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혜진의 졸업 작품 「The Songs of Universe」해설

        김혜진 동덕여대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 공연에서 발표한 3개의 작품을 분석한 것이다. 각 작품들의 창작배경을 설명하고 곡의 형식과 선율 구조 및 화성구조를 분석하여 작곡자의 작곡 의도와 음악적인 특징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작품의 주제는 「The Songs of Universe」이다. 작곡자가 생각하는 가장 중요하고 진솔한 이야기를 담고자 가족에 대한 곡을 작곡하였고 그 중 아버지와 남편, 아들 세 남자를 주제로 곡을 창작하였다. 창작한 3곡은 Rhythm Section 편성인 피아노(Piano), 기타(Guitar), 콘트라베이스(Contrabass) 그리고 드럼(Drum) Quartet 편성이며, 각 작품별로 주제와 이미지에 맞는 장르를 선정하고 편곡하였다. 첫 번째 작품은 16Beat Jazz Ballad곡으로 Phrygian에서 Major Scale로 분위기의 반전이 보이는 작품이며, 두 번째 작품은 Intro부터 시작 된 Motif를 통한 Sequence의 변화, 발전으로 곡 전체를 이끌어가며 Non Diatonic한 코드의 병행적 배치와 그에 따른 Voicing이 특징인 작품이다. 세 번째 작품은 동요 「작은 별」에서 가져온 선율을 7박으로 표현하고 전체적인 코드를 Dominant7th로 배치하여 Funk Style을 바탕으로 Blues적인 요소를 반영하였다. 본론을 통하여 각 작품들의 창작 배경과 음악적 특징을 분석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 본(本)살풀이 구성 원리 연구

        김혜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살풀이는 살풀이의 기본이 되는 춤으로서 조선조 말 한성준(1874-1942)에 의하여 정립되었다. 본살풀이에 담긴 춤의 기본성과 전통의 토대를 지닌 면에서 연구의 필요성을 찾게 되었다. 본 논문은 현재 전승되고 있는 본살풀이의 내용을 분석․정리하여 춤사위의 구성 원리를 탐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08년 9월부터 한국전통춤회를 연구 단체로 삼아 수련장 및 활동 현장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참여관찰 및 전문가와의 면담을 자료수집 방법으로 채택하고 본 연구자가 직접 춤을 추기도 하면서 참여와 관찰을 병행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춤사위를 분석대상으로 삼아 마루를 단위로 분석하고 춤사위를 글로 풀어내었으며, 춤이 추어질 때 마루바닥에 그려지는 선(線)인 춤길을 오방(五方) 개념 안에서 파악하여 도해하였다. 본살풀이의 전승 내용을 정리한 결과, 본살풀이는 57가지 춤사위가 열 마루로 엮여 있으며, 장단수는 굿거리장단이 56장단, 자진모리장단이 34장단으로서 한 판의 소요시간은 약 7분이다. 춤을 관찰하여 본살풀이 구성 내용을 정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춤사위의 구성 원리를 발견하였다. 중심잡기, 맺고 풀기, 삼진삼퇴(三進三退), 소삼대삼(小三大三), 연결사위로 이어가기, 춤사위의 반복, 기운 누르기, 회전, 전서후속(前徐後速; 느림에서 빠름으로) 또한, 춤길 구성에 있어서는 회귀(回歸)의 원리, 구조반복의 원리, 오방(五方)의 원리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의 본살풀이 구성 원리로부터 다음과 같은 사상적 특징을 찾을 수 있었다. 첫째, 본살풀이는 반복과 변화라는 특징을 지닌다. 둘째, 소삼대삼(小三大三), 삼진삼퇴(三進三退)를 비롯하여 춤사위가 반복됨에 있어서도 세 번씩 회전하고 세 번씩 같은 춤사위를 이어 추는 등, 춤사위 구성 원리 안에는 삼(三)사상이 담겨있다. 셋째, 춤의 시․공간적 구성에서 자연의 성격을 찾아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정리된 본살풀이 구성 내용은 춤의 기초자료로서 의미가 있으며, 후속 연구를 통하여 교본(敎本)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탐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살풀이에 관한 논의는 타 연구자의 새로운 착안과 논의가 따를 수 있으리라 사려 된다. 뿐만 아니라 본살풀이를 비롯한 여타의 춤에 대한 분석 연구를 통하여 향후 춤 구성 원리의 귀납적 일반화 작업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Bon-Salpuri is the basic dance of Salpuri, which is established by Seongjoon Han(1874-1942) who is an artist at the end of Chosun Dynasty. The necessity of this study is found at the adequateness of it's fundamentality and the basis of traditio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constructive principles by analysis and arrangement of Bon-Salpuri. The researcher has adopted th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unstructured interview as the methods of research and participate in the training at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Group(KTDG) from September, 2008, so the whole stage of KTDG has been this study's field. The researcher has had 'chumsawi' as a target of the analysis, which is a piece of dance, 'maru' as the analyzing unit, has explained chumsawi in plain terms, and has presented chumgil that is the way of dance by a diagram which means obang(五方; five directions) concept. The result of the arrangement of the transmission of the Bon-Salpuri's contents is that ten maru with 57 chumsawi compose Bon-Salpuri, and the time of rhythm is 56 times of Gutgeori rhythm, and so is 34 times of Jajinmori rhythm. Bon-Salpuri requires about 7 minutes to dance one time. The constructive principles of Bon-Salpuri chumsawi are like as below. Keeping balance, Tie and untie, Samjinsamtoi(三進三退; three times go straight and then three times come back), Sosamdaesam(小三大三; three times move smallar and then three times do bigger), Connection to the next step with connecting-sawi, Repetition of the same chumsawi, Press the qi-moving, Turn, Jeonseohusok(前徐後速; slow first and then fast). Also, it is found that Hoigui(回歸; Return), Repetition of the structure, Obang(五方; five directions) as constructive principles of chumgil.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below. First, the constructive principles of Bon-Salpuri has thoughtful characteristics which is change and repetition. Second, there is Sam(三; three) thought in chumsawi's constructive principles. Third, it could be found naturalness in the structure of dance in time and space. Bon-Salpuri contents in this thesis could be used as basic research materials of dance, and through follow-up research, it could be explored that the possibility to use as a textbook exists. And the debate concerning Bon-Salpuri's essential characteristics could be followed by other researchers new observation and discussion. Furthermore, through analyzing not only Bon-Salpuri but also other dance, it could be possible to work on inductive generalization about constructive principles of dance.

      • 독서 클럽 활동이 독서 습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 : '독서기록장 쓰기'를 중심으로

        김혜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 클럽 활동을 통한 독서기록장 쓰기를 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독서 습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도서 선정하기-선정한 책 읽기-토의하기-독서기록장 쓰기-정리 및 내면화’의 5단계로 나누어 독서클럽 활동을 운영하였다. 어떻게 하면 학생들로 하여금 독서에 흥미를 갖게 하고, 더 나아가 평소에 독서가 습관화될 수 있을까에 초점을 두었다. 따라서 학생들이 독서클럽 활동을 통하여 어떻게 도서를 선정하고, 어떻게 읽기 및 토의 활동을 전개하며, 이를 바탕으로 어떻게 독서기록장 쓰기 활동을 할 것인지에 주된 관심을 가지고 실제 수업에 독서 클럽 활동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크게 세 가지로 첫째, 독서 클럽 활동을 통한 구체적인 지도 방법은 무엇인가? 둘째, 다양한 독서기록장 쓰기의 구체적인 지도 방법은 무엇인가? 셋째, 독서 클럽 활동을 통한 독서기록장 쓰기가 독서 습관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등이다. Ⅱ장에서는 독서 클럽 활동의 바탕에 된 언어와 발달에 관한 비고츠키(Vygotsky)의 개념, 의미의 사회적 구성에 관한 바흐친(Bakhtin)의 개념, 독자 반응에 관한 로젠블랫(Rosenblatt)과 이저(Iser)의 개념을 통해 이론적 배경이 되는 논의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학습자 중심과 과정 중심 교수학습의 원리를 구체화하여 독서 클럽 활동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독서, 쓰기, 토의, 교수 등 독서 클럽 활동의 구성 요소를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독서 클럽 활동 대상과 연구 기간 그리고 연구 설계 및 연구 절차를 제시하였다. 또한 독서 클럽 활동을 매주 1시간씩 23차시에 걸쳐 정규 수업 시간을 이용하여 중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한 과정을 약술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의 과정을 상세히 기술하였다. 먼저 연구의 가장 중심이 되는 ‘향나루터’라는 독서기록장의 제작에 대해 살펴보았다. 독서기록장의 구성은 ①외적 형식, ②독서 및 감상 방법, ③글의 이해와 관련된 내용, ④글을 읽고 난 후의 감상과 활동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은 독서 클럽의 조직으로 모둠의 구성 방법과 독서 클럽의 운영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그리고 독서 클럽 활동에 필요한 교수학습 과정안과 차시별 지도 계획을 소개하였다. 차시별 지도 계획에 따라 도서 선정하기, 읽기 전/중/후 활동, 토의 모형을 적용한 독서 토의 과정, 독서기록장 쓰기 활동, 정리 및 내면화 과정 등을 상세하게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독서 클럽 활동을 통한 독서기록장 쓰기의 효율성 및 기대 효과를 분석하였다. 도서의 선정은 독서 클럽별로 토의를 통하여 스스로 선정하도록 하였고, 선정에 어려움을 겪거나 토의에 부적합할 경우 교사가 적절히 개입하여 책 선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선정한 책을 읽을 때에는 다양한 읽기 전/중/후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읽기 활동지를 제공하여 텍스트의 내용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텍스트에 대한 반응을 형성하였다. 모둠별로 선정한 책에 알맞은 독서 토의 모형을 제시하고 토의함으로써 학생들의 내적 반응을 확장하고 심화시켰다. 토의 한 내용을 바탕으로 독후 활동인 독서기록장 쓰기를 하여 확산적 사고 및 창조적 사고를 신장하도록 하였다. 전체 활동이 끝나면 그동안의 독서 클럽 활동 결과를 모아 각 모둠별로 우수작을 선정하고 작품 전시회를 개최하여 독서가 내면화될 수 있도록 하였다. Ⅴ장에서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독서 클럽 활동을 통한 독서기록장 쓰기 프로그램을 학생들에게 적용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생들은 이러한 독서 활동을 매우 흥미 있게 생각하였으며, 이 활동을 통하여 독서에 대한 동기, 태도, 습관을 보다 더 긍정적인 방향으로 향상시킬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독서 활동은 각각의 학습자들이 지닌 개성을 존중하여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흥미와 능력에 맞게 독서 자료와 독서 활동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학습자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 셋째, 독서 클럽 활동이나 독서기록장 쓰기 활동은 사고의 폭을 심화확장시키고 창의적 사고를 신장시킬 수 있었다. 넷째, 다양한 독후 활동으로 구성된 독서기록장을 직접 제작하였고, 이를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지도 과정과 예시를 제시하였다. 아직까지 학교 현장에서 독서 클럽 활동이나 독서기록장 쓰기를 통한 독서 지도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 결과 독서 클럽 활동을 통한 독서기록장 쓰기가 학교에서 교과 활동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교사가 적절한 지도 프로그램을 투입한다면 학생들은 스스로 독서 활동에 즐겁게 참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독서 클럽 활동을 통한 독서기록장 쓰기 프로그램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는 방안이 더욱 연구되어야 하겠다.

      • 방사선사 초음파검사 업무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분석

        김혜진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사 초음파검사업무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방사선사 425명 (초음파사: 203명, 일반방사선사 22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설문내용은 인구학적 특성, 자기효능감 4문항, 직무역량 8문항, 외적보상 7문항, 직무만족도 7문항으로 리커트 5점 척도로 조사하였고, 모두 크론바하 알파 값이 0.6 이상으로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통계분석은 인구학적 특성의 기술적 통계와 두 그룹의 변수 간 평균차이 비교를 위한 독립표본 T-test, 변수 간 상관관계분석은 스피어만 상관계수와 피어슨 상관계수로 검정하였다. 그룹별로 변수 간 구조적 관계를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기효능감은 초음파사는 4.057점 일반방사선사는 4.086점으로 유의미한 평균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직무만족도는 초음파사가 4.151점 일반방사선사는 3.359점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차이를 보였다. 자기효능감과 직무역량은 초음파사(r=.509, p<0.01)와 일반방사선사(r=.537, p<0.01)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가졌다. 직무만족도는 초음파사는 직무역량(r=464, p<0.01)과 일반방사선사는 외적보상(r=587, p<0.01)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에서 초음파사는 직무역량과 외적보상이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일반방사선사는 외적보상이 직무만족도에 가장 크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추후 방사선사가 초음파사로 진로를 탐색할 때 의미 있는 기초자료로 사용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job satisfaction of ultrasound examination field 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survey of 425 radiological technologists (Ultrasound examination field of sonographers : 203, radiographic images examination field of general radiological technologists : 222) who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and obtained a radiological technologists licens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4 questions, job competency 8 questions, extrinsic reward 7 questions, and job satisfaction 7 questions. For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for comparison of mean difference between variables of two groups were tested with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for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for each group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s. As a result, self-efficac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mean difference of 4.057 for the sonographers and 4.086 for the radiological technologists, and the job satisfaction showed a high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job satisfaction rate of 4.151 for the sonographers and 3.359 for the radiological technologists. Both groups had a high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job competency (r=.509, p<0.01) and (r=.537, p<0.01), and job satisfaction (r=387, p<0.01), and (r=344, p<0.01) respectivel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n the sonographers, job competency (Estimate=.382) and extrinsic compensation (Estimate=0.259) significantly affected job satisfaction, and in the radiological technologists, extrinsic compensation (Estimate=.582) had the greatest effect on job satisfaction. significantly affecte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career exploration 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as sonographers, and will be used for successful career transition as a radiological techoologists.

      • 성공한 사람들의 성공 이후의 삶

        김혜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성공한 사람들의 성공 이후의 삶에 관한 본 연구는 성공한 사람들이 성공 이후의 삶을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 이들에게 성공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고, 어떤 과정을 거쳐서 어떠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으며, 어떠한 삶의 이야기를 살아내고 있는지를 이해하고자 시작되었다. 성공 이후의 삶은 성공을 경험한 사람들이 살아온, 살아내고, 살아갈 이야기들이므로 시간과 사회, 장소의 3차원적 탐구 공간 내에서 연구 참여자들의 삶을 탐색하였고, 성공을 경험한 사람들의 성공 이후의 경험을 이해하고 그것에 의미를 부여하는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내러티브 탐구(Clandidnin, & Connelly, 2000) 방법을 선택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는 연구 참여자의 삶의 이야기를 함께 살아내고(livings), 삶의 이야기를 말하고(tellings), 다시 말하고(retellings), 다시 살아가면서(relivings) 재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경험하고, 성장하고 변화하는 모든 과정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성공을 경험한 연구 참여자들의 성공 이후의 삶에 초점을 두고, 그 참여자들이 주체가 되어 삶 전반에 걸친 경험으로 기본 구조를 이루는 본 연구의 가장 유용한 연구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 참여자들은 서로 다른 성별과 직업을 가진 60세 이상의 스스로 목적한 바를 이루고, 우리 사회가 인정하는 뚜렷한 성공, 즉 객관적 성공과 주관적 성공을 모두 경험한 사람들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6년 10월부터 2018년 4월까지로 약 1년 6개월 정도이고, 면담은 최소 4회에서 7회까지(추가 면담 1~2회 포함) 진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Clandidnin과 Connelly가 제안하는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따라 면담 내용을 반복해서 듣고, 전사한 텍스트와 분석 자료들을 수없이 읽어가며 성공 이후의 삶의 의미를 분석하고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생생하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에 대한 간단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들의 삶에서 경험된 성공 이후의 삶을 연구 참여자들의 언어를 살려 ‘Never ending story', ‘두 개의 인생이 연결되는 순간’, ‘지금 이 순간, 있는 그대로’라는 연대기적 주제들로 나누고 시간 순서에 따라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살펴보았다. 첫 번째 참여자인 [김재현]의 이야기는 연대기적 주제인 <Never ending story>에서 ‘난 장남이 아니야’, ‘괜찮아, 잘 될거야’, ‘토막토막이 이루어져’로 재구성 하였다. <두 개의 인생이 연결되는 순간>에서는 ‘욕심이 없어져 - 비움’, ‘변하지 않는 철학 - 노력’, ‘위로 받고 위로 주는 우리 - 채움’으로 성공 이전과 이후가 연결되는 순간을 이야기했다. <지금 이 순간, 있는 그대로>에서는 ‘떠나는 그 순간까지’, ‘삶과 죽음은 신의 영역’, ‘그럼에도 불구하고’로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현재를 살아내고 미래를 살아가는 이야기를 담았다. 두 번째 참여자인 [주연수]의 이야기는 연대기적 주제인 <Never ending story>에서 ‘대신에 나는 좋은 딸이 되자’, ‘언니가 하지 못한 걸 내가 한 거야’, ‘내 인생의 전환점’으로 재구성 하였다. <두 개의 인생이 연결되는 순간>에서는 ‘I know. I am loved’, ‘선물같이 온 당신’, ‘결국 사람이다’로 성공 이전과 이후가 연결되는 순간을 이야기했다. <지금 이 순간, 있는 그대로>에서는 ‘마음살이 준 성장’, ‘두렵지만 인생의 완성이 바로 죽음’, ‘나를 살아있게 하는 힘’으로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지금과 그 이후를 살아가는 이야기를 담았다. 마지막으로 [이상우]의 이야기는 대 주제인 <Never ending story>에서 ‘나도 인정받고 싶어’, ‘스스로 나를 지키는 법’, ‘인생은 타이밍’으로 재구성 하였다. <두 개의 인생이 연결되는 순간>에서는 버리고 채운다’, ‘인정하고 인정받는 우리’, ‘함께 달리는 의사들’로 성공 이전과 이후가 연결되는 순간을 이야기했다. <지금 이 순간, 있는 그대로>에서는 ‘거센 파도를 견디고’, ‘구구팔팔 이삼사’, ‘가치를 실현하는 삶’으로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현재를 살아내고 미래를 살아가는 이야기를 담았다. 연구자는 이와 같은 연구 참여자들의 삶의 이야기 속에서 찾은 성공 이후의 삶의 의미로 <인정받기보다 인정하는 삶으로>, <소확행(小確幸), 순간에서 즐거움을 찾다>, <있는 그대로의 나로 살다>, <아프고 성장하는 아직 끝나지 않은 이야기>라는 주제를 도출하였다. 그들에게 성공은 한 가지 단어나 문장으로 표현하기 어려운 그들 개개인의 삶이 담겨있는 무엇이다. 바람이 불면 흔들리고, 태풍을 딛고 일어서서 오늘을 견디고, 순간의 즐거움을 누리는 것이 성공한 사람들이 살아가는 성공 이후의 삶이다. 그리고 어제와 오늘을 살아가는 나와 우리 모두가 경험하는 삶인 것이다.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들은 성공 이후의 삶의 이야기를 통해 변화를 경험하였고, 그 과정을 통해 성공 이후의 삶에서 발견한 진정한 의미는 Here and Now, “지금 이 순간,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이는 것”이라고 이야기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의 경험은 물론 연구자의 경험에서도 의미 있는 변화를 발견하고 통합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통찰의 기회가 되었고, 성공 이후의 개개인의 삶을 질적으로 연구하여 추후 성공에 관한 여러 가지 연구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요어 : 성공, 성공한 사람들, 성공 이후의 삶, 내러티브 탐구 This study on the successful people’s life after their accomplishment in life attempted to comprehend how successful people live their lives after success, what success means to them, what kind of processes and changes they have been experiencing, and what kind of life stories they have been living. The life of research participants were explored in three-dimensional spaces of time, society, and place as the successful people’s life after their accomplishment in life is a collection of stories that people who have experienced success have lived, are living, and will live. Narrative Inquiry(Clandinin, & Connelly, 2000),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understand and offer meaning to experiences of successful people’s life after the success, was selected to operate the research. Narrative inquiry conveys the integrated process of experience, growth, and change through the course of living, telling, retelling, and reconstruction of the life stories of the participants, Therefore, it is the most valuable method for this study as it focuses on the life after the success of the participants who have experienced the success, and the essential structure of the study is composed of the life-long experiences of the autonomous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both objective - accomplished their own goals - and subjective successes - achieved definite success acknowledged by the society - with different sex and occupation, and age of 60 years or older were selected. The data collection took about 1 year and 6 months from October 2016 to April 2018, and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at least 4 times to 7 times(including one or two additional interview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narrative inquiry procedure proposed by Clandidnin and Connelly; analyzing the meaning of life after success and endeavoring to vividly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via repeatedly listening to the interviews, numerously reading through the texts and analyzed data. A brief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life after the success of the participants were segmented into chronological themes and examined according to time sequence. ‘Never ending story', ‘The moment when two lives are connected', and ‘Right at this moment, as it is’ were named revitalizing the language of the participants. The story of the first participant, [Jae-Hyun Kim], was reconstructed from the chronological theme <Never ending story> to I am not the eldest son', ‘It will be okay, it will be alright’, and ‘Connected piece by piece’. <The moment when two lives are connected> illustrated the moment when life before and after success were bridged through ‘Disappeared greed – emptiness’, ‘Unchanging philosophy – effort’, and ‘Us, receiving and giving comfort – fulfillment’. <Right at this moment, as it is> portrayed the story of living the present and in the future as it is through ‘Until the time of departure’, ‘Life and death are the realms of God’, and ‘Nonetheless’. The story of the second participant, [Joo Yeon-su], was reconstructed in chronological theme of <Never ending story> into ‘Let me be a good daughter instead’, ‘I did what my sister did not do’, and ‘Turning point of my life’. In <The moment when two lives are connected>, ‘I know. I am loved', ‘You came as a gift', and ‘People are the answer at the end’ represented the moment that connected the life before and after success. <Right at this moment, as it is> highlighted the story of living as it is now and after by ‘Growth cherished by mind-aching’, ‘The perfection of life is death, although it is frightening’, and ‘The power that keeps me alive’. Finally, [Lee Sang Woo]’s story was reconstructed into ‘I want to be recognized', ‘How to protect myself', and ‘Life is Timing' in <Never ending story>. In <The moment when two lives are connected>, ‘Throw away and Fill’, ‘Recognize and acknowledged us’, and ‘Doctors working together’ represented the time that connected the moments before and after success. <Right at this moment, as it is> illustrated the story of living the present and living the future as it is through ‘Enduring the strong waves’, ‘Nine-nine-eight-eight, Two-three-four’, and ‘The life realizing the value’. The meaning derived from life after success in the life stori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is as follows: <Recognition of life rather than acknowledgment>, <Seeking pleasure at the moment, small but definite happiness>, <Living as my genuine self>, and <A sick and growing story that is not over yet>. The success to the participants is something pertained in each individual's life; it is difficult to express in one word or sentence. The successful people’s life after their accomplishment in life shakes when the wind blows, stands after the typhoon, endures today, and enjoys little happiness. It is the life that everyone who live yesterday and today experience.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s have experienced a change through the story of life after success, and the genuine meaning of the process that has been found in life after success is “Here and now, accept this moment as it is."

      • 日本 地方自治團體의 分權化 過程에 관한 硏究

        김혜진 동아대학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전세계적으로 地方自治의 가치가 크게 평가되고 있다. 地方自治는 政治的으로는 민주주의 이념의 실현이라는 측면과 行政的으로 지역실정에 대응하는 행정이라는 측면에서 그 실시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 되었다. 우리나라에 있어서도 이는 예외가 아닌데, 日本 地方自治團體는 여러 면에서 우리나라와 많은 공통점이 있다. 따라서 본 硏究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점이 많으며 또한 앞으로 地方分權化 制度의 모델이 될 수 있는 日本의 地方分權化 過程에 대해 문헌연구를 통한 역사적 고찰을 해 보고자 한다. 日本의 地方自治는 日本憲法 92條에 「地方自治團體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사항은 地方自治의 本旨에 기해서 법률로 이를 정한다」고 되어 있고, 95條까지 4개조에 보장되어 있다. 그리고 地方自治制度는 「地方自治의 本旨」에 따라서 설정되어야 하며, 戰後 日本의 地方自治制度는 각계에서의 地方分權에 대한 개혁 요구로 점차 안정되어 가게된다. 본 논문은 모두 6개의 장으로 구성되는데, 제 1장은 序論으로 본 연구의 목적과 연구의 범위 및 방법에 대하여 서술하고, 제 2장은 地方分權에 관한 이론적 고찰로서 地方分權의 개념과 유형, 그리고 여러 일본의 대표적인 학자들의 地方分權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살펴보았다. 제 3장은 近代的 地方分權의 展開로 明治維新 以後 변화를 가져온 日本의 地方自治制度를 법적·제도적인 면에서 살펴보았다. 명치유신 이전의 지방분권적 봉건제가 명치유신을 계기로 중앙집권적인 체제를 가지게 된점을 비롯하여 地方自治制度의 변화를 가져오게 된 배경으로 三新法의 제정과 그의 내용들을 정리 해 보았다. 이 이후 일본의 地方自治制度가 현재의 都·道·府·縣과 市·町·村 중심으로 되어가는 과정에 대하여도 서술하였다.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개혁의 큰 축은 국내체제를 명치이래의 중앙집권적인 통제중심의 체제에서 地方分權 體制로 전환하는 것이었다. 전후 10여년간에 걸친 地方自治制度의 정비에 관하여 살펴보았으며, 1990년대 地方分權推進法이 제정되기 까지의 개혁 요구들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제 4장은 1990년대 이후의 地方分權化 過程을 서술하였는데, 1·2·3次 臨時 行政改革 推進 審議會의 활동과 그들의 제안내용을 살펴보았으며, 地方分權 特例制度와 地方分權 推進에 관한 答申과 大綱方針을 중심으로 地方分權에 대한 논의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본격적인 地方自治制度의 실현을 목적으로한, 1995년 5월 19일 제정된 地方分權推進法의 내용과 제정되기까지의 과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地方分權推進法의 제정이후 설치된 地方分權 推進 委員會의 1次·2次 勸告案과 더불어 1997년 9월에 발표된 地方分權推進에 관한 制 3次 勸告案의 권고내용과 진행과정을 차례로 살펴보았다. 제 5장에는 日本 地方分權의 展望과 向後 課題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日本의 地方自治에는 다른 국가의 규범이 되는 부분도 적지 않지만, 自治權을 자각적으로 행사하거나 그 현대적 의의를 잘 의식하고 있는 국가에 비교하면 아직 불충분하고 미성숙한 부분이 많다. 여러국가의 상호이해와 상호협력을 매개로 해서 새로운 地方自治지표를 한층 더 모색해나가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제 6장은 結論으로 논문의 내용에대한 전반적인 정리로 끝을 맺는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decentralization process of local-government in Japan. The autonomous localization is general tendency among modern countries. Following The second World War, Japan determined to reform its local government system, and in September 1946 a drastic change in the system of prefectures, cities, towns, and villages was made. These changes included the election of prefectural governors by popular vote. Then in May 1947, the Local Autonomy Law was enacted simultaneously with the new Constitution of Japan. This marked the beginning of the postwar system of local government in Japan. Japan has three levels of government : the national government, the prefectural government, and the municipal government. The prefectural government consists of To, Do, Fu, and Ken. So, the municipal government includes Shi(city), Cho(town) and Son(villiage). This study is consisted of six chapters, Chapter one is introduction that is the purpose, scope and method of study. The study was not used a survey or interview method but the study proceeded with a literature review over related books, journals, research papers and theses published at home and abroad. It consisted of four main chapters except the introduction and conclusion. Chapter two contains definition of centr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it was described as local autonomy systems and processes since Meiji Restoration in Chapter three. It is said that local autonomy system of Japan was established in the 1890's after trials and errors since Meiji Regime. And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e development of local autonomy systems were redical in Japan. Chapter four is arranged new current of decentralization. New local autonomy constitution was made in 1995, and it is continued to peformance. Chapter five deals with prospect and subject of decentralization in Japan. Finally, Chapter six is conclusion.

      • 전라도와 경상도 석조물에 나타난 주악상에 관한 연구 : 가릉빈가를 중심으로

        김혜진 우석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Gareungvinga's musikalische Gedanken in Buddhism Hye Jin, Kim Woosuck University Major : Korean Traditional Music Professor : Sung Ki, Baek This paper is about the Gareungvinga's musikalische Gedanken which was prevalent from the Unified Silla Dynasty to the early Goryeo Dynasty. Gareungvinga translated Sanskrit 'Kalavinka' into Chinese character and created the shorten term of 'Vingajo’ This bird is an imaginary bird reflected in Buddhism that is reincarnated in paradise and displays the image of people’ head . This characteristic is presented in the Goguryeo Tokheung-ri Tomb, Anack3Hobun and can be observed in the roofing tile of the Joseon Dynasty as well. At this, the Buddhism Building Stones in Jeolla-do Province and Gyeongsang-do Province will be studied centered on the Gareungvinga. First, the musical instrument that appeared in the Gareungvinga's musikalische Gedanken can be examined. The musical instrument that appeared in the Gareungvinga's musikalische Gedanken has shown regional differences whereas in the Jeolla-do Province, the Nabal, tungso, Yogo, loquat, daegeum were represented and in the Gyeongsang-do Province, the loquat, Yogo ,panpipe, reed instument, pipe, tungso, backpan, various instruments were represented. The Gareungvinga's musikalische Gedanken of the Gyeonsang-do Province, belonging to the Unified Silla Dynasty, was produced in the ninth century and was produc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noblesse and royal family; therefore, is the reason for displaying the various forms of instruments in this region. Second, the features can be examined through Buddhist literature and archeological specimens. By looking at the music of the Buddhist literature and archeological specimens, the features of the wind instrument, string instrument and percussion and also of dance were identifiable. The musical aspect observed in the Gareungvinga was able to be seen through the features of dance and musical instrument. It is mainly represented by wind instruments and is presumed that it was played when presenting an offering or giving praise to Buddha by the beautiful, soft sound of the Gareungvinga. As well, the musicality is presumed to be composed by combining music, dance, and instruments. The musical form, in the case of the Jeolla-do Province, represents a common form of a four-piece musikalische Gedanken instrument. On the other hand, the Gyeongsang-do Province, three pieces out of the five pieces have shown to be irregular in the Bongamsa musikalische Gedanken. For these reasons, it can be seen that the musical form of the Gyeongsang-do Province is freer than that of the Jeolla-do region.This Gareungvinga's musikalische Gedanken is a particular form as shown in. The Unified Silla Dynasty and the early Goryeo Dynasty. Due to a limited area of research available, it holds some inadequacies; however, it possesses a necessity to research the Gareungvinga's musikalische Gedanken nation-wide. 국문초록 불교 석조물에 나타난 가릉빈가 주악상에 관한 연구 - 전라도와 경상도를 중심으로- 김혜진 우석대학교 대학원 국악학과 이론전공 지도 교수 : 백성기 본고는 통일신라부터 고려 초반에 성행하던 가릉빈가의 주악상에 관한 논문이다. 가릉빈가는 범어인 갈라빈카 (Kalavinka)를 한자로 변역한 것으로 줄여서 ‘빈가조(頻伽鳥)라 부르기도 한다. 이 새는 불교에 나타나는 상상의 새로 극락에 깃들여 산다고 하는데, 그 형상은 인두조형상(人頭鳥身像)을 나타낸다. 이런 특징은 고구려 덕흥리고분과 안악3호분에서 그 모습이 보이며, 조선시대의 기와에도 그 모습을 찾아 볼 수 있다. 이에 가릉빈가를 중심으로 전라도와 경상도의 불교 석조물에 대해 살펴 보려한다. 첫째 , 가릉빈가의 주악상에 나타난 악기를 살펴 볼 수 있다. 가릉빈가의 주악상에 나타난 악기는 지역에 따라 그 차이점을 보이며, 전라도는 나발 &#8228; 통소 &#8228; 요고 &#8228; 당비파 &#8228; 대금 등의 모습이 보였으며, 경상도는 비파 &#8228; 요고 &#8228; 배소 &#8228; 생황 &#8228; 피리 &#8228; 퉁소 &#8228; 박판 등 다양한 악기의 모습이 나타났다. 경상도의 가릉빈가 주악상은 통일신라시대(9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왕족과 귀족세력에 의해 제작되었기 때문에 악기의 모습도 다양성을 띄게 된다. 둘째, 불교 문헌과 불교 고고학사료를 통하여 그 모습을 살펴 볼 수 있다. 불교 문헌과 불교 사료에 나타난 음악을 보면 관 · 현 · 타 악기의 모습과 춤의 형태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가릉빈가에서 보인 음악적 형태는 춤과 악기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악기는 주로 관악기가 주를 이뤘으며, 가릉빈가가 고운소리를 내는 새라는 점에서 공양을 드리거나 찬미를 하였을 때, 소리를 내며 연주했음을 짐작하는 바 그 음악적 형태는 소리와 춤과 악기의 악 &#8228; 가 &#8228; 무 형태가 함께 이뤄졌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음악적 형태는 춤추는 주악상의 전라도는 4점과 악기의 연주상이 4점으로 공통적인 모습을 보이나, 경상도의 모습은 봉암사의 예를 들면 춤추는 주악상 3점과 악기상 5점등 불규칙 현상을 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전라도에 비해 경상도의 음악형태는 자유로운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가릉빈가의 주악상은 통일신라와 고려 초에 보이는 특정 양식으로 볼 수 있다. 한정된 지역의 조사로 미비함을 가지고 있으나, 전국적인 가릉빈가의 주악상 조사의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

      • 수면장애 성인의 스트레스정도에 따른 수면의 질과 영양섭취상태 비교

        김혜진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Comparative study on Sleep Quailty and nutritional status according to Stress level in adults with sleep disorder Hye Jin Kim Department of Medical Nutrition, Graduate School of East-West Medical Science, Kyung Hee University, Yong-in 446-701, Republic of Korea Sleep disorders interfere with lifestyle and cause discomfort. Sleep disorders are Not only fatigue but also physical recovery and mental integration, weakening learning and memory, stress and anxiety.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ccording to stress level the sleep quality and nutritional status in sleep disorder adult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in adults of sleep disorder through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Assessment (PSQI) and assessed the stress (BEPSI-K) classified the control group below 1.6 and the stress group above 1.8 (Stress group: n=32, Control group). That was performed sleep questionnaires, polysomnography, 24-hour recall(1day), Meal diary(2day),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he age of the subjects was 29.0 ± 10.1 years in the stress group and 40.7 ± 14.8 years in the control group. Body mass index (BMI) was 23.4 ± 3.2 in the stress group and 22.7 ± 3.1 in the control group. Stanford Sleep Scale was 2.43 ± 0.66 in the stress group, 2.53 ± 0.73 in the control group, Epworth Sleep Scale was 75% in the stress group and 77.2% in the control group. Total sleep time was 357.37 ± 41.93 minutes in the stress group and 359.95 ± 29.04 minutes in the control group. Sleep Efficiency was 85.36 ± 10.25% in the stress group, 90.92 ± 7.72% in the control group, 16.94 ± 20.86 minutes in the stress group and 9.42 ± 8.24 minutes in the stress group. Total energy intake was 662.99 ± 459.85kcal in the stress group and 1735 ± 394.39kcal in the control group. Fiber, Water, ash, vitamin A, b-carotene, vitamin K, vitamin C, folate, vitamin B12, calcium, potassium, magnesium, iodine Were higher in the control group than stress group.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nalysis showed that consumption of Grain, meat and Eggs, beverage, Snack and soju more than control group. 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more vegetables and fruits. It is suggested that the importance of nutritional education and management of eating in stress management should be emphasized because stress has a negative effect on sleep and causes undesirable eating habits Key words : Sleep disorder, Stress, Nutritional status 수면장애 성인의 스트레스정도에 따른 수면의 질과 영양섭취상태 비교 김혜진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지도교수: 박유경 수면장애란 원하는 생활양식을 방해하고 불편함을 야기하는 것이다. 수면장애는 피로감뿐만 아니라 신체 회복력과 정신적 통합력이 약해지고 학습 및 기억력 장애, 스트레스와 불안이 증가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면에 영향을 주는 스트레스에 따라 수면장애 성인에서의 수면의 질과 영양섭취상태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피츠버그 수면의 질 평가(PSQI)를 통해 총 89명의 수면장애가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스트레스를 평가(BEPSI-K)하였고, 1.6점 이하는 대조군, 1.8점 이상은 스트레스군으로 분류하였다. 주간졸음측정표(ESS), 주간졸음척도(SSS)의 수면설문과 수면다원검사, 사섭취조사(24시간회상법1일, 식사일기작성2일, 식품섭취빈도조사)를 진행하였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스트레스군 29.0±10.1세, 대조군 40.7±14.8세 이다. 체질량지수(BMI)는 스트레스군 23.4±3.2, 대조군 22.7±3.1이다. 주간졸음척도에서 스트레스군 2.43±0.66점, 대조군 2.53±0.73점, 주간졸음측정표에서 스트레스군의 피로가 있는 비율이 75%, 대조군 77.2%이다. 수면다원검사 결과 총 수면시간은 스트레스 군 357.37±41.93분, 대조군 359.95±29.04분, Sleep Efficiency는 스트레스군 85.36±10.25%, 대조군 90.92±7.72%, Sleep Latency는 스트레스군 16.94±20.86분, 대조군 9.42±8.24분이다. 24시간회상법분석결과 평균 에너지는 스트레스군 662.99±459.85kcal, 대조군1735±394.39kcal 섭취하였다. 식품섭취빈도조사 분석 결과 곡류, 육류 및 난류, 음료류, 소주의 섭취가 많았고 채소류의 섭취가 적었다. 스트레스는 수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바람직하지 못한 식습관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스트레스 관리에 있어서 식사 섭취에 대한 영양교육이나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Key words: 수면장애, 스트레스, 영양섭취상태

      • 현대중국어 '只'류 범위부사 어법특성연구

        김혜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本文主要分析了&#29616;代&#27721;&#35821;“只”&#31867;范&#22260;副&#35789;的&#35821;法特点。“只”&#31867;范&#22260;副&#35789;主要是指限制被修&#39280;成分的&#25968;量或范&#22260;、由&#21333;音&#33410;&#32452;成的副&#35789;“才、&#21333;、光、&#20165;、就、只”。 本文主要&#23545;老舍和王朔的51篇作品中出&#29616;的“只”&#31867;范&#22260;副&#35789;&#36827;行了比&#36739;分析。因老舍&#19982;王朔都使用北京&#35805;,作品&#21019;作&#26102;期也有差&#24322;,因此他&#20204;的作品是非常适合&#35821;言&#30740;究的。&#21478;外本文&#36824;根据需要&#23545;北京大&#23398;&#35821;料&#24211;和&#22269;家&#35821;委&#35821;料&#24211;的相&#20851;例句&#36827;行了比&#36739;分析。&#36825;些&#35821;料分析方法&#26082;客&#35266;,又具有反映&#23454;&#38469;&#35821;言使用情&#20917;的&#20248;点。本文&#23545;先前&#30740;究中&#20174;未放在一起&#30740;究&#36807;的副&#35789;“才、&#21333;、光、&#20165;、就、只”&#36827;行了分析,&#24182;&#23545;“只”&#31867;范&#22260;副&#35789;之&#38388;的差&#24322;&#36827;行了&#30740;究。 “只”&#31867;范&#22260;副&#35789;可以修&#39280;主&#35821;、&#35859;&#35821;和&#29366;&#35821;。首先&#26469;看修&#39280;主&#35821;的情&#20917;,因&#20026;“才”表&#36798;了&#35828;&#35805;者的主&#35266;意&#35265;,因此不能修&#39280;客&#35266;&#23545;象,所以能&#22815;修&#39280;主&#35821;的“只”&#31867;范&#22260;副&#35789;就只有“&#21333;、光、&#20165;、就、只”。“只”&#31867;范&#22260;副&#35789;修&#39280;主&#35821;&#26102;,主&#35821;&#31867;型分&#20026;&#20165;由“&#25968;&#35789;+量&#35789;”&#32452;成的主&#35821;,包括&#25968;量&#35789;的主&#35821;,不包含&#25968;量&#35789;的主&#35821;等三&#31867;。“只”&#31867;范&#22260;副&#35789;中只有“就”可以修&#39280;&#20165;由“&#25968;&#35789;+量&#35789;”&#32452;成的主&#35821;,此&#26102;“就”限制主&#35821;的&#25968;量。&#21478;外“&#21333;、光、&#20165;、就、只”都可以修&#39280;包含&#25968;量&#35789;的主&#35821;。其&#23454;“&#21333;、光”&#19982;&#25968;量&#35789;的&#32467;合&#24182;不&#32039;密,因此&#21363;使修&#39280;包含&#25968;量&#35789;的主&#35821;,“&#21333;、光”也只是限制范&#22260;,而剩下的“&#20165;、就、只”主要是根据&#35828;&#35805;者的意&#22270;,表示&#25968;量或者表示范&#22260;。&#23545;于不包含&#25968;量&#35789;的主&#35821;,五&#20010;副&#35789;都可以&#23545;其&#36827;行修&#39280;,此&#26102;“只”&#31867;范&#22260;副&#35789;只具有限制范&#22260;的功能。“只”&#31867;范&#22260;副&#35789;中“&#21333;、光、&#20165;、只”修&#39280;主&#35821;&#26102;,&#36824;可以&#19982;“就”一同使用,此&#26102;主&#35821;主要作&#20026;&#35777;明&#35859;&#35821;的&#23545;象。 “只”&#31867;范&#22260;副&#35789;修&#39280;&#35859;&#35821;&#26102;,&#35859;&#35821;可以大分&#20026;名&#35789;性&#35859;&#35821;&#19982;&#21160;&#35789;性&#35859;&#35821;。修&#39280;名&#35789;性&#35859;&#35821;句&#26102;,&#35859;&#35821;又可以分&#20026;&#20165;由“&#25968;&#35789;+量&#35789;”&#32452;成的&#35859;&#35821;和包含&#25968;量&#35789;的&#35859;&#35821;等&#20004;&#31181;。“才、&#20165;、就、只”可以限制所有的&#20165;由“&#25968;&#35789;+量&#35789;”&#32452;成的&#35859;&#35821;,但其中“才”是表&#36798;主&#35266;想法的范&#22260;副&#35789;,而剩下的“&#20165;、就、只”主要是修&#39280;客&#35266;的&#25968;量,因此不能自由替&#25442;使用。“只”&#31867;范&#22260;副&#35789;修&#39280;包含&#25968;量&#35789;的&#35859;&#35821;&#26102;,除了“&#21333;、光”以外的其他范&#22260;副&#35789;都可以使用,而其特点&#19982;修&#39280;&#20165;由“&#25968;&#35789;+量&#35789;”&#32452;成的&#35859;&#35821;&#26102;相同。“只”&#31867;范&#22260;副&#35789;修&#39280;&#21160;&#35789;&#35859;&#35821;句&#26102;,六&#20010;“只”&#31867;副&#35789;都可以修&#39280;包含&#25968;量&#35789;的&#35859;&#35821;,其中“才”只表示&#25968;量,“&#21333;、光”只表示范&#22260;,而“&#20165;、就、只”在修&#39280;包含&#25968;量&#35789;的&#35859;&#35821;&#26102;,根据&#35821;言&#29615;境、&#35828;&#35805;者的意&#22270;等可以表示&#25968;量或者范&#22260;。“只”&#31867;范&#22260;副&#35789;中“&#21333;、光、&#20165;、只”可以修&#39280;包含助&#21160;&#35789;的&#35859;&#35821;,其中&#19982;“只”&#32467;合的助&#21160;&#35789;的&#31181;&#31867;最多,出&#29616;的&#39057;率也最高,而&#19982;“&#21333;、光、&#20165;”&#32467;合的助&#21160;&#35789;&#21017;比&#36739;受限。“只”&#31867;范&#22260;副&#35789;修&#39280;&#35859;&#35821;&#26102;,常使用“范&#22260;副&#35789;+A不B”形式,此&#26102;A&#19982;B&#20026;&#24182;列&#32467;&#26500;,意&#20041;相反。 “只”&#31867;范&#22260;副&#35789;修&#39280;&#29366;&#35821;&#26102;,&#29366;&#35821;分&#20026;由介&#23486;&#32467;&#26500;&#32452;成的&#29366;&#35821;&#19982;附加副&#35789;&#35789;&#32512;“地”的&#29366;&#35821;。修&#39280;由介&#23486;&#32467;&#26500;&#32452;成的&#29366;&#35821;&#26102;,“只”&#31867;范&#22260;副&#35789;的意&#20041;&#36319;&#38543;介&#35789;的意&#20041;,其&#35821;&#20041;指向主要&#20026;介&#23486;&#32467;&#26500;中的&#23486;&#35821;。修&#39280;附加“地”的&#29366;&#35821;&#26102;, &#21333;音&#33410;副&#35789;或形容&#35789;无法受到副&#35789;&#35789;&#32512;的修&#39280;,多音&#33410;&#35789;才能作&#20026;副&#35789;&#35789;&#32512;&#26469;使用。“只”&#31867;范&#22260;副&#35789;修&#39280;&#29366;&#35821;&#26102;,&#38543;着&#29366;&#35821;的&#31181;&#31867;,意&#20041;也有不同。修&#39280;由介&#23486;&#32467;&#26500;&#32452;成的&#29366;&#35821;&#26102;,主要限制范&#22260;,而修&#39280;附加副&#35789;&#35789;&#32512;的&#29366;&#35821;&#26102;,&#19982;修&#39280;主&#35821;、&#35859;&#35821;不同,&#29366;&#35821;所修&#39280;的&#35859;&#35821;的程度或&#29366;&#24577;有所&#20943;弱。 如上所述,“只”&#31867;范&#22260;副&#35789;表面上看像是相同的范&#22260;副&#35789;,但根据其分布、&#19982;其&#32467;合的被修&#39280;成分的不同,以及每&#20010;副&#35789;所具有的特点等,“只”&#31867;范&#22260;副&#35789;之&#38388;存在差&#24322;。因此不能&#38543;便替&#25442;使用,&#21363;使替&#25442;,也要考&#34385;范&#22260;副&#35789;的特点、&#35821;言&#29615;境、&#35828;&#35805;者的意&#22270;等因素。 본고는 현대중국어 ‘只’류 범위부사의 어법특성에 관한 분석이다. ‘只’류 범위부사란 한국어 ‘단지’로 해석되며 피수식어의 수량이나 범위를 제한하는 단음절 범위부사 ‘才,&#21333;,光,&#20165;,就,只’를 말한다. 본고는 老舍와 王朔의 작품 51편을 통해 ‘只’류 범위부사가 출현하는 문장을 모두 발췌하여 비교분석하였다. 老舍와 王朔은 모두 북경어를 사용하여 작품 활동을 하였으며 활동시기도 차이가 있어 언어를 연구하는데 적합한 대상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북경대학교에서 구축한 북경대학말뭉치(北京大&#23398;&#35821;料&#24211;)와 중국국가현대중국어코퍼스(&#22269;家&#35821;委&#35821;料&#24211;)를 통해 함께 비교분석하였다. 이러한 자료의 분석방법은 객관적이면서도 실제적인 언어사용을 반영한다는 장점이 있다. 본고는 기존연구에 전무한 ‘才,&#21333;,光,&#20165;,就,只’를 함께 분석하여 ‘只’류 범위부사의 차이에 대해 연구하였다. ‘只’류 범위부사는 주어, 술어, 부사어를 수식할 수 있다. 먼저 주어를 수식하는 ‘只’류 범위부사를 살펴보면 ‘只’류 범위부사 중 ‘才’는 화자의 주관적 의견이 포함된 범위부사로써 객관적인 대상을 나타내는 주어를 수식할 수 없다. 그래서 주어를 수식하는 ‘只’류 범위부사는 나머지 ‘&#21333;,光,&#20165;,就,只’가 된다. ‘只’류 범위부사가 주어를 수식할 때 ‘수사+양사’만으로 이루어진 주어와 수량사가 포함된 주어 그리고 수량사가 포함되지 않은 주어로 나뉜다. ‘只’류 범위부사 중 오직 ‘就’만이 ‘수사+양사’로 이루어진 주어를 수식할 수 있으며 이때 ‘就’는 주어의 수량을 제한하게 된다. 주어가 수량사를 포함할 경우에는 ‘&#21333;,光,&#20165;,就,只’가 모두 주어를 수식할 수 있다. 사실, ‘&#21333;,光’은 수량사와의 결합이 긴밀하지 못하지만 만일 주어에 수량사가 포함되어 있더라도 ‘&#21333;,光’은 오로지 범위만을 제한한다. 나머지 ‘&#20165;,就,只’은 화자의 의도에 따라 수량을 나타내기도 하고 범위를 나타내기도 한다. 주어가 수량사를 포함하지 않는 명사구를 수식할 때는 다섯 개의 부사가 모두 수식가능하며 이때 ‘只’류 범위부사는 오직 범위만을 제한한다. ‘只’류 범위부사 중 ‘&#21333;,光,&#20165;,只’가 주어를 수식할 때 부사 ‘就’와 공기하는데 이때 주어는 술어를 대표적으로 예증하는 대상이 된다. ‘只’류 범위부사가 술어를 수식하는 경우 술어는 크게 명사술어문과 동사술어문으로 나뉜다. ‘只’류 범위부사 명사술어문을 수식할 경우 ‘수사+양사’만으로 이루어진 술어와 수량사가 포함된 술어로 양분된다. ‘才,&#20165;,就,只’는 모두 ‘수량+양사’만으로 이루어진 술어를 제한할 수 있다. 그러나 ‘才’는 화자의 주관적인 생각을 서술하고 나머지 ‘&#20165;,就,只’은 객관적인 수량에 대해 서술하기 때문에 자유자재로 바꾸어 쓸 수 없다. ‘只’류 범위부사는 수량사가 포함된 술어를 수식할 때도 ‘&#21333;,光’을 제외한 나머지 범위부사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징은 ‘수사+양사’만으로 이루어진 술어를 수식할 때와 동일하다. ‘只’류 범위부사가 동사술어문을 수식할 때에는 여섯 개의 ‘只’류 범위부사가 모두 수량사가 포함하는 술어를 수식할 수 있다. 그러나 ‘才’는 오직 수량만을 나타내고 ‘&#21333;,光’은 오직 범위만을 나타내며 ‘&#20165;,就,只’는 수량사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언어적 환경, 화자의 의도 등에 따라 수량을 나타내기도 하며 범위를 나타내기도 한다. ‘只’류 범위부사가 중 ‘&#21333;,光,&#20165;, 只’는 조동사를 포함한 술어를 수식할 수 있다. 그 중 ‘只’와 결함하는 조동사의 종류가 가장 많으며 출현횟수도 가장 높다. 나머지 ‘&#21333;,光,&#20165;’과 결합하는 조동사는 비교적 한정적이다. ‘只’류 범위부사는 술어를 수식할 때 ‘범위부사+A不B’형식으로 자주 사용되며 이때 A와 B는 병렬구조를 가지게 되고 A와 B의 의미는 상반된다. ‘只’류 범위부사가 부사어를 수식할 때 부사어는 개사목적어로 이루어진 부사어와 부사접미사 ‘的’ 또는 ‘地’가 부가된 부사어로 나뉜다. 개사목적어로 이루어진 부사어를 수식할 경우에 의미는 개사의 의미를 따라가게 되고 ‘只’류 범위부사의 의미지향은 개사의 목적어가 된다. ‘的’ 또는 ‘地’가 부가된 부사어를 수식할 때에는 단음절 부사나 형용사는 부사접미사의 수식을 받을 수 없고 다음절 어휘만 부사접미사가 부가 되어 사용될 수 있다. ‘只’류 범위부사가 부사어를 수식할 때 부사어에 따라 나타나는 의미에도 차이가 있다. 개사목적어로 이루어진 부사어를 수식할 때에는 범위를 제한하는 반면 부사접미사가 부가된 부사어를 수식할 때에는 주어, 술어를 수식할 때와는 다르게 부사어가 수식하는 술어의 정도나 상태가 미약함을 나타낸다. 이렇게 ‘只’류 범위부사는 표면적으로는 동일한 범위부사처럼 보이지만 ‘只’류 범위부사의 분포 혹은 결합하는 피수식어 그리고 부사마다 지니는 고유 특성에 따라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함부로 대체할 수 없으며 대체할 경우 범위부사의 특성, 언어적 환경, 화자의 의도를 잘 파악해야한다.

      • 중국어 말하기 읽기 교수법 연구 :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김혜진 울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중국어 말하기·읽기 지도 방안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중국어 교육전공 김혜진 중국은 넓은 국토와 많은 인구, 풍부한 자원을 바탕으로 국제 사회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오래전부터 우리와 인적·물적 왕래가 잦은 이웃 국가로서 우리나라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또한 중국어는 세계적으로 사용 인구가 가장 많은 언어이며, 국제 연합에서 사용되는 국제 공용어 중 하나이다. 더욱이 중국의 세계무역기구 가입과 2008년 하계 베이징 올림픽으로 인해 국제무대에서 중국어 구사는 필수가 되고 있고, 중국과 중국인의 잠재력을 고려할 때 장차 중국어가 영어를 뛰어넘어 세계 공용어의 자리에 오를 것이라고 추측해보며, 우리 사회가 정보화, 세계화되어 감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중국어가 차지하는 비중도 커지고 있으며, 정치, 경제, 문화, 예술, 학술 등 사회 각 분야에서 중국어에 대한 수요가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이렇게 전 세계에 중국어 배우기 열풍이 불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도 중등 교육과정에서 제2외국어로 중국어 수업을 실시하고 있으나 입시라는 현실에 부딪혀 그 실효성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고등학교보다 중학교나 초등학교에서 중국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조기 언어 교육의 이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외국어 습득 능력이 좋은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중국어 말하기·읽기 지도 방안을 연구해야할 필요성을 느꼈다. 저학년만의 특성을 고려하여 지루하지 않고 흥미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지도 방안과, 그들의 지적 수준을 고려하여 학습 의욕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언어 형태 학습이 아니라, 의사소통 기능 학습이 되도록 언어의 4기능 중 말하기와 읽기의 기능을 연계시켜 지도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논문들을 비교 분석하여 중국어 지도 방안의 미흡한 점을 보완하고 개발한 중국어 지도 방안을 제시하여 기초적인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에 기여함과 동시에 중국의 다양한 정보와 지식, 문화를 객관적으로 수용하여 세계인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