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취업모의 가정환경자극이 유아의 사회·인지 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혜자 순천대학교 사회문화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유아에게 있어서 질적, 양적으로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 어머니 의 가정환경자극과 유아의 사회•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 자 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하여 어머니의 양육태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유아의 사회•인지발달에 바람직한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돕는 부모상담의 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시의 한 유치원을 선정하여 만3세에서 만6세반의 취업모를 대상으 로 담임선생님께 요청하여 일주일동안 회수한 결과 총 50부를 회수하였다. 연구대상 유아는 회수된 설문지의 취업모의 자녀들로서 남아 21명 여아 29 명이며 설문요건에 부합한 총 50부를 이 연구의 통계처리에 사용했으며 결과 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에 따른 유아의 사회•인지발달의 정도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사 고, 사회적기술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다. 인지발달과 사회적기술도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가족변인에 따라 사회•인지발달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학력에 따른 유아의 사회•인지발달의 차이는 없었다. 마찬가지로 어머니의 직업에 따른 유아의 사회•인지발달의 차이도 없었다. 그러나, 어머니의 업종 에 따라 유아의 인지발달은 차이가 있어서, 어머니의 직업이 교사인 경우 유 아의 인지발달이 어머니의 직업이 판매서비스, 간호사, 전문직, 일반사무직인 경우보다 낮았다. 또한 업종에 따른 유아의 사회성은 차이가 없었다. 셋째, 가정환경에 따른 가정환경자극의 차이에 결과를 보면 어머니의 학력 에 따른 가정환경자극의 차이는 없었다. 어머니의 직업이유에 따른 자극의 차이는 없었으나 도구다양성에는 차이가 있었다. 어머니의 업종에 따른 자극 의 차이는 학습도구에만 있어서, 어머니가 전문직에 종사하는 경우가 일반 사무직에 종사하는 경우보다 높았다. 어머니의 돌봄의 유형에 따른 가정환경 자극의 차이는 없었다. 넷째, 유아의 연령 및 가정환경자극이 사회•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유아 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인지발달이 높아졌으며 가정환경자극은 영향이 없었 다. 유아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사회적기술은 높았으나 가정환경자극은 영향 이 없었다. 유아의 사회적사고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학업적자극이 많을수록 높아졌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home environment on the social and cognitive development of working mothers’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hasis the importance of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and to use this data for the parent consultation to help the desirable social and cognitive development of their child. For the achievement of this purpose, I selected one kindergarten in S city, and performed the questionnaire for the working mother had child from 3 age to 6 age. The period was 1 week and the 50 questionnaires was returned. The subject were the working mother's children, and they were 21 boys and 29 girls. The 50 questionnaires answered to the requirements were used to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degree of the social and cognitive development of the child by the age, the social thinking and the social skill were gotten higher by the age increasing, and also the cognitive development and the social skill were gotten higher by the age increasing. Second, in case of the difference of the social and cognitive development by the family variable of child, the difference of the social and cognitive development of child was almost never by the mother's academic ability, and by the mother's job. But, there was the difference of cognitive development of child by the type of mother's job. If the mother's job was a teacher,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child was lower than the child of mother of retailing service, nursing, profession, or service working. The difference of the sociality of child was almost never by the type of mother's job. Third, in case of the difference of the family environment stimulus by the family environment, the family environment stimulus was almost never by the mother's academic ability. The difference of stimulus was almost never by the reason of mother's job, but there was the difference by the diversity of tool. The difference of stimulus by the type of mother's job was existed only by the learning tool. The difference of stimulus by the mother engaged in specialized job was higher than by the mother engaged in general office job. The difference of family environment stimulus was almost never by the type of mother's care. Fourth, in case of the influence on the social and cognitive development of child by the age and stimulus of home environment,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the child was high by age increasing, and the influence of home environment stimulus was almost never. The social skill of the child was high by age increasing, and the influence of home environment stimulus was almost not. The social thinking of the child was increased by age and learning stimulus. Kew words: stimulus of home environment, social and cognitive development of child, working mother

      • 유아 도덕성 발달 단계에 기초한 자타카(Jataka)와 그림(Grimm)동화 분석

        김혜자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불전설화인 자타카와 독일의 Grimm동화에 나타난 도덕성의 내용을 Kohlberg의 도덕성 발달 단계에 기초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자타카와 그림동화 중에서 유아들이 읽기에 적합한 동화를 선별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는데, 그 결과 자타카 65편, Grimm 동화 154편이 선정되었다. 다음 작업은 도덕 · 윤리적 가치를 포함하고 있는 자타카와 그림동화를 선정하는 것이었으며, 그 결과 자타카의 경우는 권은주의 주장을 근거로 65편 모두가 포함되었고, 그림동화는 최종적으로 53편이 선정되었다. 다음 단계로 선정된 작품의 도덕성 단계와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분류는 권은주(1996)의 분석 내용을 참조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Kohlberg의 도덕성 발달 이론에 기초하여 자타카와 Grimm 동화의 도덕성 수준을 분석한 결과, 자타카는 1단계의 내용이 27편으로 전체의 41.5%를 차지하였으며, 2단계는 16편으로 25.3%, 3단계는 22편으로 33.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Grimm 동화는 1단계의 내용이 28편으로 52.9%, 2단계가 13편으로 24.5%, 그리고 3단계가 12편으로 22.6%를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벌과 복종을 지향하는 1단계 도덕성 발달 수준을 분석한 결과, 자타카와 Grimm 동화는 모두 이 단계의 도덕성 내용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세부 항목에 있어서 자타카와 Grimm 동화가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즉 자타카가 정직과 바른 언행, 검소의 덕목의 주제에 많이 편중된 반면 Grimm 동화는 선행과 약속의 이행을 중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타카는 단순한 선행보다는 이를 통한 결과적 측면에 더 중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도구적 상대주의를 지향하는 2단계 도덕성 발달 수준을 분석한 결과, 자타카와 Grimm 동화는 그 세부 주제면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자타카는 보은의 개념을 매우 강조하고 있었고(50%), Grimm 동화는 형제간의 우애(38.5%)를 강조하고 있었다. 넷째, 대인관계의 조화를 지향하는 3단계 도덕성 발달 수준을 분석한 결과, 이 수준에 해당하는 자타카가 Grimm 동화에 비해 월등하게 많았다. 특히 자타카는 생명존중과 성실, 자기 희생들을 중요한 도덕성 덕목으로 취급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Grimm 동화에서는 효도의 내용이 4편으로 33.3%를 차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Ja ̄taka and Grimm's 'Kinder and Hausmarchen' from the viewpoint of the development stages of children's morality. For this analysis, the fittest fairy tales for children were selected, so 65 fairy tales of Ja ̄taka and 154 fairy tales among Kinder and Hausmarchen were selected. Next, Jataka and Grimm's which included moral and ethical themes were selected, so all the 65 tales of Jataka which were selected in the beginning and 53 Grimm's fairy tales were selected. Finally, the moral stages and contents of all the selected tales were analyzed. The processes of selection were based on the Eun-joo Kwon's study(1996).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of Ja ̄taka and Grimm's "Kinder and Hausma¨rchen" from the viewpoint of the development stages of children's morality, in the case of Ja ̄taka, 27 items(41.5%) implied the. contents of the first stage, 16 items(25.3%) implied those of the second stage, 22 items(33.8%) implied those of the third stage. Where as in the case of Grimm's, 28 items(52.9%) implied the contents of the first stage, 13 items(24.5%) implied those of the second stage, 12 items(22.6%) implied those of the third stage. . Second, regarding the first development stage of morality which had relation to 'punishment and obedience orientation, both implied moral contents of this stage a lot. But they had some differences in the detailed items, that is, Jataka focused on honesty, right words and action and thrift where as Grimm's considered it more important to be keep the promise and 'to do good(善行)'. Ja ̄taka was proved to think the result more important than the process of doing good. Third, regarding the second development stage of morality which had relation to 'individual, instrumental purpose, and exchange', Ja ̄taka focused on gratitude(報恩, 50%) where as Grimm's considered it more important, to keep the friendship with brothers (38.5 %). Fourth, regarding the third development stage of morality which had relation to 'mutual interpersonal expectations, relationship, and interpersonal conformity', Ja ̄taka had much more contents than Grimm's, especially Jataka focused on esteem of life, sincerity and self-sacrifice where as Grimm's considered it more important to honor one's parents.(33.3%)

      • 구속교리에 관한 연구 : 승리자 그리스도(Christus Victor) 모델을 중심으로

        김혜자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기독교 교리의 가장 핵심이 되는 구속교리에 관한 연구로서 구스타프 아울렌(Gustaf Aul?n)의 승리자 그리스도 모델과 형벌 대속교리를 비교하여 고찰하는데 있다. 승리자 그리스도 모델은 하나님의 사랑의 관점을 중심으로, 만족설이나 형벌 대속교리는 하나님의 정의의 관점에 중심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이 두 구속교리가 대립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구속교리 유형을 해석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는 것이다. 승리자 그리스도 모델은 하나님께서 주체적으로 행하시는 구속으로써 하나님의 사랑에 초점을 맞춘다. 형벌 대속교리는 하나님의 진노를 달래고 만족시켜야 하는 법적인 정의를 주장을 살펴보면서 결국은 예수의 십자가 죽음도 인간의 사건이 아니라 하나님의 사건으로서 하나님의 사랑이 정의보다 크다는 것으로 형벌 대속교리가 담고 있는 본래적 의미에 대한 재해석을 다루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성서에 나타난 구속교리에서 구약의 희생제사제도와 신약의 예수의 십자가 죽음에 나타난 구속이론에 대하여 다루었고 다음 장에서 구속교리에 관한 시대적 유형별 고찰로 고대교회의 승리자 그리스도 모델과 중세교회의 만족설과 도덕감화설, 종교개혁시대의 루터와 칼뱅 그리고 개혁교회 정통주의의 형벌 대속 교리를 다루었다. 본 논문에서 승리자 그리스도 모델은 영원하신 하나님의 사랑이 인류를 구속하시는 은혜로우시고 긍휼이 많으신 하나님의 속성이 잘 드러난다. 그리고 형벌 대속교리는 하나님의 정의에 중점을 두면서 윤리적 삶으로 경종을 울리며 사법적 엄중성이 잘 드러난다. 이러한 두 구속교리 모델은 서로 대립적인 것이 아니라 각각의 삶의 자리에서 해석된 구속교리라는 점을 확인하면서 창조자이시며 구원자 되시는 하나님의 사랑과 정의를 상호보완적인 모델로 재해석 하며 결론의 제언부분에서 통전적 구속교리를 제시하였다.

      • 네가 있어서 참 좋아

        김혜자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엄마를 도와 집안일로 바쁜 첫째와 놀고 싶어하는 막내. 둘 사이의 갈등이 증폭되다가 위기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서로 돕고 서로를 이해하는 오누이 이야기

      • 나물콩의 재배기간에 따른 이소플라본 함량 변화

        김혜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고품질 기능성 콩나물 생산의 중요성 또한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장려용 나물콩 품종 신화, 조양 1, 풍산, 풍원, 호서 등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콩나물의 재배일수별 자엽 배축근의 생장 및 isoflavone 의 함량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나물콩의 백립중은 품종 간에 차이가 있었고 조양1이 가장 높았으며 호서가 가장 낮았다. 수분흡수율은 백립중이 가장 낮은 호서가 가장 높았는데 이는 콩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발아가 늦다는 연구 결과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나물콩의 품종별 색차 측정은 외견상 품질특성으로 L값과 a값은 낮고 b값이 가장 큰 호서가 나물용콩 품종으로 우수하였다. 나물콩의 일반성분에서 수분 함량은 풍산이 가장 높게 나왔고, 조단백질 함량은 신화, 조지방 함량은 조양1, 가용무질소물 함량은 풍원이 가장 높게 나왔다. 호서는 조회분, 조섬유가 가장 높게 나왔다. 콩나물은 5일 동안 동일한 콩나물 재배조건에서 각각 다른 생육 특성을 보였다. 자엽은 1일차 0.80∼1.03cm, 2일차 0.84∼1.06cm, 3일차 0.94∼1.15cm, 4일차 0.95∼1.19cm, 5일차 0.95∼1.20cm로 품종 간 다소의 차이가 있었다. 풍원이 가장 생육이 좋았고 4일차와 5일차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배축근은 1일차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2일차 3.92∼4.41cm, 3일차 9.02∼9.96cm, 4일차 14.31∼17.13cm, 5일차 15.98∼19.07cm로 품종 간 차이가 컸으며 호서가 가장 생육이 좋았다. 나물콩 종실의 isoflavone 총함량은 0.73∼1.68mg/g으로 품종에 따라 차이가 났으며 풍원이 가장 높았고 호서가 가장 낮았다. 콩 종실에서 glycone형태인 daidzin, genistin, glycitin 함량 범위는 94.2∼867.4 ug/g으로 나왔다. aglycone 형태인 daidzein, genistein, glycietin은 7.5∼40.9 ug/g으로 glycone 형태가 aglycone 형태보다 12~20배 높게 나왔다. 콩나물은 1일차 자엽에서 daidzin함량이 1.95 ∼ 3.57mg/g으로 풍원이 가장 높았다. Genistin함량은 1.95 ∼ 7.47mg/g으로 풍원이 가장 높았고, Glycitin함량도 1.08 ∼ 2.03mg/g으로 풍원이 높았다. Daidzein함량은 0.45 ∼ 1.91mg/g으로 호서가, Genistein함량은 0.29 ∼ 0.61mg/g으로 조양1이 가장 높았다. Glycietin함량은 0.09 ∼ 0.26mg/g으로 호서가 가장 높았다. 1일차 배축근에서 daidzin함량은 0.32 ∼ 1.17mg/g으로 풍원이 가장 높았다. Genistin함량은 0.15 ∼ 0.60mg/g으로 호서가 가장 높았다. Glycitin 함량은 0.8 ∼ 2.06mg/g으로 풍원이 가장 높았다. Daidzein함량은 0.016 ∼ 0.059mg/g으로 풍원이 가장 높았다. Genistein함량은 0.009 ∼ 0.042mg/g으로 신화가 가장 높았다. Glycietin함량은 0.012 ∼ 0.041mg/g으로 호서가 가장 높게 나왔다. 따라서 isoflavone 함량은 품종 간에 변이가 컸으며 isoflavones 총함량은 18.12 ∼ 32.88mg/g으로 풍원이 가장 높았다. 콩나물의 이소플라본 총 함량은 재배일수에 따라 1일차에서 가장 높게 나왔고 2, 3, 4, 5일차에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풍원은 나물콩 종실과 콩나물에서 이소플라본 총함량이 제일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한국의 교육 양극화와 재생산 연구 : 1990-2012

        김혜자 慶尙大學校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active mechanism in the polarization of education and society. This study also aims to analyze the reproduction of education gap between generations. This thesis executes an empirical analysis to find dynamic trends in the polarization of education spending and the mechanism of its reproduction in Korea, 1990 - 2012. Main argum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fter investigating how income inequality and residential segregation have affected education polarization in Korea (In chapter 3 & chapter 4), this paper also analyzes how polarized education has reproduced the educational gap in Korea. (In Chapter 5) Chapter3 analyzes the polarization of education which results from the gaps in education spending by income quintile, educational levels and jobs. By focusing on the effects of variables of parents'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s on education spending for their children, this paper fou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a cluster of members who took the lead in polarization of education in Korea. The result confirms the structured educational polarization in Korea. Chapter 4 analyzes the polarization of education in terms of residential segregation. It has shown that residential segregation by educational variables had effects on gaps in both educational levels and educational circumstances. In fact, parents' decisions to move to prestigious school districts were entirely up to their higher income and educational levels. Residential segregation and the gaps in educational levels turned out to be closely related with the results of competitions for so-called in-Seoul universities, as is evidenced from the analysis of the trends of prestigious school districts over the last 22 years. This study has found that educational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sidential segregation by analyzing gaps in educational circumstances such as regional education levels, investment in education of each local government, and the distribution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Chapter 5 shows the intergenerational reproduction of education levels and residential segregation by analyzing polarization in income and employment with regards to educational & occupational levels and university reputation. The results confirm that the gaps in employment rates of college graduates depend on the college rankings. It is also found that parents' academic backgrounds affect children's education level, the residence and the education spending. Education spending in Korea has been characterized by a highly asymmetric, extremely polarized structure over the last 22 years. Indeed, the gaps in education spending are increasingly widening with the concentration of the prestigious school districts in the metropolitan area. Above all, residential segregation has formed entrance barriers through high housing expenses. The polariza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is exacerbated by increasing separation of the entry group from the non-entry group into prestigious school districts. The findings of analysis of the trends in the polarization of education spending are as follow. First, the 5th income quintile has increased their private education consumption during the last 22 years. The gap in the education consumption by the income quintile has increased continuously since 2009. It suggests that there has been a major gap in education spending. As is evidenced from the ratio of private education consumption to regular school education, it was 3th to 5th income quintile that are mostly responsible for the increase in private education consumption. The higher the income, the higher the private education consumption compared to regular education consumption. Although the entire income quintile steadily increased their education spending until mid 1990s, a polarization began to take place in the education spending between the 1st and 2nd income quintile & 3rd and 5th income quintile since the 1997 Korean foreign exchange crisis. This polarization has become more serious since mid 2000s. As is mentioned earlier, education spending in Korea has been extremely polarized over the last 22 years. The polarization of education has led to the increase of so-called "edu-poor families" and deprivat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Households of college graduates have shown consistently high levels of education consumption despite the recent economic crises. Standard deviation of education consumption patterns by income interval, income quintile, and levels of education was greater in order. Also the slope of the education consumption patterns was same. This results confirms that income variables are crucial to the explanation of the polarization of education spending in Korea. Second, the transfer of population aged 10 to 19 was higher in the order of Gangnam, Songpa and Nowon Districts among total 25 districts in Seoul. It suggests that the education gap between Gangnam and other regions is enormous. As is shown in the ratio of transfer students to 11 school districts in recent 3 years, there have been remarkable gaps in middle and high school districts. It suggests that competition for the entrance into the prestigious school districts in Gangnam exacerbates the nation's residential segregation. In terms of student transfer shows that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were characterized as net inflow districts, while other regions as net outflow districts. Deviation within the group has considerably decreased to about 10 times and the homogeneity has been increasingly evident in both regions. Although Korean government tried to disperse school districts into other provinces, demands for transfers to 8 Gangnam prestigious school districts are still high. The number of households of university graduates was the highest and the elderly population rate was the lowest in three affluent Gangnam districts. Gangnam-gu was also the top in terms of the accessibility to private education institutes, fiscal independence and the investment in education. The three Gangnam districts and 7 bubble areas also led the notorious hike in the housing price since 1990s. Apartment price was extremely polarized between Seoul and other regions. More, and increasingly the lower grade students went abroad to study. In other words, residential segregation has been deepened with the transfer to prestigious school districts and the overseas study in early age. Also, the polariza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became a crucial factor in parents' burden on education expenses. Third, 46.5% of university graduates and only less than 10% of high school graduates have professional occupations. The employment rates of the SKY universities' graduates and top 10 universities' graduates in Seoul is still highest, compared to about 50% of employment rate of other universities' graduates in Korea. The employment rates of other universities in Seoul were relatively lower than of local universities, because graduates in Seoul showed a preference to get better jobs, which seemed to affect the delay of their employment. Lastly,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n determinants in education spending by referring to KLIP's 4th-13th studies of 2,188 households with children aged under 35. This model includes an education expense as dependent variable, and as explanatory variables were total annual income, age, residence, academic backgrounds of households, and so on. As a result, this study has assumed an education expenditure model considering heterogeneities in both individual panels and time characteristic. The findings of the determinant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hen 1% of total income increases, education expenses rises 0.24%. Secondly, education expenditure has been shown 36.4% higher in households of graduates and 52.4% higher in post-graduates than in high school graduates. Also a local residence has shown 21.3% lower education expenditure than Seoul & Gyung-gi Provinces. Interestingly, both total annual income of households and time characteristic have had few effects on education expenditure. It suggests that it was meaningful work to analyze dynamic trends in the polarization of the education expenditure. In conclusion, this study pretty much covers the polarization and reproduction of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ime series analysis. However, this work neither suggests possible education policies to alleviate the polarization of education nor conducts an in-depth analysis on edu-poor phenomenon. The recommendation is, however, that neo-liberalistic education reform is the only way to break the vicious circle of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 polarization and reproduction of education in Korea. Also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iscuss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polarization of education. 본 논문의 목적은 1990-2012년 기간 동안 한국의 교육비 지출 양극화의 동학적 추이와 재생산 구조를 실증하여 교육 양극화와 사회 양극화의 상호작용 기제 및 교육 양극화의 세대 간 재생산 심화 현상을 분석하는 데 있다. 한국의 자본주의에서 교육은 양극화 완화 요인이 아니라 양극화를 심화하고 나아가 세대 간 양극화를 확대 재생산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교육수준 및 교육여건 격차, 거주지 분리 등의 분석을 통해 사회 양극화는 교육 양극화를 추동하고, 다시 교육 양극화는 사회 양극화를 심화시키는 교육 양극화의 재생산 메커니즘을 드러내고자 했다. 본 논문은 교육비 지출 양극화 시계열 분석과 교육의 지역 간 편차 및 수도권 집중을 통해 지난 22년간 한국의 교육비 지출은 높은 극단에 치우친 비대칭적 구조로 양극화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교육수요층의 거주지 분리는 거주비용에 따른 진입장벽을 형성하고, 진입 그룹과 비진입 그룹 간 구별짓기 경쟁을 통해 교육여건 양극화 구조는 더욱 심화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첫째, 지난 22년간 교육소비 및 학생학원소비의 5분위별 격차는 증가했고, 2009년 이후 교육소비 5분위배율은 평균소득 5분위배율보다 높아 교육소비 격차의 심각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학원소비 주도 그룹은 소득 3~5분위였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정규교육 대비 학생학원소비 지출비중이 높았다. 더욱이 1990년대 중반까지는 소득분위 전체가 우상향 추세였지만, 외환위기 이후 소득 1~2분위와 3~5분위는 양극화된 양상을 보였고, 2000년대 중반이후 더욱 심화되었다. 한국의 교육비 지출은 높은 극단으로 쏠리는 비대칭적 양극화 구조였고, 이러한 교육비 지출 양극화는 교육 빈곤층 양산, 저소득층 교육기회 차단 등으로 이어져 사회 양극화를 심화하고 확대 재생산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전문대졸 이상 가구는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일관되게 높은 수준의 교육소비성향을 보였다. 소득분위, 소득구간 그리고 가구주 교육정도별 교육소비성향 표준편차는 소득구간>소득분위>교육수준 순으로 컸는데, 이를 통해 가구주의 소득변인이 한국의 교육비 지출 양극화에 결정적 변인임을 알 수 있다.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가구의 교육비 지출은 서비스 및 판매종사자 대비 1.4배, 장치기계조작조립종사자 및 단순노무자 대비 1.8배 높은 수준이었다. 둘째, 서울 25개구 10~19세 전입은 강남구, 송파구, 노원구가 가장 높았고, 학군별로는 강남구가 포함된 8학군이 가장 높았다. 최근 3년간 서울 11학군별 평균 전입비율을 통해 명문학군 진입경쟁 및 상위학군과 중위학군 간 거주지 분리현상을 확인했다. 초·중·고등학생 학교 전출입 분석결과, 서울과 경기는 유입 그룹, 그 외 지역은 유출그룹으로 구분된다. 유입 그룹과 유출 그룹 모두 동질성이 강화되는 추세였으나, 지난 22년간 유입 그룹 내 편차가 약 10배 수준으로 급감함으로써 더욱 동질적으로 변모했다. 학군수요 분산을 위한 다양한 교육정책들이 도입되었지만 서울 8학군 전입수요는 여전히 높고, 최근 들어 명문학군 전입수요는 저학년일수록 높다. 거주지 분리와 교육여건 양극화는 다양한 사회지표들을 통해 확인되었다. 서울 강남3구는 대학 이상 가구주 비중이 가장 높고, 고령인구 비율은 가장 낮았다. 또한 강남구는 사설학원 접근성이 가장 높았고, 최근 3년간 지방자치단체 재정자립도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의 학교당 및 학생당 교육투자가 1위였다. 강남3구 및 버블7지역은 아파트 매매 및 전세가격의 주도 그룹이었고, 5대 광역시 및 지방 아파트와 비교해보면 아파트 매매가격은 상당히 양극화된 구조를 형성하고 있었다. 조기유학은 저학년일수록 높고,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가 높았다. 이처럼 교육수요층의 거주지 분리는 명문학군 진입 및 조기유학을 통해 구조화되고, 거주지 분리에 따른 교육여건 양극화는 중산층의 교육비 부담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셋째, 대졸이상 근로자의 46.5%가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이고, 고졸 근로자의 경우는 10% 미만에 불과했다. 최근 3년간 대학 취업률은 SKY 대학, 서울상위 10개 대학 취업률이 가장 높았다. 반면 수도권, 5대광역시, 지방대학 취업률은 약 50% 수준으로 대동소이했다. 수도권 취업률이 지방대학보다 낮은 것은 좋은 일자리에 대한 선호도가 수도권 대학 졸업자들에게서 더욱 높아 노동시장 진입이 지연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짐작된다. 대기업 취업률 또한 SKY대학이 높았다. 넷째, KLIPS 4~13차 자료의 만 35세 이하 자녀가 있는 2,188 가구를 대상으로 교육비 지출 결정요인 분석을 실시했다. 종속변수는 교육비, 설명변수는 가구 총소득, 교육수준, 거주지, 나이, 연도 더미변수 등을 투입하여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패널 개체의 이질성과 각 시점에 따른 이질성을 모두 고려한 교육비 지출 모형을 추정했다. 분석결과, 가구의 총소득이 1% 증가할 때 교육비는 0.24% 증가했고, 가구주의 학력이 고등학교 이하인 경우에 비해 대학은 36.4%, 대학원은 52.4% 높은 교육비 지출을 보였다. 또한 거주지가 서울, 경기인 경우에 비해 지방은 21.3% 낮은 교육비 지출을 보였다. 특히 교육비 지출에서 시간특성 효과가 상당히 유의미함을 확인했는데, 이는 지난 22년간 교육비 지출 양극화의 동태적 추이를 파악하는 것이 교육 양극화의 분석과 정책적 함의 도출에서 의미 있는 작업임을 뒷받침한다.

      • 암환아 어머니와 간호사가 지각하는 간호서비스 차이

        김혜자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암환아 어머니와 간호사가 지각하는 간호서비스 차이를 비교·분석하여 암환아에게 질적인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함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4개 종합병원에서 암진단후 입원하여 간호서비스를 받고 퇴원하는 환아의 어머니 76명과 같은 병원에서 암환아를 돌보는 간호사70명으로, 연구자가 문헌고찰과 경험을 토대로 신체적, 치료적, 교육적, 사회심리적, 환경적 영역의 간호서비스를 내용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2002년 10월 21일부터 11월 6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암환아 어머니의 간호서비스 지각정도는 총점평균 3.52±0.54로 나타났다. 영역별로 보면 치료적 영역(3.86±0.51)의 간호서비스 지각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사회심리적 영역(3.70±0.58), 신체적 영역(3.63±0.58), 교육적 영역(3.26±0.71)순으로 높았으며, 환경적 영역(3.16±0.78)이 가장 낮았다. 2. 간호사의 간호서비스 지각정도는 총점평균 3.88±0.37로 어머니의 간호서비스 지각정도와는 차이를 나타냈다. 영역별로 보면 암환아 어머니와 마찬가지로 치료적 영역(4.18±0.43) 의 지각정도가 가장 높았고, 사회심리적영역(3.92±0.43), 신체적 영역(3.92±0.39), 교육적 영역(3.70±0.52)순으로 높았으며, 환경적 영역(3.67±0.45)이 가장 낮았다. 총49개 항목 중 47개 항목에서 암환아 어머니가 지각하는 간호서비스 정도가 간호사보다 낮았으며, 사회심리적 영역의 ‘친절하고 밝은표정’, ‘공평한 대우’등 2개 항목에서만 암환아 어머니의 간호서비스에 대한 지각정도가 간호사보다 높았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3. 암환아 어머니와 간호사의 간호서비스에 대한 지각차이가 가장 많은 영역은 환경적 영역(t=4.96, P=.000)이었고, 교육적 영역(t=4.32, P=.000), 치료적 영역(t=4.10, P=.000), 신체적 영역(t=3.46, P=.000), 사회심리적 영역(t=2.60, P=.000)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문항별로 보았을 때, ‘검사결과에 대한 설명’이 지각차이가 가장 많았고, ‘병실배정에 대한 배려’,’신체의 안전유지’, ‘질병 및 치료결과에 대한보충설명’, ‘병실의 청결유지’순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보였다. 암환아 어머니와 간호사의 간호서비스에 대한 지각정도 순위비교시 신체적 영역에서 암환아 어머니는 ‘증상호소에 대한 신속한 반응’(4.14±0.67)을, 간호사는 ‘오심, 구토, 출혈시 간호제공’(4.43±0.63) 항목을 가장 높게 지각했고,치료적 영역에서 암환아 어머니는 ‘ 항암제 투여의 정확성’(4.24±0.63)을, 간호사는 ‘정확한 수혈’(4.64±0.48)이라는 항목을 가장 높게 지각했다. 교육적영역에서 암환아 어머니는 ‘전문적인 지식소지’(3.66±0.68)를, 간호사는 ‘감염예방을 위한 교육’(4.10±0.68)이라는 항목을 가장 높게 지각했고, 사회심리적영역에서 암환아 어머니는 ‘친절하고 밝은 표정’(4.13±0.82)을, 간호사는 ‘환아를 소중하게 다룬다’(4.27±0.56)는 항목을 가장 높게 지각했고, 환경적 영역에서는 암환아 어머니(3.75±0.82)와 간호사(4.04±0.58)가 모두 ‘간호사실의 청결성’을 가장 높게 지각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암환아 어머니와 간호사가 지각하는 간호서비스에는 차이가 있으므로 암환아 어머니가 높게 지각한 항목은 서비스의 강점으로 파악하여 지속적인 서비스로 강화시켜야 할 것이며, 암환아 어머니가 낮게 지각한 항목과 암환아 어머니와 간호사간의 간호서비스에 대한 지각차이가 큰 항목은 서비스 개선이 필요한 항목으로 병동 간호사들의 체계적인 교육과 서비스 개선 전략을 세워나가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compare and analyze the nursing services perceived by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cancer and by the nurses who take care of these children. The purpose is to give help to the process of providing quality nursing services to children with cancer. The subject of the study is 76 mothers of the children who were hospitalized after diagnosed with cancer in 4 general hospitals in Seoul, received nursing services, and were discharged. The other group of subject is 70 nurses who took care of those children.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from October 21 to November 6, 2002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nsisting of physical, therapeutic, educational, social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domains of nursing service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the author's experience. The result of its analysis is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for the nursing services perceived by the mothers of cancer patients is 3.52±0.54. The perception was highest in the therapeutic domain (3.86±0.51) of nursing service, followed by social psychological (3.70±0.58), physical (3.63±0.58), and educational (3.26±0.71) domains, while the lowest score was recorded in the environmental (3.16±0.78) domain. 2. The average score for the nursing services perceived by the nurses is 3.88±0.37, which is different from those perceived by the mothers. The perception was highest in the therapeutic domain (4.18±0.43) as in the mothers, and the next domains were social psychological (3.92±0.43), physical (3.92±0.39), educational (3.70±0.52), and environmental (3.67±0.45) domains. The perception of nursing services was lower in the mothers than in the nurses in 47 items out of a total of 49 items. Although in the two items in the social psychological domain - 'kindness and bright countenance' and 'fair treatment' -, mothers's perceptions were higher than the nurses',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3. In the environmental domain(t=4.96, P=.000),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s was greatest between the mothers and the nurses. The next domain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educational(t=4.32, P=.000), therapeutic(t=2.60, P=.000), physical(t=3.46, P=.000), and social psychological domains(t=2.60, P=.000). Considered item by item,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perceptions of the mothers and the nurses in 'considerations for the room allocation', 'preservation of physical safety', 'supplementary explanations about the disease or treatment results', and 'maintenance of clean rooms'. The perceptions of nursing services were compared between the mothers and the nurses in terms of the rank of each item in all the domains. In the physical domain, the service perceived to be highest was 'prompt response to the complaints of symptoms' (4.14±0.67) in the mothers, and 'nausea, vomiting and bleeding cares' in the nurses (4.43±0.63). In the therapeutic domain, the perceptions of "preciseness in the administration of anti-cancer drugs' (4.24±0.63) was highest in the mothers; 'correct transfusions' (4.64±0.48), in the nurses. In the educational domain, the perceptions of nursing services were highest for the 'possession of professional knowledge' (3.66±0.68) in the mothers, but for the 'education for infection prevention' (4.10±0.68) in the nurses. In the social psychological domain, the most highly perceived nursing service was 'kindness and bright countenance' (4.13±0.82) for the mothers, and 'cherishing and taking good care of sick children' (4.27±0.56) for the nurses. Finally, in the environmental domain, 'cleanliness of the nurses' office' was the item perceived to be the best by both the mothers and the nurses studied. The above result shows that there are gaps in the nursing services perceived by the mothers of cancer patients and the nurses taking care of those children. Services perceived more highly by the mothers may be the nursing service advantage of the hospital, and thus should be strengthened consistently. For the items that mothers' perceptions were lower than the nurses' and in the items having big gaps in the perceptions of the two groups may be the areas of services that should be improved. For those areas, systematic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the nurses, and service improvement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and practi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