畑の不正売買に関する文書、そして、このような問題を解決するための文書がたくさん残っている。これらの文書を通じて実際、郷校の田畑はどうのような過程で減られたのか、そして、それを管理するために、どのように努力したのかについて考察できるだろう。 本論文は、古文書学の研究方法を基づく、朝鮮後期の英陽郷校に所蔵されている文書の分析を通じて、郷校の財政調達とその管理について調べたものである。慶尙北道に位置したある地域の郷校文書を分析し、郷校経営の様子を明らかすことで、朝鮮後期の郷校経営を研究する基盤を固められるようになった。 본 논문은 경상북도 영양향교에 소장되었던 고문서 가운데 향교의 재정과 관련된 여러 문서들을 분석하여 조선후기 한 지역의 향교운영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종래 향교에 대한 연구는 자료의 부족으로, 연대기 자료나 읍지 등을 활용하여 연구한 결과 조선시대 향교의 실상을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이르러 여러 기관에서 각 지역에 위치한 향교를 조사하고, 고문서들을 발굴 · 수집하여 이를 활용한 사례 연구들이 진행됨으로써 향교의 운영에 관한 구체적인 실상을 파악할 수 있는 단계로 다가갈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 역시 경상북도 영양에 위치한 영양향교 소장 고문서를 통한 사례 연구 중 하나이다. 영양향교는 경북지역의 여타 향교와 달리 176건이라는 상당히 많은 수의 문서들을 소장하였다. 소장된 문서는 향교의 인적구성을 비롯하여 향교의 운영과 관련된 자료들이 상당수였으며, 그 중에서도 재정과 관련하여 향교의 실상을 보여줄 수 있는 자료가 많았다. 그 중 재정과 관련한 문서들을 중심으로 영양향교의 운영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시대 영해도호부의 屬縣이었던 영양지역은 높은 산지로 둘러싸여 다른 지역과의 교통이 불편하단 점과 主邑이었던 영해도호부의 부당한 대우와 貢賦의 부담이 있었다. 이로 인해 영양의 사족들은 영양을 독립된 縣으로 만들고자 復邑 요청을 하였고, 결국 1683년(숙종9)에 독립된 縣이 되었다. 이에 곧바로 1邑 1校의 원칙에 따라 영양 읍치의 북쪽 10里에 영양향교가 세워지게 되었다. 향교건립 이후, 본격적으로 향교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재정인 노비와 전답을 국가로부터 요청하기도 하며, 때로는 자체적으로 마련하고 관리해나갔다. 향교노비의 경우, 영양현감이었던 朴崇阜가 만든 『향교노비안』(1687)을 통해 향교에서 노비를 어떻게 마련했는지 그 과정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다. 『향교노비안』은 8건의 문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가에 향교노비를 요청하는 과정과 이후 획급과 頉下하는 과정에서 작성된 문서들을 謄書함으로써 하나의 案으로 만든 것이다. 이상의 문서를 통해 실제로 향교에 노비가 어떻게 획급되었는지 그 실상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다. 향교전답의 경우, 전답을 헐값에 放賣하고 이후 문제가 발생하여 작성된 문서들과 이러한 문제들을 관리하기 위해 작성했던 문서들이 다수 남아있다. 향교전답은 국가에서 노비처럼 지급했던 學田 외에 자체적으로 소유할 수 있었던 校田이 있었다. 영양향교에서 발생한 전답 문제는 향교가 소유할 수 있었던 校田을 중심으로 발생한 사건들이었기에, 본 논문 역시 향교의 校田을 둘러싼 문제들과 이를 어떻게 관리하였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와 관련된 문서로는 査定案 · 量案 · 明文 · 牒呈 · 上書 · 通知文 · 節目 등이 있었고, 이상의 문서들을 통해 실제로 영양향교의 전답이 어떻게 줄어들게 되었는지 또 이를 관리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였는지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다. 본 논문은 고문서학적인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조선후기 영양향교 소장 문서를 통해 향교의 재정 마련과 관리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향교 재정을 연구하는 사례연구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