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식경영의 이론적 배경과 실제 사례 연구

        김희강 중앙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1986년 ILO의 유럽 경영 컨퍼런스에서 시작된 지식경영은 21세기에 들어와서 하나의 강력한 트렌스가 되었다. 21세기는 급격한 경영환경의 변화와 끊임없는 신기술의 등장, 심화되는 경쟁 환경 등으로 특징 지워지는 시기이다. IMF 라는 위기를 거친 국내 기업들은 강도 높은 구조조정 및 경영방법들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핵심 경쟁 자원인 지식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생겨나고, 이에 근거한 `지식경영` 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나타나고 있다. 즉 기존의 노동력과 자본력이 부의 원천이 되던 전통적 경영환경과는 달리 `지식`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자원이 부의 원천으로 대두되며, 개인과 기업, 국가간의 경쟁력의 기본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출현이라는 것이다. 지식경영은 회사가 갖고 있는 지적자산 뿐만 아니라 구성원 개개인의 지식이나 Know-how를 체계적으로 발굴하여 조직내부의 보편적인 지식으로 공유하고, 공유지식의 활용을 통하여 조직 전체의 문제해결 능력과 기업가치를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지식창조, 공유, 활용에 근거한 경영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지식경영은 생산자 중심이 아닌 고객 중심의 경영이고, 근로자간 그리고 조직간의 협업 및 협력 중심의 패러다임인 동시에 조직 전체적 관점에서 조직의 혁신 업무 프로세스를 지속적으로 신속하게 이루어가는 패러다임이다. 따라서 지식경영의 도입은 단순히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거나 지식관리 조직을 만든다고 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기업 경영의 전반적인 패러다임의 변화가 수반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CKO 에 대한 제 위상을 부여하고 인적 자원의 관리의 효율성을 꾀해야 하는 과제의 해결이 요구된다.

      • 골프브랜드소비자의 주관적 지식수준에 따른 사고체계 및 정보탐색행동의 관계

        김희강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 between golf brand consumers' subjective knowledge level,their thinking system and information search activity,and the detailed study method is like following. After selecting total five driving range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s from June 10th 2013 to July 30th 2013, we carried out sampling based on convenience sampling out of non-probability sampling,for 500(100 from each range) members older than 20 years old,registered in the selected driving ranges.Excluding 33 questionnaires with insincere or dual responses,by using PASW 18.0 ver. statistical program, the rest data was analyzed based on descriptive analysis, frequency analysis,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differe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and the conclusion like following has been drawn.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differences in subjective knowledge level,thinking system and information search behavior in accordance with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first,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Second,golf brand consumers' subjective knowledge level had positive influence on thinking system. Third, golf brand consumers' subjective knowledge level had positive influence on information search behavior.Fourth,golf brand consumers' thinking system had positive influence on information search behavior.

      • 수동기구를 이용한 근관성형법에 대한 문헌고찰

        김희강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근관성형은 치수잔사, 미생물 분해산물 및 근관 내 괴사된 상아질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근관충전을 용이하게 하고 세균의 침투를 방지하므로 근관치료에 있어 가장 중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적인 근관형태를 형성하기 위한 여러가지 기법들이 개발되어왔다. 그 중 수동기구를 이용한 근관성형법으로 standardized technique, step-back technique, passive step-back technique, anticurvature filing, balanced force technique, step-down technique, double-flared technique 및 crown-down pressureless technique 등 다양한 방법으로 근관성형이 시행되어왔다. 또한, 이들 기법들의 효율성을 평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청소능력, 근관 성형 능력, 안전성등의 평가항목에서 모두 우수한 기법은 존재하지 않으며,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임상가는 성형하고자 하는 근관의 해부학적인 형태와 사용기구, 그리고 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적합한 근관성형방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 축산물 및 가공품 플루토늄 분석법 연구 및 방사능 실태조사

        김희강 조선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방사능에 대한 공포가 확산되고, 이에 대한 관심이 고조 되어 환경 뿐 아니라 식품에 대한 방사성 핵종의 오염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내 식품 중 방사능 기준이 정해져 있으며 관리되고 있는 대상 핵종은 131I, 134Cs, 137Cs 이며, 기준 및 규격이 정하여지지 않은 방사성 핵종에 대해서는 국제식품규격위원회의 규정을 준용하고 있다. 국내 식품 중 방사능 분석에 있어 감마핵종에 대한 분석법은 널리 알려져 있고, 여러 기관에서 수행하고 있으나 식품 중 플루토늄에 대한 분석법은 제시 되어 있지 않으며, 분석기관 또한 감마핵종에 비해 미미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유통 중인 농축수산물 및 그 가공품을 대상으로 식품중의 플루토늄(238Pu) 방사능 분석에 대한 화학적 전처리 절차 마련 및 방사능 농도를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Helmet Mounted Display와 연동한 XR기술 기반의 모의비행훈련 Simulator 개발 방안 연구

        김희강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XR(Extended Reality)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이를 구현하기 위한 VR HMD(Head Mounted Display), AR 글라스,MR 헤드셋 등 디스플레이 장비의 성능과 품질이 향상되어 기존의 평면 디스플레이를 대체해가면서 급속하게 발전되고 있다. 확장현실(Extended Reality) 분야의 발전은 국방분야에서도 과학화교육훈련 체계에 적극 도입하고 있으며 軍의 기동전력의 교육훈련을 위한 시뮬레이터 개발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Head Mounted Display를 이용한 기술의 발달은 기존의 단순히 시현 기능에 외부장치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시켜줌으로서 일반 민수분야에서도 안전, 정비교육 등을 목적으로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및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을 적용한 다양한 교육훈련 시뮬레이터나 장치가 개발됨에 따라 사용자가 요구하는 성능을 구현하는데 매우 좋은 여건이 조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미군을 비롯한 선진군에서는 1990년대 중반부터 XR기반의 조종사 Helmet Mounted Display와 연동한 항공기 비행교육훈련용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여 운용하고 있다. 급속도로 발전하는 XR기술을 적용한 항공기 시물레이터는 다양한 훈련목적에 적용되고 있으며 저비용 고효율의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軍 항공기 비행교육훈련에 있어서도 훈련 조종사의 수준과 요구되는 비행 훈련유형이 다양하므로 각각의 조종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이러한 다양한 요구조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XR기술 기반의 시뮬레이터 개발과 더불어 조종사들이 착용하고 있는 고도화된 Helmet Mounted Display 시스템을 연동 하여 국내에서는 제한되었던 다양한 전술비행훈련을 병행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XR기술을 적용한 항공기 모의비행훈련장치 및 AR기술이 적용된 Helmet Mounted Display 시스템을 연동한 모의비행훈련 시물레이 터에 대한 구성과 요소기술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특히 개발방안에 대한 사례를 연구 조사하였다. 또한 향후 모의비행훈련 시뮬레이터 체계를 어떻게 발전 시켜야 하는지 의견을 제시하였다. 주요 내용은 Helmet Mounted Display 영상 처리기술, 이와 관련된 LiDAR 및 Haptic Device 기 술과 시뮬레이터 장비 운동 구현을 위한 구동장치 등 주요 요소기술을 중 심으로 연구하였으며, 이러한 연구내용은 향후 Helmet Mounted Display System과 연동한 XR기반 모의비행훈련 시뮬레이터 개발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초분광 영상의 전처리 기법과 밴드선택 기반 야간 차량 조명 검출 및 플라스틱 분류

        김희강 嶺南大學校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초분광 영상의 조명불변성을 위한 분광 정규화 기법과 실시간 처리를 위한 밴드 선택기법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초분광 영상에서 표적 탐지할 때, 같은 재질이라도 그림자, 명암 그리고 하이라이트 효과에 의해 다른 분광 정보가 나타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 Percent normalization(Per-Norm) 기법 기반 정규화 기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논문에서 표적 탐지와 재질 분류 알고리즘에서 Per-Norm의 좋은 성능을 보여준다. 초분광 영상은 한 화소에 수백 개의 밴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계산량이 매우 크게 증가한다. 본 논문에서는 계산량을 줄여 실시간 처리를 할 수 있는 밴드 선택 기법을 차량 조명 검출과 플라스틱 분류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좋은 성능을 확인한다. 차량 조명 검출 알고리즘에서는 전체 밴드 258개 중 6개 밴드를 선택하여 좋은 검출 성능을 나타내며, 플라스틱 분류 알고리즘에서는 전체 밴드 208개 중 18개만을 선택하여 좋은 성능의 분류 결과를 보여준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차량 조명과 가로등의 구별과 플라스틱 샘플의 분류를 통해 일반적인 RGB 영상으로는 할 수 없었던 분야의 개척 가능성을 제시한다. This paper presents a spectral normalization method for invariant illumination and band selection method for real-time processing in hyperspectral image processing. When detecting targets in hyperspectral image, the same material shows different spectral profiles, because there are variety spectral intensity by shadow, shading and highlight. Therefore, we proposed a new spectral normalization method called Percent Normalization (Per-Norm)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shows good performance in target detection and material classification algorithms using Per-Norm. Hyperspectral images have hundreds of bands, therefore the calculation time increases. We proposed two band selection method to reduce calculation time for headlight detection and plastic classification. In this paper, there are good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result using selected bands. In case of headlight detection, the number of selected bands is just six bands (the number of full bands is 258). In case of plastic classification, the number of selected bands is eighteen (the number of full bands is 208). Also,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hyperspectral images can distinguish vehicle lights and street lamps and classify plastic samples, which could not be done with conventional RGB images.

      •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에서 선형 열교를 포함한 비정상상태 건물 외피 열류 해석 방법 개발

        김희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저에너지 건물, 패시브 하우스 등 건물 에너지 소비량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적용된 건물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를 평가하기 위해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BES) 프로그램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정부가 건물 외피에 대한 규제를 강화함에 따라 건물 외피의 단열 성능이 점점 향상되고 있다. 단열 성능이 강화된 건물 외피에서는 단열재가 끊어진 열교 부위를 통한 열 손실의 비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건물 외피를 해석함에 있어서 열교는 점차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 된다. 한편, BES에서는 건물 에너지를 해석하기 위한 수 많은 다양한 요소들을 동시에 고려하며, 1년 동안 비정상상태로 해석하기 때문에 계산양이 많아 해석 시간이 오래 걸리며, 컴퓨터 메모리 또한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BES에서는 건물 외피를 1차원으로 가정하고 있다. 그런데 열교는 1차원으로 가정할 수 없는 복잡한 형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1차원 플랫폼인 BES에서 해석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건물 외피에서 열교의 영향이 점점 커지고 있는 시점에, BES에서 열교를 포함한 건물 외피를 간단하면서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기존 건물 외피 열류 해석 방법을 검토하고, 복잡한 시스템을 Data를 활용하여 간단하게 모델링 할 수 있는 방법인 System Identification의 배경 이론을 고찰하여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에서 열교를 포함한 비정상상태 건물 외피 열류 해석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의 아이디어는 다음과 같다. (1) 열교를 포함한 정상상태 건물 외피 열류 해석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비정상상태 해석에서도 건물 외피를 통해 실내로 들어오는 열류 관점에서 1차원 해석이 가능한 부위(1차원 부위, 1D region)와 다차원 해석이 필요한 부위(열교 부위, TB region)로 나누어(Disaggregation) 각각의 부위를 통해 실내로 들어오는 열류를 계산하여 더한다. 이 때, 1차원 부위 열류 해석은 기존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에서 사용하고 있는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며, 열교 부위 열류 해석은 열교 부위 모델을 만들어 해석한다. (2) 열교 부위 모델은 전체 건물 외피(Entire Wall)를 통해 실내로 들어오는 열류에서 1차원 부위를 통해 실내로 들어오는 열류를 뺀 나머지 열류를 계산할 수 있는 모델이며, 건물 외피 해석에 영향을 주는 요소와 실내로 들어오는 열류에 대한 전달함수 형태로 제안한 열교부위전달함수모델(TBTFM)이다. (3) TBTFM은 열교 부위를 선형 시불변 시스템(LTI System)으로 가정하여 구축하며, TBTFM parameter는 Data-driven 형태인 System Identification 방법으로 추정하여 결정한다. 제안한 방법을 구축하기 위해 BES에서 고려해야 할 건물 외피 열류 해석 영향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TBTFM을 개발 및 검증하였다. 또한 본 방법의 적용성(Applicability)을 위해 TBTFM을 BES에서 계산할 수 있는 적용 방안을 마련한 후, 국내 공동주택 건물 외피에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과 기존 방법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영향 요소는 실내외 온도, 표면 복사 열류, 표면 대류 열전달 계수 로 도출되었으며, 여러가지 가정을 통해 열교 부위에 대한 LTI System을 구축할 수 있으며, 타당성 검토를 통해 LTI System이 타당함을 밝혔다. (2) TBTFM을 개발할 수 있는 System Identification 방법 및 절차 마련하였으며, 절차에 따라 특정 선형 열교가 포함된 건물 외피에 대해 정밀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Data를 생성하여 TBTFM parameter를 추정하였으며, TBTFM이 타당하게 개발되었다. (3) Step, Sinusoidal, 기상데이터 등으로 영향 요소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가면서 TBTFM을 검증하였으며, 기존 방법에 비해 상당히 높은 정확도를 나타냈다. (4) 적용 방안으로 TBTFM을 z-transfer function으로 바꾸어 이산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국내 공동주택 건물 외피에 적용한 결과 연간 난방 및 냉방 에너지 요구량의 오차가 3% 내외로 정확하게 계산되었다. 또한 열교의 영향은 건물 외피의 60% 수준까지 나타남으로써 본 방법이 실효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Recently, buildings to which various technologies are applied to reduce the energy consumption of buildings such as low energy buildings and passive houses are increasing, and a building energy simulation(BES) program is being used to evaluate this. Especially, as the government tightens regulations on the building envelope,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building envelope is gradually improving. In the case of the building envelope with enhanced insulation performance, the heat loss through the thermal bridge gradually becomes a level that cannot be ignored in the analysis of the building envelope because the effect of heat loss through the thermal bridge increases. On the other hand, BES considers a number of various factors for analyzing building energy at the same time, and because it is analyzed under unsteady state conditions for one year, it takes a long time to analyze due to a large amount of calculations, and a lot of computer memory is used. For this reason, most BESs assume that the building envelope is one-dimensional. However, since thermal bridges are composed of complex shapes that cannot be assumed as one-dimensional, it is difficult to analyze them in the BES of a one-dimensional platform. Therefore, at a time when the influence of the thermal bridge on the building envelope is increasing, there is a need for a simple and accurate method of analyzing the building envelope including the thermal bridge in BES. To this end, first, the existing method for the heat flow analysis of the building envelope and the background theory of System Identification were reviewed. Based on this, a method for analyzing heat flow of unsteady building envelopes including thermal bridges in the building energy simulation was proposed. The idea of the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1) By analogy from the steady state analysis, even in the unsteady state analysis, the entire building envelope is divided into a one-dimensional analysis region (1D region) and a multi-dimensional analysis region (TB region) from the viewpoint of heat flow entering the room (Disaggregation). And the heat flow entering the room through each part is calculated and added. At this time, the one-dimensional heat flow analysis is performed using the method used in the existing BES as it is, and in the heat flow analysis of the TB region, a Thermal Bridge Model is created and analyzed. (2) The Thermal Bridge Model is a transfer function model that can calculate the remaining heat flow by subtracting the heat flow entering the room through the 1D region from the heat flow entering the room through the Entire (Thermal Bridge Region Transfer Function Model, TBTFM). (3) The TBTFM is constructed by assuming the TB region as a linear time-invariant system (LTI System), and the TBTFM parameter is determined by estimating the data-driven System Identification method In order to establish the proposed method,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building envelope heat flow analysis to be considered in BES were derived, and based on this, TBTFM was developed and verified. In addition, for the applicability of this method, an application method that can calculate TBTFM in BES was prepared, and then the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and the existing method were applied to the building envelope of domestic residential buildings for comparative analysis.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 influencing factors were derived as indoor/outdoor temperature, surface radiant heat flow, and surface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 and it was possible to construct an LTI system for the TB region through various assumptions, and it was revealed that the LTI system is valid through a feasibility study. (2) A procedure for System Identification to develop TBTFM was prepared, and TBTFM parameters were estimated by generating data using FDM simulation for a specific building envelope according to the procedure, and TBTFM was developed appropriately. (3) Using Step, Sinusoidal, and weather data, TBTFM was verified for various influencing factors, and the accuracy was considerably higher than that of the existing method. (4) To apply TBTFM to BES, a discrete calculation method was proposed by changing TBTFM into a z-transfer function, and as a result of applying it to the building envelope of a domestic residential building, the error in annual heating and cooling energy demand is around 3%.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thermal bridge was found to be at the level of 60% of the building envelope, so this method was judged to be eff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