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웹 2.0 기반 수학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 방안 연구

        나준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디지털 교과서 개발의 기초가 되는 연구로서 수준별 학습과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웹 2.0 기반의 수학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웹 2.0 개념의 특징인 참여, 공유, 개방을 교수⋅학습 환경에서 활용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2. 수준별 학습을 위한 수학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에서 웹 2.0 개념을 적용하는 방안은 무엇인가? 3.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수학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에서 웹 2.0 개념을 적용하는 방안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교수⋅학습 이론 중 수준별 교육과정과 자기 주도적 학습에 대하여 검토하고 디지털 교과서와 웹 2.0 개념의 특성에 대한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하여 웹 2.0 기반의 수학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 방안의 이론적 근거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웹 2.0 기반의 수학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개발 모형에 따라 전체적인 운영 설계와 스토리 보드 작성을 통하여 웹 2.0 기반 수학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의 실제적인 형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수행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기존의 디지털 교과서 편찬 방식을 개선하여 학습자의 참여, 공유, 개방을 활용한 디지털 교과서 컨텐츠 확보 방안을 제시하였다. 텍스트 센터 3중 구조와 웹 2.0 기술의 교육적 고찰을 통하여 웹 2.0 기반의 수학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 모형을 제시하고 이러한 개발 모형에 따라 전체적인 운영 설계와 스토리 보드 작성을 통해 실제적인 형태를 제시하였다. 둘째, 수학 교과는 타 교과보다 학습의 위계성이 뚜렷하며 학습자 간의 수준 차이가 크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7차 교육과정 이후로 꾸준히 수준별 교육과정이 강조되고 있고 최근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학습의 자율권을 확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개발, 시범 운영되고 있는 디지털 교과서 체제 하에서는 기존의 서책형 교과서와 큰 차이점이 느낄 수 없다. 따라서 웹 2.0 개념을 교육적으로 활용하여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학습자 스스로에게 유용한 컨텐츠를 확보하고 이를 통하여 수준별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모든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요구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기존의 서책형 교과서뿐만 아니라 디지털 교과서 편찬에서 학습자의 자발적인 학습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하지만 학습자의 외적 동기 유발 기제가 대부분이어서 학습자의 진정한 참여를 이끌어내기 어려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내적 동기 유발을 위해 학습자 스스로 교과서 편찬 과정에 참여하고 이를 다른 학습자와 공유하고 개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렇게 자신이 다른 학습자에게 도움을 주는 과정은 강한 내적 동기를 유발하는 기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문헌 분석을 통하여 웹 2.0 기반 수학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으나 실제 개발된 디지털 교과서를 학습 현장에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단계를 제시하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또한 웹 2.0 기반 수학과 디지털 교과서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구체적인 형태를 제시하지 못하고 개념적인 수준에서의 형태를 제시하는 데 그쳤다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 근간하여 실제 적용 가능한 디지털 교과서를 개발하고, 실제 학습 현장에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고 현장에서 실천되었을 때 수반되는 문제점을 보완⋅개선하는 등 다양한 차원에서의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저심도 도로터널에서 터널과 수직환기구의 단면적비와 열방출률이 plug-holing 현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연구

        나준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Due to rapid urbanization, traffic overload is getting worse. In order to prevent this, recently underground roads have been adopted. Typical ones are low depth tunnel. In low-depth tunnels, natural ventilation systems using buoyancy due to temperature difference are widely used. However, since smoke emissions can not be artificially controlled, they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in design. Plug-holing, in which smoke emissions from shaft are smaller than designed smoke emissions There is a difficulty in design because of the phenomenon. The plug-holing phenomenon is influenced by the position of the tunnel, the shape of the shaft , the position of the Pool fire and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the cross-sectional area ratio of the tunnel and the natural ventilation and the heat release rate of the fire source on the plug-holing phenomenon occurring in the natural ventilation system was experimentally analyzed. In the experiment model reduced to 1/20 size, the aspect ratio of the tunnel and the shaft was fixed, and the sectional area ratio of the tunnel and the shaft was gradually increased to 0.054, 0.071, 0.09 and 0.011, and the effect on the plug-holing phenomenon was confirmed. The heat release rate of pool fire was fixed at 0.55 kW, 0.98 kW and 1.67 kW.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lug-holing phenomenon is caused by the comparison of the Smoke layer interface temperature with the temperature in the shafts, and the flow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under the shafts are changed as the cross-sectional area ratio of the tunnel and shafts increases. The plug-holing phenomenon in tunnel fires is affected by the cross-sectional area ratio of the tunnel and shafts. The larger the cross-sectional area ratio, the greater the possibility of plug-holing. 급속한 도시화로 인하여 교통 과부하가 심해지고 있다. 이를 막기 위하여 최근 도로의 지하화를 채택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것이 저심도 터널이다. 저심도 터널에서는 온도차에 의한 부력을 이용한 자연환기시스템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는 연기배출을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설계 시 신중히 고려하야 하는데, 수직환기구에서의 연기 배출량이 설계된 연기 배출량보다 적어지는 Plug-holing 현상 때문에 설계에 어려움이 있다. Plug-holing 현상은 터널과 수직환기구의 형상 위치, 화원의 위치와 발열량 등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터널과 자연 환기구의 단면적비와 화원의 열방출률이 자연환기시스템에서 발생하는 Plug-holing 현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1/20 크기로 축소시킨 실험모델에서 터널과 수직환기구의 종횡비는 고정시키고 터널과 수직환기구의 단면적비를 0.054, 0.071, 0.09, 0.011로 점차 증가시켜 Plug-holing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화원의 열방출율은 0.55 kW, 0.98 kW, 1.67 kW로 고정시켰다. 실험결과, Smoke layer Interface temperature와 수직환기구 내의 온도와의 비교를 통한 Plug-holing 발생을 판단하였고, 터널과 수직환기구의 단면적비가 증가함에 따라서 수직환기구 하부의 유동과 온도분포 특성이 변함을 확인하였다. 터널 화재 시 Plug-holing 현상은 터널과 수직환기구의 단면적비에 영향을 받으며 단면적비가 클수록 Plug-holing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 한국 영상저널리즘의 변화에 관한 연구 : 1970년대와 80년대의 MBC영상저널리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나준영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영상저널리즘의 변화를 역사적으로 고찰해, 한국의 TV영상저널리즘의 특징과 영상기자의 역할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영상저널리즘은 근대의 ‘사회적 생산물’인 영상기술의 발명과 함께 태동하기 시작해, 뉴스영화와 TV방송의 발전과정을 거치며 서구국가들에서 근대화의 기록이자 사회발전을 위한 감시비판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왔다. 1945년 이전까지 자주적인 근대의 기록을 갖지 못했던 한국사회는 해방기의 변화와 한국전쟁을 겪으며, 본격적인 뉴스영화의 제작을 통해 자주적인 근대의 기록 작업을 시작했고, 한국전의 종전과 함께 형성된 <대한뉴스>와 <리버티뉴스>의 뉴스영화경쟁체제는 영상저널리즘의 시대를 열었다. 1961년 이후 본격적인 TV방송이 시작되고, 1970년대와 80년대 영상기자들의 노력을 통해 영상취재, 제작기법의 발전, 방송기술의 발전이 융화되어, TV 영상저널리즘의 발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1974년 시작된 MBC의 <카메라출동, 카메라고발>과 1980년대의 <카메라출동>, <심야출동> 등의 영상저널리즘프로그램은 TV저널리즘의 사회비판감시기능을 확장시키고, TV뉴스의 다양화를 이루며, 1990년대 이후 TV뉴스의 발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한국의 영상기자들은 영상저널리즘을 현장저널리즘, 탐사고발저널리즘으로 발전시킴으로서, 한국사회에서 영상저널리즘이 근대의 자주적 기록이자 사회의 감시비판자로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게 도움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examinations into the historical evolution of Korean Image-journalism, so that it may characterize Korean TV image journalism and clarify possible roles of imagejournalist. Originally, image-journalism began to quicken along with invention of film technology as a ‘social production’ of modern world, and also has evolved through development of newsreel and TV broadcasting, so that it could play a major role as modern record media and critical monitor for social development in western countries. Korean society didn't have any record on its independent modern age before 1945, but began to record its independent modern activities by the full-scale production of news and films during post-liberation period and the Korean War. Moreover, “Daehan News” and “Liberty News,” 2 major channels emerging after Korean War, formed a com petitive framework of newsreel to open up a new age of image-journalism in Korea. In Korea, TV broadcasting services commenced on a full-fledged basis after 1961, and their image news coverage and production techniques developed continuously owing to efforts exerted by many imagejournalists in 1970's and 1980's. And as a series of broadcasting technologies developed convergently, Korea has faced remarkable advancement of TV image-journalism. MBC's representative image-journalism programs like “Camera Move out, Camera Report” (released since 1974) as well as “Camera Move out” and “Midnight Report” (released in 1980's) contributed to extending social criticism and monitoring functions of TV journalism, and diversifying TV news. In addition, the image-journalism programs still have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s on the progress of TV news after 1990's. Summing up, it is concluded that Korean imagejournalists have developed image-journalism to the level of on-the-spot journalism and investigative journalism, and have contributed to facilitating image- journalism to successfully play its essential roles as modern independent record media and social monitor and critic in Korean society.

      • 원격 광 혈류 측정 기술의 다각도 평가를 위한 오픈소스 벤치마크 프레임워크

        나준영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원격 광 혈류 측정 기술의 다각도 평가를 위한 오픈소스 벤치마크 프레임워크 rPPG(remote Photoplethysmography)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헤모글로빈의 광흡수 특성을 이용해 BVP(Blood Volume Pulse)를 측정 및 분석하는 기술이 다. 측정된 BVP를 분석하면 심박수, 스트레스 수치, 혈압 등 다양한 생리적 신 호를 도출할 수 있어 원격의료, 원격 환자 모니터링, 심혈관 질환 조기 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의료용 기기나 웨어러블 기기 없이 카메라가 장착된 디바이스를 이용해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어 사용성과 편의성이 뛰 어나 학계와 업계에서 큰 주목을 받으며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이 분야에 대한 광범위한 노력과 발전에도 불구하고 정확도를 저하시키는 피부색, 카메라 특성, 주변 조명, 기타 노이즈 및 아티팩트와 관련된 문제 등 심각한 과제가 남아 있 다. 이러한 과제를 극복하고 학문적, 상업적 관점에서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다각도로 평가 가능한 벤치마킹이 시급히 필요하다. 기존 연구에서 대 부분의 모델은 제한된 데이터셋에서만 학습, 테스트 및 검증된다. 더 심각한 문 제는 일부 연구에서 사용 가능한 코드나 재현성이 부족하여 성능을 다각도로 평가하고 비교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비 심층 신경망 방식과 심층 신경망 방식을 모두 포함하여 광범위한 데이터셋에서 다양 한 rPPG 기법을 다각도로 평가하고 비교할 수 있는 벤치마킹 프레임워크를 제 공하고자 한다. Open Source Benchmark Framework for Multi-Dimensional Evaluation of rPPG Jun-Yeong, Na Dept. of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s Engineering Kwangwo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rPPG, or Remote Photoplethysmography, represents an innovative technology that leverages the light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hemoglobin, captured through a camera, to measure and analyze the Blood Volume Pulse (BVP). By deciphering the insights hidden within the measured BVP, this technique enables the extraction of diverse physiological signals, including heart rate, stress levels, and blood pressure. These insights find application across a spectrum of fields such as telemedicine, remote patient monitoring, and the early prediction of cardiovascular ailments. The swift evolution of rPPG has garnered substantial interest from both academic and industrial domains, owing to its remarkable user-friendliness and convenience. This technology enables the measurement of vital biosignals without necessitating the use of medical or wearable devices, achieved through the utilization of camera-equipped devices. However, amidst the vigorous efforts and progress in this arena, significant challenges persist. Concerns surrounding skin color variations, camera specifications, ambient lighting disparities, and other sources of noise and artifacts pose obstacles that impede accuracy. Addressing these hurdles is pivotal, and we contend that a transparent and assessable benchmarking framework is an urgent requirement. This framework serves as a critical tool to surmount these challenges and facilitate meaningful advancements from both academic and commercial standpoints. Presently, many existing endeavors concentrate on training, testing, and validating models exclusively on limited datasets. Furthermore, certain studies suffer from a dearth of accessible code or reproducibility, making it difficult to multi-dimensional evaluate and compare the performance. The key to our research is to create a multi-dimensional benchmarking framework that enables the multi-dimensional evaluation of rPPG techniques, including both conventional Non-DNN and state-of-the-art DNN methods, across a wide range of datasets.

      • 서울시 빈집현황과 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나준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nation-wide housing supply ratio in 2014 exceeded 100%, showing 108% in the local area, 97.9% in Seoul and 98.2% in the metropolitan area. If quasi-housing such as Gosiwon, welfare housing for the elderly, and studio apartments were included, the housing supply ratio would surpass 100%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Accordingly, the empty houses are also increasing. The nation-wide number of empty house which was approximately 360,000 in 1995, has more than doubled in 2010. The number of empty houses in Seoul increased from 39,086 in 1995 to 78,702 in 2010, highlighting the serious issues of empty houses and the following management system towrads it. Although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enacted‘Ordinance on the Utilization and Management of Empty Houses in Seoul’and implemented an‘Empty House Revival Project’to cope with this issue, their effectiveness is still doubtfu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new form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for empty houses. This study explores the issues of the current management and utilization system for empty houses in Seoul and UK. The details are shown as follows. First, the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istics of empty houses in Seoul and explored the cause of empty houses and their distributive characteristics in areas with the high empty house ratio. According to the housing census reports from 1995 to 2010, Nowon-gu was found as having the most amount of empty houses. The investigation on the administrative documents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increase pattern. Transformed map data from address data show the distribution of the empty houses in the area. The greatest causes of these empty houses were the deterioration of residential areas for people forcefully deported as a result of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in the 1960s, speculative investment in real estate by people predicting rises in real estate prices through these redevelopment projects, and negligence from the delay in redevelopment projects. The distributive characteristics differed by district, but the empty rate spanned from 5% at the least to 24% at the most, indicating an extremely high density, with a considerable number of empty houses being small-scale detached houses with a total area of 20㎡~30㎡. Second, an analysis of 12 years on the empty house statistics of the UK from 2004 to 2015 revealed that since 2010, the number of empty houses has drastically decreased. As an result of establishing an integrative management system through a segmentally phased enforcement guideline by the local government, based on an empty house maintenance subsidy policy and the legal grounds that resulted from the amendment of the central government’s building acts, housing acts and the local government act. Third, the study suggested an improvement plan by comparing the empty house management systems between Seoul and the UK’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Special Law on empty Houses’ which is scheduled to enact in 2017 is expected to formulate the legal grounds for the maintenance of empty houses and the investment of subsidies. The improvement plan based on the UK’s empty house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utilization plan involving small-scale reconstruction in the accumulated areas of empty houses. This policy may be utilized by inducing the use of empty houses through low-interest loans of the National Housing and Urban Fund, the forced demolition through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of the demolition costs, and autonomous housing maintenance projects. Lastly, the study proposes the possibility of remodelling small scale empty studio apartments and small house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hould ascertain the accurate status of empty houses by building an empty house information system through the integration of the standard for the definition of empty houses because each borough has different definition on the empty house. It must also respond to the problem of empty houses by establishing a phased empty house management system involving ‘recommendation – inducement – management - forced implementation’. It must also find a new utilization plan depending on detailed guidelines,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empty house distribution. This study does not include the detailed guidelines for empty house management for each autonomous boroughs which is needed to supplemented in the futher study. Furthermore, a new empty house utilization model and detailed guideline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the linkage among social enterprises, the Seoul Urban Housing Corporation, and the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which will form a partnership with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국내 주택보급률이 100%를 넘어섬에 따라 빈집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고, 1995년 36만호 수준이었던 전국 빈집의 수가 2010년 79만호로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서울시의 경우에도 1995년 39,086호였던 빈집수가 2010년 78,702호로 급격하게 증가해 도시 빈집문제의 심각성도 함께 대두되었고, 이에 따른 빈집관리체계의 마련이 절실해졌다. 서울시는 2015년 ‘서울특별시 빈집 활용 및 관리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빈집살리기 프로젝트’를 시행하여 빈집문제에 대응하고 있지만, 아직 그 성과가 미비하고, 총체적 관리체계에 대한 정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사회·경제·환경적으로 많은 도시문제를 발생시키는 빈집과 관련하여 서울시의 빈집현황과 발생원인, 분포특성을 파악하고, 영국과 우리나라의 빈집관리체계를 비교분석하여, 서울시의 빈집정비 및 관리·활용체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실정에 맞는 새로운 형태의 빈집 정비·관리체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서울시 빈집관리체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통계자료와 행정데이터를 활용한 빈집현황을 분석하고, 서울시와 영국 지방정부의 빈집관리체계를 비교하여, 서울시의 상황에 맞는 빈집관리체계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그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의 빈집현황 통계를 분석하고, 그 중 빈집이 가장 많은 곳을 선택하여 빈집의 발생원인과 분포특성을 파악하였다. 1995년부터 2010년까지의 주택총조사 통계를 통하여 빈집현황을 분석한 결과, 분포특성은 구역에 따라서 공가율이 적게는 5%에서 많게는 24%수준으로 밀집도가 나타났고 빈집 중 상당수가 연면적 20㎡~30㎡의 소규모 단독주택인 것으로 집계되었다. 둘째, 영국은 2004년부터 2015년까지의 12년간 수집된 빈집통계를 분석한 결과 2010년 이후로 빈집 수의 급격한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중앙정부의 적극적이고 통합적 관리체계가 구축되어 나타난 결과로 요약할 수 있다. 셋째, 서울과 지방정부의 빈집관리체계를 비교하여 그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개선방안을 위해 참고한 자료는 입법진행중인 ‘빈집특례법’으로, 이 법에서는 빈집정비를 위한 법적근거 마련과 보조금 투입이 명시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소형빈집의 원룸 및 협소주택 리모델링 가능성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서울시는 빈집의 기준이 자치구마다 상이하여, 이 기준의 통합을 통해 빈집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정확한 빈집현황을 파악하고, ‘권고-유도-관리-강제집행’의 단계적 빈집관리체계를 정립하여 빈집문제에 대처해야한다. 또한 세부적인 지침마련과, 서울시의 빈집분포현황과 특징에 따른 새로운 활용방안이 함께 모색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는 앞으로 자치구별로 마련되어야 할 빈집관리 세부지침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요구되며 서울시와 파트너 쉽을 구축할 사회적 기업, 서울도시주택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와의 연계를 통해 새로운 빈집활용모델과 구체적 가이드라인이 정립이 구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합창지도의 실제와 효과적인 리허설테크닉에 관한 연구

        나준영 한세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the Reality of Chorus Lead and the Effective Rehearsal Technique Na Jun-yeong Major in Chorus Lead Graduate School of Hansei University Chorus is the genre of music in which life and emotion is alive because the voice of human is used as a means of the music and each one of all the choir members can express his or her mind through it. Therefore, chorus should convey a deep impression and the life force of spirited chorus as well as musical expression and technical skills to the audience through the unified mind of the members. The conductor should combine a good character, the ability to conduct the chorus effectively and rehearsal technique to make it possible. However, in reality, considerable conductors reveal the troubles in showing the upright picture of leaders above-mentioned. This thesis clarif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by raising the question on the big two general issues arisen often in the choir. First, one of the problems is the inner conflicts of the conductor with the choir members which are created from the fault in his or her personality. Secondly, the other problem is the chorus group that came into the crisis caused by repeated failures of rehearsal. These problems have been received careful process of study, and the great literature of chorus and practical preceding researches served as a good reference for the solution to the problems and alternative in the process of the study. Some conclusions were drawn as a result of the study and brief results of my research work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importance of interpersonal skills and relationship. Secondl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ofessional course of education and training are necessary for the right chorus lead. Lastly, the conductor should have his or her own ability and effective rehearsal technique with universal validity. 국문초록 합창지도의 실제와 효과적인 리허설테크닉에 관한 연구 한세대학교 대학원 합창지휘전공 나 준 영 합창은 생명과 감정이 살아 있는 음악의 장르이다. 그 이유는 사람의 목소리를 도구로 하기 때문이며 단원 한 사람, 한 사람의 마음이 표현되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합창은 음악적인 표현과 기술 뿐 만아니라, 단원의 마음을 통일하여 살아 움직이는 합창의 생명력과 감동을 청중에게 전달하여야 한다. 이것을 위해 지휘자는 올바른 인격을 갖추어야 하고 효과적인 합창지도의 방법과 리허설테크닉을 겸비해야 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적지 않은 지휘자들이 앞에 언급한 올바른 지휘자의 모습을 보여주지 못함으로 문제점을 들어내고 있다. 본 논문은 합창단에서 빈번히 일어나는 일반적인 문제를 크게 두 가지제기하며 본 논문의 목적을 밝히는 바이다. 첫째, 지휘자의 인격적인 문제로 인한 단원들과의 내면적 갈등이고 둘째, 지휘자의 반복되는 리허설 실패로 인한 위기에 처한 합창단의 문제이다. 이 문제의 긍정적인 해결방안과 대안을 위해서 실험적인 선행 연구와 저명한 합창문헌을 참고하여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연구과정을 통해서 몇 가지의 결론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간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의 중요성이며 둘째, 올바른 합창지도를 위해서 전문적인 합창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바이다. 셋째, 합창지휘자는 보편타당한 자기만의 효과적인 리허설테크닉과 노하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 스마트교육 기반의 수학과 미술 STEAM 수업설계 모형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나준영 한국교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수학에 대한 흥미, 자신감, 가치인식 및 의욕 등의 정의적 특성과 창의·융합 역량을 함양시키기 위한 스마트교육 기반의 수학과 미술 STEAM 수업설계 모형 및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스마트교육 기반의 수학과 미술 STEAM 수업설계 모형과 구체적인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를 실제 학교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가. 스마트교육 기반의 수학과 미술 STEAM 수업의 효과적인 설계 방향은 어떠해야 하는가? 나. 스마트교육 기반의 수학과 미술 STEAM 수업설계 방향에 따른 수업설계 모형과 교수·학습 자료는 어떻게 구현되는가? 1) 스마트교육 기반의 수학과 미술 STEAM 수업설계 모형은 어떻게 구현되는가? 2) 스마트교육 기반의 수학과 미술 STEAM 수업설계 모형에 따른 교수·학습 자료는 어떻게 구현되는가? 다. 학교 현장에서 스마트교육 기반의 수학과 미술 STEAM 수업의 효과는 어떠한가? 1) 스마트교육 기반의 수학과 미술 STEAM 수업은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을 함양시킬 수 있는가? 2) 스마트교육 기반의 수학과 미술 STEAM 수업은 학생들의 창의·융합 역량을 함양시킬 수 있는가? ‘연구 문제 가’를 해결하기 위해 체제적 수업설계 모형, 교수 매체·자료의 선정과 활용을 위한 수업설계 모형, 스마트교육 수업설계 모형, STEAM 문제 해결 과정 모형, 창작 활동을 위한 창의적 체험활동 모형을 중심으로 문헌을 고찰하여 정의적 특성과 창의·융합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STEAM 수업설계 모형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 문제 나’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문제 가’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과 창의·융합 역량을 함양시킬 수 있는 스마트교육 기반의 수학과 미술 STEAM 수업설계 모형과 이에 따른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한 후 수학교육전문가의 적절성 검토와 학교현장전문가의 현장 적합성 검토를 실시하여 수정·보완하였다. ‘연구 문제 다’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를 고등학교 1학년의 실제 수업에 적용한 후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과 창의·융합 역량 함양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스마트교육 기반의 수학과 미술 STEAM 수업을 효과적으로 설계하기 위한 수업설계 모형의 개발 방향을 수업설계, 학습자 활동 및 수업 준비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둘째, 스마트교육 기반의 수학과 미술 STEAM수업설계 모형과 구체적인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수업설계 모형은 분석, 주제 선정, 수업 유형 선정, 스마트 도구 준비, 수업 자료 준비, 수업 적용, 동기 유발 단계로 제시하였으며, 개발된 수업설계 모형에 따라 구체적인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셋째,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를 고등학교 1학년의 실제 수업에 적용한 결과 흥미, 자신감, 가치인식 및 의욕 등의 정의적 특성과 창의·융합 역량 함양에 효과가 있었다.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현장에서 수학교사들이 스마트교육 기반의 수학과 미술 STEAM 수업을 설계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수업설계 모형을 제공하였다. 수업설계 모형을 통해 교사가 학생과 함께 스마트교육 기반의 수학과 미술 STEAM 수업을 준비하고 실행할 수 있는 안내와 지침을 제공하였다. 둘째, 수업설계 모형을 적용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자료를 제공하였다. 총 16차시의 교수·학습 자료와 교수·학습 과정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Frieze Design을 개발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활용성을 높였다. 셋째, 스마트교육 기반의 수학과 미술 STEAM 수업은 학습자의 수학에 대한 흥미, 자신감, 가치인식, 의욕 등 정의적 특성과 창의·융합 역량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문제 풀이 중심의 수학 수업에서 벗어나 수학적·미적 아이디어를 융합하고 활용하여 실생활 창작 문제를 해결하는 활동 위주의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과 창의·융합 역량 함양에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스마트교육 기반의 수학과 미술 STEAM 수업설계 모형과 교수·학습 자료는 실제 학교 현장에서 수학과 미술 STEAM 수업을 설계하고 적용할 때 유용한 지침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