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안동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재현제작 연구

        김효란 韓國傳統文化大學校 文化遺産融合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안동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보물 제1571호)의 재현제작 을 통해 고려후기 목조불상의 재료와 기법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그동안 고려후기의 목조불상에 대한 연구는 미술사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그 연구 성과도 상당히 축척되어 있다. 이에 비해 재현제작을 통한 재료 및 기법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자는 다른 상들에 비해 비교적 자료가 풍부한 보광사상을 연구대상으로 삼았으며, 실제 재현제작을 통해 재료와 제작기법을 검토 하였다. 재현제작에 앞서 안동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의 현황과 제작기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보광사상의 재료는 향목이며, 구조는 접목조(接木造)이고, 상의 내부는 속을 파내 깨끗하게 비워져 있다. 눈에는 수정(水晶)을 감입(嵌入)하였는데, 검은 눈동자 부분만 감입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가소성(可塑性) 재료를 사용하여 보발 및 영락을 표현하였다. 이와 같은 정보를 바탕으로 재현제작은 실제 크기의 1/2로 축소하여 진행하였으며, 실측 및 도면작성, 견본 제작, 목조각, 옻칠, 금박 붙이기 과정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각 과정별 세부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보광사상을 직접 실측해가며 재현제작에 필요한 제작도면을 작성하였다. 이후 보광사상의 1/2크기로 견본을 제작하였는데, 견본은 먼저 소조상 형태로 만든 뒤 석고를 사용하여 틀을 뜨고 틀 안쪽에 칠과 삼베를 발라 건칠불 형태로 완성하였다. 재현작은 보광사상과 동일한 향나무를 구해 접목조 기법으로 가접합 한 뒤 모각을 하였으며, 완성된 백목(白木:칠을 하지 않은 나무)상은 얼굴의 얼굴 부분만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베(모시)를 입혔다. 가공한 수정은 머리 안쪽의 속을 비운 뒤 내부에서 감입하였으며, 보발과 띠매듭은 상칠 전 단계에서 생칠, 토분, 목분 등을 혼합한 재료로 만들어 부착하였다. 그리고 목걸이와 영락장식은 재현작의 크기와 비례에 맞추어 적합성 여부를 검토한 뒤 생칠, 토분, 풀을 혼합한 재료를 사용해 붓으로 두께를 올려 그렸다. 마지막으로 금박을 붙이고 개안하여 완성하였다. 이러한 재현제작을 통해 보광사상은 다양한 재료의 사용과 기법이 적용된 보광사 상은 작업자로 하여금 높은 수준을 요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그 당시 기술력이 최고 수준이었음을 증명하고 있다. 따라서 재현제작 연구가 목조불상의 재료와 제작기법을 유추할 수 있는 하나의 사례가 되어 앞으로 고려후기 불교조각 연구 분야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고려 불화에 나타난 菩薩莊嚴具의 재현 : 頸飾을 중심으로

        김효란 동국대학교 불교문화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My intention is to reproduce muktahara adornments, mainly necklaces, of Bodhisattvas in Koryo Buddhist paintings. For such purposes, I researched literature on necklaces of Bodhisattvas from Koryo Buddhist paintings and reproduced them through traditional techniques of metal craft. This research is based on Koryo Buddhist paintings which are abundant in material as opposed to Koryo personal ornaments which are lacking in relics and documents. Furthermore, by comparing and reviewing Bodhisattva`s muktahara and excavations as well as the ornaments worn at the that time, I contemplate the concept and background of muktahara that adorn the Bodhisattvas. Domestic researches on ornaments that adorn Bodhisattvas have been so far very insignificant. I hope that researching adornments used to adorn Buddhas and Bodhisattvas and adornment shaped statues will be helpful to the development of Buddhist art and metal craft. Therefore, through my process of reproducing a two-dimensional painting into a three-dimensional craftwork, and by reviewing the technical aspects of traditional techniques, I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Korean ideological identity from Buddhist legacy.

      • 음악치료사의 임상에서 음악저작물 이용실태와 음악저작권에 대한 인식 및 준수행동 조사

        김효란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임상에서 음악저작물 이용실태와 음악저작권에 대한 인식 및 준수행동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음악저작권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향후 음악치료 분야에서 저작권 교육 등을 활성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전문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응답자 87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사들의 저작권법에 대한 인식도는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연령대가 낮을수록 보호받는 저작물과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는 저작물에 대한 이해도가 높았다. 반면 음악저작권에 대한 인식도는 높았으며 음악저작물에 대한 보호가 필요하다고 생각했고, 아직 사회 내에서 음악저작물이 인정받지 못한다고 느끼고 있었다. 둘째, 저작권법 인식도가 높은 치료사들이 저작권 소양 및 준수행동 평균 점수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악치료사는 세션 내에서 주로 라이브반주를 사용하고 1회 기당 3~4개의 음악을 사용하며, 감상을 활용한 중재 방법이 가장 많은 저작권 문제를 일으킨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임상에서 저작권 문제를 경험해 본 치료사들은 주로 세션 음악을 선정할 때와 세션 자료를 소셜 미디어에 공유할 때 가장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악치료사들은 음악치료사에게 음악저작권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했고, 음악을 보호하며 음악저작권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기 위해서 음악저작권의 교육 및 홍보가 가장 필요한 부분이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음악저작권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의향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저작권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음악치료사들에게 음악저작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음악치료 분야 내 저작권 관련 연구와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 점에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music therapists’ musical work use status at clinical settings and their awareness of musical copyright and observance behavior and then utilize these as basic data for increasing music therapists’ awareness of musical copyright and activating their copyright education. Our survey was conducted in music therapists. Our data were obtained from 87 respondents and then analyz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usic therapists’ awareness level of copyright law was generally low. As they became younger, their understanding of protected works and freely-available works was high. On the other hand, their awareness level of musical copyright was high. And they thought that protection of musical works would be needed and felt that musical works had not been acknowledged in our society yet. Second, therapists whose awareness level of copyright law was high appeared to have a high average score in copyright literacy and observance behavior. Third, they thought that music therapists were using live accompaniment largely in a session and 3-4 music pieces per session. And the intervention method utilizing copyright problem appreciation caused the most copyright-related problems. Moreover, therapists who had experienced copyright-related problems at clinical settings experienced the biggest difficulties when selecting largely session music and sharing session data into social media. Fourth, music therapists thought that musical copyright education would be needed for them. To protect music and have right awareness toward musical copyright, musical copyright education and promotion are the most essential parts. Furthermore, participation intention for musical copyright education programs appeared very high. In conclusion,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information on music copyrights to music therapists suffering from copyright problems and prepared basic data for research and education related to copyright in the field of music therapy.

      • 발건강관리가 현대인의 피로감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와 대체요법으로서의 필요도 조사

        김효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현대인이 생활 속에서 늘 받고 있는 스트레스와 피로감에 대해 대체요법의 하나인 발건강관리가 미치는 효과와 대체요법으로서의 인지도와 나아갈 방향을 조사&#8228;분석하였다. 첫째, 대체요법 활용 동기는 본인 스스로 필요성을 느껴서가 57.6%로 나타났고 개념에 대한 인식은 환자체질에 따라 다른 방법을 쓰는 치료법이 30.3%로 나타났다. 대체요법의 효과에 대한 만족도는 86.6%로 나타났으며 발건강관리를 받은 횟수가 10회 이상일수록 93.9%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대체요법의 활용종류는 수기요법(Foot Massage)이 55.9%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대체요법의 문제점으로는 체계적 연구결과와 홍보부족이 40.1%, 정통의료와 대체요법의 병행시행여부는 97%가 바람직하다고 응답하였다. 대체요법으로서 발관리 유용성은 97%, 활성화방안으로는 대체요법 전문가를 적극 양성한다에 57.6%가 나타났다. 둘째, 피로도는 연령(p-value 0.046), 성별(p-value 0.017), 최종학력(p-value 0.013), 월평균소득(p-value 0.003), 직업(p-value 0.000)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발관리횟수(p-value 0.164), 운동여부(p-value 0.098)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트레스는 최종학력(p-value 0.019), 운동여부(p-value 0.000), 월평균소득(p-value 0.46), 직업(p-value 0.298), 발관리횟수(p-value 0.120)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발관리 후 느끼는 자각증상은 발&#8228;다리가 아프고 저리는 것이 좋아졌다(92.3%), 발&#8228;다리가 무겁고 몸이 붓는게 좋아졌다(92.6%), 생리통이 좋아졌다(80.8%), 소변배출이 좋아졌다(83.5%), 변비가 좋아졌다(72.1%), 잠이 잘 온다(92.7%), 몸이 개운하다(96.0%), 머리가 아프고 목뒤 당김이 좋아졌다(87.9%), 기력이 왕성해지고 행복감을 느꼈다(88.3%)에 효과적인 자각적 증상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전문 발관리샵을 내방하는 고객들이 피로와 스트레스에 대체요법으로서 발건강관리의 유용성과 효과가 긍정적이었고 대체요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점차 정통의료보다 높은 이용율과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 이에 체계적인 기초연구와 과학적 검증을 거친 신뢰성 있는 대체요법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이 국민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다.

      • VANET 환경에서 위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자체갱신 익명ID 기반 보안 프로토콜

        김효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VANET(Vehicle Ad-hoc Network)은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지능형 차량들로 이루어진 애드혹 네트워크 환경으로써 최근 들어서 그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분야이다. VANET은 원활한 교통 소통, 사고 방지 등 여러 가지 편리한 기능들을 제공하지만, 그 기반을 애드혹 네트워크에 두고 있기 때문에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문제가 그대로 발생하며, 또한 그 환경적 특성에 따라 추가적인 보안 요구사항 역시 존재한다. VANET 환경에서 가장 중요하게 요구되는 보안요소는 협력 운전(cooperative driving), 경고 메시지 전달 등의 차량 간 통신 시 메시지 인증, 무결성, 부인방지 등을 보장하는 문제와 특정 차량에 대한 추적을 할 수 없도록 하는 위치 프라이버시 보호 문제이다. 또한 이 가운데 사용자의 위치 프라이버시는 조건적으로 신뢰 기관에 의한 추적 역시 가능해야 한다는 조건을 포함한다. 본 논문에서는 P. Golle 등이 제안한 재암호화(re-encryption) 기법[1]을 이용하여 신뢰기관으로부터 인증 받은 익명ID(pseudonym)를 자체적으로 갱신하는 기법을 제안하고 이를 통해 VANET 환경의 보안 요구사항들을 만족시키는 프로토콜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최초 차량 등록 시 받은 비밀 인자를 갱신하면서 보안 통신을 하며 추가적으로 신뢰 기관과의 통신이 필요하지 않는 효율적인 보안 기법이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발생했던 비효율적인 사용자 신원 매칭 문제, RSU 접근 문제, 탈퇴 차량 관리 문제 등을 해결한다. VANET(Vehicle Ad hoc Network) is a kind of ad hoc networks consist of intelligent vehicle as nodes, and has become a hot emerging research project in many fields. It provides traffic safety, cooperative driving and etc. but has also some security problems that can be occurred in general ad hoc networks because it is based on MANETs. The security requirements of VANETs are message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non-repudiation and location privacy when vehicles has run V2V and V2I communications. Especially, location privacy can be provided when a vehicle has a conditional anonymity to a trusted entity because it has to trace a vehicle's real identity when a accident is occurred in VANET environments. In this paper, I propose a security protocol satisfies these requirements using self-updated pseudonym based on re-encryption scheme that proposed by P. Golle et al. The proposed scheme provides location privacy and efficiency without requiring continuous online availability of the trusted entity. And it solve problems of former researches that is deficiency of mapping table, problem of connecting RSU, control of revoked users and etc.

      • 기독교인의 결혼 생활에 관한 연구

        김효 베뢰아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1839

        인류의 결혼 생활의 역사 속에서 부부갈등의 요인은 항상 존재했으며, 그 요인은 변해 왔다. 결혼 생활은 부부 상호간의 믿음과 사랑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통계 자료에 의하면 매년 이혼율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것은 부부 상호간의 신뢰도가 낮아지고 있음을 반영한다. 본 논문은 부부 갈등의 여러 요인 가운데서 고부갈등과 자녀문제 등은 제외하고, 부부 상호간의 직접적인 문제를 중심으로 갈등 요인을 알아보고, 신앙과의 관계 분석을 시도하였다. 기존 연구결과에 따르면 부부갈등은 그 요인이 가정의 경제, 성격, 성(性), 자녀 등에 있으며, 이러한 문제가 이혼과 연결되고 있다. 따라서 본인은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첫째, 배우자에게 사용하는 언어는 상호 존경의 문제이며, 신앙과 관계가 있을 것이다. 둘째, 배우자와의 결혼 만족도는 신앙과 관계가 있을 것이다. 셋째, 배우자에 대한 애정 및 의심도는 신앙과 관계가 있을 것이다. 넷째, 배우자와의 갈등 해소 프로그램은 감정의 정화와 관련되며, 또한 신앙과 관계가 있을 것이다. 연구 문제와 관련된 변이에 대하여 기존의 연구에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갈등의 변이 요소가 부부의 문제에 있어서 실제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알아보며, 아울러 신앙과의 관계성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성락교회 교인 가운데 남성 134명 여성 151명, 총 2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것을 바탕으로 하였다. 부부문제에 대한 성별간의 차이와, 부부문제와 신앙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배우자에게 사용하는 언어는 상호 존경 문제이며, 신앙과의 관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남성에 비해 여성이 존대말을 더 많이 쓰는데, 그 이유는 아직도 유교적 가부장제의 문화가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결혼 만족도, 배우자에 대한 애정, 성적(性的) 만족도, 배우자에 대한 의심도 등은 모두 신앙 경력과의 차이가 없고, 성별간의 차이만을 보였다. 결혼 만족도와 성적 만족도는 남성이 더 크고, 배우자에 대한 의구심은 여성이 더 크게 나타났다. 셋째, 이혼에 대한 갈등은 여성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이혼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신앙적인 이유를 가장 많이 들었다. 한편 부부문제에 있어서 많은 사람이 교회와 목회자의 도움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지만, 실생활에서 크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부부갈등의 문제에 있어서 목회자의 조언이 도움이 되는가"라는 질문에 70%이상이 "도움이 된다"고 밝히면서도, "누구와 상담을 하는가"라는 질문에서는 "가까운 친지", "동료", "교우"가 50% 이상이고, "목회자"인 경우는 15% 정도로 나타난 것을 볼 때, 현실적으로는 목회자와 상담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을 반증한다. 이러한 상황의 원인과 해결책에 대해서는 앞으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하겠다. 설문 조사를 통해 결혼 생활 만족도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의 성별간의 차이는 분명히 나타났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앞으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결혼 생활 만족도를 가늠하는 각종 요인과 신앙 경력과의 관계는 대부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상당히 의외이며, 앞으로 기독교 가정사역의 한 방향을 제시해준다 하겠다. In the history of marriage life of humankind there has always been various factors which caused some discord between husband and wife. The marriage life of every couple is on the basis of mutual trust and affection, but unfortunately statistics released recently indicate that the divorce rate continues to increase year by year, which reflects declining mutual faith between couples. In this thesis I mainly covered up conflict-causing factors derived from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couples, and tried to approach the matter in light of faith to give an analysis of it, setting apart the dissention between a mother-in-law and her daughter-in-law. According to an existing research outcome, the conflicts of married couples were associated partly with the household economy, personality, sexual life, and their children, all of which are deeply connected with divorce. I, therefore, sought to verify the following problems through the steps of study. First, language spoken to each spouse is a matter of respect which will be concerned with faith. Second, the sense of contentment in marriage will be relevant to faith. Third, the affection and mistrust toward each spouse will also related with faith. Fourth, programs to recover the conflicts of married couples, related with faith, will be about purifying emotional aspect each other. There has not been made, in fact, enough study about the variability on above matter, so here in this thesis a study was made to figure out how the conflict-variability factors actually influence the problems emerging between the couples in a bid to draw a faith-related conclusion. This study is based on a survey of a total 285 respondents(male: 134, female:151) among Sungrak Church members. The study results concer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enders about the problems of couples and its relevance to faith are in the following.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anguage spoken to each spouse is the matter of mutual respect, but in its relation with faith no remarkable difference was shown; Females were more predominant over males in speaking terms of respect, which shows a sign of patriarchal system of Confucianism. Second, the items - the contentment in marriage, mutual affection, contentment in sexual life, and doubtfulness each other - did not make any difference in the aspect of the background of faith, but only in the two genders; it was shown that male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items of the contentment in marriage and with the sexual life than females were, whereas disbelief toward each spouse was greater for females than for males. Third, females were much more possessed by the thought of divorce than males, and why they don't divorce was to be found in their faith. It was shown that though many couples have felt keenly about the necessity of counseling from church ministers to settle their problems, in fact, little help has been given to the couples seeking some answers. More than 70% of respondents responded to the question 'Is the counsel of minister helpful in solving the conflicts of couples?' by saying 'yes', but 50% of them, when asked about 'on whom do you depend most in case of some trouble?', appealed more to their close relatives, coworkers, and friends than to ministers. It was shown that only 15% rushed to their ministers for help. This result proves itself that it is, in reality, hard to counsel ministers for help. I hope that more study be made on the cause and solution to the problems. The difference between two genders in the issue of the contentment in marriage life was seen clearly through survey, but more study as to the difference, I hope, should be done in the future. The survey, however, did not show meaningful gap statistically between the various factors measuring the contentment in marriage life and the background of one's faith. This results were quite surprising and I hope that they will present a way for family mini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