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항공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대기시간이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 : - 수용가능성의 조절효과 -

        김효은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항공사의 서비스과정 중 발생하는 대기를 항공기 탑승 전, 후로 나누어 지각된 대기시간에 따른 수용가능성 및 항공사의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룬다. 여러 항공사를 이용한 승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450부 배포한 뒤 유의한 총 393개의 설문지를 통해 분석 한 결과 서비스 과정 중의 대기 환경은 지각된 대기시간과 전환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조절변수로 설정 한 수용가능성의 경우 항공서비스 특성 상 대기나 예상이 가능함을 사전 인지하고 있어 항공기 탑승 전에는 크게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항공기 탑승 후 (기내 서비스 중)의 수용가능성이 더 낮게 나타나 전환의도에 더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인구통계학적 요소에 있어 성별, 연령, 소득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만 학력, 직업 요인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파악할 수 없었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항공사의 대기 관리 전략에 있어 실무적인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This study handles the effect of the perceived waiting time in the service process of airlines on acceptability and switching intention of airlines before and after boarding the aircraft. For this study, 4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passengers using many airlines and a total of effective 393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the result, the waiting environments in the service proces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erceived waiting time and switching intention. Especi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acceptability was not big before boarding the aircraft, because the passengers perceived or could predict the waiting situations in advance, due to airline service characteristics. But afte boarding the aircraft (during the in-flight service), acceptability was low and it affected the switching intention more.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in demographic factors depending on the gender, age and incom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academic backgrounds and occupations. This study finding provides a practical implication for waiting management strategy of airlines.

      •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교사신념과 자기효능감

        김효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교사신념과 자기효능감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들의 상호 관련성에 대한 고려를 해봄으로써 보육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선호경향, 기능유형, 기질유형)에 따라 교사신념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선호경향, 기능유형, 기질유형)에 따라 자기효능감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넷째,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선호경향, 기능유형, 기질유형), 교사신념,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다섯째,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 교사신념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충북 지역에 소재한 직장어린이집, 법인 어린이집, 국공립 어린이집, 민간 및 가정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141명이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보육교사의 교사신념, 자기효능감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보육교사의 성격유형의 선호경향에 따른 교사신념,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보육교사의 성격유형의 기능유형 및 기질유형에 따른 교사신념,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고, 사후분석으로 Duncan 검증을 실시하였다. 보육교사의 성격유형과 교사신념 및 자기효능감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보육교사의 성격유형, 교사신념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step-wise)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성격유형은 ISTJ형이 가장 많았으며, 선호경향별로 살펴보면, 외향형(E), 감각형(S), 사고형(T), 판단형(J)이 높게 나타났으며, 기능별 특성 분포에서는 감각적 사고형(ST)이 가장 높은 비율이었고, 기질별 특성 분포에서는 감각적 판단형(SJ)이 가장 많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교사신념의 차이를 성격 유형의 선호경향, 기능유형 및 기질유형 특성별로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보육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성격 유형의 선호경향, 기능유형 및 기질유형 특성별로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선호경향에 따른 자기효능감에서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신감과, 자기효능감 총점에서 외향형(E)이 내향형(I)보다 높게 나타났고,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자기효능감 총점에서 사고형(T)이 감정형(F)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 총점에서 판단형(J)이 인식형(P)보다 높게 나타났다. 기능별 성격유형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자기조절 효능감에서 감각적 사고형(ST)이, 과제난이도 선호와 자기효능감 총점에서 직관적 사고형(NT)이 높게 나타났다. 기질별 성격유형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자기조절 효능감에서는 감각적 판단형(SJ)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과제난이도와 자기효능감 총점에서는 직관적 사고형(NT)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MBTI 선호경향별, 기능별, 기질별 성격유형과 교사신념 및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선호경향별 성격유형과 교사신념 및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감각형(S)에 가까울수록 난이도가 쉬운 과제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사고형(T)에 가까울수록 행동주의 교사신념이 낮은 경향이 있고, 상호작용주의 교사신념은 높은 경향이 있으며, 자기조절 효능감, 자기효능감 총점이 높게 나타났다. 판단형(J)에 가까울수록 상호작용주의, 성숙주의 교육신념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조절효능감도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기능별 성격유형과 교사신념 및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감각적 사고형(ST)에 가까울수록 행동주의 교육신념이 낮게 나타났으며, 기질별 성격유형과 교사신념 및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감각적 판단형(SJ)에 가까울수록 난이도가 쉬운 과제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다섯째, 보육교사의 성격유형과 교사신념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외향형(E), 직관형(N), 사고형(T), 판단형(J)을 선호하는 교사일수록, 상호작용주의적 교사신념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는 특정한 유형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성격유형과 교사신념은 교사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성격유형과 교사신념 및 자기효능감이 관련이 있음을 밝힘으로써 교사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무례경험이 무례가해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효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o examine the direct effect of experienced incivility on both instigated incivility and turnover intention. Second, to examine the mediated effect of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d incivility and instigated incivility/turnover intention. Third, to study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Data from 360 service employees revealed that experienced incivil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instigated incivility. And, we found that the role of stress was that of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ivility and turnover intention. Additional analysis confirms that Customer Incivility not only has a direct impact on Service Sabotage but also has an indirect effect on it through Stress as a mediator. Surprisingly, results also revealed that employees with high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groups showed stronger relationships between experienced workplace incivility and stress as compared to the employees with low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groups.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it considers an external-organizational source (customers). Second, it extends the existing research on incivility by showing the victim's response to instigated incivility.

      •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의 냉담-무정서 특질이 공격행동과 품행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 모니터링과 반사회성의 이중매개효과

        김효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verifies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monitoring and psychopathic deviate in relation to the callous­unemotional traits and conduct problems, also to the callous­unemotional traits and aggressive behavior of the bully adolescents of the school violence. The self­reporting evaluations on callous­unemotional traits, psychopathic deviate, aggressive behavior and conduct problems were conducted with 204 teenagers and their parents who were brought to the counseling center for school violence problems. First, When the correlation analysis of callous­unemotional traits, parental monitoring, psychopathic deviate, aggressive behavior, and conduct problems of the bully adolescents of the school violence was conducted, callous­unemotional traits and parental monitoring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hile parental monitoring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ggressive behavior, and psychopathic deviat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ggressive behavior. Second, by utilizing the structural equation, verifying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monitoring and psychopathic deviate on the effect of callous­unemotional traits on aggressive behavior showed that the direct effect of the callous­unemotional traits of the bully of school violence was significant on aggressive behavior. Furthermore, the single mediating effects of the parental monitoring and psychopathic deviate were respectively significant, and their sequential double mediating effects were also significant. Third, by utilizing the structural equation, verifying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monitoring and psychopathic deviate on the effect of callous­unemotional traits on conduct problems showed that the direct effect of the callous­unemotional traits of the bully of school violence was significant on conduct problems. Furthermore, the single mediating effects of the parental monitoring and psychopathic deviate were respectively significant, and their sequential double mediating effects were also significant.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clearly identifies that parental monitoring and psychopathic deviate play the role of the double mediation on the aggressive behavior and conduct problems of the bully adolescents who are callous and uncaring, and also have defects in emotional expressions.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을 대상으로 냉담­무정서 특질이 공격행동 및 품행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 모니터링과 반사회성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폭력 문제로 상담센터에 의뢰된 204명(남 180명, 여 24명)의 남녀 청소년과 보호자를 대상으로 냉담­무정서 특질과 부모 모니터링, 반사회성, 공격행동 및 품행문제에 대한 자기보고 평가를 실시하였다. 첫째,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의 냉담­무정서 특질과 부모 모니터링, 반사회성, 공격행동 및 품행문제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냉담­무정서 특질과 부모 모니터링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부모 모니터링은 공격행동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반사회성은 공격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냉담­무정서 특질이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 모니터링과 반사회성의 이중매개효과를 구조방정식을 통해 검증한 결과,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의 냉담­무정서 특질이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냉담­무정서 특질의 직접효과가 유의하였다. 또한 부모 모니터링과 반사회성 각각의 단일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부모 모니터링과 반사회성의 순차적인 이중매개 효과도 유의하였다. 셋째, 냉담­무정서 특질이 품행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 모니터링과 반사회성의 이중매개효과를 구조방정식을 통해 검증한 결과,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의 냉담­무정서 특질이 품행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냉담­무정서 특질의 직접효과가 유의하였다. 또한 부모 모니터링과 반사회성 각각의 단일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부모 모니터링과 반사회성의 순차적인 이중매개 효과도 유의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냉담하고 부주의하며, 감정표현이 결여되어 있는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의 공격행동과 품행문제에 대해 부모 모니터링과 반사회성이 이중매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사설 음악학원에서의 수요특강 실태조사 : 서울시 영등포구 사설 음악학원을 중심으로

        김효은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악학원에서는 일련의 정규 악기 레슨 위주의 단순한 음악적인 훈련을 받는 음악교육에서 벗어나, 효율적인 음악교육의 방편으로 포괄적인 음악성 개발을 위해 정규 악기 레슨 이외에 다양한 음악활동을 할 수 있는 수요특강이라는 새로운 틀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사설 음악학원에 이루어지고 있는 수요특강의 ?포괄적 음악교육?의 운영 실태와 그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여, 발전된 방향의 수요특강을 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해 음악학원에 도움을 주는 데 목적이 있다. 음악학원의 역할과 필요성, 포괄적 음악성 개발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는 포괄적 음악교육에 대하여 문헌연구 하였고, 인터뷰 및 관련 자료를 통하여 수요특강의 정의와 필요성에 대하여 정립하였다. 또한, 현재 사설 음악학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수요특강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음악학원 강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97부를 분석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서울시 영등포구 지역의 음악학원 강사들은 대부분 4년제 음악대학을 졸업한 피아노 전공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음악교육에 관심을 갖고 그에 대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음악학원 전체 수강생은 21∼50명 사이가 가장 많고 초등학교 1∼2학년이 가장 많이 다니고 있다. 둘째, 현재 음악학원들의 80.2%가 수요특강을 실시하고 있으며, 다양한 음악적 체험을 학생들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실시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수요특강을 실시하는 학생 분포도는 초등학교 1∼2학년이 가장 많이 집중되어 있었다. 셋째, 수요특강의 계획은 원장선생님과 강사들의 의견으로 정하고 있으며, 그룹 수업 시 시간 조정의 어려움으로 운영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넷째, 수요특강 중 기악 특강을 가장 선호하고 있었고, 단일화된 특강보다 복수적으로 다양한 특강을 실시하고 있는 학원이 대부분이였다. 다섯째, 대부분이 수요특강 시 교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 사용하는 교재에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학습 보조 기구도 대체적으로 잘 비치되어 있었다. 여섯째, 수요특강은 대부분 무료로 운영 되고 있으며, 개개인의 특성에 맞게 지도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특성화반은 소수만 운영하고 있었으며 특성에 맞게 지도하는 것과 특성화반을 만드는 것은 별개로 인식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곱째, 앞으로 수요특강의 전망에 대해선 전망이 있다고 64.9%의 강사가 응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수요특강의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 하였다. 첫째, 수요자와 공급자들이 음악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학생들의 음악성 개발을 위하여 다양한 음악교육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의 흥미가 유발될 수 있도록 쉽고 재미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국가 및 음악학원 협회나 음악교육 관련협회에서 수요특강 운영에 대한 제도적인 도움을 준다면 수요특강이 활성화 되어 학생들의 전인교육에 더 도움이 될 것이다. 넷째, 포괄적 음악교육의 의의를 적용하여 수요특강을 활성화 시킨다면 학생들의 음악성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로 인해 수요특강에 관한 활발한 후속연구가 진행되길 바라며, 다양한 수요특강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질 바란다. ABSTRACT Study on 'Wednesday Special Lecture' in Private Music Institute -Focusing on Private Music institute located in Yeongdeungpo-Gu, Seoul- Kim, Hyo-eun Major in Music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yongji University 'Private Music Institute' has focused on simple musical training with musical instrument lesson. Recently, it created a new curriculum called Wednesday Special-lecture that, besides regular musical instrument lessons, aims at raising comprehensive musicianship. The current study deals with the problems involved in Wednesday Special Lecture. I researched on the role and necessity of music institutes for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and attempted to define Wednesday Special-lecture through interviews and relative data bases. In addition, I analyzed 97 questionary copies delivered to lecturers. From these inquiries, I drew the conclusions as follows. Firstly, most current music institute lecturers in Yeongdeungpo-gu, Seoul, consist of pianists who majored in piano performance in universities and have an interest in musical education program.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amounts to 21∼50 in each institute and most students are 1st or 2nd grade elementary students. Secondly, currently, 80. 2% music institute are executing Wednesday Special lecture in order to provide various musical experiences. Most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consist of 1st or 2nd grade elementary students. Thirdly, Wednesday special lecture is planed by the director as well as lecturers, but they have experienced difficulty in coordinating group class. Fourth, they prefer instrumental lesson and diversified program rather during Wednesday Special Lectures rather than a single-purpose one. Fifthly, their teaching materials for auxiliary educational purpose are well prepared and used. Sixthly, most Wednesday Special Lecture has been operated freely, and special classes are operated in a small number to meet personal characteristics. Seventhly, 64.9% interviewers responded optimistically about the futures of Wednesday Special Lecture. My suggestions for improving Wednesday Special Lecture are as follows. Firstly, a prospective customer and suppliers shall recognize importance of musical education, and they endeavor so as to produce musical development of students. Secondly, a program easy to learn should be created to increase the interest of students. Thirdly, the systematic assistance from the national music education society is eagerly desired in order to activate the interest of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Fourth, comprehensive program is strongly required to educate diverse musical potentials of the students. Subsequent study on Wednesday Special Lecture is strongly recommended in order to make an important progress in this program.

      •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평면도형 개념에 대한 이해도 분석

        김효은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이전 학년에서 평면도형을 학습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평면도형의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어떤 오개념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평면도형의 오개념을 줄이기 위해 수업에 반영할 수 있는 지도 방안을 교과서 구성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평면도형의 개념을 교수・학습할 때 개념 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This study was analyzed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plane figures and the misconceptions of the sixth graders who learned the plane figures in the previous grade. In order to reduce the misconceptions of the plane figures, the teaching plan which can be reflected in the lesson is presented mainly the composition of the textbook. Based on this, we suggest implications that help to form the concept when teaching and learning the concepts of the plane figures.

      • 한국 차(茶)문화의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화 방안 연구

        김효은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부분의 한국인들에게 차(茶)는 소주나 김치처럼 친숙하지 않다. 그것은 차문화가 오랜 역사를 통해 내려져왔음에도 불구하고 대중들이 쉽게 즐길만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 차문화의 특성과도 관련지을 수 있다. 불교의 차 공양으로 시작한 차문화는 이후 국가의전이나 왕실의 다례, 양반관료 · 선비 · 승려들의 음다의 풍습으로 전해져 왔다. 특히 조선후기 초의선사(草依禪師1786∼1866년)가 펴낸 다신전(茶神傳, 1830년) · 동다송(東茶頌, 1837년)과 같은 문헌의 존재는 한국의 차문화가 개성있게 발전해 왔음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와 같이 한국 역사에서 차는 사회의 지배계층이거나 경제적 여건 및 문화적 소양을 갖춘 사람들이 주로 즐겨왔다. 그 결과 한국 차문화가 특정 계층에서만 깊숙이 향유되고 있었던 것은 대중문화의 시대에 어울리지 않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다양한 문화를 풍요롭게 향유하려는 대중들의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현재 차문화 소통방식에 대한 진단과 그에 따른 대안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이 글에서는 진정한 차문화 활성화가 매니아 중심적인 이해 및 발전이 아닌 보편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차문화의 확산으로 보았다. 이에 차문화의 보편성을 담보하고자 한국의 차가 중요하고 당연하다는 인식에서 벗어나 한국인에게 왜 차가 중요하지 않았나라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여러 가지 다양한 콘텐츠화 가운데서도 차문화의 가치를 가장 효과적으로 설득할 수 있는 방식이 찻자리에서 차를 직접 우려 마시는 체험에 있다는 것에 기인해 오프라인 콘텐츠인 상업적인 차 마시는 공간, 찻집을 기획하고자 한다. 찻집은 가장 대표적인 차(茶)문화 소비공간으로서 이 글에서는 ‘다점(茶店)’으로 보았다. 다점은 고려시대에 대중들에게 차를 팔던 곳을 지칭하는 말로 새로운 차문화 소비공간의 명칭으로 쓰고자 한다. 이는 차문화 융성기로서 고려시대 ‘다점’ 용어의 재사용으로 그 상징적 의미를 갖고, 기존의 찻집 · 다방과 다른 개념으로 보고자 한다. 다점의 활성화를 위해 수요층을 분석하였고, 대중수요층 · 체험수요층 · 전문가수요층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수요층이 만족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대중수요층이 전문가수요층으로 발전할 수 있는 단계를 구성하였다. 각각의 소비 대상에 따른 주제 문구(콘셉트)는 대중수요층-‘차를 만나다’, 체험수요층-‘차를 느끼다’, 전문가수요층-‘차를 즐기다’로 보았다. 이 같은 주제문구를 통해 다점 공간의 상승적인 이야기 구조(스토리텔링)를 마련하였다. 다점 기획에 있어 물리적 공간인 하드웨어적 기획과 공간 안의 운영방안에 해당하는 소프트웨어적 기획으로 나누었다. 공간으로는 지형적인 조건을 따져 한옥과 양옥 두 가지로 보았다. 한옥의 경우 여백 및 자연환경과의 조화를 중요시하는 건축물의 특성상 도심지에 위치한다면 한옥의 원형적 가치를 극대화하지 못할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비도심지의 경우 한옥을, 도심지의 경우 양옥을 고려하였다. 한옥은 차문화 공간의 원형적 상징인 다산초당을 재현하는 것으로, 양옥은 다양한 디자인의 건축물이 가능하나 이 글에서는 원(圓)을 주제로 한 건축물을 기획하였다. 원(圓)은 한국 차문화의 원형을 자연 · 조화에서 본 것으로 태극 내지 원만함을 상징하는 것이다. 또한 칸막이를 쓰지 않고도 존재자만의 아늑한 공간을 생성하는 것이 원형 건축물의 장점이다. 하지만 원형 건축물이 갖는 대지사용의 비효율성을 감안하여, 반원형 혹은 원형에 직선을 더한 설계가 필요하다. 공간 내의 소프트웨어적 기획으로는 1층의 경우 대중의 ‘차 마시다’에 기인하여 최대한 원형을 파괴하고, 다양한 마실 거리를 제공한다. 2층의 경우 원형을 체험할 수 있는 느낄 거리, 찻자리를 제공한다. 찻자리의 경우 찻그릇을 시대별 · 차 종류별로 분류하여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찻자리에 있어 찻그릇 및 찻그릇을 다루는 방법을 강조한 방식이라 할 수 있다. 3층의 경우 원형의 다체험화로 사찰다례 · 궁중다례 · 선비다례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원형재현을 제공한다. 그 밖에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공연문화의 접목, 차밭 체험, 자기 제작 체험, 차 유적지 답사 등을 고려하였다. 차문화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차문화 소통공간을 기획하는 것 이외에도 ‘찻자리 일상화 운동’도 고려할 수 있다. 생활 공간 내에서 차를 마시는 일을 일상화하는 것은 찻자리 창조와도 관련이 있다. 찻자리는 차와 물, 다기를 구성하는 것만으로 그 고유의 분위기를 만들어 내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이를 일상화하는 것이 차문화의 진정한 활성화라고 볼 수 있다.

      • 고은 시의 애도(哀悼) 양상 연구 : 상실의 변인과 주체 양상의 변화를 중심으로

        김효은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thesis attempts to research the aspects of mourning shown in the text of the poems by the Korean poet Ko Un (高銀, b. 1933~). Thus this thesis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rhetorical mourning, factors of loss and subsequent changes in principal subjects in the overall text of the poems by Ko Un. The concept of mourning, which becomes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entire text of the poems by Ko Un, is developed, based on a psychoanalytical theory defined as “response to the loss of the subject,” but in this thesis the meaning is expanded to include the subject’s resistance against the loss and practices. Also, in terms of traits of mourning and changes in its condition, the thesis focuses on loss as a main factor. The loss accepted by the poetic subject is in fact entangled with the loss of self and of the world. This cannot be distinguished as clearly and conclusively as personal loss and public loss, abstract loss and practical loss, private mourning and public mourning; however in general the text from the early period has a tendency of the former, and the text from the middle period a tendency of mixed nature of the two, and from the later period, the direction of the text moves toward public mourning embracing the loss of self and of the world, and this is made clear through detailed text analyses. Mourning recomposes and changes the subject that mourns. An entirely new subject, different from the subject that accepts and responds to the loss, is revealed through the process of mourning, and this thesis examines such changes of the subject via diachronic viewpoints. With regard to the condition of mourning and changes of the poetic subject that mourns in the text, this thesis introduces and applies the characteristics of discourses by the poetic subject and rhetorical characteristics, and the Jacobson communication model and psychoanalytical theories concerning mourning, in order to make a new frame of understanding and scientific points about the text of the poems by Ko Un. Chapter II examines existential mourning and narcissistic discourses of the subject shown in the collection of poems published in the 1960s. In case of the text of early poems, this thesis focuses on the loss of the world and self is aesthetically transcended to symbolic rhetoric, the image of the ocean of the “Chora semiotic” and feminine tone and rhythm. Also, it confirms that what poetics of French symbolism pursues – allusion, ambiguity, correspondence, mental imagery of synesthesia, musicality and the like – are clearly manifested in the poems on Jeju by Ko Un. The second passage of Chapter II examines his borrowing of Christian images and conditions of ritual mourning. Especially the image of Christian God introduced in the text as vocatives, such as “Dear God” or “My Lord,” heightens the tragic loss of self and of the world in the ritualistic sense. This is an attempt at short but complete mourning while it reveals metaphysical mourning about the reappearance of God and the absence of rituals. On the contrary, in the Buddhist-inclined text, it confirms that formal characteristics, not images, are borrowed, and it shows linguistic skepticism of the poetic subject and an aspect of mourning in infinitely repeated process by showing discourses of Zen and aphorism, oxymoron through a Buddhist revelation and uncertainty of meaning. The third passage compares between the imagery of death of two saints, Jesus and Buddha through the prose titled “Death Penalty (死刑)” and “Nirvana,” through which it examines public transcendence of the loss of self of the poetic subject and its execution of mourning. In Chapter III,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discourses in the text of symbolism of the 1960s examined above; paths to poetry of the poetic subject, which was abruptly attempted in the 1970s,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scourses in the text of realism are mixed in the text in the poem “At Munui (文義) Village” published in 1974. In it, one can see that because of the superego made by uncertain resentment of the poetic subject toward the abstract and ambiguous loss, and self-reproach and self-remorse about his past when he escaped the reality of history, the text reveals the explosion in full force of the self-destructive and self-abusive form of discourses and excessive eruption of pathos. Superficially, the ideological loss, or excessive yearning for democracy and freedom, expectation for human rights are “sloganized”; however it shows that the desire of the poetic subject is dogmatically awakened and expressed within the self, which is lost due to the awareness of past and reality and moreover overly projected and tangled only to maximize his melancholy inclination. Apart from the superficial oppressed awareness of reality by the poetic subject and his willingness to renew himself, the poetic subject characteristically shows itself as disturbed and manic-depress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 and conditions of changes from this period and also tendencies of symbolism and realism as well as functions of emotional expressions and active functions, discourses and attitude of melancholy and mourning all are inter-penetrated and mixed up in the text. The second passage of Chapter III looks into changes from the transitional subject to the public subject and the process from melancholia to mourning shown in the text. In the collection of poems from the late 1970s, ideological discourses of symbolism, sender-oriented expressions, characteristics of monologue left in “At Munui Village” disappear; instead functions of the recipient-oriented active language become focused to reveal a conversational, persuasive discourse, prompting changes in recipient’s behaviors and attitude and revealing the ignition of the public subject. The second clause of the second passage in Chapter III explores the possibility of public mourning through the introduction of minyo (Korean folk song) and discourses of dance and song and discourses of public sorcery in the prose “Gaetbinari.” In case of “Pastoral Poems (田園詩篇)” published in 1986, the clause focuses the bridging and transitional text to connect to linguistic practice and awareness of reality of public mourning and imagery of characters, through which the text created and published right before “Maninbo (Ten Thousand Lives, 萬人譜)” was written, had aspired. The view of a farming village by the poetic subject depicts double spaces, imaginary vs. symbolic and pastoral life vs. farming village through two dimensions, or “eye” or “gaze” mentioned by the French psychoanalyst and psychiatrist Jacque Lacan. This also addresses melancholia and mourning as mutually penetrating, procedural, transitional conditions. But in case of “Pastoral Poems” it is confirmed that it is closer to public mourning of the public subject. Chapter IV attempts to show performances of the linguistic practice and the ethical subject of “parrhêsia” in “Maninbo” by applying the theory of the French philosopher Michel Foucault in terms of public mourning. The first passage explores the possibility of public mourning via poetica of “prosopopeia” and “semi-prospopeia,” and also the issue of evil materialized in the poem “Maninbo” in terms of ordinariness and brutality. The second passage examines the linguistic practice and performances of the ethical subject and its establishment of public mourning in “Maninbo” by introducing and applying the concept of parrhêsia and subject, which is intensively discussed in one of Foucault’s works from the later period, “L’Herméneutique du Sujet (The Hermeneutics of the Subject).” According to Foucault,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parrhêsia are based on semi-flattery, semi-rhetoric and courage to tell the truth, and the form of its reproduction in “Maninbo” borrows such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 through the format of reportage. The passage discusses that when objectivity of poetic subject concerning reportage is focused, semi-flattery and semi-rhetorical discourses become more apparent; but when subjectivity of the poetic subject is focused, courage to tell the truth and critical discourses become more apparent. In the second clause of the second passage in Chapter IV, this thesis focuses that the text continuously performs existential aesthetics that transcend his life to art; consideration for himself/the others, and writing practice of self-technology, through the overall text of the poems by Ko Un and also through self-renewal of the poetic subject. Through this, it is confirmed that the poetic subject is subjugated to power and rules, and it is the subject in the process of, not the subjugated moral subject or the melancholy subject enslaved by mourning and confined by the loss, but the ethical subject that actively discovers, remembers, cherishes and mourns “rejected mourning” or “buried death.” In the end, the memories that “Maninbo” aspires and poetica of the times go beyond the loss of self and of the world to reach the loss of the others, as it soothes the wound and feelings of loss each other and mourns, or the interactive subject that mourns. Such linguistic, ethical practices of the text are where poetica and politics of mourning meet, and in Ko Un’s text it can be known that various voices and ignition by the poetic subject are attempted. This study not only examines the overall form of the text of the poems by Ko Un who has attempted various and vast aesthetics, but also proposes a consistent methodology via poetica to help comprehensively investigate Ko Un’s literature, from the poetic subject that reacts and implements against factors of loss and changes, to poetic discourses of ignition and practicality, and thu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its originality and significance. 이 논문은 고은의 시 텍스트에 나타난 애도 양상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고은 시 텍스트 전반에 대한 애도의 수사학적 특징들과 상실의 변인 및 그에 따른 주체의 양상 변화에 주목하였다. 고은의 시 전체 텍스트를 아우를 수 있는 이론적 근거가 되는 애도의 개념은 ‘주체의 상실에 대한 반응’으로 정의되는 정신분석학적 이론에 토대하여 전개하되, 본고에서는 상실에 대항하는 주체의 능동적인 저항과 실천으로까지 점차 그 의미를 확장하였다. 또한 고은의 시 텍스트에 드러나는 애도의 성격과 주체 양상의 변화에 있어 상실을 주요 매개 변인으로 보고 이에 주목하였다. 시적 주체가 받아들인 상실은 자아의 상실과 세계의 상실이 사실상 착종되어 있다. 이를 개인적 상실과 공적 상실, 추상적 상실과 구체적 상실, 사적 애도와 공적 애도로 뚜렷하고 확정적으로 구분할 수는 없지만, 대체로 초기 시 텍스트에서는 전자의 경향이, 중기 시 텍스트에서는 이 둘이 혼재된 경향이 후기로 올수록 자아와 세계의 상실을 포괄하는 공적 애도의 방향으로 이행되고 있음을 구체적인 텍스트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애도는 또한 애도하는 주체를 재구성하고 변화시킨다. 상실을 기입하고 상실에 반응하기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주체가 애도의 과정을 통해 드러나게 되는데 본고에서는 이러한 주체 변화 양상을 통시적인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텍스트에 드러난 애도의 양상과 애도하는 시적 주체의 양상 변화를 본고에서는 시적 주체의 언술 특징과 수사학적인 특징들, 야콥슨의 의사소통 모델과 애도에 관한 정신분석학적 이론들을 도입 및 적용하여 고은 시 텍스트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틀과 학문적 논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1960년대에 상재된 시집 ��피안감성��, ��해변의 운문집��, ��신·언어 최후의 마을��과 장시 「사형」(1968) 및 「니르바나」(1963)에 나타난 존재론적인 애도와 나르시시즘적 주체의 언술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초기 시 텍스트의 경우 세계와 자아의 상실이 상징주의적 수사학을 통하여 코라 세미오틱의 바다 이미지와 여성적 어조 및 리듬을 통해 심미적으로 승화되어 있음에 주목하였다. 또한 프랑스 상징주의의 시학이 추구하는 암시성, 모호성, 교응, 공감각적 심상, 음악성 등이 고은의 제주 시편들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Ⅱ장 2절에서는 기독교적 이미지의 차용과 제의적 애도의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하느님”, “주여” 등으로 호격화되어 텍스트 내에 도입된 기독교적 신(神)의 이미지는 자기 상실과 세계 상실의 비극성과 제의성을 고취시키는데, 이는 단회적이고 완성적인 애도를 지향하는 동시에 신(神)이라는 기표의 재현과 부재하는 기의와 대상에 대한 애도를 메타적으로 드러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불교취적 텍스트에서는 이미지가 아닌 형식적인 특징들이 차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텍스트들에서는 선시적(禪詩的) 언술과 아포리즘, 불립문자를 통한 모순어법으로 의미의 불확정성을 보여줌으로써 시적 주체의 언어적 회의와 무수히 반복되는 과정적 애도의 한 양상을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3절에서는 장시 「사형」과 「니르바나」를 통한 예수와 붓다, 두 성인의 죽음 형상화 양상에 대한 비교와 이를 통해 시적 주체가 감행하고 있는 자기 상실의 공적 승화와 애도의 이행 양상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1960년대 텍스트들에서 보이는 상징주의적 언술 특징과 1970년대 들어 급작스럽게 시도된 시적 주체의 참여시로의 행보 및 리얼리즘적 언술 특징들이 1974년에 상재된 ��문의 마을에 가서�� 텍스트들에서 혼재된 상태로 드러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추상적이고 모호한 상실에 대한 시적 주체의 막연한 원망감과 역사적 현실에서 도피적이었던 과거에 대한 자기 책망감과 죄책감이 비대해진 초자아에 의해 텍스트 내에서 자기 파괴적이고 자기 학대적인 공격적 언술의 형태 및 파토스의 과잉 분출을 통해 한꺼번에 폭발적으로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표면적으로는 이데올로기적 상실 즉 민주주의와 자유, 인권에 대한 이상적 가치의 추구와 과도한 열망이 텍스트 내에 슬로건화되어 있다. 그러나 선승시절 및 제주 체류 시기를 포함하여 현실 도피 및 현실 인식에 몰각했던 과거에 대한 자기 상실이 세계의 상실과 착종되어 혼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조적으로 스스로를 각성시키고 이데올로기적 상실을 유표화하여 청자를 선동하고자 하는 시적 주체의 욕망이 과도하게 투사 및 착종되어 오히려 이 시기에는 멜랑콜리적인 경향성이 극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에세이와 시집 서문을 통해 밝힌 시인 주체의 강박적 현실 인식과 자기 갱신 의지 및 뚜렷한 노선의 표명과는 달리, 이 때의 시적 주체는 교란적 주체, 조울증적인 주체로 모호한 상실에 점철되어 시 텍스트 내에 무분별한 시니피앙의 난입과 구호적이고 독백적인 언술을 보여준다. 한편 이 시기의 언술 특징과 발화 양상은 상징주의적 경향과 리얼리즘적 경향, 감정표시적 기능과 능동적 기능, 멜랑콜리와 애도의 언술과 태도가 각각 상호 침투 및 교란/혼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Ⅲ장의 2절에서는 교란적인 주체에서 민중 주체로의 양상 변화와 멜랑콜리에서 공적 애도로의 이행 양상을 함께 살펴보았다. 70년대 후반의 ��입산��과 ��새벽길��, 80년대 중‧후반의 ��조국의 별��, ��시여 날아가라�� 등의 시집에서는 ��문의 마을에 가서��에서 잔존했던 상징주의적, 관념적인 언술, 발신자 지향의 감정표시적, 독백적 언술의 특징들이 사라지고, 수신자 지향의 능동적인 언어의 기능이 초점화되면서 수신자의 행동과 태도 변화를 촉구하는 대화적, 설득적 언술과 민중 주체의 수행적 발화 양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에 주목하였다. Ⅲ장 2절 2항에서는 장시 「갯비나리」에 나타난 민요와 무가적 언술의 도입 양상과 민중적 주술의 언술을 통해 시도된 공적 애도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2절 3항에서는 1986년 상재된 ��전원시편��을 ��만인보��에서 이어질 공적 애도의 언어적 실천과 의인화의 시학이 모색된 가교 텍스트 및 과도기적 텍스트로 특히 주목하였다. 또한 ��전원시편��에 드러난 시적 주체의 농촌/농민에 대한 이중화된 시선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전의 텍스트들에서 보였던 추모와 결의, 민중적 분노 표출이 광장, 도시, 거리 등의 ‘장소’에 주로 집중되었던 기존의 현장시 및 민중시들과는 달리 ��전원시편��의 전반부 텍스트들에서는 농촌 공간이 새로운 애도의 ‘공간’으로 낭만적으로 이상화, 관념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후반부 텍스트들에서는 이러한 고향/농촌에 대한 낭만성과 이상화된 시선이 지양되고 피폐한 ‘장소’로서의 농촌의 현실과 몰락한 농민의 묘사, 정부의 농업 정책이 초래한 농촌사회의 문제점에 대한 비판적 시선과 구체적인 농촌/농민의 삶에 대한 밀도 있는 형상화가 이뤄지고 있는 성과에 주목하였다. 시적 주체가 농촌을 바라보는 시선이 라캉이 언급한 눈(eye)과 응시(gaze)의 두 차원에서 각각 상상계적/상징계적, 전원/농촌 등 이중적 공간으로 그려지고 있는데, 이 또한 멜랑콜리와 애도가 상호 침투중인 과정적, 과도기적 이행 양상으로 보았다. 그러나 ��전원시편��의 경우, 민중 주체의 공적 애도 차원에 보다 접근해 있음을 확인하였다. Ⅳ장에서는 푸코의 이론을 적용하여 ��만인보��에 나타난 파르헤지아(parrhêsia)의 언어적 실천과 윤리적 주체로의 이행 양상을 공적 애도의 차원에서 밝혀보고자 하였다. 1절에서는 의인화(prosopopeia) 및 반(反)의인화의 시학을 통한 공적 애도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또한 ��만인보��에 형상화된 악의 문제를 평범성과 잔인성 차원에서 검토하였다. 2절에서는 푸코의 후기 저작인 ��주체의 해석학��에서 집중 논의된 파르헤지아의 개념과 주체화 개념을 도입, 적용하여 ��만인보��에 드러난 공적 애도의 언어적 실천과 윤리적 주체로의 이행과 정립 양상을 살펴보았다. 푸코에 의하면 파르헤지아의 언술 특징은 반아첨, 반수사학, 진실을 말하는 용기 등을 근간으로 하는데, 고은의 ��만인보��의 재현 양식 또한 르포르타주의 형식을 통하여 이러한 언술 특징들을 차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르포르타주와 관련하여 시적 주체의 객관성이 초점화될 때는 반아첨, 반수사학적 언술이, 시적 주체의 주관성이 초점화될 때에는 진실 말하는 용기에 의한 고발과 비판적 언술이 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Ⅳ장 2절 2항에서는 텍스트는 물론 자기의 삶을 예술화하는 실존의 미학과 자기/타인의 배려 및 자기 테크놀로지의 글쓰기의 실천 양상이 고은의 시 텍스트 전반을 통해, 또한 시적 주체의 자기 갱신을 통해서 부단히 실천되고 있음에 본고는 주목하였다. 이 때의 시적 주체는 권력과 규율에 종속되고 예속화된 도덕적 주체 혹은 상실에 갇혀 고착된 애도에 사로잡힌 멜랑콜리적 주체가 아닌, ‘부인된 애도’, 매몰된 죽음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기억하고 기리고 애도하는 윤리적 주체로 주체‘화’ 하고 있는 과정 중인 주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만인보��가 지향하는 기억과 연대의 시학이 자기 상실과 세계의 상실을 넘어 타자의 상실에까지 닿아 있으며 서로의 상처와 상실을 아우르고 애도하는 상호주체성을 구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텍스트의 언어적, 윤리적 실천은 애도의 시학과 애도의 정치학이 만나는 지점으로 고은의 텍스트에서 시적 주체에 의해 다양한 목소리와 발화 양상을 통해 시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방대하고 다양하게 시도되어 온 고은 시 텍스트 전반의 형식 미학을 살피는 것을 비롯하여, 상실의 변인과 상실에 맞선 시적 주체가 대응하고 구현하는 시적 주체의 양상 변화 및 시적 발화의 담론적, 실천적 차원에 이르기까지 고은의 문학을 총체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일관성 있는 방법론을 애도의 시학을 통해 제시했다는 데에 그 독자성과 큰 의미를 지닌다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