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축구 팀 감독에 대한 신뢰와 성적과의 관계

        김흥만 연세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coach and team performance of High school soccer team. Research questions were (a) are there differences in trust for their coaches between successful and less successful teams? (b) Are there differences in trust constructs such as ability, benevolence, and integrity? This study utilized a survey developed by Mayer and Davis (1999) which was used when they examine the employee trust for top management. 256 soccer players completed a survey of trust for their coache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rust in their coach has a effect on team performance. Successful team revealed high level trust for their coaches. Specifically, successful team showed high level of trust in coaches'' ability and integrity dimension, but low in benevolence dimensi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provide initial evidence that trust in coach is critical to team effectiveness in High School soccer games. 이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 상황에서 신뢰에 관한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조직행동에서 나타난 신뢰에 관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스포츠에서 상위팀과 하위팀 지도자에 대한 신뢰 및 신뢰형성 요인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두 가지 연구과제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1. 상위팀과 하위팀간에 지도자에 대한 신뢰에 차이가 있는가? 2. 상위팀과 하위팀간에 신뢰형성 요인에 차이가 있는가? 258명의 고등학교 축구 선수 들을 대상으로 Mayer 와 Davis(1999)가 개발한 질문지를 이용하여 감독에 대한 신롸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상위 팀 선수 들은 하위팀 선수들보다 감독에 대한 높은 신뢰를 나타냈다. 신뢰의 구성 요인 중 상위팀 선수들은 하위 팀 선수들보다 감독의 능력과 도덕성 요인을 중요하다고 믿었다. 하위 팀 선수들에게 감독의 인간미는 중요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스포츠 영역에서 자주 언급 되었던 감독에 대한 신뢰와 팀 성적과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인 결과를 제공한다.

      • Implementting Adaptive Fuzzy Logic Controllers with Neural Networks

        김흥만 Univ. of Arizona 1995 해외박사

        RANK : 1839

        The goal of intelligent control is to achieve control objectives for complex systems where it is impossible or infusible to develop a mathematical system model but expert skills and heuristic knowledge from human experiences are available for control purposes. To this end, as intelligent control system must have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human control experiences, i.e.., linguistic knowledge representation, which facilitates the process of knowledge acquisition and transfer, and adaptive knowledge evolution or learning, which leads to the improvement is system performance and knowledge. This dissertation presents as efficient approach that combines fuzzy logic and neural networks to capture these two important features required for as intelligent control system. A design method for adaptive neuro-fuzzy controllers has been proposed using structured neuro-fuzzy networks. The structured neuro-fuzzy networks consist of three types of subsets for pattern recognition, fuzzy reasoning, and control synthesis, respectively. Each subset is constructed directly from the decision-making procedure of fuzzy logic based control systems. Is this way, a one-to-one mapping between a fuzzy logic based control system and a structured neuro-fuzzy network is established. This mapping enable us to create a knowledge structure within neural networks based on fuzzy logic, and to give a learning ability to fuzzy controls using neural net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neural networks, the proposed design method offers a mechanism to: construct networks with heuristic knowledge, instead of using digital training pairs, which are much more difficult to get, build decision structures into networks, which divide a network into several functional regions and make the network no longer just as a black-box function approximates, and conduct network learning in a distributed fashion, i.e.., each sub-network of different functional regions can learn its own function independently. On the other hand, from the perspective of fuzzy logic, the proposed design method provides a tool to: refine membership functions; inference procedures, and defuzzification algorithms of fuzzy control systems; generate new fuzzy control rules so that fuzzy control systems can adapt to gradual changes in environments and implement parallel execution of rule matching, firing, and defuzzification. Several simulation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use of the structured neuro-fuzzy network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design method has been clearly shown by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ese results have also indicated that fuzzy logic and neural networks are complementary and their combination is ideal to achieve the goal of intelligent control.

      • 장편 고전소설 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구운몽을 중심으로 -

        김흥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23

        (Abstract) This thesis proceeded a discussion that a few things which can be raised as a problem when a terminal education official gives a lecture. The beginning of investigation originates from the cognition of problem that when a terminal education official lectures on many kinds of long piece literary works the quality of classes is not superior because they can`t gives a lecture whole course of a literary work. when students are instructed a literary work, not to be read the whole course of a literary work brings about apprehensions that many students can`t not be instructed the positive functions of literary work. so called, when we say that the purpose of literature education borden the depth of experience as having literary imagination , that many students should start those by reading the whole course of a literary work is natural reason. But due to realistic restriction that the whole course of literary works can`t be transfused in a textbook owing to the length of works, in a highschool nowadays, many teachers should proceed the classes depending on the synopsis of literary works, moreover, students feels fear of the difficulty in analysis of a synopsis, vocabulary, chinese characters in classical literature. To solve these problems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n this thesis I suggest a few systems by unfolding contingent logical development. As we considers problems suggested in this thesis and solution systems, to make up for the realistic restriction that the whole course of literary works can`t be trandfused, I suggest that teachers use media such as films and comic pictures and to compansate for the difficulty of vocabulary in classical literature works. I suggest that students use a guessing method by grasping the circumstances of a whole story. Also, the problem about professor-study-matrix that the korean literature department suggest is that a faculty use again and again a kind of study-matrix and I suggest an unified education of a korean literature department professor-study-matrix about applying for unmatched several kinds of study-matrix, although a faculty use several kinds of study-matrix. Finally, to stimmulate the endless imagination of literature works, I suggest the class of students basis to carry into effect an influencing powered-literature education.

      • 스펙트로그램을 이용한 영어 어두삼중자음군의 발음오류분석

        김흥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823

        영어 어두자음군 오류분석에 대해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과학적인 분석을 통한 연구는 별로 없었다. 본 연구는 한국학생들이 오류를 범하기 쉬운 영어 어두삼중자음군의 발음오류를 스펙트로그램을 통해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교육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1명의 원어민 화자와 32명의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자의적인 단어의 변이를 최소화하고 동일한 환경에서 자료를 얻기 위하여 split, spring, string, stew, screen, skew, squid 등 7개의 단어를 틀문장 속에 넣어 3회 반복하여 읽은 문장들을 녹음하였다. 녹음된 음성의 스펙트로그램과 청취를 바탕으로 원어민과 학생들의 발음을 비교 분석한 결과, 정지음 /p, t, k/와 접근음 /?, l, j, w/ 사이에 과다한 기식을 삽입하거나, 정지음 /p, t, k/와 접근음 /?, l, j, w/ 사이에 모음을 삽입하거나, 접근음 [?]을 설탄음 [?]로 대체하거나, 마찰음 /s/와 정지음 /p, t, k/ 사이에 모음을 삽입하거나, 설측음 [l]을 설탄음 [?]로 대체하거나, 반모음 [w]를 반모음 [?]로 대체하는 등 6가지의 오류를 발견하였다. 발음오류의 원인을 빈도가 높은 것부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지음 /p, t, k/와 접근음 /?, l, j, w/ 사이에 과다한 기식이 나오는 것은 한국어 음절구조(CVC)에 익숙한 학생들이 정지음 /p, t, k/를 발음하고 난 다음 모음을 삽입함으로써 기식이 생기기 쉬운 환경이 제공되기 때문이다. 둘째, 정지음 /p, t, k/와 접근음 /?, l, j, w/ 사이에 모음을 삽입하는 것은 영어와 한국어의 음절구조의 차이점 때문이다. 셋째, 접근음 [?]을 설탄음 [?]로 대체하는 것은 접근음 [?]이 한국어에 없는 음성이어서 국어의 ‘ㄹ’ 로 발음하기 때문이다. 넷째, 마찰음 /s/와 정지음 /p, t, k/ 사이에 모음을 삽입하는 것도 영어와 한국어의 음절구조의 차이점 때문이다. 다섯번째, 설측음 [l]을 설탄음 [?]로 대체하는 것은 두 소리를 혼동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반모음 [w]를 반모음 [?]로 대체하는 것은 [w]가 발음되기에 충분한 시간을 갖고 전이가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한국어의 [위]와 비슷하게 발음하기 때문이다. 영어교과성적과 영어회화성적 및 발음오류빈도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영어교과 성적과 영어회화 성적만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나머지에서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것은 영어교육에서 제대로 된 발음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본 연구는 발음오류를 스펙트로그램을 통해 시각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시도한 시각적 오류인지가 영어발음교육의 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lthough a lot of studies have analyzed pronunciation errors of the wordinitial triple consonant clusters of English, few studies have provided objective and scientific analyses. This study provides an objective and scientific analyses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pronunciation errors of word-initial triple consonant clusters of English in terms of spectrograms. 7 English words including word-initial consonant clusters, ‘split, spring, string, stew, screen, skew, squid’, in a frame sentence “Say again” were recorded three times. The results showed 6 differet error types: (1)excessive aspiration between voiceless stops /p, t, k/ and approximants /?, l, j, w/, (2) the insertion of a vowel between voiceless stops /p, t, k/ and approximants /?, l, j, w/, (3) the replacement of an approximant [?] with a flap [?], (4) the insertion of a vowel between fricative /s/ and voiceless stops /p, t, k/, (5) the replacement of a lateral [l] with a flap [?], and (6) the replacement of an approximant [w] with an approximant [?]. Most pronunciation errors seem to be mainly caused by the insertion of a vowel, which provides an environment that facilitates the occurrence of other pronunciation errors. The insertion of vowel seems to occur to conform to Korean syllable structure.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either between English course grade and the frequency of pronunciation errors, nor English conversation grade and the frequency of pronunciation error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nglish course grade and English conversation grade. This suggests that pronunciation is not being properly educat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spectrograms are employed as a tool by which students visually recognize their pronunciation errors.

      • 학부모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인식과 이해 분석 : 2008년 초등1학년 영어교육 과정 도입을 중심으로

        김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는 영어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 및 2008년도에 시행 예정인 초등학교 1학년 영어교과목 도입 방안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차후 교육 현장에서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본 연구를 위하여 전국에 거주하는 미취학 및 취학 자녀를 둔 학부모들로 구성된 모 인터넷 조기영어교육 사이트 회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4세 이하의 자녀를 둔 학부모가 30명, 5세부터 7세 사이의 자녀를 둔 학부모가 179명, 초등학교 1학년에서 2학년사이의 자녀를 둔 학부모가 209명, 초등학교 3학년 이상의 자녀를 둔 학부모가 105명으로 총 523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으며, 본 연구의 자료 수집에 사용된 도구는 영어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2008년도에 시행예정인 초등학교1학년 영어교과목 도입 방안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조사 설문지이다.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현황 조사 결과 아동들이 영어교육을 시작하는 연령은 보통 5-7세가 42.1%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정규학교에서 영어 교육이 시작되기 전 이미 많은 아동들이 영어를 접하는 것이 보편화 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자녀의 1인당 영어교육 총 비용은 10-20만원이 26.6%로 제일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거주지별로 비교하였을 때 거주지별 교육비용 지출의 차이는 없었다. 자녀에게 영어교육을 시킬 때 가장 필요한 정보로는 자녀의 영어교육 성공사례와 교육법에 대한 정보가 50.7%로 가장 높게 나타나 경험에 의한 학습 정보를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영어교육 시 어려운 점이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89.7%가 ‘예’라고 답하였으며, 그 이유로는 ‘엄마 영어실력의 부족’이 39.7%로 가장 높게 나타나 자녀의 영어교육에 있어 학부모 자신의 영어 실력에 대한 자신감 부족이 심리적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둘째, 미취학 자녀를 둔 학부모의 초등영어교육 확대방안에 대한 의견은 다음과 같다. 먼저 초등학교 1학년부터 영어교육을 실시할 경우 가장 우려하는 점은 ‘초등영어 교사가 영어를 제대로 가르칠 수 있을지’가 40.8%로 가장 높게 나타나 초등영어교육 확대 실시에 앞서 영어교사로서의 자격이 검증된 교원 인력 확보가 우선이라는 인식을 보여주었다. 초등학교 1‧2학년으로 영어교육이 확대 실시 될 경우 3학년이 되기 전 어느 정도의 영어 실력을 기대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31.7%가 ‘영어가 재미있다는 것만 느꼈으면’이라고 응답하여 자녀들이 영어 학습에 흥미를 갖고 자연스럽게 접근하기를 바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효과적인 영어 학습을 위한 적정 시간으로는 ‘매일 30분 정도’가 70.6%로 가장 높게 나타나 꾸준한 영어 학습이 가장 효과적인 영어 학습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초등학교 1학년으로 영어교육이 확대 실시 된 이후의 사교육 계획에 대해서는 ‘학교 수업을 믿고 하던 만큼 유지’가 58.3%로 나타나 공교육으로서의 영어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기대를 엿볼 수 있는 한편 학교 수업과는 별도로 사교육도 지속적으로 유지할 생각임을 보여주었다.한편 취학 자녀를 둔 학부모들은 자녀들이 학교 영어수업에 흥미를 보이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그런대로 재미있어 한다’가 61.8%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자녀가 학교에서 하는 영어수업에 흥미를 느끼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학교 영어교육에 대한 만족도 질문에는 53.9%가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답하여 학교 영어교육의 효율성에 대한 학부모의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학년부터 실시하는 학교 영어수업 이후의 사교육에 대하여는 ‘하던 만큼 유지 한다’가 67.1%로 나타나 학교 수업과는 별도로 사교육도 지속적으로 하고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공교육으로 인한 사교육의 완화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학부모가 바라는 자녀 영어교육의 목표는 ‘즐겁게 배우기만 하면 된다’가 43.4%로 나타나 자녀가 입시보다는 흥미 위주로 영어를 쉽고 재미있게 받아들이기를 바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초등영어교육 정책이 사교육을 줄일 수 있는가에 관한 질문에는 ‘절대 그럴 수 없다. 오히려 사교육을 부추긴다’와 ‘사교육을 줄일 수는 없으나 영어를 공부하는 분위기는 만들 것이다’가 각각 47.4%로 나타나 초등영어교육 정책에 따른 사교육비 절감효과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셋째, 2008년 초등학교 1학년 영어교과 과정 도입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조사 결과 찬성이 61.4%, 반대가 26.4%, 잘 모르겠다가 12.2%로 나타나 학부모 대부분이 초등영어교육 확대 정책에 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찬성 이유로는 ‘시기적으로 빨라야 더 잘 배운다’가 37.1%, ‘어릴 때부터 배우면 외국어에 대한 거부감이 적으므로’가 11.8%로 나타나 아동의 뇌신경학적·정의적인 특성상 어렸을 때 배워야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반대 이유로는 ‘사교육 조장’이 44.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모국어 교육이 우선’이 21.0%로 나타나 사교육 시장의 과열과 영어교육으로 인한 모국어 교육이 소홀해질 수 있음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었다.공교육으로서의 초등영어교육이 거론될 때마다 긍정적 또는 부정적 효과에 대한 많은 논란이 있어왔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초등영어교육 확대 방안에 대하여 대다수의 학부모들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그 이면에는 그만큼 공교육으로서의 영어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기대 수준이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학부모의 긍정적인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 교육 정책이 아니라, 우리나라의 영어교육 현실에 맞는 교육 정책과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투자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또한 공교육이 제자리를 찾고 사교육을 흡수하기 위해서는 영어교육 정책에 대한 책임감 있는 지원과 꾸준한 연구가 함께 해야 할 것이다. Realizing the necessity and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unveiled a plan to expand English classes for first and second graders. This is a part of a program which will extend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into the lower grades.This study was designed to diagnose the actual condition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elementary school English education from the parents' point of view, and to propose suggestions for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policy by examining and analyzing parents'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In order to find out the backgrounds of the parents, this study classified them into parents of preschool and school children. A total of 523 parents across the country answered the questionnaire-based survey which was conducted through a web site of an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2.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42.1 percent of children between 5-7 years old have received private English tutoring and 26.6 percent of parents said that they spend 100,000-200,000 won per month on private English tutoring. Besides, parents perceived the most difficult factor of English education to be lack of their own English skills.Second,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thought the most serious problem of elementary school English education was the lack of professional and systematic education structure, followed by a need to upgrade the quality of English teachers. Parents of school children perceived that their children showed interest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education but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elementary school English education by parents was relatively low.Third, 61.4 percent of all respondents including parents of the preschool and school children showed a positive attitude on a plan to expand English classes for first and second graders. The proponents for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said children learn a language easier and faster when they begin at earlier age. But 26.4 percen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thought the ministry's plan to expand English classes to the younger students might boost private tutoring for English.In order for the elementary school English education to be effective, the educational system for our current English education state should be structured to provide better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children, and through responsible cooperation from all authorities involved,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elementary school English education.

      • 초등학교 학년부장교사의 지도성과 학년 조직효과성의 관계 : The 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Grade and a Head Grade Teacher's Leadership in Elementary School

        김흥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년부장교사의 지도성에 대한 학년부장교사와 담임교사의 인식과 담임교사의 학년 조직효과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학년부장교사의 지도성과 학년 조직효성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부장교사의 지도성에 대한 인식은 학년부장교사와 담임교사 사이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담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학년부장교사의 지도성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담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학년 조직효과성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넷째, 학년부장교사의 지도성과 학년 조직효과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조사연구를 실시하였으며, 강원도와 경기도에서 학년부장교사가 임명되어 있는 36학급 이상의 공립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임의표집을 실시하여, 학년부장교사 60명과 담임교사 292명의 유효한 분석 자료를 얻었다. 측정도구는 학년부장교사와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학년부장교사 지도성 측정 질문지를, 담임교사만을 대상으로 학년 조직효과성 측정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Ver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평균점수와 표준편차를 기본적으로 사용하였고, 학년부장교사의 지도성 및 학년 조직효과성에 대한 집단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검증과 F-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 검증으로 Scheffé 검증을 실시하였다. 학년부장교사의 지도성과 학년 조직효과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단순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부장교사들이 인식하는 자신의 지도성을 분석한 결과 학년부장교사들은 자신의 과업차원(M=3.79) 지도성보다 인화차원(M=4.18) 지도성을 더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과업차원 하위 영역에서는 교수활동, 업무수행, 교육과정운영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인화차원 하위 영역에서는 전문성 존중, 인간적 배려, 민주적 의사결정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년부장교사의 지도성에 대한 학년부장교사와 담임교사의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년부장교사의 과업차원 지도성과 인화차원 지도성 모두에 대해 담임교사가 학년부장교사보다 지도성을 더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둘째, 담임교사들이 인식하는 학년부장교사 지도성의 전체적인 경향을 분석한 결과 담임교사들은 학년부장교사의 과업차원(M=3.77) 지도성보다 인화차원(M=4.39) 지도성을 더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과업차원 하위 영역에서는 교수활동, 업무수행, 교육과정운영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인화차원 하위 영역에서는 민주적 의사결정, 인간적 배려, 전문성 존중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담임교사들이 인식하는 학년 조직효과성의 전체적인 경향을 분석한 결과 담임교사들은 학년 조직효과성(M=4.12)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하위 영역에서는 조직적응성, 직무만족, 헌신성, 직무성과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담임교사들이 인식하는 학년부장교사의 지도성과 학년 조직효과성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학년부장교사의 과업차원 지도성보다 인화차원 지도성이 더 높은 수준에서 학년 조직효과성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학년부장교사의 지도성이 학년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년 조직효과성 전체를 예언하는 예언변수는 과업차원의 업무수행 요인과 인화차원의 민주적 의사결정, 인간적 배려, 전문성 존중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학년부장교사의 지도성 유형과 학년 조직효과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효율형지도성(M=4.41), 인화형지도성(M=4.19), 과업형지도성(M=3.86), 비효율형지도성(M=3.80)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지도성 유형에 따라 학년 조직효과성 인식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학년부장교사의 과업차원 지도성보다는 인화차원 지도성이 학년 조직효과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학년부장교사의 지도성 유형에 따라서도 학년 조직효과성이 달리 나타났다. 따라서 성공적인 학년경영을 통해 학년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년부장교사가 효율형지도성이나 인화형지도성을 발휘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학년부장교사의 과업차원 지도성과 함께 특별히 인화차원 지도성 향상을 위한 계속적인 연구와 구체적인 실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