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제강점기 광주의 행정구역및 지명(동리명)의 변화

        나주용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제강점기에 이루어진 행정구역의 변화는 현재의 행정구역이 자리 잡게 된 근간을 이루는 가장 큰 변화이다. 또한 이 시기의 변화가 지명의 변화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이유로 도시 및 지역의 역사연구에 있어 일제강점기는 빠질 수 없는 주제가 되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일제강점기를 중심으로 광주지역의 행정구역 변화와 함께 그에 따라 진행되었던 동리명의 변천과정을 추적하여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의 세 가지 내용을 연구과정에서 수행했다. 첫째, 지형도, 지적공부(지적원도, 토지대장)와 ≪지방행정명칭일람≫(1912)을 이용하여 일제강점기 초 광주의 마을 위치와 이름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서 토지조사사업이전의 광주의 모습을 추정해 본다. 둘째, ≪신구대조朝鮮全道府郡面里洞명칭일람≫를 분석하여 재정리하고, 이를 통해 면리(面里) 폐합으로 발생된 지명변화를 정리한다. 셋째, 행정구역확장으로 발생된 행정구역의 변화를 도면을 통해 세부적으로 확인하고 이로 인해 발생된 지명변화를 정리한다. 본 연구의 진행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첫째, 면폐합서류(총독부문서), 지적공부 및 지형도(1917)를 분석하여, 1914년 3월 1일의 부군분합 이전에 광주군의 41개면에 속하였던 432개 마을 가운데 298개, 함평군에 속하였던 오산면의 22개 마을 가운데 15개, 도합 313개 마을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을위치를 지형도(1917)에서 확인한 것은 264개소였고, 지적공부에서 확인한 것은 25개소였으며, 면폐합관련 총독부문서에 포함된 도면에서 확인한 것은 24개소였다. 이리하여 확인된 위치에 도합 313개 마을을 면단위로 묶어 도면에 표시하였다. 둘째, 면폐합과 관련하여 자주 인용되는 ≪신구대조朝鮮全道府郡面里洞명칭일람≫(1917)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일부’와 ‘전부’의 잘못된 구분 17개소 및 里名과 面名의 오타 20개소 등, 오류가 발견되었다. 이는 ≪신구대조朝鮮全道府郡面里洞명칭일람≫의 인용 시에 좀 더 주의 깊은 확인 작업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셋째, 면폐합으로 발생된 지명변화를 1914년 3월 1일 이후의 광주군에 속한 동리를 대상으로 검토하였다. 당시의 부군분합으로 인해, 광주군은 40면 423리를 관할하게 되었고, 이어 토지조사사업의 시행과정에 따라, 1914년 4월 1일에는 광주면, 1916년 8월 10일에는 광주군 잔여지역 전체에 ‘주소개칭’이 단행되었는데, 그 결과 광주군은 15면 152동리로 구성되게 되었다. 이 152개의 동리 중에서 55개는 종래의 동리명 하나를 사용했고, 38개는 종래의 동리명 둘을 합성했으며, 7개는 폐지된 면의 명칭을 사용했으나, 나머지 52개의 동리명은 전혀 새로운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1923년의 광주면 구역확장, 1930년의 광주면 지적개정 및 1935년(4월1일)의 광주읍 구역확장으로 인하여 발생한 동리명의 변화를 검토했다. 검토 결과 특징적인 것은 광주읍 관할 41개 동리의 이름이었으며, 이는 1935년 10월 1일 광주읍의 부승격으로 종래의 광주군이 광주부와 광산군으로 양분되고 이어 1945년 해방에 이르기까지 변화하지 않았다. 광주부의 41개 동리 중, 종래의 것을 유지한 것이 7개, 합성한 것이 1개였고, 신설된 것이 33개로 가장 비중을 많이 차지했다. 신설동리명 33개 중에서 일본식 명명은 14개이고 그 나머지 19개는 대부분 자연적 요인을 고려한 것이었다.

      • Trans-cinnamic aldehyde와 Vanillin의 대식세포와 미세아교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염증반응 조절연구

        나주용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염증반응은 미생물의 감염에 대한 선천성 면역 반응이다. 대식세포는 면역세포의 일종으로 염증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천연물에서 유래한 다양한 화합물이 염증과 같은 면역 반응을 조절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트랜스 신남 알데히드 (TCA)는 계피 나무에서 풍부하게 존재하는 천연 화합물질이다. 이전 연구에서 TCA는 항생물막, 항균 및 항암 작용이 있다고 보고 되었다. 그러나 활성화된 대식세포에 대한 TCA의 항염증 효능은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RAW264.7 대식세포에서 TCA항염증 효과를 조사하였다. TCA는 RAW264.7대식세포 에 대한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LPS로 자극된 일산화질소 (NO)의 생산을 TCA 처리에 의해 농도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TCA의 처리는 LPS에 의해 유도된 인터루킨-1β (IL-1β), 종양 괴사 인자-α (TNF-α) 및 인터루킨-6 (IL-6)의 mRNA발현량과 사이토카인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MAPK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TCA가 ERK, JNK, p38 MAPK 인산화 및 염증 유전자 발현의 저해를 통하여 LPS로 자극된 대식세포의 항염증 효과를 나타냄을 시사 하였다.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다른 종류의 세포인 미세아교세포는 신경염증의 중요한 세포이다. 미세아교세포는 중추 신경계 (CNS)에서 존재한다. 이 세포는 뇌에서 10-15 %를 차지하며, 뇌의 염증 반응에 관여하고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작용한다. 특히, 신경염증 반응에서 미세아교세포의 조절은 항신경염증성 반응이나 노화 방지에 중요하다. 페놀릭 알데히드인 vanillin 은 이전 연구에서 항염증, 항암 및 항산화 효과가 있다고 보고 됐지만, 항신경염증 효과는 보고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LPS로 자극된BV-2 미세아교세포에서 vanillin의 항신경염증 효과를 확인하였다. Vanillin 은 NO의 생성과, NO의 유도인자로 알려진 i-NOS와 COX-2의 단백질과 유전자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 시켰으며, 염증 매개인자로 알려진 유전자를 효과적으로 억제 시켰다. 또한, LPS로 자극된 미세아교세포에서 인터루킨-1β (IL-1β), 종양 괴사 인자-α (TNF-α) 및 인터루킨-6 (IL-6)의 mRNA과 사이토카인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세포 신호 이동경로로 알려진 MAPK 및 핵 전사인자(NF-κB)의 신호를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로 vanillin의 항신경염증 효과를 토대로 신경퇴행성질환을 치료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제시한다 그러므로, TCA와 vanillin은 미세아교세포와 대식세포에서 항염증 반응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염증 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한 물질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flammation is a primary response of the innate immune system against various infections. Macrophages are a type of immune cell that have a critical role in the inflammation. Recent studies reported that various natural compounds could regulate immune responses such as inflammation. Trans-cinnamaldehyde (TCA) is a natural compound from cinnamon, especially abundant in cinnamon bark. Previous studies reported that TCA has anti-biofilm, anti-microbial, and anti-cancer activities. However,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the mechanism of TCA on macrophages are still unknown.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CA on the RAW 264.7 murine macrophage cell line. TCA significantly decreased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Moreover, TCA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mRNA expression and protein expression of inducible NO synthase (iNOS) in LPS-stimulated macrophages in a dose-dependent manner. TCA treatment also diminished the mRNA expression level and secretion of IL-1, IL-6, and TNF- in LPS-activated macrophages. TCA elici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by inhibiting ERK, JNK, and p38 MAPKs phosphorylation in the cells. In conclusion, TCA elicits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n LPS-stimulated macrophage activation via suppression of MAPKs phosphorylation, and pro-inflammatory gene expression. Therefore, in the part I,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regarding the use of TCA as a candidate therapeutic agent against inflammation. Microglia is a kind of macrophage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It accounts for 10 to 15% in the brain, and it is a cell involved in the inflammatory response of the brain. Microglia is responsible for immune response and homeostasis in CNS. Especially, the role of microglial cells in inflammatory reactions is important for anti-neuroinflammatory responses or anti-aging. Vanillin, a phenolic aldehyde, was reported to have anti-inflammatory, anti-cancer and anti-oxidant effect in previous studies. However, effect of anti-neuroinflammatory activity has not been established yet.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anti-neuroinflammatory effect of vanillin o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BV-2 murine microglia cell. Vanillin inhibite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protein levels of inducible nitric-oxide syntheses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Vanillin also reduced the mRNA expression of i-NOS, COX-2, and interleukin-1β (IL-1β),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and interleukin-6 (IL-6) on LPS-stimulated microglia cells. In addition, vanillin inhibited the phosphol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such as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P38, and c-Jun N terminal kinase (JNK), and nuclear factor ĸB (NF-κB). Moreover, pro-inflammatory cytokine reduced IL-1β, TNF-α, and IL-6. In the part II, I suggest that vanillin is effective in anti-neuroinflammatory responses in inflammatory disease. Therefore, TCA and vanillin have anti-inflammatory effects on macrophage and microglia cell, and thus can be used as therapeutic agents for inflammatory dis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