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텍스트 상세화가 청각장애아동의 내용교과 텍스트 읽기 이해에 미치는 효과

        김호정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Teaching reading strategies for learning of Content Areas is not effective for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 without basic literacy skill. Furthermore, teaching strategies for reading during class is hard to be focused on, since the purpose of Content Areas is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and concep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laborated text on reading comprehension of Content Areas for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 The subjects were 64 hearing-impaired children of 3-6 grade at elementary school for deaf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 from Seoul, Kyonggi, Incheon and Daejeon area, and 60 hearing children with same level of reading ability.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proficiency level(high proficiency: HP/low proficiency: LP) group depending on their reading comprehension skill,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authentic text group and elaborated text group. Authentic text for the experiment materials was derived from textbook of social studies, written in narrative or expository method. Elaborated text were modified to fulfill the elaboration benchmarks designed in this study, which considered previous research and characteristics of hearing-impaired children. Each group performed two times of reading comprehension tasks which consist of answering 25 items multiple choice tests, after reading 5 passages at one time. The scores obtained of reading comprehension, sub items(general, specific, inferential comprehension)and written type (narrative, expository texts comprehension) of each group were analyzed by using the mean differences between authentic text group and elaborated text group Result of this study is as below. Firstly, for hearing-impaired children with both HP and LP group, the mean scores of elaborated text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authentic text group in reading comprehension of Content Areas.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in LP group, whereas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in HP group. On the other hand, comparing the result of reading comprehension mean scores for hearing children and hearing-impaired children, when authentic text input pattern was used, reading comprehension mean scores of hearing childre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hearing-impaired children. But, the result when elaborated text was used as input pattern, the difference between HP and LP grou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when elaborative text was used as input pattern, the difference of achievement of reading comprehension between hearing children and hearing-impaired children was not noticeable. Secondly, performing reading comprehension test for hearing-impaired children according to sub items, which consists of general, specific,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elaborated text group were observed to obtain better scores, in comparison to authentic text group. But, there was only significant difference on specific comprehension. Thirdly, for performing reading comprehension tasks according to text written type for hearing-impaired children, The result of reading comprehension in narrative text within HP group, elaborated text group performed better than authentic text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scores of elaborated text group were higher than authentic text group in expository text comprehension,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in the LP group, irrespective of the written text type, elaborated text group showed better result which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is, text reading comprehension as written type was affected by text elaboration, and reading ability and input pattern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 For Hearing children, elaborated text showed no effect on reading comprehension total score, which included scores for assessing sub items and written text type.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hen hearing-impaired children read expository text, which focuses on understanding of specific information, modifying and elaborating tex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hearing-impaired children has a positive effect on comprehension of content areas. Furthermore, elaboration benchmarks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which can be used as an exemplary guide for teachers who needs to modify text in a better understandable way for hearing-impaired children. 내용교과 학습 시 기본적인 문해 능력이 갖추어지지 않은 청각장애아동에게는 읽기 전략 학습이 효과적이지 않다. 또한, 정보의 전달과 개념습득에 목표를 두는 내용교과의 특성 상 수업 중 읽기 전략 지도에 초점을 두기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텍스트 측면에서 청각장애아동의 이해를 돕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 상세화가 청각장애아동의 내용교과 텍스트 읽기 이해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 인천, 대전지역의 특수학교와 일반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3~6학년 청각장애아동 64명과 읽기수준이 동일한 범위에 있는 건청아동 60명이었다. 학생들을 읽기 수준에 따라 상․하 집단으로 나누고 기본 집단과 상세화 집단에 임의로 배치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과제로 사용된 기본 텍스트는 내용교과 교재 중 사회과 텍스트를 선택하였고, 내러티브와 설명식으로 기술된 교재의 원문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상세화 텍스트는 선행연구와 청각장애아동의 특성을 고려해 만든 본 연구의 상세화 기준에 따라 수정하여 제작하였다. 각 집단별 아동들을 대상으로 5개의 텍스트를 읽고, 총 25문항의 객관식 질문에 대답하는 읽기 이해과제를 총 2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점수를 바탕으로 읽기 이해 총점과 하위 유형별(전체적, 세부적, 추론적 이해) 읽기 이해 점수 및 텍스트 서술방식(내러티브, 설명식)에 따른 읽기 이해 점수에 대해 기본 텍스트 집단과 상세화 텍스트 집단의 과제 수행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아동은 상․하 집단 모두 상세화 텍스트 집단이 기본 텍스트 집단보다 내용교과 텍스트 읽기 이해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 차이는 하 집단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그러나 입력유형(기본․상세화)별로 청각장애아동과 건청아동 간의 읽기 이해 점수 차이를 비교했을 때, 기본 텍스트에서는 상․하 집단 모두 건청아동이 청각장애아동보다 이해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나, 상세화 텍스트에서는 두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즉, 상세화 텍스트 과제를 한 집단은 건청아동과 청각장애아동의 읽기 이해 성취의 차가 크지 않았다. 둘째, 전체적 이해, 세부적 이해, 추론적 이해로 구성된 하위 유형별 읽기 이해 과제 수행에서 청각장애아동 상․하 집단 모두 상세화 텍스트 집단이 기본 텍스트 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세부적 이해에서만 이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텍스트 서술방식에 따른 읽기 이해에서 청각장애 아동 상 집단은 내러티브 텍스트 이해에서 상세화 집단이 기본집단 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지만 이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고, 설명식 텍스트 이해에서는 상세화 집단이 기본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하 집단은 텍스트 서술방식과 관계없이 내러티브와 설명식 이해 모두에서 상세화 텍스트 집단이 기본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다. 즉, 텍스트 상세화는 청각장애아동의 텍스트 서술방식에 따른 읽기 이해에 영향을 주었으며, 읽기 수준과 텍스트 상세화 여부에 따른 유의미한 상호작용도 나타났다. 건청아동 집단에서는 텍스트 상세화가 내용교과 텍스트 읽기 이해 총점 및 하위 유형별 읽기 이해, 텍스트 서술방식별 읽기 이해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청각장애아동들이 사실적 정보의 정확한 이해에 목표를 두는 설명식 텍스트를 읽을 경우, 이들의 읽기 특성을 고려해 텍스트를 상세화하여 수정하는 것이 텍스트 이해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상세화 기준들은 교사들이 청각장애 아동들을 위해 텍스트를 수정해야 할 때 어떻게 하는 것이 적절한 방법인지에 대한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기상학 데이터를 利用한 有機塗膜의 자연노화와 가속노화의 相關關係 硏究

        김호정 부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선박, 자동차, 해양 플랜트, 강교 등 강구조물은 일반적으로 외부의 부식 환경에서 유기도막에 의해 부식으로부터 보호된다. 이러한 유기도막의 방식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실험실내에서 인위적인 가속노화 장비들을 이용한 도막의 노화 후 비파괴 분석법으로 전기화화적 장비인 EIS(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를 통해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1] 유기도막의 방식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가속노화 테스트는 온도, UV 조사, 습도와 같은 부식 촉진인자를 계속적으로 인위적으로 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기계적, 화학적, 열적 스트레스에 의해 고분자 물질인 도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화하여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런 유기도막의 노화는 화학적 측면과 물리적 측면의 결합이라 할 수 있는데, UV 조사는 도막을 구성하는 고분자의 이중결합을 산화시키고 segment의 절단 및 재결합, 그리고 가교밀도 등에 영향을 미치고 높은 온도와 수분은 도막의 열적 노화와 가수분해를 야기한다.[2] 이러한 유기도막의 화학적 노화는 도막의 물리적인 물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도막의 강도가 감소함에 따라 도막내의 stress는 증가하게 되고 도막의 free volume을 증가시켜 결국 도막과 소지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일반적인 가속노화테스트 방법으로는 Salt spray chamber test, Prohesion test, UV weathering, Thermal cycling test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가속노화시험방법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서 유기도막이 실제로 사용되는 환경에 최적화 된 환경모사를 통해 수개월에서 수년이 걸리는 테스트기간을 단시간에 진행하여 결과를 얻는데 목적이 있다.[3] 하지만 가속노화테스트는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실제 환경조건과의 상호 연관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고, 일부 연구자들에 의해 상호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현재까지 만족스러운 연구 결과는 보고되지 않았다.[4] 왜냐하면 실험실내에서 이루어지는 가속노화 테스트는 실제 환경에서 유발되는 다양한 부식인자 및 환경을 완전하게 모사하지 못하고 단순화 시키는데 문제가 있다.[5] 또한 유기도막이 노출되는 환경에 따라 습도, 온도, UV 조사량 등이 다르고 그에 따라 도막의 노화 과정이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기도막의 수명을 예측하기 위한 시도로서 기상학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연환경에서의 도막의 노화에 대한 부식인자의 강도와 양에 대해서 조사를 하여 실제 도막이 사용되어지는 환경에서의 유기도막의 노화에 대한 영향도를 정량화 할수 있다면, 가속노화와 자연노화와의 좀 더 개연성있는 상관관계를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기도막에 대한 실험실내에서의 정확한 수명예측도 기대할 수 있다.

      • 甲骨文에 나타난 殷代의 牧畜 : 六畜을 中心으로

        김호정 淑明女子大學校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들이 지금 사용하고 있는 漢字는 수천 년간의 中國 역사 중에 사용되어 왔던 여러 형체의 文字가 발전하여 이룩된 것이다. 그들 文字 중 文章의 形式을 갖춘 최초의 文字는 殷代의 甲骨文이라 할 수 있다. 甲骨文의 발견은 이전까지 傳說의 시대로 남아 있던 殷이 歷史의 시대로 들어오게 하였고, 考古發掘과 더불어 殷末의 社會와 文化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또한 甲骨文의 등장으로 이전까지 文字學의 經典으로 내려오던 許愼의 <<說文解字>> 의 理解를 돕고 誤謬를 수정할 수 있게 되었으며, 古代文獻의 正誥를 밝혀내게 되었다. 甲骨文의 보편적인 內容은 祭祀·戰爭·狩獵·旅行 疾病·風雨·吉凶에 관한 일과 그밖에 神靈과 自然現象 및 人間事와 관련된 일을 神이나 조상에게 점쳐 물었던 내용에 관한 記錄이다. 특히 중시되었던 것은 殷王이 중심이 되어 祖上들에 대한 祭祀를 극진히 지냈던 일로, 先公先王을 절차에 맞추어 제사를 지내는데 일년이 걸릴 정도로 융숭하게 조상을 섬겼다. 계속되는 제사에 바쳐지는 祭物 수량의 막대함과 종류의 다양함은 역사상 그 유래를 찾기 어렵다. 本稿에서는 甲骨文에 나타난 희생물 중에서도 많이 사용되었던 六畜을 중심으로 연구를 시도하였다. 우선 第2章에서는 殷代 牧畜業의 전반적인 상황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牧畜의 意義와 祭祀와 祭祀에 사용되었던 희생물에 대한 고찰이었다. 또, 殷王室에서 필요했던 畜産品을 각지에서 징수했던 것을 甲骨文으로 조명해 보고 家畜에 대한 관리상황을 살펴 보았다. 第3章에서는 희생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던 牛·羊을 비롯해 馬·豕·犬·鷄 즉 六畜과 그외 象·靑에 대해 알아 보았다 第4章에서는 牧畜業의 번성에 편승해 발전된 飼育方法에 대한 고찰로 放牧뿐만 아니라 우리 飼育도 겸비되었던 점에 주안을 두었다. 소·양을 기르는 우리 牢, 돼지를 기르는 우리 환, 말을 기르는 우리 □에 대해 각각 卜辭를 예로 들어 살펴 보았다. 第5章에서는 牧畜業의 정착으로 殷人들은 좋은 품종을 選別하는 기술이 터득된 바 특히 豕羊·馬에 대해서는 去勢하는 방법을 시도하였고, 家畜을 그 성질과 특징에 따라 구별했던 점을 살펴보았다. 위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다음의 몇가지 結論을 얻을 수 있다. 1. 殷代에 祭祀의 희생물에는 가축이 대종을 이룬다. 이러한 희생물의 수요는 牧畜業의 번성을 가져다 주었고 전문적인 관리를 하게끔 했던 것이다. 그래서, 殷代에 이러한 관리로는 牧·□正, 馬小臣, 馬亞, 多馬亞, 多馬衛, 牛臣, 大, 多犬등이 있었다. 또한 畜産業에서 생산되는 牧畜物은 殷王室의 중요한 재정수입이므로 필요한 것을 各地에서 징수하였다. 2. 甲骨文에 나오는 牛, 馬, 豕, 羊 犬 鷄를 六畜이라 했다. 牛는 가장 중요한 家畜으로 祭物, 食用, 農耕, 運送등에 쓰였고, 馬는 교통 수단, 전쟁의 동력으로 사용되는 반면 극소수 祭物로도 쓰였다. 豕는 거세로 인해 살찌게 하여 食用으로 주로 사용했으며 祭物로 사용했다. 羊후 牛 다음으로 귀중히 여겨졌던 家畜으로 주로 祭物에 쓰였다. 犬은 인간과 가장 가깝게 지낸 家畜으로 사냥을 돕고 祭物로 바쳤으며 식용으로 제공되었음을 卜辭의 기록에서 찾아 볼 수 있다. 3. 家畜을 기르는 方法에는 放牧과 우리 飼育이 있다. 殷代에는 조직적이고 계획적인 放牧이 이루어졌고, 風雨나 눈, 추위를 피해 우리에서도 사육하였다. 4. 殷代에는 좋은 품종을 選別하는 기술이 발달하여 가과 같은 良質의 품종을 만들었고, 家畜의 去勢術은 動物의 고집스러운 성격을 굴복시켜 통제하기에 용이토록 했다. 5. 殷代 牧畜業의 발달은 外形의 모습으로 家畜의 優劣을 감별하는 단계에까지 이르러 치아로써 소의 여러가지 상태를 알 수 있고 정강이를 보고 말의 性能을 측정할 수 있었던 外形學은 殷代의 牧畜業이 일구어 낸 기술의 결정체라고 하겠다. A Chinese Character we have been using was completed due to the development of many shapes of characters used in China for several thousand years. We can say that Shell and Born Characters is the first one of the characters which has formal form. The discovery of Shell and Born Characters had made Yin Dynasty regarded as legendary age before jump into the historical period. And it was to be very useful to make a study of society and culture of Yin Dynasty together with the excavation of archeological things. Shell and Born Characters generally described natural phenomenon and human society, as it were, religious service, battle, hunt, trip, outstanding weather including typoon and flood, fortune, etc. The religious service was one of ways of keeping human being correspondance with God. Especially, while wanting to get a kinds of bless, human being who followed the leader as their king have executed religious service for their ancient in Yin Dynasty. Furthermore, We can not but find out the religious service accompanied with numerous kinds of sacrifice in utmost quantity from Yin Dynasty only. The following facts were looked into through the Subject of this Thesis: In chapter 2, The general outlook in Yin Dynasty such as In chapter 2, The general outlook in Yin Dynasty such as significance of livestock farming, religous service n its object of secrifice, relationship between the livestock and the royal family of Yin Dynasty, and an official post who took care of livestock and his roles. In chapter 3, the kinds of livestock which are cow, horse, pig, sheep, dog and cock. In chapter 4, Pasturage and pen as breeding ways of livestock. In chapter 5, the sellection of the livestock for the breeding, the castration skill for the superior livestock, the formulation of the research activities for an external form.

      • 소 체세포 복제 과정에서 배양 체세포 및 핵이식란의 활성산소종(ROS) 생성

        김호정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OS generation levels of cultured somatic cells, oocytes and SCNTs in various nuclear transfer procedures. H2O2 level of cultured somatic cells was high in confluency group and similarly low in serum starvation and cycling groups, whereas OH radical product level was low in cycling group. During micromanipulation, H2O2 levels of bovine oocyte and SCNTs were increased immediately after of electrofusion and gradually reduced in activation, DMAP culture, and on and two-cell stage of in vitro culture. OH radical product level was relatively high during vortexing, enucleation and electrofusion procedures, but decreased after Ca-ionophore activation. The OH radical product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DMAP culture and decreased by in vitro culture to the two-cell stage.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the culture type of bovine somatic cells can affect the ROS generation level and the cellular stress during micromanipulation procedures also can generate the ROS in bovine SCNTs, which may lead the cellular damages in bovine SCNTs.

      • 미술가-기업가 루이스 컴포트 티파니(Louis Comfort Tiffany, 1848-1933)의 미술기업 경영과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김호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미술가-기업가 루이스 컴포트 티파니(Louis Comfort Tiffany, 1848-1933 이하 루이스 티파니)의 미술기업 경영과 디자인 개발에 대한 연구이다. 루이스 티파니는 일반적으로 미국을 대표하는 아르누보(Art Nouveau, 1890-1914) 유리 미술가로 알려지면서 미국은 물론 유럽에까지 명성을 떨친 미술기업을 경영한 기업가로서의 측면이 간과되었다. 그는 1879년부터 1933년 사망하기까지 유명한 티파니 스튜디오(Tiffany Studios)를 포함하여 티파니 회사로 통칭할 수 있는 여러 개의 미술기업을 경영했다. 티파니 회사는 스테인드글라스나 유리 모자이크, 블로운글라스(blown glass, 입으로 불어서 성형하는 유리) 및 도자기같이 예술적인 미술품뿐만 아니라 램프, 법랑 제품, 팬시 제품(Fancy goods) 및 귀금속 용기와 보석 장신구 같은 실용적인 가정용품을 함께 생산하고 판매했다. 따라서 이 같은 모든 종류의 티파니 제품은 평범한 제조 회사가 대량 생산한 제품이나 개인 미술가가 창조한 순수미술 작품과도 다른 속성을 지녔을 가능성이 크다. 왜냐하면 티파니 제품의 디자인과 생산에 미술가이자 사업가로서 루이스 티파니가 지닌 예술적 이상과 사업적 목표가 함께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그의 미술기업 활동 측면을 고찰할 필요가 있었다. 게다가 티파니 제품 디자인의 양식적 특징을 시대적으로 한정된 아르누보로만 고찰하는 기존의 관점도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그의 가장 큰 양식적 특징은 아르누보가 아닌 동&#8228;서양의 역사적 양식들을 혼합한 역사적 절충주의(historical eclecticism) 디자인과 자연 풍경을 마치 회화처럼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자연주의(naturalism)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루이스 티파니가 자신의 예술적&#8228;사업적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미술기업을 경영했을 것이라는 가설을 토대로, 그가 티파니 제품의 디자인 개발에 자신의 예술적 개념과 특징을 반영했다고 보는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미술가-기업가로서 그가 티파니 회사의 경영과 디자인 측면에 미친 영향과 성과를 다각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루이스 티파니가 미술기업 활동을 통해 미국의 미술계와 산업계에 남긴 업적과 가치를 재평가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를 통해 루이스 티파니가 미술기업을 설립하고 경영하는 데 무엇보다도 그가 영국에서 시작된 탐미주의(Aestheticism)와 미술공예운동(Arts & Crafts Movement)을 함께 수용했다는 점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감각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탐미주의는 미국에서 예술적으로 통합된 실내장식으로 실내를 미화(美化, beautify)하려는 대중적 유행을 발생시켰고, 회화를 포함한 모든 미술 매체에서 다채로운 색채와 풍부한 장식을 추구하게 했다. 루이스 티파니는 실내장식에 자신의 회화적 특징을 표현하고 예술적 통일성을 표현하기 위해 미술기업을 설립했다. 그는 남녀(男女) 화가, 디자이너, 공예가를 회사에 고용하여 미술감독인 자신의 지휘에 따라 자신이 회화에서 추구했던 탐미적 미를 실내 공간 전체에 실현하는 데 그들의 재능을 활용했다. 같은 이유에서 그는 색유리를 이용한 스테인드글라스와 모자이크를 생산하는 미술품 제조로 사업을 확장했다. 이는 그가 회화에서 색으로 화(化)한 빛 즉, 색-광(color-light) 효과를 추구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실내장식 매체인 스테인드글라스와 모자이크를 실내에 색-광을 표현하는 조형적 수단으로 취급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는 오랜 실험과 막대한 비용을 투입하여 자연스런 색-광 및 채색 효과, 명암과 그라데이션을 표현할 수 있는 ‘파브릴 유리(Favirle glass)’를 개발하게 된다. 마침내 파브릴 유리가 지닌 회화적 표현 가능성을 토대로 그는 스테인드글라스, 블로운글라스, 램프 갓에서 풍경화처럼 자연을 사실적으로 묘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그가 미술가로서 티파니 회사에서 생산한 장식미술품을 순수미술 작품처럼 취급하여 장식 매체의 조형 표현성을 증진시키는 데 우선순위를 두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미술가인 루이스 티파니가 자신의 회화적 조형성과 화풍을 추구하기 위해 창조한 티파니 제품은 순수미술 작품과 동등하게 인식&#8228;평가될 수 있다. 루이스 티파니가 미술가의 입장에서 미술 산업에 접근했던 기업가였기 때문에 유럽과 차별화된 미국 미술을 발전시키려는 미국 미술계의 요구와 내수 시장을 외국산 제품으로부터 보호하려는 미국 산업계의 요청을 접목시킬 수 있었다는 것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루이스 티파니는 다양한 역사적 양식에서 발견한 소재, 기법, 문양 등을 종합하여 당시 생활방식에 필요한 기능과 형태로 재창조하는 절충적 역사주의를 제품 디자인에 도입했다. 이로써 과거와는 완전히 다른 소재, 색채, 형태, 기능을 지닌 독창적인 미술품이 개발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써 그가 전통을 타파하려는 모던 미술(Modern Art)의 정신을 실천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데 그 같은 전통 타파 의식은 유럽의 전통과 구습에 대항하여 파격과 혁신을 내세운 미국의 국가성과도 관계된다. 당시 미국에서는 유럽으로부터 정치&#8228;경제적으로는 물론 문화&#8228;예술적으로도 독자 노선을 추구하는 아메리카니즘(Americanism)이 사회 전반에 팽배해 있었다. 이는 티파니 제품의 디자인 양식에 당시 유럽에서 유행하던 아르누보를 포함한 미술공예운동이나 자포니즘(Japonisme) 경향과의 유사성과 차별성이 공존했던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따라서 이제부터 루이스 티파니는 역사절충주의를 위해 동시대 유럽 미술의 경향을 창조의 원천으로 삼았을 뿐 근본적으로는 아메리카니즘을 추구한 미술가로 평가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루이스 티파니와 티파니 제품에 대한 명성과 인기가 미국에서 아르누보 시대뿐만 아니라 그 후로도 지속되었던 이유 또한 설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티파니 제품이 미국 시장에서 인기를 얻었던 이유가 미국적인 디자인 때문만은 아니었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루이스 티파니는 미술공예운동의 지도자인 윌리엄 모리스(William Morris)가 제시한 예술의 생활화를 실천하려는 이상을 품었다. 때문에 그는 사업 영역을 화병이나 램프 갓 및 팬시제품 등의 소형 가정용품의 산업적 생산으로 확대시켰으며, 값이 저렴하면서도 예술적 디자인과 조형 표현이 가능한 가정용품을 생산하였다. 모리스가 생산한 가정용품의 실제 소비자는 대중이 아니라 영국과 미국의 부유층이었다. 루이스 티파니가 부유한 고객을 위해 값비싼 예술적인 명품 모델을 개발하는 동시에 대중을 위해 저렴한 가정용품 모델도 함께 개발했던 것은 그가 모든 국민이 같은 제품과 서비스를 소비함으로써 평등을 실현하려 했던 소비자 민주주의(consumer democracy)를 수용한 결과였다. 따라서 루이스 티파니는 1백년이나 앞서 각종 일상용품을 명품화시키는 트레이딩 업(trading up)과 대중화된 명품인 매스티지(masstige)의 생산을 시도했던 선구자로서 인정받기에 전혀 손색이 없다. 루이스 티파니는 미국의 전역의 주택과 건물에 탐미적 아름다움을 전달하기 위해 자신의 미술기업에서 실내장식과 함께 모든 종류의 장식용 미술품을 생산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그는 모든 계열사의 생산 및 유통 기능을 통합할 수 있는 가족회사 체제를 구축하고, 제품의 개발, 유통, 홍보를 위해 다각적인 마케팅(marketing) 활동을 실시했다. 그는 또한 PR(Public Relations)을 통해 제품을 차별화된 미술작품으로 공인시키려는 예술적 목표도 함께 추구했다. 그 결과, 오늘날까지 티파니 제품은 미술 작품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티파니의 마케팅은 현대 디자인 회사의 마케팅에도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장식미술의 예술화와 예술의 생활화를 동시에 실현한 루이스 티파니는 미술가-기업가의 이상적 모델이라 할 수 있다. This dissertation is a study of a business management and design development in the art enterprises that ran by Louis Comfort Tiffany(1848-1933). From late 50s, Louis Tiffany has been introduced an American ‘Art Nouveau(1890-1914)’ glass artist. But he was an entrepreneur who ran several art enterprises- like Louis C. Tiffany & Company, Associated Artists, Tiffany Glass & Decorating Company, Tiffany Studios, and Tiffany Furnaces, etc.- from 1879 to 1933. At his art enterprises, he produced stained glasses, glass mosaics, blown glass vases & table wares, art potteries, enamel works, lamps & shades, and fancy goods. Tiffany's products were valued as artistic objets d'art and also useful household products. At that time, the name ‘Tiffany’ achieved a wide reputation not only in America but also in Europe. Curiously, his most typical design styles were historical eclecticism and realistic naturalism, all these styles were different from European Art Nouveau style. Therefore, Louis Tiffany must not to be considered only as an Art Nouveau artist anymore.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aluate the contributions of Louis Tiffany toward the American Art & Industry. Because of Louis Tiffany was a Colorist painter and American Aesthetic Movement artist also, he searched for beauty and wished to express the beautiful color and light effect through his art. To accomplish this artistic goal, he used oil and watercolor paints, from opaque to transparent and also translucent at the same time. Later, he used a variety of decorative media like glass, enamel, jewel and textile for the perfect reproduction of color and light effect in nature. Furthermore, he developed the ‘Favrile glass’ to describe the colored light, coloring, shades and gradations more than paintings do. He constantly tried inventing or reforming a new pictorial media, that happen to be the most epoch-making result. Louis Tiffany could portray natural landscape in stained glasses, blown glass vases, and leaded lamp shades using newly invented Favrile glass like as painting. Therefore, such natural landscape depicted Tiffany's designs could be recognized as art works by the artist Louis Tiffany created. To produce such products industrially he incorporated art enterprises and hired many artists, designers, and craftsmen. Furthermore he became art director to supervise design & manufacture process systematically. Then, It could be said that all the Tiffany's products designed by Louis Tiffany. What was the reason for Louis Tiffany's pursuit of naturalism in his product design? The reason was that he also pursued ‘Americanism’ as an American artist. At that time, the Americans advocated Americanism in every field. Americanism was a sort of cultural doctrine to be independent of European tradition and influence. Then, many American artists and art critics wanted to express of artistic originality and individuality to be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European art. So, Louis Tiffany tried to show his individuality by the eclectic synthesis of the Oriental-Western styles. Then, many of Tiffany's products were designed in various historical eclectic styles. He mixed Western & Oriental arts of disparate ages or synthesized Japonisme images and American native natural images to create American style design. As a result, from this eclectic design development approach he found a way to develop his original style. That was to portray American natural landscape on the stained glass windows, glass vases, lamp shades, enamel work, jewelry, potteries like a landscape painting. In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Tiffany's designs resemble the Hudson River School's landscape paintings or the American Pre-Raphaelites' natural studies. Therefore, such designs could be recognized as fine art works by artist Louis Tiffany. But he was also an entrepreneur who produced variety of household products industrially. The reason is that he hoped to realize the ideal of the English Arts & Crafts Movement leader William Morris(1834-96), who advocated to beautify the home interior and daily life for the public's well-being. But real consumers of the Morris products were only the wealthiest high class in England and also in America. However, Louis Tiffany was differentiated from Morris, because he wanted to answer the demand for consumer democracy. Therefore, he pursued artistic & economic goals simultaneously through his art enterprises. To realize this double goal, he hoped to produce all kinds of decorative art objects and household goods. So he established art enterprise group-the Tiffanys. He made a horizontal marketing system among the Tiffanys to be cooperated in designing, producing, merchandising. He introduced marketing strategy for products & brands developing, and also management of pricing, distributions, and public relations(PR). As a consequence, Tiffany's products functioned as useful artifacts and also artistic objets d'art for the consumers of every class. Moreover, Tiffany's marketing effects still remain, so many of Tiffany's products are renowned as famous fine art works and great American antiques even now. Hence, It'll be said that Louis Tiffany was a pioneer who attempted a trading up business and developed masstige products a century ago. Thus, he must be appraised as the ideal model of the artist-entrepreneur.

      • 페라이트 시트를 이용한 평판형 역 에프 안테나 설계

        김호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페라이트 시트를 이용하여 PIFA 내에서 최적의 커플링 상태를 만들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페라이트는 자성체의 대표적인 물질로서 이를 이용하여 안테나 구조의 인덕턴스 성분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안테나는 내장형 안테나에서 대표적으로 이용되는 PIFA 형태이고 GSM900 대역(880-960 MHz)을 만족하도록 설계되었다. 제안된 방법은 안테나의 기존의 구조는 전혀 변경하지 않은 채로 페라이트시트를 PIFA에 부착함으로써 인덕턴스 성분을 조절하여 최적의 커플링 상태로 만든다는 점에서 큰 이점이 있다. 또한 안테나를 등가회로로 구현함으로써 이론적인 설계를 가능하게 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본 안테나 이외의 다른 안테나에서도 충분히 이용할 수 있으며 페라이트 물질이 접착형 시트 형태의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실용성에 있어서도 큰 장점을 가진다. 시뮬레이션으로 확인한 스미스 차트 상의 임피던스 궤적을 통해 안테나 상의 최적의 커플링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고 실제 제작하여 측정한 결과 반사손실과 복사 패턴이 시뮬레이션에서 예상한 결과와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ferrite sheet loaded PIFA for critical coupling is proposed in this thesis. Critical coupling means that the antenna can be provided maximum signal energy from a feed structure. Ferrite is representative of the magnetic substance which can increase the stored magnetic energy. It can be used to control the inductance component of the antenna structure. The proposed antenna is PIFA type antenna which is usually used in recent mobile handset. Key idea of this novel method is originate from modeling of equivalent circuit of the antenna. The proposed antenna can achieve the critical coupling by attaching a ferrite sheet without changing the size of the antenna or ground plane. A ferrite sheet is used in order to increase the shunt inductance. It is modeled by an equivalent circuit based on transmission line modeling and a Smith chart of the proposed antenna. This method can apply other structure of the antenna not only PIFA. The proposed ferrite loaded PIFA can operate in the GSM900(880-960 MHz) band. It has 160 MHz bandwidth for VSWR<2 and a good omni-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at its operating frequency.

      • Optimality and Mixed Duality for Nondifferentiable G-Invex Multiobjective Programs

        김호정 부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등호제약식과 부등호제약식을 가지고 목적함수에 지지 함수를 포함하는 미분 불가능한 다목적 합성계획문제에 대하여 적절한 G-invex 함수조건 아래에서 약 유효해에 관한 최적조건과 쌍대관계를 정립하였다. 먼저, 약 유효해를 이용한 Fritz John과 Kuhn-Tucker 최적조건을 제시하고, 일반화된 볼록 조건 아래에서 약 유효해에 관한 약쌍대정리, 강쌍대정리 및 세 종류의 역쌍대정리를 증명하였다. 또한 혼합쌍대문제로부터 얻을 수 있는 Mond-Weir형과 Wolfe형의 약쌍대정리, 강쌍대정리 및 역쌍대정리들을 정립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