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만성질환자 가족의 가족기능에 따른 부담감과 삶의 질

        김혜현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done to describe the function, burden, and the life quality of family who take care of chronic diseases and identified the effects they have caused. Therefore, this study was attempted to develop the art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provide applicable base line data, understand family, and perform nursing suitable for family level in order to systematically manage family of chronic patients. The research subjects were composed of family of chronic patients who entered the university hospital called 'E' of 'D' city and the number of subjects were 103.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uly 1, 2007 to August 30, 2007. The data collection criteria were that the subjects were family members of the patients who have been hospitalized for more than 1 week among patients over 6 months since diagnosed as chronic diseases. Family members filled out the questionnaire forms, the interviewer collected the questionnaire forms and the interview time took 20 minutes to 30 minutes.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used Family APGAR Score that was devised by Smilkstein(1978) and the tool (Cronbach's α=.72) was translated by Yun for Family Function, used the tool about the burden of family that was devised by Care-giver Burden Inventory and Zarit(1979) of Norvak and Guest(1989) and the tool was made up for the weak points (Cronbach's α=.95) by Jang(1999) for Burden, and used the tool that was made up for the weak points by Jung(1992) based on the quality tool of life of Andrews and Withey(1976) for the Quality of the Life(Cronbach's α=.92). By using SPSS Win 14.0 for data analysis, I used number/percentage, average/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the sex distinction was that male and female are each 33(32%) and 70(68%), the age group was that under 30 was 32(31.1%) and 30~40 was 30 (16.5%) and the people with jobs were 36(35%) and the jobless were 67(65%). The average of the family function was 6.69/10 which was included in moderate function family group, the average of burden was 51.14/116, and the average of the quality of life was 57.34/9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amily function according to family characteristics. The family's burden in characteristics was represented with similar differences in age(F=2.903, p=.026), education level(F=3.141, p=.048), income(F=3.433, p=.011), caring time(F=8.307, p= .000), medical expectation(F=3.751, p=.013), monthly average medical fee(F=4.323, p=.007), and the number of caring family (F=2.610, p=.040).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family was represent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come(F=3.307, P=.007) and education level(F=4.406, p=.015). The burden(F=14.024, p=.000) and the quality of life(F=17.270, p=.000) to family according to family func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burden and the quality of life in the family function of subjects had significant correlation. You will be able to recognize that the higher the family function, the lower the burden and higher the quality of life. Therefore in cases where the family function is low or that there are problems or difficulties in family, we will have to help that family resolve problems by themselves by increasing family function. That is, to increase and structure family function will be an essential arbitration of nurse. 이 연구는 암, 당뇨, 그리고 뇌졸중 등 만성질환을 가진 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가족기능과 부담감, 삶의 질을 파악하고, 가족기능에 따른 부담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만성질환자 가족을 이해하고 그 수준에 맞는 간호방안 개발과 중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D시 E대학병원에 암, 당뇨병, 그리고 뇌졸중으로 입원한 만성질환자의 주 가족원으로 총 103명이었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07년 7월 1일부터 8월 30일까지었으며 자료수집 은 만성질환을 진단받은 지 6개월 이상인 환자 중 입원후 1주일이 지난 환자의 가족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수집은 면담실에서 진행되었고 대상자가 직접 응답하도록 하여 소요시간은 20~30분이었다. 가족기능은 Smilkstein(1978)이 고안한 가족기능 지수(Family APGAR Score)를 윤방부와 곽기우(1985)가 번역한 도구로 측정하였다(Cronbach's α=.72). 부담감은 Norvak과 Guest(1989)의 Care-giver Burden Inventory와 Zarit등(1979)이 개발한 가족원의 부담감에 관한 도구를 장숙랑(1999)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이용하였다(Cronbach's α=.95). 삶의 질은 Andrews와 Withey (1976)의 삶의 질 도구를 정추자(1992)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Cronbach's α=.92). 자료분석은 SPSS Win 14.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X?-test,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를 이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족의 특성중 성별은 남자가 33명(32%), 여자가 70명(68%)이었고, 연령은 30세 미만이 32명(31.1%), 30∼40세 미만이 30명(16.5%)이었으며, 직업이 있는 경우가 36명(35%), 없는 경우가 67명(65%)이었다. 가족기능의 평균은 10점 만점에 6.69점으로 중등도 기능 수준에 속하고, 부담감의 평균은 116점 만점에 51.14점, 삶의 질의 평균은 92점 만점에 57.34점이었다. 가족의 특성에 따른 가족기능은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가족의 부담감은 특성 중에서 연령(F=2.903, p=.026), 교육정도(F=3.141, p=.048), 월수입(F=3.433, p=.011), 돌봄 시간(F=8.307, p= .000), 치료기대(F=3.751, p=.013), 월평균 의료비(F=4.323, p=.007), 돌보는 가족수(F=2.610, p=.040)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삶의 질은 가족의 특성중 월수입(F=3.307, p=.007), 교육정도(F=4.406, p=.01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가족기능에 따른 가족의 부담감(F=14.024, p=.000)과 삶의 질(F= 17.270, p= .000)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만성질환자 가족의 부담감과 삶의 질은 가족기능에 따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가족기능이 높을수록 부담감이 적고, 삶의 질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가족기능이 낮은 가족에게 문제가 있거나 어려운 일이 생겼을 경우에는 가족기능을 증진시켜서 보다 효과적으로 적응하고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겠다. 따라서 가족기능을 증진시키고 구조화하는 것이 간호사의 중요한 중재 역할이라 하겠다.

      • 유아교사의 식생활 및 영양지식이 영유아 급식지도에 미치는 영향

        김혜현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식생활, 영양지식, 급식지도 현황을 알아보고 유아교사의 식생활 및 영양지식이 영유아 급식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영유아 급식 지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 유아교사의 식생활, 영양지식, 급식지도의 현황은 어떠한가? 1) 유아교사의 식생활, 영양지식, 급식지도는 어떠한 경향을 보 이는가? 2)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식생활, 영양지식, 급식지도는 어떠한가? 2. 유아교사의 식생활 및 영양지식이 영유아 급식지도에 어떠한 영 향을 미치는가? 1) 유아교사의 식생활과 영양지식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2) 유아교사의 식생활과 영유아 급식지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3) 유아교사의 영양지식과 영유아 급식지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 가? 4) 유아교사의 식생활 및 영양지식이 영유아 급식지도에 어떠한 영 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27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247부를 회수하여 불성실한 자료 9부를 제외하고 238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세 가지 유형의 설문지로 유아교사의 식생활, 영양지식, 급식지도에 대한 설문지로 구성하였다. 유아교사의 식생활과 영양지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손현숙, 2009)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유아교사의 급식지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손현숙, 2009)의 설문지의 토대로 예비 조사한 내용과 관련 논문을 참고하여 연구 목적에 맞게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식생활 평균값은 5점 만점에 2.89, 영양지식을 1로 보았을 때 평균값은 0.67, 급식지도 평균값은 5점 만점에 2.00이다. 둘째, 유아교사의 근무경력이 적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자녀 양육경험이 없는 경우 바람직한 식생활이 이루어진다. 셋째 유아교사의 영양지식은 연령별로는 40세 이상의 교사, 근무경력별로는 5년 이상의 교사, 자녀 양육 경험이 있는 교사가 가장 높다. 넷째, 유아교사의 급식지도의 경우 연령별로는 5점 만점에 평균 1.95-2.03사이로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근무경력별로는 3년 미만의 교사가 급식지도를 가장 잘한다. 다섯째, 유아교사의 식생활 전체와 영양지식과의 관계는 r=.213 (p<.01)로 정적인(+) 관계를 나타내 식생활이 바람직한 교사는 영양지식이 높다. 여섯째, 유아교사의 식생활 전체와 급식지도 전체와의 관계는 r=.193(p<.01)로 정적인(+) 관계를 나타내 식생활이 바람직한 교사는 급식지도를 잘한다. 일곱째, 유아교사의 영양지식과 급식지도 전체와의 관계는 r=.167 (p<.01)로 정적인(+) 관계를 나타내 영양지식이 높은 교사는 급식지도를 잘한다. The influences of dietary life and nutritional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meal guidance for preschoolers hye-hyeon, Kim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his study investigated status of dietary life, nutritional knowledge, and meal guid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dietary life, nutritional knowledge, and meal guid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influences of dietary life and nutritional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meal guidance for preschoolers. In addition,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basic materials helpful for meal guidance for preschoolers. The subjects were 270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and 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247 sheets were collected and finally 238 were analyzed except for 9 insincerely answered. The measuring tools for this study were three types of questionnaire sheets, the contents of which consisted of dietary life, nutritional knowledge, and meal guidance. To measure dietary life and nutritional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 questionnaire sheet used in pre-study(Son Hyeonsuk, 2009) was used. To measure meal guid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 questionnaire sheet was used – the sheet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preliminary survey and referring to other theses by the author of this study, based on a questionnaire sheet used in pre-study(Son Hyeonsuk, 2009).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was all tested in significant level in p<.05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12.0program.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with desirable dietary life had high nutritional knowledge, and teachers with desirable dietary life and high nutritional knowledge performed meal guidance well. So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recognize that their own dietary life and nutritional knowledge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influences much on preschoolers. And they should strive to have right eating habit and nutritional knowledge. Second, education or training related to nutrition should continuously be prepared to form right eating habit and nutritional knowledg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hird,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develop and implement programs helpful for both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al aspect by designing systematic guidance methods of meal guidance.

      • 고등학교 사회과 초임교사들의 수업딜레마와 대응방식 : 내러티브 탐구

        김혜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내러티브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고등학교 사회과 초임교사들이 현실 맥락 속에서 경험하는 수업딜레마 상황과 그에 따른 대응방식을 솔직하고 깊이 있는 모습으로 담아내고자 시도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사회과 교사의 발달 과정을 이해하여 초임교사에 대한 지원 체계 구성이나 교사양성대학의 교사교육 방향 설정, 교직 입문 프로그램 개발 등에도 의미 있는 시사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사회과 초임교사 세 명을 선정하여 개방적 직접면담을 주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에 덧붙여 자서전적 글쓰기 등 다양한 형태의 형식적, 비형식적 문서를 제공받아 의미 해석 과정에 활용하였다. 내러티브 접근을 채택한 본 연구에서 초임교사들은 몇 년간의 삶을 회상하는 현장 맥락 속에서의 목소리를 과거, 현재, 미래라는 삼차원적 공간속에서 들려주었고, 이를 통해 분절적이고 단선적인 이해에서 벗어나 그들의 수업딜레마와 딜레마에 대응하는 방식을 살필 수 있었다. 연구 결과, 고등학교 사회과 초임교사들의 몇 가지 수업딜레마 양상이 드러났다. 첫째, ‘품고있기 대 내려놓기(이상과 현실)’이다. 이는 사회현상에 대한 안목을 넓힐 것인가? 아니면 객관적 평가 결과를 향상 시킬 것인가?, 사고력을 향상 시킬 것인가? 아니면 사회현상의 이해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것인가? 등과 같이 사회과의 궁극적 목표와 현실적 목표의 괴리 가운데 사회과 초임교사들이 고등학교라는 입시의 현실 속에서 사회과다운 수업을 구현하지 못한다는 것에서 오는 딜레마였다. 둘째, 물러서기 대 나아가기(타협과 변화)이다. 사회과의 토론․토의학습, 협동학습, 학생 중심의 양방향적 소통 수업의 수업방법에 대한 기대가 있으나 교실은 조용해야 한다는 묵시적 교섭이 자리 잡고 있는 상황 속에서 자유로운 양방향적 사회수업이 뜻대로 되지 않는 현실에서 오는 갈등이었다. 그리고 사회과는 심화선택과목으로 자신의 수업을 수능에서 선택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수업을 거부하는 학생들을 방관할 것인가? 아니면 끝까지 독려해야 할 것인가? 등의 문제에 대한 갈등도 있었다. 셋째, 등돌리기 대 하나되기(경쟁과 협력)이다. 이는 사회과라는 틀 속에서 역사, 지리, 일반사회 과목이 별도의 과목군으로 나뉘어 각자 자신들의 고유한 영역을 지키며 서로에 대한 장벽을 만들고 있어 초임교사들의 의사소통 통로가 막혀버림으로써 나타나는 갈등이었다. 넷째, 안주하기 대 거듭나기(유혹과 실천의지)이다. 사회과목의 특성 상 다양한 학습 자료가 넘쳐나고 교사의 노력 여하에 따라 교육과정 재구성 가능성이 매우 높은 교과이다. 그러나 초임교사에 대한 우려와 지나친 관심, 성적에 도움이 되지 않는 수업에 대해서 경계를 보이는 관리자의 인식이 초임교사에게 부담으로 작용하면서 갈등을 초래하고 있었다. 또한 이상적 수업에 대한 기대는 사회과 교과서 안의 ‘앎’과 실제 생활에서의 ‘삶’ 사이에 괴리를 경험하게 하고 있었고, 여러 과목을 가르쳐야 하는 사회과 교사의 특성 상 항상 시간상의 제약에 시달려야 하는 초임교사들에게는 중요과목과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과목사이에서 수업준비비중에 대한 갈등도 있어 교사 본연의 양심을 건드리는 내적 갈등이 언제나 수반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인정하기 대 기대하기(체념과 기대)이다. 이는 국어, 영어, 수학을 포기한 아이들도 대학에 가기 위해 끝까지 붙드는 과목이 바로 사회탐구 영역이기에 서로 다른 배경지식 정도가 큰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수준별 이동 수업이 잘 이루어지지 않은 사회과에서 학습자의 눈높이를 어떻게 조정해야 할지를 놓고 발생하는 어려움이었다. 덧붙여 사회과의 특성상 다양한 사례를 들어주면서도 개념중심 설명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야 하기 때문에 겪는 어려움, 다양한 학생들의 질문에 융통성 있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없는 상태에서 교사의 사회적 시각을 묻는 학생들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에 대한 어려움도 나타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수업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과 초임교사들의 대응방식으로는 부정하기에서 살아남기, 다가가기에서 일정거리 유지하기, 포기하기에서 한 쪽 눈감기, 변화하기에서 절충하기, 적응하기에서 인정받기 등과 같은 모습이 나타나고 있었다. 고등학교 사회과 초임교사들은 수업 자체에 대한 어려움보다는 여러 가지 구조적 환경이 자신의 수업에 많은 영향을 미치면서 수업딜레마로 이어지고 있었다. 즉, 학년통일의 원리, 지나친 학력 신장추구의 원리, 상호불간섭의 원리, 적당히 넘기기 원리 등 학교의 구조적 환경 속에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교사문화, 학생문화, 수업문화, 학교문화, 입시문화 등의 다양한 문화 속에서 이상과 현실의 괴리를 경험하고 있었다. 학생, 동료교사, 관리자 등 자신을 향해 쏟아지는 지나친 관심과 기대들 역시 큰 부담감으로 자리 잡고 있었고, 이러한 현상이 수업에 큰 영향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따라서 초임교사에 대한 지나친 관심과 배려를 하기보다 과연 그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조력해 주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또 수업에 대한 단순한 도움뿐만 아니라, 초임교사가 자신의 수업에 자부심을 갖고 능동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구조적 환경을 개선하는 다각적인 지원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 자극 감응형 다공성 실리카 전달 시스템 : Stimuli-Responsive Delivery System Based on Mesoporous Silica Capped with Cyclodextrin Gatekeepers

        김혜현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약물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효능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표적-특이성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DDS)에 대한 연구들이 광범위 하게 수행되고 있다. 효과적인 DDS에 필요한 이상적인 운반체는, 생체 적합성을 갖고 약물 탑재/캡슐화 능력이 크며 탑재한 약물의 사전 누출이 없고 세포/조직에 대한 특이성과 목표지향성을 가지며, 목표 위치에서 약물분자의 적절한 방출속도 조절이 가능한 특성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폴리머, 덴드리머, 리포솜 등이 pH와 같은 생리학적 조건의 화학적 요인들에 의하여 촉발되는 운반체의 분해에 따라 약물을 방출하는 “smart” DDS로 개발되고 있다. 지금까지 약물의 사전 누출이 없는 완벽한 고분자 물질 운반체는 개발되지 않고 있다. 최근의 연구는, 사전 누출 문제없이 표적 조직 또는 세포 내 소포에까지 비교적 다량의 약물분자를 전달하는 구조적으로 안정한 DDS의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다공성 실리카는 높은 안정성과 화학적 다양성, 생체적합성, 명확한 구조와 표면특성을 가진 약물전달체로 가능성 있는 무기물 나노입자로 주목을 받고 있다. FDA에서 “Generally recognized as safe”로 안정성을 인정 받았으며, 항생물질의 조절 방출뿐 아니라 자성 나노입자, 고분자 물질과 마이셀 등 여러 DDS의 생체적합성 강화에도 실리카의 유용성이 보고되었다. 여러 그룹에서 다공성 실리카를 외부 자극에 의해 약물전달체로 이용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산화, 환원, pH변화, 효소, 열, 빛 등의 다양한 자극에 의해 제어방출 되는 시스템에 대한 보고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에 cyclodextrin이라는 초분자를 도입하여 실리카 안에 봉입되어 있는 약물이 방출되는 것을 제어하고, 외부 자극에 의해 약물이 제어 방출 되는 시스템에 대한 내용을 보고하였다. 1장에서는, glutathione이라는 펩타이드에 감응하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보고하였으며, 2장에서는 α-amylase라는 효소에 감응하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보고하였다.

      • 1인 헤어샵의 재교육과 직무능력에 대한 연구

        김혜현 신라대학교 산업융합대학원 신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bout reeducation and job competency of one-person hair salon. The status of operation of one-person hair salon, reeducation status, differences between the attributes of reeducation on job competency, and the effect of reeducation on job competency was investigated. First, in terms of the current operating status of single-person hair salons, the most common salon location was in residential areas (74.6%), and the number of salons was found to be between 10 and 20 pyeong in the size the most. As for the number of training completed by one-person hair salon operators, most majors in beauty related were the most, and salon operator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was the most. The average monthly income was 3 million won to 5 million won the most, and the working hours were 8 to less than 10 hours the most. Second,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reeducation was high in the survey of one-person hair salons, indicating that reeducation was necessary. Information collection for reeducation was found to be obtained through TV or the Internet, and the number of average times reeducation was received more than 40 times since the opening of the hair salon. It appeared that they received reeducation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ir skills, and the institution that received the most reeducation was the Beauty Association. When selecting a reeducation institution, it was found that education content was the most important, and the content of reeducation was mostly technical training. In addition, the number of perm training was higher than the number of cut training and dyeing training. Third, as for the difference in general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one-person hair salon reeducation and job ability, it was found that all three factors, such as beauty skills, confidence in customer service, and beauty trend, had differences in the attributes of gender, age, and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attributes of one-person salon operation regarding job competenc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salon size, education completion, experience, and monthly average income level based on the level of beauty skills, confidence in customer service and beauty trend. Working hours were related to confidence in customer service and beauty trend attributes. Fourth, reeduc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eauty skills, confidence in customer service, and beauty trend among the sub-factors of job competenc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reeducation and the more frequent reeducation, the higher the job ability. As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attributes of reeducation for job competenc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urpose of reeducation and the attributes of importance when selecting an institution for beauty technology, confidence in customer service, and beauty trends. These results show that hair and beauty business highly value the need for reeducation because the nature of the hair and beauty industry requires training for new skills, and the content of the education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That's the reason why the beautician receive reeducation. Reeducation was found to mainly receive technical education from the Beauty Association, and the higher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reeducation, the greater the number of reeduc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work ability beauty technology, confidence in customer service, and beauty trends increases. As a result, one-person hair salon beauticians recognize that individual beauty skills are essential for salon operation, and for this reason, their participation in reeducation to improve technology and learn new trend techniques is high. 본 연구는 1인 헤어샵의 재교육과 직무능력에 대한 연구로 1인 헤어샵의 운영실태, 재교육 실태, 재교육과 직무능력의 세부적 요인, 재교육과 직무능력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인 헤어샵의 운영실태는 샵 위치가 주거지역이 74.6%로 가장 많았고, 샵 평수는 10평 이상 ~ 20평 미만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인 헤어샵 운영자의 교육 이수로는 미용 관련학과 전공이 가장 많았으며, 10년 이상의 샵 운영자가 많았다. 월평균 소득으로 300만 원 이상 ~ 500만 원 이하가 가장 많았으며, 근무시간은 8시간 이상 ~ 10시간 미만이 가장 많게 나타났다. 둘째, 1인 헤어샵의 재교육 실태에서 재교육의 필요성 인식이 높게 나타나 재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교육의 정보수집은 TV 또는 인터넷으로 재교육의 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용업 개설 후 현재까지 재교육을 받은 횟수는 40회 이상으로 나타났다. 기술향상의 목적으로 재교육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교육을 많이 받은 기관은 미용협회로 나타났다. 재교육 기관 선정 시 교육내용을 가장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교육의 내용은 기술교육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커트교육과 염색 교육의 횟수보다 펌 교육 횟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1인 헤어샵 재교육과 직무능력의 관계로 일반적 특성의 차이는 미용 기술력, 고객 응대 자신감, 미용트렌드, 3가지 요인 모두가 성별, 연령, 최종학력의 속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능력에 대한 1인 샵 운영 속성 간 차이는 미용 기술력, 고객 응대 자신감, 미용트렌드에 대해 샵 평수, 교육 이수, 경력, 월평균 소득수준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근무시간은 고객 응대 자신감, 미용트렌드 속성과 관계가 있었다. 넷째, 재교육이 직무능력에 대한 하위요인 중 미용 기술력, 고객 응대 자신감, 미용트렌드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보였다. 재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고 재교육을 받은 횟수가 많을수록 직무능력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직무능력에 대한 재교육의 속성 간 차이는 미용 기술력, 고객 응대 자신감, 미용트렌드에 대해서는 재교육의 목적과 기관선정 시 중요사항의 속성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헤어 미용업의 특성상 새로운 기술과 기능의 훈련이 필요하므로 미용인은 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교육내용에 대해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술향상을 위해 재교육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교육은 미용협회의 기술교육을 주로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고, 재교육을 받은 횟수가 많을수록 직무능력에 대한 3가지 요인인 미용 기술력, 고객 응대 자신감, 미용트렌드 전문지식의 직무능력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1인 헤어샵 미용인들은 샵 운영에 개인의 미용 기능과 기술력이 필수적인 요소라는 인식을 하고 있으며 그러한 이유로 기술향상과 새로운 트렌드 테크닉을 익히기 위해 재교육에 대한 참여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 가야금을 이용한 오디오-비주얼 인터랙티브 설치작품 표현 연구 : <풍류(風流): 침향무>를 중심으로

        김혜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the Audio-Visual concept is not unfamiliar or new to us because we are surrounded with the multimedia environment. Yet the interaction between auditory sense and the sense of sight can affect to the human spirit very powerfully. For instance, in history there is a record that is religious groups like Rosicrucian and Freemason used audio-visual feasts and secret religious meetings in ancient Greece. In Korean exorcism, people stepped out of reality and entered into the spiritual world of through the audio-visual effects. Recently, we can see cooperative performances made by DJs and VJs at clubs or parties which make people wild with enthusiasm. Today, the music video industry captivates the younger generation so that we can no longer imagine music without a video. This is because of the strong audio-visual stimuli. Since ancient times there were no digital technologies and digital Medias, so thinkers and philosophers such as Aristotle (384-322 B.C.)and Socrates have searched for unifying principles that could explain our multisensory experiences of the world and the arts, there were many attempts and researches done by artists about the audio-visual expression. All this aspects of audio-visual effects are interesting. In the field of media art in which digital technology and arts are combined, the boundary between artists and spectators and between performers and audience falls down, and a new concept of a user appears. Digital technology allows an artist to easily control the extent of spectators’ participation in their works and to diversify the method of their participation, through which it changes the experience of appreciating works of art into more active experience. This experience is not the experience that all the spectators feel same, but the different experience for each individual, and beyond diversity, it can be selectively customized to an individual. Currently, digital technology accelerates this change. Digital technology, which makes convergence with the multi-media properties of digital media possible, expands the scope of arts to more complex and newly empirical experience in which the sense of touch and the sense of sight are combined, beyond the boundary between the existing visual and auditory arts such as paintings or music. In this study, I attempted to unify and combine visual arts to audio arts using digital technology. I focused on the gayaguem and modify the musical instrument interface, which usually requires a skill for play. It allows people to play easily and enjoy the new music playing experiment using a simpler musical interface. People make music with gayaguem sound source but the music they play is different from the music played with original gayaguem. My goal in this paper is to make a media art work that people can play music and draw a picture at the same time and remains an Indian ink painting after a playing. In my work eight strokes made with brush are matched with eight sounds properly to visualize the music. 오늘날 다양한 멀티미디어 환경에 둘러싸여 있는 우리에게 오디오-비주얼의 개념은 전혀 새롭거나 낯설지 않은 개념이지만 시각과 청각의 교류는 인간 정신에 매우 강력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역사적인 일례로 서양의 고대 그리스의 비밀 종교집회를 비롯한 장미십자회, 프리메이슨, 등의 종교집단에서 시청각적인 향연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우리나라의 굿판에서도 시청각적 효과를 통해서 현실을 떠나 영혼의 세계로 들어가는 현상이 일어난다. 현재 클럽이나 DJ파티문화에서 DJing과 함께 어우러지는 VJing이 사람들을 열광시키고 영상이 없는 음악은 뭔가 허전하다고 느낄 정도로 뮤직 비디오가 젊은 세대들을 사로 잡고 있는 것은 시청각적인 자극이 강력한 힘을 발휘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우리에게 디지털 기술이나 매체가 없었던 고대부터 아리스토텔레스와 피타고라스를 포함한 사상가들과 철학자들이 세상에 대한 우리의 다감각적인 경험을 설명할 수 있는 통합법칙에 대해서 탐색해 왔으며 예술 분야에서 많은 사람들의 시청각적인 표현에 대한 시도와 연구가 있었다는 점은 매우 흥미롭다. 과거에도 시각과 청각을 연결한 많은 작품표현이 있었지만 현재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발전하는 디지털 기술은 시각과 청각의 통합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촉각과 후각 까지도 접목시킨 복합적이고 새로운 예술 창작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은 시각적이든 청각적이든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들을 디지털 코드로 환원시켜서 다양한 방식으로 섞고 연결 시킬 수 있기 때문에 디지털 기술과 예술의 결합인 미디어 아트 분야를 보면 다감각적인 새로운 예술작품 표현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고 있기에 디지털 매체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미디어 아트의 특징들로는 상호작용성, 가상성, 환영성, 비선형성, 가변성 등을 들 수 있다. 상호작용성을 잘 볼 수 있는 인터랙션이 가능한 작품에서는 관람객이 사용자로서 작품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작품을 완성해 나가며 사용자의 참여로 매번 작품은 달라지게 된다. 이때 사용자인 관람객들의 체험은 각각의 개인마다 다른 체험이며 개인이 선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성을 넘어서 개인에게 맞춤화까지 될 수 있는 체험이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지 않은 과거 예술에서도 관객의 참여로 이루어지는 참여적인 작품들이 있었지만 현재의 디지털 기술은 작가가 관람객의 참여의 정도와 방식을 쉽고 다양하게 조정하고 설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참여적이고 쌍방향적인 새롭고 다양한 예술 표현을 가속화 시키고 있다. 본 논문의 연구에서는 시각예술과 청각예술로 분리되어 발전되어 온 한국 전통 예술인 국악과 한국화를 연결하는 시도를 해보고자 하였다. 국악기 중에서 가야금에 초점을 맞춰서 오랜 시간의 연습을 통해 익힌 숙련된 기술로 연주해야 하는 악기인터페이스를 변형하여 좀 더 쉬운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주와 감상의 간격을 좁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제 가야금에서와 다른 연주체험을 할 수 있게 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작품 <풍류(風流): 침향무>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연주하는 가야금 곡을 감상하고 연주와 동시에 그려지는 수묵화를 감상한다. 그리고 소리의 자취라고 할 수 있는 수묵화를 연주 중에 언제든지 가상의 갤러리에 저장하여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다. 본 작품은 가야금 연주 곡인 황병기의 ‘침향무’를 모티브로 하여 제작하였으며, 작품에서 사용한 사운드는 ‘침향무’ 연주를 녹음한 음악파일에서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사용자가 연주와 함께 그리는 이미지는 ‘침향무’라는 제목에 맞추어 춤을 추는 사람들의 모습을 그린 추상화처럼 보이게 구성될 수 있도록 붓 획을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 대구 경북 중학생의 경제 이해력 분석

        김혜현 경북대학교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is study was started with a problem awareness that economic education should be further strengthened in the market economy system, and analysis of economic understanding is essential in economic education. For the study, a questionnaire was reorganized by the Korea Economic Education Association to evaluate the economic understand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nationwide and surveyed 331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Economic literacy’is defined as the degree to which students understand'basic economics-related concepts' and the ability to apply their knowledge to the situation of economic problems faced in everyday life. As a result of a survey of all 331 students, the average score was 40.03. The lowest score is 0, with 2 (6%), and the highest with 90, with 1 (3%). The mode is 35 points, and the mode is lower than the average. In other words, it is static (positive). This is because each question for measuring economic comprehension has a low level of students and a lot of low scores because the questionnaire question is difficult compared to the level. As a result of comparing 9,598 students nationwide with 940 students in Daegu in 2010 using the same questionnaire, the economic understand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fell to a low level in 2019. Questions with a high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re generally concepts related to economic problems that students must solve in their daily lives, or questions that can be guessed at the level of common sense to infer the correct answer. However, the questions with a low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re concepts that have few opportunities to encounter in everyday life, and are concepts that require learning knowledge through class. If the goal is to increase students' economic understanding, understanding their attitude toward economics is an important prerequisite. In this study, among students' attitudes toward economy, how they think about their level of knowledge about economic concepts. To this end, subjective understanding was defined and investigated as'the degree to which students judge and evaluate the degree of knowledge about economic concepts'. As for the results of the students' subjective understanding, 15.7% answered'I know clearly', 35.5% answered'Normal', and 48.9% answered'I don't know'. Nearly half of the negative responses are. These results are much lower than the level of objective comprehension. In other words, students do not understand their level of objective comprehension well, think that economic concepts are difficult, and think that their knowledge is insufficient. A high or low subjective understanding of economics does not mean a high or low objective understanding. However, in general, it shows that subjective understanding and objective comprehension are generally positively correlated. Students have misunderstandings about their economic concepts, so they have incorrect knowledge or have an uncertain attitude. If the correct answer was correct, but answered'I don't know', the concept was defined as'no confidence'. On the contrary, if the answer was not correct, but answered'I know for sure', it was defined as'misconception'. There is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uncertainty and misunderstanding. However, there seems to be no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nd uncertainty and misunderstanding. In addition to the correct answer, the wrong answer option chosen by many students was defined as'charming wrong answ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attractive incorrect answers an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s not entirely directly proportional, but in general, the higher the attractive percentage of incorrect answers, the lower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other words, attractive incorrect answers influence the choice of correct ans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