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단계 SQL Injection 방어기법

        김혜성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다단계 SQL Injection 방어기법 정보보안 학과 김혜성 指 導 敎 授 박재표 오늘날 웹 서비스를 사용하여 홈페이지를 만들고 많은 사용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회원관리 등을 통하여 각각의 사용자들에게 본사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본사의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면 그만큼 회사에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금전적인 정보 등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높은 보안 수준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정보 및 금전적인 정보 등 중요한 정보를 사용하는 웹 서버의 취약점인 SQL Injection 공격이 어떠한 과정으로 돌아가고 무슨 구문과 특수문자를 쓰는지 알아보고 SQL Injection 공격 취약점을 탐지하고 방어하는 기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ABSTRACT Multi-level SQL Injection Defence Technique Kim, Hye-Seong Department of Information security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In these days, companies use web services to create homepages, for providing real time information to many users and information about our company to users using membership management. Also we need to provide the company with important information such as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monetary information for getting companies’ information. In this paper, I investigate the process of SQL Injection attack, which is a vulnerability of web server using personal information and financial information, and also what kind of syntax and special characters are used, and how to detect and defend SQL Injection attack.

      • 超精密 서보機構의 制御性能 平價에 관한 硏究

        김혜성 조선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47

        Recently, High accuracy and precision are requir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 especially,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Ultra precision positioning apparatus, Information field and so on. Positioning technology is a very important one among them. As such technology has been rapidly developed, this field needs the positioning accuracy as high as submicron. It is expected that the accuracy of 10nm and lnm is required in precision work and ultra precision work field, respectively by the beginning of 2000s. High speed and low vibration are also needed. This work deals with the design method and control system of Ultra precision positioning apparatus. We will examine the control performance and stability before manufacturing the real apparatus by using MATLAB SIMULINK based on pre-designed controller and system modeling.

      • 비판적 사고 교육의 자료로서 고등학교 「법과 사회」교과서 분석

        김혜성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Modern society is a pluralistic society where the most of the pertinent issues we should resolve by facing it squarely have been entangled one another so much as to become even bigger problems in a variety of social sectors, and to work with those fields in a complex manner. Likewise, in such a pluralistic society, to make a reasonable decision having equipped with adequate problem-solving ability, it can be said that we are required to attain the power of critical thinking that will enable us to look through complexity referring to the whole context. In accord with such a request of this age, necessity of education for critical thinking and also significance thereof have been stressed, and, even in the educational circle, research activities with the purpose of training critical thinking have been increased continuously. Research activities concerned with education for critical thinking have been conducting in various areas, however, such research works may have a great deal of impact on the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that deals with actual social affairs in particular. And the legal education in this curriculum takes up a key position in the course of handling and resolving legal issues that are to be faced in this complicated modern society. To have the education for critical thinking through legal education play a good role in a real term, works for composing textbook to fit in with cultivation of critical thinking must be preceded. In this paper, with analytical frame for textbook that has been drawn up by the expert group composed of mainly incumbent high school teachers on the basis of Nine Factors, Nine Criteria of Critical Thinking edited by Paul (1894) who has been mostly active as a researcher in the area of critical thinking, and having analyzed quest activities compiled in the high school textbook on 「Law and Society」 and the part relative to cultivation of legal mind also, researcher has elicit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results from measurements according to three categories of critical thinking revealed that analytical thinking and dialectical thinking were similar, and among three categories, logical and argumentative thinking was the lowest. Second, results from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chapter that deals with critical thinking revealed that both Chapter I and Ⅱ in common was higher in the area of ‘analytical thinking,’ and that ‘logic and argumentative thinking’ was the lowest. And, Chapter Ⅲ, Ⅳ, and Ⅴ were lower in the area of ‘logical and argumentative thinking.’ Meanwhile, ‘dialectical thinking’ was the highest. And so it displayed differences between them. In other words, as a whole, the logical and argumentative thinking was estimated as low in score, so then researcher could see that there was a necessity to reflect the three categories of critical thinking more evenly across the entire chapters. Third, as the result of comprehensive measurements of critical thinking, the experts’ evaluation of the critical thinking that all embraces ‘analytical thinking,’ ‘logical and argumentative thinking,’ and ‘dialectical thinking’ involved in 62 measured items with respective to [Quest Activity] and [Cultivation of Legal Mind] across the textbook of 「Law and Society」 was 61.7. In the mean time, total score not only of each category, and the contents of each chapter of the textbook on 「Law and Societ y」, but also the total score of the critical thinking in whole are low, so then it can be said that the curriculum activities relating to 「Law and Society」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is not a great deal of help in developing and training critical thinking. Therefore, having carefully reviewed the inappropriateness of the textbooks now being used as educational materials to promote critical thinking power based on right understanding of critical thinking, it is required to reflect any things to be improved or problems in consequence to the textbooks that would be compiled and edited in forth coming years. And, even in other textbooks including social study, it shall be necessary to conduct a deepened and more extensive evaluation 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in order to improve critical thinking skills for students, by exerting effort to grasp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in critical education, and so forth. Most of all, having realized that education in critical thinking is essential for the youth, who live in this complicated modern world, and also having sought various methods in a diversified manner to educate them the critical thinking that fits our reality in a righteous manner, we should have to help young people so as to think in a reasonable, critical manner. 현대 사회는 우리가 당면하여 해결해 가야 할 대부분의 과제들이 다양한 영역의 문제들로 서로 얽혀서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다원화된 사회이다. 이처럼 다원화된 사회에서는 당면한 문제들을 일정한 공식에 넣어 결론을 도출하는 알고리즘적인 해결이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문제해결능력을 갖추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복잡성과 맥락의 고려를 가능하게 하는 비판적 사고력이 요청된다고 하겠다. 이러한 시대적인 요청에 따라 비판적 사고 교육의 필요성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있으며, 교육계에서도 비판적 사고를 교육하기 위한 연구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비판적 사고 교육에 관한 연구들은 여러 영역들에서 행해지고 있으나, 특히 실제 사회 문제를 다루는 사회과에서 더욱 큰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 중 법 교육은 복잡한 현대 사회에서 당면하는 법적 문제를 비판적 사고력을 발휘하여 감당하고 해결해 가는데 있어서 그 핵심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법 교육을 통한 비판적 사고 교육이 실제로 그 역할을 잘 감당하기 위해서는 학습의 1차 자료인 교과서가 비판적 사고 계발에 적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선행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직 고등학교 교사로 구성된 전문가들이 최근 비판적 사고 연구자로서 가장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폴(Paul, 1984)의 [비판적 사고의 9요소 9기준]을 기초로 하여 작성한 교과서 분석틀을 가지고 고등학교 「법과 사회」교과서 내 탐구활동과 법적 사고력 키우기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비판적 사고의 세 범주별 측정결과, ‘분석적 사고’의 측정결과는 65.2, ‘논증적 사고’의 측정결과는 53.6, ‘변증적 사고’의 측정결과는 66.3으로서 분석적 사고와 변증적 사고는 1.1의 근소한 차이를 보였고, 논증적 사고는 세 범주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판적 사고 교육의 자료로서 대체적으로 낮은 점수로 평가 되었으며, 특히 논리적 단계를 중시하는 법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았을 때, 논증적 사고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는 점은「법과 사회」교과서 내 [탐구 활동]과 [법적 사고력 키우기]의 활동이 비판적 사고 교육의 자료로서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비판적 사고의 단원별 측정결과, I. 법의 이념과 권리, 의무 단원과 Ⅱ. 개인생활과 법 단원은 공통적으로 ‘분석적 사고’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논증적 사고’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Ⅲ. 사회생활과 법, Ⅳ. 국가 생활과 법, Ⅴ. 법 생활의 발전과 과제 단원에서는 앞의 두 단원과 마찬가지로 ‘논증적 사고’가 가장 낮게 나타난 반면 ‘변증적 사고’가 가장 높게 나타나 그 차이를 보이고 있다. 단원 I과 단원Ⅱ는 나머지 단원에 비해 법의 기본원리 및 이론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분석적 사고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단원 Ⅲ, Ⅳ, Ⅴ는 앞의 두 단원과 달리, 복잡한 사회 속에서 당면하게 되는 법률관계와 그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변증적 사고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논증적 사고가 낮게 평가됨으로써, 비판적 사고의 세 범주가 전 단원을 통해 더욱 고르게 반영되어질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비판적 사고의 종합 측정 결과, 전체「법과 사회」교과서 내 [탐구활동]과 [법적 사고력 키우기]활동의 62개 측정 문항에 대해 ‘분석적 사고’, ‘논증적 사고’, ‘변증적 사고’를 모두 포괄하는 비판적 사고에 대한 전문가들의 평가 결과는 61.7로서,「법과 사회」교과서의 범주별, 단원별 내용은 물론 전체 비판적 사고의 종합 점수가 낮게 나옴으로써 7차 교육과정에 따른「법과 사회」의 교과 활동이 비판적 사고력 함양에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들이 비판적 사고력 증진을 위한 자료로서 그 효과를 발휘하기에 부족함을 인식하고, 앞으로 편찬되어질 교과서에 이를 반영하여야 한다. 또한 비판적 사고 교육에 있어서 공교육의 교과서가 이를 더욱 잘 반영하는 모범을 보일 수 있도록, 교과서 편찬 위원은 물론이고,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비판적 사고에 대한 이해를 돕고, 비판적 사고력 증진에 도움이 되는 교재 제작법에 대한 교육이 선행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비판적 사고 교육에 있어서 기초가 되는 분석적 사고, 중심이 되는 논증적 사고, 사고의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는 변증적 사고를 고르게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 함양에 실제적으로 기여하여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복잡한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청소년들에게 비판적 사고 교육이 반드시 필요한 것임을 인식하고, 우리의 현실에 맞는 비판적 사고 교육을 위한 방안들을 다각적으로 모색하여 미래 사회의 주인공인 청소년들이 합리적이고 비판적으로 사고하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 분변 잠혈 검사의 검체 완충 용액에 대한 보관온도에 따른 안정성 확인

        김혜성 아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경 현재 대장암 1차 선별검사인 분변 잠혈 검사에서 검체를 운송하고 제출하는 방법으로 수검자가 분변을 담은 일반 채변통을 직접 기관에 제출하는 방법과 제조사가 공급하는 분변 잠혈 검 제품의 검체 완충 용액이 담긴 튜브를 기관에 제출하는 방법이 있다. 이 중 분변을 담은 일반 채변통에 대한 안정성을 위한 보관온도 조건이 제품 사용 설명서에 기재되어 있는 반면 검체 완충 용액에 관한 안정성을 위한 보관조건에 대한 내용은 기재 되어 있지 않다. 이는 검사 결과에 위 음성 또는 낮은 양성결과가 나올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검체 완충 용액에 대한 안정성 확인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장암 1차 선별검사로 사용되고 있는 분변 잠혈 검사 3종 제품의 검체 완충 용액에 대하여 보관온도에 따른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방법 제조사별 완충 용액과 헤모글로빈을 혼합한 검체 완충 용액을 냉장(5℃이하), 상온(21~24℃), 고온(30~35℃)에 보관하여 12시간 간격으로 최소검출농도 50 ng/mL와 100 ng/mL, 200 ng/mL, 2000 ng/mL 에서의 초기발색이 유지하는 시간을 확인하였다. 결과 최소검출농도 50 ng/mL농도에서 A사 제품의 경우, 냉장온도에서 48시간 안정함을 보였으며, 상온 및 고온에서 24시간 안정함을 보였다. B사의 결과에서는 C사와 최소검출농도 50 ng/mL 에서 냉장, 상온, 고온에서 모두 12시간 이내의 안정성을 보였으며, B사는 100 ng/mL 이상에서의 농도에서 C사보다 안정함을 보였다. 검체 완충 용액에 보관 온도 별 안정성은 A사 제품이 B사, C사 제품에 비해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A 사 제품의 경우, 냉장온도에서 다른 보관온도에 비해 24시간 더 안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온도에 따른 보관조건으로 결과에 영향을 받는 분변이 담긴 일반 채변통 사용의 검체 제출 방법과 동일하게 제조사별 검체 완충 용액에 보관된 검체 완충 용액에 또한 보관 온도에 따라 결과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제조사별 검체 완충 용액을 이용한 대장암 선별검사 제출 방법에 관한 재검토가 필요하며 이는 분변 잠혈 검사 결과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요인으로 의미가 있다. 온도에 따른 안정성 향상을 위하여 검체 완충 용액에 대한 추가적인 보완이 필요 할 것으로 생각한다. 추가로 보관 조건을 사용설명서 및 자료를 이용하여 명시하여야 하고 이를 통해 수검자 및 검사자는 사용설명서 및 자료를 통해 인지하여 분변 잠혈 검사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 즉흥연주 음악치료가 남성 알코올 중독자들의 분노 및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김혜성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알코올 중독환자들을 위한 즉흥연주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그들의 부적절한 분노와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는 현재 서울시내 소재 E병원 내의 폐쇄병동에 입원하고 있는 남성 알코올 중독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하여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음악치료를 시행한 8명의 실험집단과 다른 10명의 통제집단에 대해 Spielberger(1988)의 State 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STAXI)를 한국의 실정에 맞게 표준화한 한국판 STAXI(전겸구, 1997)와 고경봉, 박중규, 김찬형(2000)이 개발한 스트레스 반응 척도 검사(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SRI)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음악치료는 주 2회 50분 동안 총 8회기로 이루어진 집단음악활동 형태로서, 사용된 방법은 즉흥연주였다. 자료 분석은 그룹 즉흥연주에 참석한 실험집단과 아무런 처치를 받지 않은 통제집단의 음악치료 실시 전과 실시 후의 상태분노와 스트레스 반응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비모수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집단음악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상태분노 점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의 스트레스 반응 점수에 있어서도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한 차이로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그룹 즉흥연주 음악치료가 남성 알코올 중독 입원환자의 분노와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purposeofthisstudy istoinvestigatetheinfluenceof group Improvisation MusicTherapy program on reduction anger andstressinthemalepatientswithalcoholism. The research currently did 18 person male patients with alcoholism whoarehospitalizedintheE hospitalwhichislocated in Seoulin the object.Of the 18 patients,8 made up the experimentalgroup whoreceived themusictherapy and 10the controlgroup.STAXI(State-TraitAngerExpression Inventory) by Spielberger(1988) translated by Jin Kyun Koo (1996) and SRI(the stressResponseInventory)by Goh Kyung Bong,Park Joong Kyu,Kim Chan Hyung(2000)wasused forpreand post therapy datacollection.Musictherapy wasgiven twice a week for 50 minutes for a totalof8 sessions.The music activity includedimprovision. After the study,The group improvisation training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state anger and stress reaction between the experiment a land controlgroups. In conclusion music therapy for the male patients with alcoholism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reduction anger and stress.

      •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두 자리 서술어문 습득 연구 : 조사 ‘가’와 ‘를’의 실현을 중심으로

        김혜성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Japanese learners acquire the particles ‘ga’ and ‘reul’ of the Korean language two-place predicate constructions. Chapter Ⅰ explain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research and setting up a research question through reviewing previous researches.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paper is what differences of the way of acquiring Japanese learners of Korean for particle ‘ga’ and ‘reul’ of two-place predicate constructions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Chapter Ⅱ survey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classifies the two-place predicate constructions that take the particle ‘ga’ and ‘reul’ by verb/adjective classes and syntactic/semantic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s. Adjective sentences can be classified into five types: psychological adjective, sensory adjective, comparative symmetric adjective, constellation adjective, and possessive adjective. Intransitive verb sentences can be classified into 3 types: metamorphic intransitive verb, perceptual-cognitive intransitive verb, and symmetric intransitive verb. And transitive verb sentences can be classified into 6 types: active transitive verb in patient, active transitive verb in attribute, locomotive transitive verb, symmetric transitive verb, perceptual-cognitive transitive verb, and psychological transitive verb. Chapter Ⅲ describes the research methodology us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First, an experimental tool was developed based on the syntactic/semantic conditions of two-place predicate constructions derived from the theoretical background. It was constructed through a grammatical judgment test to judge correctness of presented sentences. The experimental tool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a preliminary experiment. Th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 were 20 Japanese intermediate learners, 20 Japanese advanced learners, and 20 Korean native speakers. In order to examine the learning patterns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the Japanese learners were subjected to the proficiency te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proficiency test, the learners were divided into the lower and upper proficiency groups. The results of the collected grammatical judgment test were analyzed with the one-way ANOVA method. Chapter Ⅳ describes the analysis results.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usage of particles ‘ga’ and ‘reul’ for various types of two-place predicate constructions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level of Japanese learners. First, the percentage of the correct answer of Japanese learners tends to be lower when construction types require experiencer-role as subject comparing by the types require theme-role or agent-role.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wo proficiency groups of the mean scores of grammatical tests for the metamorphic intransitive verb, perceptual- cognitive transitive verb, and psychological transitive verb. In contrast, the results found no proficiency factor in the psychological adjective, perceptual-cognitive intransitive verb, and symmetric intransitive verb. Third, both learner groups’ correctness rate of the locomotive transitive verb is lower than 75%. This figure can be regarded as not having learned structure according to Ellis (1988) standards. Finally, chapter Ⅴ summarizes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describes the significance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s the acquisition of 'ga' and 'reul' by Japanese learners of Korean in detailed linguistic contexts by limiting the structure of the sentence, classifying the types according to the word classes of the verb/adjective and syntactic/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in detail the cause of differences in learning patterns according to the word classes of the verb/adjective, and semantics of the predicate and it’s required argument, and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implied by each sentence component.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teaching and learning about verbs/adjectives which have common characteristics such as arguments and thematic roles required and ingredient meaning, yet appears as various parts of speech - e.g., psychological predicates and locomotive predicates. Meanwhile,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of this study. Since the size of the sample is small,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experimental results. However, although we tried to control the possibility of error by vocabulary when producing experimental tools, it is hypothesized that the experimental result of the symmetric transitive verbs is influenced by the lexical form. Further studies on the acquisition of various structures that are not covered in this paper are expected to be carried out. It is expected to discuss concrete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s well.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인 학습자가 한국어 두 자리 서술어문의 조사 ‘가’와 ‘를’을 습득하고 있는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다. 먼저 Ⅰ장에서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설명하고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본고의 연구 문제는 한국어 두 자리 서술어문의 조사 ‘가’와 ‘를’에 대한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습득 양상이 숙달도에 따라 용언 유형 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이다. Ⅱ장에서는 조사 ‘가’와 ‘를’을 취하는 두 자리 서술어문을 용언의 품사와 구문의 통사·의미적 특성에 따라 나누어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고, 연구 도구의 틀로 사용하기 위한 유형 분류를 논의하였다. 형용사문은 그 통사·의미적 특성에 따라 ‘심리형용사, 감각형용사, 비교대칭형용사, 성상형용사, 소유형용사’의 5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고, 자동사문은 ‘변성자동사, 지각·인지자동사, 대칭자동사’의 3개 유형으로, 타동사문은 ‘대상 행위타동사, 속성 행위타동사, 이동타동사, 대칭타동사, 지각·인지타동사, 심리타동사’의 6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연구 문제에 답하기 위해 실행한 연구 방법을 기술하였다. 먼저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도출한 두 자리 서술어문의 통사·의미적 조건에 따른 분류를 틀로 삼아 실험 도구를 개발하였다. 실험 도구는 제시된 문장이 올바른지 판단하는 문법성 판단 테스트로 제작하였다. 예비 실험을 통해 실험 도구를 수정·보완하고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에 참여한 집단은 일본인 중급 학습자 20명, 고급 학습자 20명, 한국인 모어화자 20명이다. 숙달도에 따른 습득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일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숙달도 검사를 실시하여 집단을 상 집단과 하 집단으로 나누었다. 수집된 문법성 판단 테스트 결과에 대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어서 Ⅳ장에서는 분석 결과를 기술하였다. 본고에서 연구 문제에 대하여 예상한 가설대로, 한국어 두 자리 서술어문의 조사 ‘가’와 ‘를’에 대한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습득 양상은 숙달도에 따라 용언 유형 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첫째로, 일본인 학습자들은 숙달도에 상관없이 대체로 주어의 의미역이 행동주나 대상일 때에 비해 주어로 경험주를 요구하는 경우에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주어로 경험주를 요구하는 유형은 ‘감각형용사, 심리형용사, 지각·인지자동사, 심리타동사, 지각·인지타동사’인데, 이 중 감각형용사만이 숙달도 상 집단과 하 집단 모두 모어 화자에 근접한 정답률을 기록하였다. 둘째, 변성자동사, 심리타동사, 지각․인지타동사, 대칭타동사 유형에서 숙달도 집단 간 정답률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심리타동사, 지각․인지타동사, 대칭타동사와 각각 의미적으로 공통된 범주로 묶을 수 있는 심리형용사, 지각․인지자동사, 비교대칭형용사, 대칭자동사는 숙달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러한 결과로부터 일본인 학습자들은 공통된 의미 범주의 용언이라도 품사에 따라서 다른 습득 양상을 보인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형용사문, 자동사문, 타동사문의 모든 품사로 나타나는 심리구문, 지각․인지구문, 대칭구문에서, 학습자의 숙달도가 향상됨에 따라 형용사문, 자동사문의 구조에 대한 습득은 일어나지 않았지만 타동사문의 구조에 대한 습득이 일어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셋째로, 이동타동사는 숙달도에 상관없이 습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 동사류는 주어 논항만을 가진 자동사문으로만 쓰이는 경우, 주어 명사구 외에 ‘에/에서/로’명사구를 취하며 자동사문으로만 쓰이는 경우, 부사격조사 ‘에/에서/로’와 목적격조사 ‘를’이 교체 가능한 경우, 타동사문으로만 쓰이는 경우가 있어 그 쓰임이 다양하다. 이동 동사는 한국어 교육 과정에서 주로 자동사문으로만 제시되는데, 타동사문으로 쓰이는 경우에 대한 교수·학습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문장의 구조를 한정하고 용언의 품사와 통사·의미적 특성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여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가’와 ‘를’의 습득을 언어 맥락별로 살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습득 양상에 차이가 나타나는 원인을 용언의 품사와 의미, 요구되는 논항의 의미역, 각 문장 성분이 함의하는 의미 특성 간의 상호 관계에 따라 상세히 살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용언의 통사·의미적 특성에 따른 논항과 조사의 결합에 대한 교수·학습의 필요성이 있음을 밝혔다. 특히 심리 구문, 이동 구문과 같이 공통된 논항과 성분 의미를 갖지만 여러 품사로 나타나는 용언 부류에 대한 교수·학습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한편, 본고의 실험 참여자는 각 집단별 20명으로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실험 도구를 제작할 때 어휘에 의한 오류 가능성을 통제하고자 노력하였지만 대칭타동사의 실험 결과는 제시된 어휘 형태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짐작된다. 본 연구는 일본인 중·고급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두 자리 서술어문이라는 한정된 구조 안에서 용언의 품사 및 통사·의미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다양한 언어 맥락에 따른 조사 ‘가’와 ‘를’의 실현에 대한 교수·학습의 필요성을 밝혔다. 본고에서 다루지 못한 다양한 구조의 문장에 대한 습득 양상 및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청소년의 인지적 및 정서적 실행기능과 위험행동의 관계

        김혜성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청소년의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과 위험행동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실행기능이 인지적 실행기능과 정서적 실행기능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는 연구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5학년,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2학년의 인지적, 정서적 실행기능을 측정하였고, 두 가지 측면의 실행기능과 위험행동의 발달경향과 그들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인지적 실행기능과 정서적 실행기능의 위험행동을 예측하는 정도를 비교하였다. 인지적 실행기능 측정도구로 스트룹(Stroop) 아동 색상-단어 검사와 숫자외우기 과제를 사용하였고, 정서적 실행기능은 아이오와 도박 과제(Iowa gambling task, IGT)로 측정하였다. 위험행동의 측정도구로는 아날로그 풍선과제(The balloon analogue risk task, BART)와 위험행동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실행기능은 숫자외우기 과제에서만 연령집단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숫자외우기 과제에서 초등학교 5학년보다 중,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 더 높은 수행을 보였으며, 이는 초등학교 5학년보다 나머지 집단의 작업기억이 더 뛰어남을 의미한다. 정서적 실행기능에서 연령집단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성별에 따라 수행의 차이를 보였고 남학생들보다 여학생들의 정서적 실행기능이 더 뛰어났다. 둘째, 위험행동을 측정하는 아날로그 풍선과제와 위험행동척도에서 연령집단에 따른 차이를 보였으며 초등학교 5학년보다 중,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 더 많은 위험행동을 하였다. 셋째, 연령집단 별 인지적 및 정서적 실행기능과 위험행동 간 관계를 살펴볼 때 중학교 2학년에서 인지적 실행기능의 숫자외우기 과제를 못할수록 위험행동을 더 많이 하였고, 정서적 실행기능에서도 아이오와 도박과제를 못할수록 더 많은 위험행동을 하였다. 다시 말해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은 작업기억과 정서적 실행기능이 저조할수록 더 많은 위험행동을 한다. 성별에 따른 인지적, 정서적 실행기능과 위험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볼 때 남학생들은 작업기억이 좋을수록 더 많은 위험행동을 보인 반면 여학생은 억제통제와 작업기억이 저조할수록 더 많은 위험행동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인지적, 정서적 실행기능이 위험행동을 예측하는 정도를 비교한 결과 중학교 2학년 집단에서 인지적 실행기능의 작업기억과 정서적 실행기능 모두 위험행동을 부적으로 예측하였으며, 그 정도는 비슷하였다. 이는 작업기억과 정서적 실행기능의 능력이 떨어지는 청소년이 더 많은 위험행동을 함을 의미하며 인지적 실행기능과 정서적 실행기능이 위험행동을 예측하는 정도가 비슷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인지적 및 정서적 실행기능의 발달경향을 살펴보고 두 유형의 실행기능과 위험행동의 관계를 탐색하고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ol and hot executive functions and risk behavior among adolesc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108 Korean adolescents in three age groups: 5th-grade of elementary school, 2nd-grade of middle school, and 2nd-grade of high school. They completed 4 tasks: cool EF was measured using stroop color and word task and a digit span task, while hot EF was measured with the Iowa Gambling Task(IGT). Risk behavior was measured using The Balloon Analogue Risk Task(BART) and a risk behavior scale.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re was an age difference in digit spa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on the digit span than did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ot EF showed no difference in performance between age groups; there was, however, a difference between genders: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performance than did male students. Second, an age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BART and risk behavior scale, with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howing no difference, but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ing significantly different performance from the other two groups. Third,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ol and hot EFs and risk behavi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digit span performance and the risk behavior scale as well as between IGT total score and the risk behavior scal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lower working memory(cool EF) and hot EF are associated with higher risk behavior. Male students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igit span and BART performance, while female student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s of the risk behavior scale with Stroop task and digit span performance, respectively. This means that male students with higher working memory, and female students with lower inhibition and working memory tend to have higher risk behavior. Finally, regarding the effect of cool and hot EF on risk behavior, both the digit span and IGT performance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risk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suggesting that adolescents with poorer working memory and hot EF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risk behavi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ol and hot EF are important variables affecting risk behavior among Korean adolescents. Additionally, development of adolescents' cognitive ability will help reduce risk behavior.

      • 지속과 습관 : 베르크손 철학에서 인간의 조건과 그 극복

        김혜성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베르크손에 따르면 철학은 지속 안에 재위치하는 노력이며, 이는 곧 자연적 성향을 거슬러 오르는 노력이다. 그가 철학에 부여한 이 두 규정을 종합하면, 지속의 철학은 곧 인식과 실천 각각에서 인간의 자연적 조건들의 극복을 요구하는 직관과 열린사회의 철학이다. 본고는 특히 지속 개념과 습관 개념의 연관에 주목하면서, 인간의 현재 조건과 그 극복에 관한 베르크손의 생각을 살펴본다. 보통 그의 습관 개념은 지속의 대립자, 즉 극복되어야 할 장애물로 해석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그의 글들에서 습관은 생명의 지속과 단순히 불일치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에 참여하고 결국 그것과 일치한다는 것으로 드러난다. 이 점을 해명하기 위해 본고의 첫 번째 장은 지속 개념의 윤곽이 습관 개념을 통해 구체화될 수 있음을, 두 번째 장은 역으로 습관에 대한 그의 이해가 지속 개념과 불가분적임을 보일 것이다. 생명의 지속이 물질의 ‘필연을 자유의 수단으로’ 삼는 과정이라면, 습관은 ‘기계장치를 모방하는 자발성’이다. 그러므로 유기계에서 한 습관의 경직성은 무기계의 타성으로 환원되지 않는 자발성을 가지며, 다른 습관의 경직성을 견제하는 ‘이차적 결과’를 가지기도 한다. 따라서 베르크손의 철학에서 습관은 극복의 대상일 뿐만 아니라 극복의 가능성이기도 하다. 인간은 다양한 습관들을 형성하는 ‘스포티브한 동물’인 한에서 본능의 ‘종의 습관’을 넘어 반성적 지성을 획득했지만, 그 또한 생의 비약의 새로운 답보 상태를 나타낸다. 본고의 세 번째 장은 지성 편중의 습관, 명령과 복종의 습관이 인간의 현재 조건을 이루며 존재의 이 경직성이 희극미로 드러난다는 점을 설명할 것이다. 마지막 장은 그러한 낡은 습관들의 극복을 추구하는 직관과 열린사회가 사실상 새로운 습관 형성과 관계된다는 점을 보일 것이다. 직관의 철학은 모든 것을 지속의 관점에서 보는 것에 ‘익숙해지고’, ‘고차원적’이고 ‘유동적’이며 ‘새로운’ 개념들을 만들기 위한 ‘집단적이고 점진적인’ 노력으로, 걷는 습관을 수영하는 습관으로 전환하는 일에 비유된다. 이와 유사하게, 열린사회는 모든 인격들의 권리를 침해할 수 없는 것으로 대하는 데 익숙해지는 만큼 실현된다. 이처럼 경직된 습관들의 극복은 예의, 민주주의, 지적 교류, 외국어문학 및 고전과 철학 교육 등 다양한 실천들로 구체화되며, 이로써 인류에게 확보될 생명적 유연성은 우아함이라는 미적 특징을 띤다. According to Bergson, the philosophy is an effort to 'place oneself back in duration', which is an effort to 'remount the natural slope'. These two definitions that he assigned to the philosophy lead to think that his philosophy of duration is, in the end, the philosophy of intuition and open society that struggles to overcome, in theory and in practice, the human natural condition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Bergson's thinking on the human condition and its overcoming, by noting the connection between duration and habit. His concept of habit has been often interpreted as the opposite of duration. However, this paper argues that, in his texts, the habit is not a mere opponent of duration, but a thing that participates in it. The first chapter will demonstrate that the concept of duration can be more precisely described with the concept of habit, and the second chapter will show that Bergson's thinking of habit is inseparable from his concept of duration. If the duration of life is understood as the process to 'create with necessity an instrument of freedom', the habit is defined as a 'spontaneity that imitates the mechanism'. Therefore, the rigidity of a habit in the organic world cannot be reduced to the inertia of the inorganic world, and it has the 'second result' that allows to overcome the automatism of other habits. A habit thus understood is not only an obstacle to overcome, but also the possibility of its overcoming. The human being, defined as an 'animal capable of forming a variety of habits'(«un animal sportif») has gone further than animals of instinct that are limited to the 'habits of the species'. However, the human's present condition is characterized by new habits that need to be overcome. The third chapter will explain that the habit of intellectualism and the habit of command and obedience constitute the human natural condition, and that the rigidity of being is aesthetically manifested as the comic. The last chapter will show that the intuition and the open society which seek to overcome the old habits can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habit formation. The philosophical intuition is described as a 'collective and progressive effort' to accustom ourselves to 'perceive all things sub specie durationis', to create the 'new', 'fluid', 'superior' concepts, which is comparable to the transition from the habit of walking to the habit of swimming. To achieve the open society, we need to accustom ourselves to treat human rights as inviolable. The mystical source of the open morality is embodied in diverse practices like politeness, democracy, education of foreign language and literature, classics, and philosophy, which together lead humanity from the rigidity to the suppleness that is tinged with grace.

      • 예술고등학교 1학년 미술과 회화표현영역을 위한 창의적 문제해결 교수-학습 지도방안 : 고든(W. Gordon)의 시네틱스(synectics) 교수법을 중심으로

        김혜성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education has long been recognized, and its necessity is increasingly highlighted in today's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 value-added knowledge industries can be stepped up by creativity that engenders new values, and it's consequently needed to pay growing attention to creativity education. Fostering the thinking faculty of students means to improve their ability to survive. Given the uncertainty and diversity of modern society, furthering thinking faculty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And given the importance of creative problem solving, the application of a creative problem-solving approach is required as one of teaching- learning strategies.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new teaching-learning program by incorporating Gordon's synectics approach, a creative problem-solving teaching method, into existing teaching-learning process in a quest for students to shift their paradigm by solving problems in a novel and creative manner instead of sticking to stereotyped solu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Gordon's synectics approach, one of creative problem-solving teaching methods, to the painting expression segment of art class in the first year of art high school, to examine the comprehension and satisfaction levels of learner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at approach on their creative thinking faculty and image expressiveness. As a result of applying the synectics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found themselves to think more creatively and better express images than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is approach is expected to make it easier for learners to take art lessons in the category of expression, and question and answer between students themselves and between them and their teacher would serve as an opportunity for them to facilitate problem solving in a complementary manner, to participate in class more voluntarily and actively and ultimately to boost their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Relevant theories were investigated to describe the necessity of creativity improvement in art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the kinds of teaching methods that could step up creative problem solving. After painting expression lessons provided by four different art high schools were analyzed, one of the lessons that was appropriate for this study was selected, and then lesson plans were modified to serve the purpose of the study. Teaching strategies about the unit titled 'drawing expression for the expansion of journal image' were prepared by applying the synectics approach.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2 boys and girls in the first year of the art department in G art high school. After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made up of 26 students each, they received instruction in nine sessions. The students turned out equivalent in pretests composed of a survey on the level of the learners and of a practice test about image expressiveness. After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posttests were implemented: evaluation of the works of the two groups about the expansion of journal image, survey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learners, self-evaluation and peer rating. All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find out how much they made progress in creative ideas and image expressiveness. SPSS WIN 13.0 program was employ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x2(Chi-square) test and t-test were utilized. Besides, statistical data on percentage for the questions with yes-no answer choices were obtain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pre-survey on learner awareness and practice test on image expressivenes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hich proved that both groups were equivalent. Second, according to the posttest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as exposed to the synectics approach made more positive progress than the control group on creative ideas, expressiveness, expression method and learning attitude, and the intergroup gaps were significant. Third, according to the posttests, the experimental group excelled the control group in class understanding, and the former had greater expectations and expressed more satisfaction than the latter. The intergroup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according to the self-evaluation and peer rating, the experimental group viewed their own expressiveness more favorably, and the largest number of the students in that group answered that they liked the way of solving problems by utilizing various figures of speech, and that they realized how to handle a theme in an easier manner. In conclusion, Gordon's creative problem-solving approach enabled the students to made strides to some extent in creative thinking and expressiveness, and that brought a favorable change to the quality of instruction. But it's not advisable to generalize that approach as a program to foster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of every art high school sophomore, since just 52 sophomor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refore teachers should select an appropriate teaching-learning program to provide quality education. Prolonged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developing a wide variety of creativity programs by applying and comparing multiple teaching methods and into checking their effects, as creativity is acquired in the course of one's lifetime. 창의성 교육의 중요성은 오래 전부터 인정되어 왔으며, 오늘날 정보에 따른 지식 중심 사회에서는 그 필요성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고부가가치의 지식 산업은 새로운 가치를 형성하는 창의성에 의해 발전 가능하며 이에 창의성 계발 교육에 높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학생들에게 생각하는 능력을 길러준다는 것은 학생들이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주는 것이며 현대의 사회가 불확실하고 다양화가 진행된다는 것을 고려하면 생각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창의적 문제 해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창의적 문제 해결 교수법의 적용이 무엇보다 교수-학습 지도전략에 필요함을 인지하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문제해결에 있어 틀에 박힌 해결책이 아닌 기발하고 창의적인 해결력에 의한 사고의 전환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고든의 창의적 문제 해결법 교수법인 시네틱스 교수법을 기존 교수-학습에 적용하고 재구성하여 새로운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고등학교 미술과 1학년 “회화표현” 영역수업에 창의적 문제 해결교수법인 고든의 시네틱스 교수법을 적용하여 학습자의 이해도 및 만족도에 따른 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하고 창의적인 사고의 전환 능력과 이미지 표현능력을 바탕으로 한 이미지 표현력 신장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시네틱스 교수법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창의적인 사고의 전환 능력과 이미지 표현능력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학습자들이 미술 표현수업 진행에 있어 훨씬 수월하게 임하게 될 것이며, 교사와 학생 또는 학생과 학생 간의 다양한 비유에 의한 질의응답을 통하여 상호보완적 문제해결을 꾀하고 더 나아가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에 의한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갖는 계기가 될 것이다. 먼저, 미술교육에 왜 창의성 신장이 필요하며 창의적 문제해결을 돕는 교수법이 필요한지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고 4개의 예술고등학교 회화표현수업 내용을 분석하여 본 연구에 적절한 하나의 수업내용을 택해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교수-학습지도안을 수정, 보완하였다. 시네틱스 교수법 적용에 의한 “중단원 - 잡지이미지 확장 드로잉 표현”에 맞는 교수-학습지도 전략을 기반으로 G예술고등학교 미술과 1학년 남, 여 학생 52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26명, 통제집단 26명으로 구성하여 2008년 3월 18일부터 4월 8일까지 총 9차시에 걸쳐 수업을 실시하였다. 사전검사로 학습자 수준 인식도 설문과 이미지 표현력 실기평가를 통하여 학습 대상의 동질성을 검증하였고 사후검사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잡지이미지 확장 드로잉 표현에 대한 작품평가와 학습자 만족도 설문조사,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 결과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창의적 발상능력 및 표현능력에 따른 이미지 표현력 향상 정도를 검증하였다. 자료처리로 SPSS WIN 13.0을 사용하여 χ2(Chi-square) 검증과 t-test(검증) 실시와 YES/NO대답에 의한 문항 별 %를 내어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인식도 사전 설문과 이미지 표현력 실기평가를 통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동질집단임이 밝혀졌다. 둘째, 사후검사를 통하여 시네틱스 교수법의 적용으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창의적인 발상 및 표현능력, 표현방법과 수업태도의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고,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사후 설문을 통해 실험집단의 표현영역에 대한 수업내용 이해도, 기대수준과 만족도가 통제집단 보다 높게 측정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자기평가와 동료평가를 통해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수업에 의한 자신의 표현능력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다양한 비유를 통해 하나의 문제해결을 해나가는 방법이 참 좋았다.’, ‘어떠한 주제를 접했을 때 쉽게 풀어나가는 방식을 깨달았다.’ 라는 가장 많은 서술형 답변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고든의 창의적 문제 해결 교수법을 통해 창의적인 발상능력과 표현능력이 어느 정도 신장되었고 수업의 질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음이 검증되었다고 할 수 있으나, 연구대상이 예술고등학교 1학년 52명의 학생들로 국한되어 실험이 이뤄져 모든 예술고등학교의 미술과 1학년 학생들에게 창의적 문제 해결을 위한 회화 표현영역 교수-학습 프로그램으로 일반화하는 데는 무리가 있다. 이에 교사는 적절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을 체계적으로 교육하여야 하며 후천적인 창의성 계발을 위하여 여러 창의적 문제 해결 교수법에 의한 적용 및 그 비교, 분석을 통하여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그 적용효과에 대한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